KR20220045322A -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5322A
KR20220045322A KR1020200127886A KR20200127886A KR20220045322A KR 20220045322 A KR20220045322 A KR 20220045322A KR 1020200127886 A KR1020200127886 A KR 1020200127886A KR 20200127886 A KR20200127886 A KR 20200127886A KR 20220045322 A KR20220045322 A KR 2022004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ramie grass
allergic
all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미
김대기
임지예
이지현
이보리
정명수
김미애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7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5322A/ko
Publication of KR2022004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5322A/ko
Priority to KR1020230185017A priority patent/KR20240000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시풀 추출물은 알레르기 유발 경로 및 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바, 알레르기 발병 예방, 증상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Boehmeria nivea extract for treating or preventing allergy diseases}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Allergy)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면역기능에 이상이 있어 무해한 항원, 즉 알레르겐 (allergen)이라 불리는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과민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데에는 유전학적 소인, 환경적 요인, 약리학적 이상, 면역학적 요인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인자간의 상호작용이 관여하게 되며, 이러한 생체의 면역기능 중 과민반응 (hypersensitivity reaction)은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제1형 과민반응은 알레르겐(allergen)의 반복노출에 따라 과잉으로 생성된 IgE(immunoglobulin E)가 비만세포(mast cell)에 결합함으로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히스타민 (histamin) 등을 함유한 과립이 유리되면서 전신성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tic shock) 또는 국소성 가려움증 및 염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형 과민반응은 항체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정상세포에 결합함에 따라 Null (K) cells 등이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혈구감소증을 유발하는 현상으로 사이클로스포린 (cyclosporin)에 의한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 아미노피린 (aminopyrine)에 의한 백혈구 감소(leukopenia), 퀴니딘 (quinidine)에 의한 혈소판 감소(thrombocytopenia) 등이 대표적이다. 제3형 과민반응은 항원-항체 복합체가 조직 중에 집착함으로서 PMN(polymorphonuclear) cells이 조직을 손상시키는 질환으로, systemic lupuserythomatosi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제4형 과민반응은 지연형 과민반응으로, 감작된 T cells이 기억 세포(memory cells)로 분화하여 이후에 재감작될 때 피부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접촉성 피부염 (contact dermatitis)이라고 하며, 넓은 의미로는 접촉성 과민반응 (contact hypersensitivity)의 범주에 속해 있다.
상기 제1형 과민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는 세포 내에 과립들을 가지고 있는데,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세포 내의 과립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 헤파린 및 단백분해효소 등이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화학매개체들이 생성된다. 이러한 화학매개체들은 짧은 시간 내에 혈관을 확장시켜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우리 몸의 평활근 수축 및 분비선의 기능을 증가시켜 알레르기 증상을 유도한다.
현재 알레르기 치료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 천연물 유래의 소재는 장기간 복용이 가능하고 부작용의 위험이 적은 장점이 있어, 다양한 천연식물을 이용한 효능 검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공지된 항알레르기 효과의 천연물로는 단삼, 구절초, 자근, 도라지, 등골나무 등이 있다. 그러나 모시풀의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해서는 공지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진 천연물에 대해 탐색하던 중, 모시풀 추출물이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시풀 추출물은 알레르기 유발 경로 및 인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바, 알레르기 발병 예방, 증상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모시풀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생존율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모시풀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히스타민 및 탈과립 농도의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모시풀 물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 RNA 레벨을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모시풀 에탄올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RNA 레벨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모시풀 물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도이다.
도 6은 모시풀 에탄올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ELISA로 측정한 도이다.
도 7은 모시풀 에탄올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MAPK(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모시풀 에탄올 추출물을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모시풀 에탄올 추출물을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유도한 동물모델에 처리한 후,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시풀(Boehmeria nivea (Linne) Gaudich.)은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잎은 호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길이 10-15cm, 폭 6-12cm로서 끝이 꼬리처럼 약간 길고 밑부분은 둔저 또는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며 맥 위에 퍼진 털이 있다. 엽병은 잎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짧고 퍼진 잔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한그루로서 원추화서로 엽액에 달리고, 화서가 엽병보다 짧다. 수꽃 화서는 줄기 밑부분에, 암꽃 화서는 줄기 윗부분에 달리며 화서는 길이 5-10cm이다. 수꽃은 황백색으로 화피 4장, 수술 4개로 되어 있다. 암꽃은 연녹색으로 통모양의 화피에 싸이고, 여러 개의 꽃이 모여 둥글게 되며 암술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길이 1mm정도로서 여러 개가 함께 붙어 있다. 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퍼진 잔털이 많다. 뿌리는 목질로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저마근이라 하여 약으로 쓰는데 지혈, 이뇨, 항균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시풀은, 모시풀을 구성하는 부위라면 어디든지 추출물 소재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모시풀의 전초(全草); 또는 열매, 잎, 꽃, 줄기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 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모시풀의 뿌리, 줄기 및 잎을 이용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추출시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당업계에 식물성분 추출 용매로서 알려진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케톤 (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에스테르 (예.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등),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모시풀 추출물의 제조는,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처리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시풀을 건조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추출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0℃ 내지 1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추출시간은 추출 온도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10분 내지 10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72시간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60시간 일 수 있다.
본 발명 추출물은 공지의 천연물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침추출, 상온추출, 열수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 추출, 고압추출, 초음파 추출, 아임계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7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의 제조시 처리, 보관 등의 용이함을 위하여 여과 과정, 농축 및 정제과정, 건조과정, 동결과정, 분말화 과정 등이 임의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여과 과정은 공지의 여과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여과망 또는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한 여과, 원심분리 및 분액깔때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농축 과정은 공지의 농축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침전농축, 증발농축, 감압농축, 한외여과법, 역삼투법 및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농축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과정은 공지의 건조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또는 열풍건조 일 수 있다. 또한 분말화 과정은 공지의 분말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덱스트린 포접 등의 과정에 의해 분말화 될 수 있다.
상기 알르레기성 질환은 알러젠(Allergen)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부종,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레르기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먼지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및 약품 알레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모시풀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상기 모시풀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상기 모시풀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모시풀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모시풀 추출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을 알레르기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멀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모시풀 추출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에 화장품학 및/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함으로써,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고체, 에멀전,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전,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 및/또는 비이온형 소낭 분산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또는 스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로는,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 조성물(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 조성물(샴푸, 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모시풀 추출물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전체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 성분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피부학적으로(또는 미용학적으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부형제는 피부 관리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예컨대 물, 액상 또는 고상연화제(피부연화제), 실리콘 기름, 유화제, 용매, 습윤제, 증점제, 분말, 추진제, 피부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농후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연화제는 피부의 연화, 진정, 코팅, 매끄럽게 하거나 또는 촉촉하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연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석유 기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에톡실레이트, 지방산 에스테르 에톡실레이트, 지방 알코올, 폴리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외에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에틸렌 글리콜, 경랍, 왁스, 지방산, 지방 알코올 에테르, 글리세라이드, 아세토글리세라이드, 에톡실화 글리세라이드, 폴리하이드록시 알코올의 다른 지방산 에스테르, 라놀린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통상적인 피부 연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과 유상이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화제는 1종 이상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종류는 에멀전의 형태가 유중수 분산형인지 수중유 분산형인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적합한 유화제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솔비탄 트리올레이트, 솔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알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 밀랍 유도체, PEG 200 디라우레이트, PEG 200 모노스테아레이트, PEG 400 디올레이트, 솔비칸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농후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가교된 카르복시폴리메틸렌 중합체,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라칸트검, 카라야검, 산탄검, 벤토나이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알코올 또는 정제수와 알코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화장품 첨가제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및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와 같은 항산화제, 글리세롤, 솔비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습윤제, 아세테이트, 인산염, 시트르산염, 트리에탄올아민 및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pH 완충제, 밀랍, 파라핀과 같은 왁스류, 증점제, 활성 증강제, 착색제 및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보습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상기 모시풀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상기 모시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모시풀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상승 혹은 보조할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상기 모시풀 추출물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동물이 먹는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구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체력 또는 운동능력향상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푸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 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사료첨가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에 있어 질병 증상의 완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중 농후사료로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 중 조사료로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 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데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모시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질환에 의한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내용은 상호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변경을 가해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모시풀 추출물의 제조
먼저 건조된 모시풀을 10초 내지 20초 동안 분쇄하였다. 분쇄한 모시풀 100g에 0 ~ 90% 에탄올 1000mL를 넣고 30℃ 내지 50℃의 온도로 30시간 동안 침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은 여과한 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본 발명의 모시풀 추출물의 수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추출물 수율(%)
DW 17.67 ±1.3
30% EtOH 6.67 ±0.2
50% EtOH 8.17 ±0.4
70% EtOH 7.76 ±0.2
실시예 2. 모시풀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능 검증
2.1 모시풀 추출물의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에 있어서, 실험에 적합한 모시풀의 농도 선택 및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Anti-DNP-IgE(50ng/ml)로 상기 RBL-2H3 비만세포를 감작시킨 후 알러젠(Allergen)인 DNP-BSA(100ng/ml)을 처리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켰다. 그런 후 물, 에탄올 30%, 50% 또는 70%의 모시풀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비만세포 5 ×104 cells/웰 개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각각 하루 동안 처리하였다. 그 뒤, 상기 세포에 1 mg/mL의 농도의 MTT (3-(4,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배양했던 배지를 제거하고, 형성된 포마잔 결정(formazan crystal)을 100 μ의 DMSO(dimethylsulfoxide)에 용해시킨 뒤,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70 nm에서의 흡광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물, 에탄올 30%, 50% 또는 70% 모시풀 추출물 모두 활성화된 비만세포의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농도를 확인하였다.
2.2 항알레르기 주요 인자에 미치는 영향 확인
더불어 물, 에탄올 30%, 50%, 70%의 모시풀 추출물을 할성화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항알레르기 주요 인자인 히스타민(Histamine) 및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의 탈과립 농도를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먼저,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의 탈과립를 확인하기 위해 비만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5 ×105 cells/웰),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그 뒤, Anti-DNP-IgE(50 ng/mL)에 의해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상기 세포를 배양했던 배지를 제거하고, 다양한 농도의 모시풀 추출물을 처리 혹은 무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후, PBS로 세척하고 DNP-BSA(100 ng/mL)을 4시간 동안 처리하여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배지는 수집하고, 남아 있는 세포를 0.5% Triton X-100으로 용해시켰다. 배지는 5분 동안 4 ℃, 150g 조건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 40 μL를 96 웰-플레이트에 옮기고 동일한 양의 기질 용액 (1mM 4-nitrophenyl N-acetyl-β-D-glucosaminide in 0.1M citrate buffer, pH 4.5)을 넣어 37 ℃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후, 200 μL의 정지 용액(stop solution (0.1M Na2CO3eNaHCO3, pH 10))을 각 웰에 첨가하여 분광광도계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활성을 하기 수학식을 통해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히스타민(Histamine) 방출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비만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5 ×105 cells/웰), 본 발명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여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그 뒤, Anti-DNP-IgE(50 ng/mL)에 의해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상기 세포를 배양했던 배지를 제거하고, 다양한 농도의 모시풀 추출물을 처리 혹은 무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후, PBS로 세척하고 DNP-BSA(100 ng/mL)을 6시간 동안 처리하여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켰다. 그 후 배지를 수득하여 4 ℃에서 5분 동안 15,000g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였다. 여분의 단백질을 침전시키기 위해 상층액을 1.5 mL 튜브로 옮기고 0.1 M HCl 및 60% 과염소산을 첨가한 후, 다시 원심분리 하고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겨주었다. 그 후 5 M NaCl, 5 M NaOH 및 n-부탄올을 첨가하여, 볼텍싱(vortexing)한 후 12,000g의 속도로 원심 분리하였다. o-phthaldialdehyde 분광형광법을 이용하여 맨 아래 침전된 층으로부터의 히스타민 함량을 측정하고, 형광판 판독기를 사용하여 파장 380 nm 및 440 nm에서 형광 광도를 검출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물, 에탄올 30%, 50% 또는 70% 모시풀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탈과립 및 히스타민 방출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알레르기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에 미치는 영향 확인
더불어 물 또는 에탄올 70%의 모시풀 추출물을 할성화된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 알레르기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NA 레벨 분석과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먼저 RNA 분석을 위하여, 물 및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을 상기 도 1에서 확인한, 독성이 없는 농도로 각각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였다. 총 RNA 분리를 위하여 수집된 세포에 트리졸 시약(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을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그 뒤, 클로로포름(Chloroform) 0.2 mL을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2-3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샘플은 4 ℃, 13,000g의 속도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멸균된 새로운 마이크로튜브에 옮겨 주었다. 그런 후 상층액과 동량의 아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침전시켰다. 침전이 끝난 샘플은 4 ℃, 13,000g의 속도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펠렛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상층액만 제거하였다. 펠렛에 75% 에탄올(ethanol) 0.5 mL을 첨가하여 4 ℃, 6,300g의 속도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했다. RNA 펠렛은 실온에서 자연 건조시켜, RNase 프리 워터(RNase free water)에 용해시켰다.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 BioPhotometer, Eppendorf)를 사용하여 총 RNA량을 측정하였고, 역전사효소인 M-MLV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 Promega, Madison, WI)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cDNA는 Taq 중합효소(polymerase), 0.4 mM dNTP, 50 mM MgSO4와 ROX 다이(dye)가 함유된 SuperScript III Platinum One-Step qRT-PCR Kit(Thermofisher scientific)를 사용하여 합성하였으며, 각각의 프라이머(primer)와 Power SYBR Green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를 혼합하였다. Real-time PCR은 StepOne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50 ℃에서 15분, 95 ℃에서 2분간 온도 조절을 한 뒤, 95 ℃에 15초, 60 ℃에 30초간 40 cycle 어닐링(annealing)을 진행한 후 δCT값의 정도를 StepOne software v2.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시풀 물 추출물을 처리한 후 염증성 사이토카인 RNA 레벨을 확인한 도 3에 있어서, 알레르기 발현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및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 RNA 레벨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 RNA 레벨을 확인한 도 4에 있어서, 알레르기 발현에 의해 증가된 TNF-α, IL-6, IL-1β 및 IL-4 RNA 레벨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ELISA 측정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 및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을 상기 도 1에서 확인한, 독성이 없는 농도로 세포에 각각 처리한 후 배양액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배양액은 5,0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고 분리된 상층액을 -80℃에 보관하였다. ELISA kit를 사용하여 이로부터 TNF-α, IL-6, IL-1β 및 IL-4를 분석하였고,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nzyme-linked immunospecific assay,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파장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시풀 물 추출물을 처리한 후, 사이토카인을 ELISA로 측정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도 3과 마찬가지로 모시풀 물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사이토카인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ELISA로 확인한 도 6도, 상기 도 4와 마찬가지로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사이토카인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알레르기 관련 신호전달 경로(Signaling pathway)에 미치는 영향 확인
더불어 본 발명의 추출물 중 가장 효과가 우수한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비만세포의 단백질 수준에서 MAPK(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상기 MAPK 경로는 알레르기성 질환 면역 반응의 핵심 신호전달체계로 알려져 있으며, NF-κB 서브 유닛 p65의 핵으로의 전사 촉진에 관여한다. 따라서 MAPK의 조절은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도 1에서 확인한, 독성이 없는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였다. 단백질 추출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용해시키고 4 ℃에서 20 분 동안 13,000g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추출한 상층액 단백질은 2 ×SDS(sodium dodecyl sulfate)-샘플 버퍼(sample buffer)와 혼합하였고, 단백질 30 μg의 용해물을 2 시간 동안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을 사용하여 전기영동시켰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전사시킨 후, 멤브레인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0.1% 트윈 20이 첨가된 TBST(Tween 20-TBST(Tris-buffered saline))에서 5% BSA로 블록(block)한 후, 4 ℃에서 밤새 1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켰다. 그 뒤, 멤브레인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2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키고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웨스턴 블롯팅 검출 시약을 사용하여 가시화시켰다. 단백질 이미징은 Fusion Fx documentation syste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MAPK의 인산화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NF-κB는 염증 유전자 발현 조절과 사이토카인을 통해 세포 표면 수용체를 자극하여 발현을 시작하는 전사 인자이다. 이에 NF-κ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 경로에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 처리가 미치는 영향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을 상기 도 1에서 확인한, 독성이 없는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를 수집하였다. 핵과 사이토졸(cytosol)을 추출하는 키트를 사용하여 수집된 세포로부터 각각의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 된 단백질은 2 ×SDS-샘플 버퍼와 혼합하였고, 단백질 30 μg의 용해물을 2 시간 동안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을 사용하여 전기영동 시켰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전사시킨 후, 멤브레인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0.1% Tween 20-TBST에서 5% BSA(Bovine serum albumine)로 블록(block)한 후, 4 ℃ 에서 밤새 1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켰다. 그 뒤, 멤브레인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2차 항체와 함께 반응시키고 ECL 웨스턴 블롯팅 검출 시약을 사용하여 가시화시켰다. 단백질 이미징은 Fusion Fx documentation syste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NF-κB의 핵으로의 전사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s)에 미치는 영향 확인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모방할 수 있는, 잘 특성화된 IgE 매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모시풀 에탄올 70% 추출물이 알레르기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먼저 도 1의 결과 값을 토대로 마우스에 투여할 모시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결정했다. 마우스의 귀 피부 (n = 6 / 그룹)에 anti-DNP-IgE (0.5 ㎍/부위)를 인슐린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내 주사하여 민감하게 만들었다. 48시간 후 모시풀 에탄올 70% 추출물 (100 mg/kg 및 200 mg/kg)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0 mg/kg)을 정상 군을 제외하고 복강 내로 주입시켰다. 한 시간 뒤, DNP-BSA (10 mg/mL)를 4% 에반스 블루(Evans blue)와 혼합하여(1 : 1) 안구 정맥에 주입하였다. 챌린지 30 분 후, 마우스를 CO2로 마취하여 이미징을 얻었다.
그 결과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은 IgE 매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탄올 70% 모시풀 추출물(200 mg/kg)의 경우 대조약물인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의 효과와 유사할 정도의 호전을 보여주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모시풀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상기 모시풀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을 알레르기를 유발한 비만세포에 처리할 시, 히스타민 및 탈과립의 농도를 감소시키며 알레르기 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알레르기 유발 신호전달경로에 있어서 중요한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IgE 매개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를 치료하는 효과를 보이므로, 이를 알레르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부종,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 천식(asthma),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 알레르기성 피부염(allerg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소양증, 먼지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 및 약품 알레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20200127886A 2020-10-05 2020-10-05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45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86A KR20220045322A (ko) 2020-10-05 2020-10-05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185017A KR20240000425A (ko) 2020-10-05 2023-12-18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86A KR20220045322A (ko) 2020-10-05 2020-10-05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017A Division KR20240000425A (ko) 2020-10-05 2023-12-18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5322A true KR20220045322A (ko) 2022-04-12

Family

ID=811880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86A KR20220045322A (ko) 2020-10-05 2020-10-05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185017A KR20240000425A (ko) 2020-10-05 2023-12-18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017A KR20240000425A (ko) 2020-10-05 2023-12-18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532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425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04003790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WO2012002777A2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7149548B2 (ja) ダルマギク抽出物を含む筋肉疾患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JPWO2002045733A1 (ja) 鎮痒または抗掻痒活性を有する経口剤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TWI681775B (zh) 以高山黃芩萃取物製備組成物作為預防掉髮或加速頭髮生長之用途
CN106659752A (zh) 含有高山黄芩提取物的组合物
KR20220045322A (ko)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36857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536495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 첨가제, 동물사료 첨가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CN106456685A (zh) 包含高山蒿提取物的组合物
KR100533702B1 (ko) 항알러지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동물사료 첨가제
KR20150096041A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2650115B1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16129B1 (ko) 약용식물 열매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WO2023055221A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KR102209969B1 (ko) 절패모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08761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러지 또는 항아토피 조성물
JP6456996B2 (ja) β―ヘキソサミニダーゼ放出抑制用及び/又はIgE産生抑制用の組成物および、アレルギーの予防治療用及び/又は抗炎症用の組成物、脱顆粒抑制用の組成物、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