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5221A1 -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 Google Patents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5221A1
WO2023055221A1 PCT/KR2022/014896 KR2022014896W WO2023055221A1 WO 2023055221 A1 WO2023055221 A1 WO 2023055221A1 KR 2022014896 W KR2022014896 W KR 2022014896W WO 2023055221 A1 WO2023055221 A1 WO 20230552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oat
extract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48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도선희
서우덕
김효성
이미자
김현영
박기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0552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52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a food composition, a cosmetic composition, a feed composition, and a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It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a treatment method, and a medical device.
  • Hair lo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hair in an area where hair should normally exist, and refers to the loss of terminal hair on the scalp.
  • hair loss In the 2019 survey, 29% of adult males and 15% of females responded that they were 'currently suffering from hair loss', and 49% of males and 27% of females aged 60 or older responded that they were experiencing hair loss symptoms. . In addition, 47% of those currently experiencing hair loss symptoms felt that hair loss was serious, indicating a great need for hair loss treatment (Korea Gallup, hair loss survey - 2013/2019 comparison).
  • minoxidil, finasteride, and dutasteride have been approved as hair loss treatments at home and abroad and are used to treat hair loss patients.
  • barley shoots such as oat young leaves or stems, which are aboveground parts of barley crops including young leaves or stems after sowing, have long been known as nutritionally excellent food sources with a high content of vitamins and minerals, and exhibit antioxidant effects. As it contains functional secondary metabolites, its industrial applicability as a health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material is increasing.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rming that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has remarkable effects on improv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device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ntain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use in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ontain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to a subject suffering from hair loss disease.
  • the oa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growth rate of human-derived dermal papilla cells and has excellent hair loss improvement and hair growth promoting effects, so it can be used as medicines, foods, health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medical devices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hair loss. .
  • Figure 1 shows the results of the cytotoxicity test of oat young leaf extract.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ormation of HDP spheroids of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activity of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in terms of diameter and genomic DNA concentration.
  • Figure 4 is a diagram analyzing gene expression related to the proliferation of HDP cells in oat young leaf extract.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related to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in oat young leaf extract.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related to the hair cycle of oat young leaf extract.
  • Figure 7 is a diagram analyzing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related to hair follicle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oat young leaf extract.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at extract may refer to an extract of oat young leaves, oat stems, or a combination thereof, rather than an extract of oat seeds. It may be an oat young leaf and stem extract extracted including up to.
  • oat young leaf refers to a young plant that has sprouted and grown to about 10-40 cm in oats, a kind of barley crop. Typically, the oat young leaves are immersed in water for about a day, then water is removed, and seeding and germination under conditions in which water loss is prevented, and then about 7 to 15 days in facility cultivation and sowing in open field cultivation. It can be obtained by growing for about 25-35 days.
  • the oat young leaves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or those collected or cultivated in nature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HDP human dermal papilla
  • stem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when HDP (human dermal papilla) cells are treated with an oat leaf and/or stem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HDP cell proliferation,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or hair cycling is promoted, ,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similar to or superior to minoxidil commercially available as a hair loss treatment, and it was first established that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could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 the oat young leaf and/or stem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form of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with one or more solvents, and the solvent used for preparing the extract includes water, carbon atoms 1 (C 1 ) to carbon atoms 6 ( C 6 ) Alcohol, specifically ethanol, methanol or butanol, an organic solvent, or a mixed solvent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method methods such as solvent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cold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or steam extraction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 may be prepared and used in the form of a dry powder after extra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 oat young leaf or stem extract was obtained by adding water and alcohol to oat young leaves or stems crushed into powder.
  • the term "compound” refers to a compound isolated or purified from an oat young leaf or stem extract. Specifically, it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any one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avenacoside B), 2 (26-desglucoavenacoside B), and 3 (isovitexin-2-o-arabinoside).
  • “Hair loss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ly means the process of treating, reducing, alleviating the hair loss condition or its effect, and may mean any action that inhibits the progress of hair loss.
  • “Hair growth pro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action that increases hair growth from a hair follicle, and may mean any action that increases the total amount of hair. The improvement of hair loss or promotion of hair growth may be achieved by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HDP cells (human dermal papilla),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or gene expression related to hair cycling.
  • HDP human dermal papilla
  • oat leaf and/or stem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liferation of HDP cells (human dermal papilla),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or gene expression related to hair cycle is promoted, ,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is similar to or superior to minoxidil commercially available as a hair loss treatment, and oat young leaf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 HDP human dermal papilla cells are one of the cells around hair follicles/hair roots, and are one of hair matrix cells that produce hair.
  • HDP human dermal papilla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a cosmetic composition, or a feed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 may be formulated with the carrier and provided as food, cosmetics, or feed.
  • the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vitamins It includes all foods in the usual sense, such as complexe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can contain the somicho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can be prepared by adding the somicho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juice, tea, jelly, juice, etc.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pills, or liquids. Not limited.
  • the food composition When preparing the food composition, it may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and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in conventional foods, various herbal extracts, food-acceptable food supplem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included as additional compon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Additives that may be specifically added may be hyaluronic acid, collagen,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health functional food means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having useful functionality for the human body according to Health Functional Food Act No. 6727, , 'Functionality' refers to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or physiological functions.
  • health food refers to food that has an active health maintenance or promotion effect compared to general food
  • health supplement food refers to food for the purpose of supplementing health. In some cases, the terms of health functional food, health food, and health supplement food can be mix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components commonly added in the art during the prepar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type of carri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used.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is a preservative, a bactericide, an antioxidant, a colorant, a coloring agent, a bleaching agent, a seasoning,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xpanding agent, a reinforcing agent, an emulsifier, a thickening agent, a coating agent, a gum base agent, a foam inhibitor, a solvent, a food improver, and the like.
  • a preservative a bactericide, an antioxidant, a colorant, a coloring agent, a bleaching agent, a seasoning,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xpanding agent, a reinforcing agent, an emulsifier, a thickening agent, a coating agent, a gum base agent, a foam inhibitor, a solvent, a food improver, and the like.
  • the additiv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 the formula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be manufactured without
  • cosmetic composition refers to a solution, external ointment, cream, foam, nutrient lotion, softening lotion, pack, softening water, emulsion, makeup base, essence, soap, liquid cleanser, bath additive, sunscreen cream, sun oil,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it can be prepared into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tches and sprays, As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skin external prepar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 is a hair tonic, hair cream, hair lotion, hair shampoo, hair rinse, hair conditioner, hair spray, hair aerosol, pomade, powder, gel, hair pack, hair treatment, eyebrow hair growth agent, eyelash growth agent,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yelash nutri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formulated in general skin cosmetics, and as typical ingredi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A thickener, a chelating agent, a colorant, a preservative, a flavoring agent, and the like may be suitably blen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mmonly used adjuvants, such as hydrophilic or lipophilic gelling ag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ators, preservatives, antioxidants, solvents, fragrances, fillers, blockers, pigments, absorbents, and dyes and the like.
  • adjuvants such as hydrophilic or lipophilic gelling agents, hydrophilic or lipophilic activators, preservatives, antioxidants, solvents, fragrances, fillers, blockers, pigments, absorbents, and dyes and the like.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 fee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one meal, etc., or a component of the one meal meal, which is suitable for eating, ingesting, or digesting by animals, and is a feed containing the somicho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reeding target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living organism capable of ingesting the fee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rganic acids such as citr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and lactic acid for administration; phosphates such as potassium phosphate, sodium phosphate, and polymerized phosphate; At least one of natural antioxidants such as polyphenol, catechin, tocopherol, vitamin C, green tea extract, chitosan, and tannic acid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influenza, buffer, and bacteriostatic agent may be added as necessary. can do.
  • diluent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and the like,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 the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additives such as amino acids, inorganic salts, vitamins, antioxidants, antifungal agents, antibacterial agents, etc. as auxiliary ingredients, vegetable protein feed such as pulverized or crushed wheat, barley, corn, blood meal, meat meal, fish meal.
  • vegetable protein feed such as pulverized or crushed wheat, barley, corn, blood meal, meat meal, fish meal
  • main ingredients such as animal protein feed, animal fat and vegetable fat, etc., it can be used with nutritional supplements, growth promoters, digestion and absorption promoters, and disease preventive agents.
  •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oat young leaf and/or stem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in breeding subject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a subject having hair loss diseas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device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comprising an oat extract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Hair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re is no hair in an area where hair should normally exist, and specifically, it may mean that the terminal hair (thick and black hair) of the scalp falls out.
  • the cause of hair loss is not limited, but may be caused by various eating habit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such as genetic causes, hormonal imbalance, mental stress,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intake of processed foods.
  • the hair loss includes hereditary androgenic "alopecia” (baldness), circular “hair loss, ringworm of the head due to fungal infection, telogen” hair loss, hair growth, hair production disorders, etc., and scarring "alopecia” in which scars are formed in lupus It can mean hair loss caused by “alopecia, toxic folliculitis, lichen planus pilaris, burns and trauma” hair loss.
  •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clinical intervention to alter the natural process of an individual or cell to be treated, which may be performed during the course of a clinical pathological condition or to prevent it. Desired therapeutic effects include preventing occurrence or recurrence of the disease, alleviating symptoms, reducing any direct or indirect pathological consequences of the disease, preventing metastasis, reducing the rate of disease progression, and alleviating the disease state. or providing temporary relief, remission or improving prognosis.
  • all activities that improve the course of hair loss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oat young leaf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re included.
  • pre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nhibit or delay the onset of the hair loss disease by administe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oat young leaf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eated with HDP (human dermal papilla) cells, promotes HDP cell proliferation,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or hair cycle-related gene expression,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disease.
  • HDP human dermal papilla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a composition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When formulated, it may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such solid preparations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in one or more compounds. It can be prepared by mixing lactose, gelatin, etc.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 a base for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pap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suspensions, internal solutions, emulsions, syrups,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It may have any one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ppositories.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monkeys, cows, horses, sheep, pigs, chickens, turkeys, quails, cats, dogs, mice, rats, rabbits or guinea pigs, including humans who have or may develop the hair loss disease. It means all animals, including, and the diseas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r treated by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parallel with existing therapeutic agents.
  • admini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provid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an active substance to a target cell.
  • Preferred administration modes and preparations are intravenous injections, subcutaneous injections, intradermal injections, intramuscular injections, drip injections, and the like.
  • Injections are formulated with aqueous solvents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nd intraven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ch as vegetabl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eg, oleic acid ethyl, etc.), alcohols (eg,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 aqueous solvents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nd intravenous solutions
  • non-aqueous solvents such as vegetable oils, higher fatty acid esters (eg, oleic acid ethyl, etc.), alcohols (eg, ethanol, benz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 Stabilizers e.g., ascorbic acid, sodium hydrogensulfite, sodium pyrosulfite, BHA, tocopherol, EDTA, etc.
  • a pharmaceutical carrier such as a preservative (eg, phenylmercuric nitrate, thimerosal, benzalkonium chloride, phenol, cresol, benzyl alcohol, etc.) may be included.
  • terapéuticaally effective amount used in combination with an active ingredient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extract of oat young leaves and/or stems effectiv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target disease, or a compound derived therefrom,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mount of these compounds. refers to the amount of salt.
  • med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medical device or medical devi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mean a cream, lotion, or microneedle patch related to medical treatment, Any medical device considered obvious by a technician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 Example 1 Preparation of oat young leaf extract
  • Oats were sown and cultivated for about 10 to 15 days at a temperature of 18° C. to 20° C. in a greenhouse to harvest young oat leaves.
  • the harvested oat young leaves were cut in the shade, then immersed in 20-80% fermented alcohol for extraction, filtered to obtain a liquid component, and the liquid component was freeze-dried to prepare an oat young leaf extract.
  • Example 2 Identification of compounds derived from oat young leaf extract
  • the dried powder of the oat young leaf extract prepared in Example 1 wa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using n-hexane (2 x 15, 24 hours each) to remove lipids. After removing residual n-hexane, the mixtur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filtered to obtain a liquid component,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crude extract of oat young leaves.
  • the crude extract (60.2 g)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nd fractionated using diethyl ether and n-butanol (3 x 2 L).
  • the fractionated water fraction (32.4 g) was mixed with MeOH/H O at a ratio of 1:9, 2:8, 3:7, 4:6, 5:5, 7:3, or 10:0 (v/v).
  • Eleven fractions were obtained by fractionation using reverse phase open column chromatography (Cosmosil 75C18-OPN) as a developing solvent.
  • Fraction 2 (12.0 g) was further fractionated using 5:1-1:3 (v/v) MeOH/H2O to obtain fractions 2-1 to 2-5.
  • Subfraction 2-3 was fractionated with Cosmosil 75C18-OPN using 5:1 to 1:3 (v/v) MeOH/H2O to obtain 8 fractions of fractions 2-3-1 to 2-3-8 .
  • Subfractions 2-3-4 and 2-3-5 were further separated with Cosmosil 75C18-OPN using 3:1-1:1 (v/v) MeOH/H2O to obtain compound 5 (35.0 mg) (Formula 2) was obtained.
  • HDP human dermal papilla
  • hTERT human telomerase transcriptase
  • the proliferation rate and cytotoxicity of the HDP cells of the oat young leaf extract (OSE) were evaluated through the CCK-8 assay.
  • the Cell count kit-8 (CCK-8) assay is a method of confirming cell viability through absorbance analysis by forming formazan by reduction of tetrazolium salt by intracellular dehydrogenase.
  • HDP cells exhibit in vivo-like characteristics in 3D (spheroid) culture. Therefore, considering this, the effect of the oat young leaf extract and its derived compounds on the formation of spheroids was evaluated by culturing the cells in an aggrewell800_24 well plate (300 microwells per well, microwell-800um in size).
  • the Day 7 cell sample recovered from the spheroid formation experiment in Example 4 was used for multiplex RT.
  • the level of gene expression related to hair growth promotion was analyzed by PCR.
  • Example 6 Gene expression analysis related to hair follicle cell proliferation
  • the genes showed a similar degree to the positive control minoxidil as a whole, and among them, ALP, BMP2, beta-catenin (CTNB1), HIF1-alpha, Ki67 (MKI67) and VEGF exp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increased compared to minoxidil.
  • HDP hair by multiplex RT-PCR using Day 7 cell samples in a similar manner to Example 5. Cycle-related gene expression levels were analyzed.
  • Example 8 Analysis of expression changes of growth factors related to hair follicle formation and regeneration
  • a Day 7 cell sample was used in a similar manner to Example 5, and related to hair follicle formation and regenerati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was analyzed.
  • the oat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young oat leaves and/or stems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사료 조성물, 귀리 어린잎 및/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메디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및/또는 추출물은 HDP 세포의 증식 및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우수한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바, 탈모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약품, 메디컬 디바이스, 사료, 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본 발명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사료 조성물,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치료방법 및 메디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두피의 성모가 빠지는 것을 의미한다. 2019년 설문조사에서는 성인 남성의 29%, 여성의 15%가 '현재 탈모 증상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60대 이상 고연령에서는 남성의 49%, 여성의 27%가 탈모 증상을 겪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현재 탈모 증상 경험자의 47%가 탈모가 심각하다고 느껴 탈모 치료의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 탈모에 대한 조사 - 2013/2019년 비교).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미녹시딜(minoxidil)과 프로페시아(Finasteride), 두타스테라이드(Dutasteride)가 탈모치료제로 승인받아 탈모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 제제인 프로페시아와 두타스테라이드는 발기부전, 성욕감소, 사정장애, 유방 압통과 유방 비대를 포함하는 여성형 유방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임산부가 복용하는 경우 남성태아 외부 생식기의 비정상을 초래할 수 있어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은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미녹시딜의 경우 경구 투여시 수액정체, 빈맥, 오심, 호흡곤란 및 남성에게서 여성형 유방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으며, 환부에 장기간 도포시 두피건조, 소양감, 홍반 등의 두피자극 증상 및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등의 부작용도 보고되어 있다 (Recent Patents on Inflammation & Allergy Drug Discovery 6(2), 2012, 130-136). 아울러, 미녹시딜은 탈모의 진행을 늦추기는 하지만 굵은 털이 길게 자라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완전히 탈모가 진행된 사람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존에 허가 받은 탈모치료제와 효과가 유사하거나 더 뛰어나고, 두피 자극, 피부염,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없는 탈모치료제 개발을 위해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천연물을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파종 후 어린 잎 또는 줄기를 포함하는 맥류 작물의 지상부인 맥류 새싹 예컨대, 귀리 어린잎 또는 줄기는 예전부터 비타민 및 무기성분의 함량이 높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원으로 알려져 있고,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이차 대사물질을 함유하여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이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 효능이 현저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메디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탈모 질환을 가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귀리 추출물은 인체 유래 모유두세포의 생장률을 증가시켜 우수한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지는 바, 탈모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약품, 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및 메디컬 디바이스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는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의 HDP 스페로이드 형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의 모낭 세포증식 활성을 직경과 지노믹 DNA 농도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HDP 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도이다.
도 5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모낭 세포증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분석한 도이다.
도 6은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분석한 도이다.
도 7은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모낭 형성과 재생 관련 growth factor의 발현을 분석한 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귀리 추출물은 귀리 종자의 추출물이 아니라, 귀리 어린잎, 귀리 줄기 또는 이들 조합을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는 귀리 어린잎에 줄기까지 포함하여 추출한 귀리 어린잎 및 줄기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용어, "귀리 어린잎"은 맥류 작물의 일종인 귀리에 싹을 틔워 약 10-40 cm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귀리 어린잎은 귀리를 하루 정도 물에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 조건에서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시설재배 시 약 7 내지 15일, 노지재배 시 파종 후 약 25-35일 동안 성장시켜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귀리 어린잎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HDP 세포의 증식, 모낭 세포증식 또는 헤어 사이클링(hair cycling)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촉진되고, 특히, 그 효과는 탈모치료제로 시판되는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한 바,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물, 탄소수 1(C1) 내지 탄소수 6(C6) 알코올, 구체적으로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분말로 파쇄한 귀리 어린잎 또는 줄기(oat young leaves or stem)에 물과 주정을 가하여 귀리 어린잎 또는 줄기 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용어, "화합물"은 귀리 어린잎 또는 줄기 추출물에서 분리 또는 정제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avenacoside B), 화학식 2(26-desglucoavenacoside B) 및 화학식 3(isovitexin-2-o-arabinoside)으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1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2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3
본 발명의 "탈모 개선"은 탈모 상태를 치료, 경감, 완화시키는 과정 또는 그의 효과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탈모의 진행을 억제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은 모낭에서 모발이 자라나는 것을 증가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모발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은 HDP 세포(human dermal papilla)의 증식, 모낭 세포증식 또는 헤어 사이클(hair cycling)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HDP 세포(human dermal papilla)의 증식, 모낭 세포 증식 또는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촉진되고, 특히, 그 효과는 탈모치료제로 시판되는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는바,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는 모낭/모근 주위에 있는 세포 중 하나로서, 헤어를 생산하는 헤어 매트릭스 세포(hair matrix cell)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HDP 세포(human dermal papilla)의 증식, 모낭 세포 증식 또는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촉진되고, 특히, 그 효과는 탈모치료제로 시판되는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는바,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화장품 및 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비타민 복합체, 건강기능식품 등의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의 소미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소미초 추출물을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환제, 또는 액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첨가제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경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건강식품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은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하는데, 경우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그대로 첨가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발색제, 표백제, 조미료, 감미료, 향료, 팽창제,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및 속눈썹 영양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미초 추출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으로, 본 발명의 소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농후사료, 조사료 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사육 대상은 본 발명의 사료를 섭취할 수 있는 생명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추가로 구연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젖산 등의 유기산; 인산칼륨, 인산나트륨, 중합 인산염 등의 인산염; 폴리페놀, 카테친, 토코페롤,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키토산, 탄니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인플루엔자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산화제, 항진균제, 항균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및 분쇄 또는 파쇄된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식물성 단백질 사료, 혈분, 육분, 생선분 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같은 주성분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성장 촉진제, 소화 흡수 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은 사육 대상의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탈모 질환을 가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메디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귀리 추출물"과 "이의 유래 화합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이 빠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탈모의 원인은 제한되지 않으나, 유전적인 원인, 호르몬 불균형, 정신적 스트레스, 대기오염 노출, 가공 식품의 섭취 등의 다양한 식습관 및 환경적 영향으로 인하여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모는 유전성 안드로겐성 탈모(대머리), 원형 탈모, 곰팡이 감염에 의한 두부 백선, 휴지기 탈모, 발모벽, 모발생성 장애 질환 등이 있고, 흉터가 형성되는 반흔성 탈모로는 루푸스에 의한 탈모, 독발성 모낭염, 모공성 편평 태선, 화상 및 외상에 의한 탈모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는 치료하고자 하는 개개인 또는 세포의 천연 과정을 변경시키기 위해 임상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지칭하고, 이는 임상 병리 상태가 진행되는 동안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다. 목적하는 치료 효과에는 질병의 발생 또는 재발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며, 질병에 따른 모든 직접 또는 간접적인 병리학적 결과를 저하시키며, 전이를 예방하고, 질병 진행 속도를 감소시키며, 질병 상태를 경감 또는 일시적 완화시키며, 차도시키거나 예후를 개선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귀리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탈모의 경과를 호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귀리 어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탈모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HDP 세포 증식, 모낭 세포 증식 또는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상기 탈모 질환이 발명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 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 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 어는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메디컬 디바이스(medical device)"는 의료 장비 또는 의료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의료와 관련된 크림, 로션 또는 미세침 패치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고려하는 메디컬 디바이스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귀리 어린잎 추출물 제조
귀리를 파종하고, 온실에서 18℃ 내지 20℃의 온도조건에서 약 10 내지 15일 동안 재배하여 귀리 어린잎을 수확하였다. 상기 수확된 귀리 어린잎을 음건 세절한 후, 20~80% 발효주정에 침지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상기 액상성분을 동결건조시켜 귀리 어린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귀리 어린잎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준비한 귀리 어린잎 추출물의 건조된 분말을 실온에서 n-헥산(각각 2 x 15, 24시간)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지질을 제거하였다. 잔여 n-헥산을 제거한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고 이를 여과하여 액상 성분을 수득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 귀리 어린잎의 조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추출물(60.2 g)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 및 n-부탄올(3 x 2 L)을 사용하여 분획하였다. 상기 분획된 물 분획물(32.4g)을 MeOH/H2O를 1:9, 2:8, 3:7, 4:6, 5:5, 7:3, 또는 10:0(v/v)의 비율로 전개용매로 하여 역상 개방 컬럼크로마토그래피(Cosmosil 75C18-OPN)를 사용하여 분획하여 11개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분획 2(12.0g)는 5:1~1:3 (v/v) MeOH/H2O를 사용하여 추가 분획하여 분획 2-1 내지 2-5를 수득하였다. 서브분획 2-3은 5:1~1:3 (v/v) MeOH/H2O를 사용하여 Cosmosil 75C18-OPN으로 분획하여 분획 2-3-1 내지 2-3-8의 8개 분획을 수득하였다. 서브분획 2-3-4 및 2-3-5를 3:1~1:1 (v/v) MeOH/H2O를 사용하 Cosmosil 75C18-OPN으로 추가 분리하여 화합물 5(35.0mg)(화학식 2)를 수득하였다. 서브분획 2-3-8을 5:1~1:3 (v/v) MeOH/H2O를 사용하여 역상 컬럼크로마토그래피한 후 화합물 4(44.9mg)(화학식 1)를 수득하였다. 분획 9(8.2g)로부터 서브 분획 9-1 내지 9-6을 수득 후, 화합물 9(365.6mg)(화학식 3)를 서브분획 9-3(2.4g)에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세포 독성 분석
HDP(human dermal papilla) 세포는 primary cell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human telomerase transcriptase (hTERT)를 transfection한 immortalized cell line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본 실험에서는 hTERT-HDP 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CCK-8 assay를 통해서 귀리 어린잎 추출물(OSE)의 상기 HDP 세포의 증식율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Cell count kit-8 (CCK-8) assay는 tetrazolium salt가 세포내 탈수소 효소에 의해 환원으로 formazan을 형성하여 흡광도 분석을 통해 세포 생존 능력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귀리 어린잎 추출물은 HDP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HDP 세포 증식 활성 분석
HDP 세포는 3D (spheroid) 배양에서 생체 내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aggrewell800_24 well plate (300 microwells per well, microwell-800um in size)에 세포를 배양해서 스페로이드(Spheroid) 형성에 대한 귀리 어린잎 추출물과 이의 유래 화합물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스페로이드 직경(도 2a 및 도 2b)은 Day 1 내지 Day 7의 시간 경과에 따라 모든 그룹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각각의 스페로이드에서 추출한 지노믹 DNA 농도(genomic DNA concentration) 분석(도 3a 및 도 3b)에서는 Day 1 내지 Day 7의 시간 경과에 따라 현저히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세포사멸과 세포증식이 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Day 7의 지노믹 DNA 농도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의 처리군은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minoxidil)보다 HDP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화합물 중에서는 화합물 4인 아베나코사이드 B(화학식 1), 화합물 5 26-디글루코 아베나코사이드 B(화학식 2) 및 화합물 9 이소비텍신 2``-O-아라비노사이드(화학식 3)가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HDP 세포의 증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분석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 및 이의 유래 화합물이 모발 성장 촉진과 관련된 HDP 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4 스페로이드 형성 실험에서 회수한 Day 7 세포 샘플을 이용하여 multiplex RT-PCR로 모발 성장 촉진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HDP 시그너처 유전자(signature gene)로 알려진 대부분의 유전자들에서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OSE)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양성대조군 미녹시딜을 적용한 경우와 유사한 발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그 중에서도 CTNB1 (beta-catenin)과 WNT5A 뿐만 아니라, BMP2, FGF7, NOG 및 VCAN(versican)은 미녹시딜 적용에 비해서 발현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모낭 세포증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분석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 및 이의 유래 화합물의 모낭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Day 7 세포 샘플을 이용하여 multiplex RT-PCR로 모낭 세포 증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a 내지 도 5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전자 전체적으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과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ALP, BMP2, beta-catenin (CTNB1), HIF1-alpha, Ki67 (MKI67) 및 VEGF 발현에서는 미녹시딜에 비해서 증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분석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 및 이의 유래 화합물의 헤어 사이클(Hair cycling)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Day 7 세포 샘플을 이용하여 multiplex RT-PCR로 HDP 헤어 사이클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유전자에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에 비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TGF-beta1의 발현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모낭의 형성과 재생 관련 growth factor의 발현 변화 분석
본 발명의 귀리 어린잎 추출물 및 이의 유래 화합물의 모낭의 형성과 재생 관련 growth factor의 발현 변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Day 7 세포 샘플을 이용하여 모낭의 형성과 재생 관련 growth factor의 발현 변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유전자에서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에 비해 발현이 증가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귀리 어린잎 및/또는 줄기를 추출한 귀리 추출물이 탈모를 개선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리 추출물은 귀리 어린잎, 귀리 줄기 또는 이들 조합을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 중 어느 하나의 화학식으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4
    [화학식 2]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5
    [화학식 3]
    Figure PCTKR2022014896-appb-img-000006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하는 것인, 조성물.
  6.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환제, 또는 액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9.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및 속눈썹 영양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2.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개선 또는 발모 촉진용 사료 조성물.
  13.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귀리 추출물 또는 이의 유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메디컬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디컬 디바이스는 미세침 패치, 크림, 또는 로션 형태인 것인, 메디컬 디바이스.
PCT/KR2022/014896 2021-10-01 2022-10-04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WO20230552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14 2021-10-01
KR1020210131114A KR20230048642A (ko) 2021-10-01 2021-10-01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5221A1 true WO2023055221A1 (ko) 2023-04-06

Family

ID=8578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4896 WO2023055221A1 (ko) 2021-10-01 2022-10-04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8642A (ko)
WO (1) WO20230552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807A (ko) * 2010-02-25 2010-03-17 주명신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화장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6959A (ko) * 2011-10-05 2013-04-15 주식회사 케레스코스메틱 천연한방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3447A (ko) * 2016-03-04 2017-09-13 서영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위한 모발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개선제
KR20210056771A (ko) * 2019-11-11 2021-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WO2021175450A1 (en) * 2020-03-06 2021-09-10 Symrise Ag COMPOSITION OR OAT EXTRACT COMPRISING AVENANTHRAMIDE AND ß-GLUC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9807A (ko) * 2010-02-25 2010-03-17 주명신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화장료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6959A (ko) * 2011-10-05 2013-04-15 주식회사 케레스코스메틱 천연한방 탈모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3447A (ko) * 2016-03-04 2017-09-13 서영아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위한 모발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개선제
KR20210056771A (ko) * 2019-11-11 2021-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WO2021175450A1 (en) * 2020-03-06 2021-09-10 Symrise Ag COMPOSITION OR OAT EXTRACT COMPRISING AVENANTHRAMIDE AND ß-GLUCA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OO SO-YEUN; LEE KWANG-SIK; SHIN HYE-LIM; KIM SHIN-HYE; LEE MI-JA; YOUNG KIM HYUN; HAM HYEONMI; LEE DONG-JIN; CHOI SIK-WON; SEO WO: "Two new secondary metabolites isolated from Avena sativa L. (Oat) seedlings and their effe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 30, no. 14, 8 May 2020 (2020-05-08), Amsterdam NL , XP086178220, ISSN: 0960-894X, DOI: 10.1016/j.bmcl.2020.12725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642A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1091080A1 (ko) 비트, 적양파, 및 자색고구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13438952A (zh) 用于防止脱发或促进毛发生长的包含黄瓜、茄子和蜗牛提取物的混合物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JP2012102055A (ja) 排卵障害改善剤とこれを含有する医薬品組成物、飼料、食品組成物および化粧料組成物、並びに家畜または家禽の排卵障害改善方法
WO2020040432A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5595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TW201817438A (zh) 含有大豆黃葉萃取物的用於防止脫髮或改善生髮的組合物及其用途
WO2012108748A2 (ko) 합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055221A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8066956A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2636A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4820A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12108747A2 (ko) 토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088468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WO2022139460A1 (ko) 소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01790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WO2016003120A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155A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086768A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WO2019078646A2 (ko) 콩 배양조직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5056A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WO2012108743A2 (ko)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769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