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90B1 -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90B1
KR102101790B1 KR1020180078246A KR20180078246A KR102101790B1 KR 102101790 B1 KR102101790 B1 KR 102101790B1 KR 1020180078246 A KR1020180078246 A KR 1020180078246A KR 20180078246 A KR20180078246 A KR 20180078246A KR 102101790 B1 KR102101790 B1 KR 10210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skin
procyanidine
gluc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055A (ko
Inventor
최용수
김수남
김진철
판철호
제갈현
박노준
박진수
박근완
양승훈
문중경
최만수
박수권
정남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90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02 priority patent/WO2020009538A1/en
Publication of KR2020000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health comprising Glycine max (L.) Merrill variety SCEL-1 seed extract}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콩은 풍부한 식물성 단백질의 원천 작물로서, 단백질뿐만 아니라 불포화 지방산, 아미노산, 이소플라본 및 페놀산을 포함한 기능성이 우수한 물질들을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콩은 동물성 단백질을 대체하는 단백질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차배천 등(생약학회지, 27(3):190-195(1996))은 대두의 야생형에 해당하는 돌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은 그 에탄올 추출물에서, 대두(Glycine max. Merr.)의 에탄올 추출물과는 달리, (-)-에피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상기 돌콩의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차배천 등은 대두가 (-)-에피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대두에 비하여 우수한 항산화 및/또는 다른 생리적 기능을 가진 대두 신품종, 또는 그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보다 프로시아니딘 B2 함량이 더 높은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SCEL-1의 종자 (seed)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물, C1-6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중량 기준으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프로시아니딘 B2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1: 2.0 내지 2.1: 0.43 내지 0.48의 함량비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염증의 발생의 예방 또는 피부 염증의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양상은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을 포함하고,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보다 프로시아니딘 B2 함량이 더 높은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SCEL-1의 종자 (seed)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물, C1-6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종자에 있어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 프로시아니딘 B2은 중량 기준으로 1: 2.0 이상, 1: 2.0 내지 5.0, 1: 2.0 내지 3.0, 1: 2.0 내지 2.5, 또는 1: 2.0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종자에 있어서 용어 "함량"은, 분쇄된 상기 종자를 70 (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25 내지 55 ℃에서 6 시간 인큐베이션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기준으로 계산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함량"은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으로서, 종자가 얻어지는 식물체를 재배하는데 사용된 토양, 기후 조건, 및 개별 종자 등에 따라 편차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종자에 있어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총 함량은 원흑에 비해서 중량 기준으로 2 배 이상, 2. 5 배 이상, 예를 들면, 2.6 배 내지 5.1 배 높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2.1 내지 3.4 %의 함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에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총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1.31 내지 2.4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은 중량 기준으로 1: 2.0 내지 2.1: 0.43 내지 0.48의 함량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9.9 %, 0.005% 내지 99.9 %, 0.01% 내지 80.0 %, 0.01% 내지 60.0 %, 0.01% 내지 50.0 %, 0.01% 내지 30.0 %, 0.01 % 내지 20.0 %, 0.01 % 내지 15.0 %, 0.01 % 내지 10.0 %, 0.01 % 내지 5.0 %, 0.1% 내지 99.9 %, 1.0 % 내지 80.0 %, 5.0 % 내지 60.0 %, 5.0 % 내지 50.0 %, 5.0 % 내지 30.0 %, 30.0% 내지 50.0 %, 40.0% 내지 80.0 %, 15.0% 내지 70.0 %, 또는 50.0% 내지 9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종자는 발아되어 식물체를 형성하는 경우, 표 1에 열거된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콩 품종의 특성은 식물신품종보호법 제30조 및 동법 시행령 제33조에 의한 종자관리요강 제2조의 별표1에 대한 작물별 품종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사항과 동법 시행규칙 제47조 규정에 의한 재배심사를 위해 필요한 특성검정을 실시하는 요령을 정하고 있는, "신품종 심사를 위한 작물별 특성조사요령, 콩 (soybean Glycine max(L.) Merrill)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2014: http.//www.seed.go.kr)"에 기재된 요령에 따라 측정되고 검정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달리 언급이 없으면 콩 품종의 특성 중 양적 형질은 평균 값을 나타낸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한 추출물 외의 다른 추출물 또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상기 추출물을 유일한 추출물 또는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양상은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프로시아니딘 B2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중량 기준으로 1: 2.0 내지 2.1: 0.43 내지 0.48의 함량비인 것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99.9 %, 0.005% 내지 99.9 %, 0.01% 내지 80.0 %, 0.01% 내지 60.0 %, 0.01% 내지 50.0 %, 0.01% 내지 30.0 %, 0.01 % 내지 20.0 %, 0.01 % 내지 15.0 %, 0.01 % 내지 10.0 %, 0.01 % 내지 5.0 %, 0.1% 내지 99.9 %, 1.0 % 내지 80.0 %, 5.0 % 내지 60.0 %, 5.0 % 내지 50.0 %, 5.0 % 내지 30.0 %, 30.0% 내지 50.0 %, 40.0% 내지 80.0 %, 15.0% 내지 70.0 %, 또는 50.0% 내지 90.0 %인 것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양상의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제2 양상에 있어서,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는 예를 들면,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으로 인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상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1,2-에탄-디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술폰산, 4-클로로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4-톨루엔술폰산, 캄퍼술폰산, 4-메틸비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양상에 있어서, "유효 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 양상에 있어서,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란, 피부가 자외선 또는 산화제와 같은 외부적 스트레스, 또는 내부적 스트레스에 의하여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주름을 개선하는 것, 피부가 자외선 또는 산화제와 같은 외부적 스트레스, 또는 내부적 스트레스에 의하여 염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염증을 개선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일 관점인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및/또는 피부 염증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물, C1-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건강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자외선 또는 산화 스트레스에 따라 유발된 피부 손상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혈관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본 명세서의 일 관점인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이를 포함하는 드링크제,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추출물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 외용제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 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계면 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콩 SCEL-1 추출물은 콩 SCEL-1의 물, C1~C6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콩 SCEL-1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콩 SCEL-1 추출물은 물, C1-C6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조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콩을 용매로 추출 시, 콩의 약 2 내지 15 배, 약 3 내지 15 배, 약 5 내지 15 배, 또는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40 내지 100℃, 약 40 내지 80℃, 약 40 내지 60℃, 약 5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약 2 내지 8시간, 약 4 내지 8시간, 약 5 내지 7시간, 약 5.5 내지 6.5시간, 약 6 시간 수행할 수 있다. 온도는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내지 5 회, 1 내지 4회, 또는 3회 연속 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콩 SCEL-1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콩 SCEL-1의 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리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농축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3 양상은 제1 또는 제2 양상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염증의 발생의 예방 또는 피부 염증의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투여는 경구 또는 비 경구 투여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개체에서 피부 주름의 발생을 예방 또는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피부 염증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염증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투여는 피부에 도포 또는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화장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피부에서 활성 산소 종의 발생을 예방 또는 그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산소 종은 자외선이 피부에 조사되는 경우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척추 동물, 또는 어류일 수 있다. 상기 척추 동물은 소, 돼지, 고양이, 개, 또는 양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사람이 아닌 포유동물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콩 품종 SCEL-1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주름 및/ 피부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개체에서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염증의 발생의 예방 또는 피부 염증의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개체에서 피부 주름 발생을 예방하고 주름을 개선하거나, 또는 피부 염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피부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선발된 콩의 추출물이 무모 생쥐에서 자외선에 의하여 손상된 피부의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자외선이 조사된 무모 생쥐 유래 꼬리 부분 조직을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콩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된 생쥐 피부를 H&E 염색한 결과 및 생쥐 피부에서 콜라겐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품종의 육성 및 특성
1. 품종의 육성
경기도 용인시 이동읍에서 수집한 검정 소립이면서 종자의 모양이 납작한 유전자원 콩 종자 20 입자를 확보하였다. 이 콩 종자는 재배한 결과 꽃 모양 및 색깔에 있어서 분리가 일어나 형질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꽃 색깔이 희색 또는 분홍이 나타나 분리되었다. 따라서, 이 콩 종자는 형질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안정성과 균일성이 없는 것으로 종으로서 인정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콩 종자를 이용하여 순계선발 육종방법으로 품종을 육성하였다. 순계선발은 2013년도부터 2017년까지 진행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수원 소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전작물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고, 2015년부터 2017년 기간 동안에는 완주군 이서면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부속 포장에서 진행하였다.
상기 수집된 콩 유전자원으로부터 순계선발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콩 유전자원 20개체를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농촌진흥청 부속 시험포장에서 6월 상순에 파종하고 11월 하순에 순도향상을 위하여 1개체를 선발하여 다음해의 파종용 종자로 수확하였다. 이후 4개년간 순계분리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고정된 순계 1개체를 선발하였다.
균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매년 배축색, 꽃색, 모용색, 꼬투리색, 엽형, 신육형, 개화기, 성숙기 등의 형질을 조사하였다. 상기 수집 유전자원의 순계분리 과정에서 2013년의 경우에 배축색과 꽃색의 분리가 관찰되었고, 나머지 형질은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2013년에 선발된 후대는 2014년 이후 2017년까지 조사된 형질에서 조사형질에서 균일성을 유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품종(원흑)과 대조품종(청자3호)과의 구별성은 표 1과 같이 신육형, 개화시 일수, 배축색, 100립중 및 입형의 형질에서 뚜럿하게 구분이 된다. 표 1은 최종적으로 순계선발된 계통의 특성을 나타낸다. 표 1의 자료는 상기 선발된 계통(품종)을 SCEL-1이라 명명하였다. 도 4는 선발된 품종 SCEL-1의 종자를 찍은 사진이다.
자원 신육형(유,무) 개화시 일수(일) 화색(자,백) 배축색(자,녹) 모용색
(갈,회백)
종피색 제색 100립중
(g)
입형
원흑(표준) 유한 66 자색 자색 갈색 검정 검정 11.6 구형
청자3호(대조) 유한 70 자색 자색 갈색 검정 검정 40.7 구형
선발품종(SCEL-1) 무한 58 백색 녹색 갈색 검정 검정 8.8 편타원
2. 대조품종 대비 품종 특성의 확인
최종적으로 순계 선발된 SCEL-1의 기존 품종과의 농업성능 비교를 위하여 2017년 하계 국립식량과학원 포장에서 표준품종으로 원흑콩을 대조품종으로 청자3호를 사용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품종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시험구는 2017년 6월 8일에 60cm X 15cm, 1주 2본으로 4m 길이로 4줄씩 파종 후 재배하면서 농업형질을 조사하였다. 원흑콩(품종 출원 공개번호: 2010-341)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09년에 개발된 흑색종치, 소립종 콩 품종으로서 현재 농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서 선발된 SCEL-1와 유사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으로 비교될 수 있는 품종이고, 대비품종으로 사용된 청자3호(품종 출원 공개번호: 2005-176)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04년에 개발된 검정종피, 대립, 밥밑용 콩 품종으로 대비품종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원흑콩과 청자3호는 국립종자원 등으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농업형질 및 성능검정을 위하여 조사된 형질은 경장, 절수, 분지수 등의 수량구성요소 형질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수량구성요소 형질은 성숙기에 반복절 10개체의 경장, 절수, 분지수, 협수, 100립중, 주당수량, 구당수량, 10a당 수량을 조사하였다.
표 2 및 표 3은 선발된 콩 품종, 표준 품종 및 대비 품종의 특성을 나타낸다.

자원

경장(cm)

절수(절)

분지수(개)
협당립수
1협 2협 3협
원흑(표준) 56.6±4.3 14.7±1.7 6.7±2.1 18.8±2.3 201±21 32±15.2
청자3호(대비) 71.9±2.7 14.1±0.3 7.3±0.6 13.8±4.9 81±12 4.7±0.8
선발품종(SCEL-1) 82.9±1.4 15.8±0.5 6.4±0.3 12.9±2.3 133±44 38.3±8.6

자원

총협수

립수

100립중(g)
주당
수량(g)
구당
수량(kg)
10a
수량(kg)
원흑(표준) 252±31 512±70 11.6±0.2 32.9±3.3 6.6±0.7 587±60
청자3호(대비) 100±12 191±25 40.7±3.1 26.7±3.2 5.3±0.6 477±57
선발품종(SCEL-1) 184±54 397±113 9.4±0.4 23.1±2.0 4.6±0.4 413±36
표 2 및 표 3에 의하면, 선발된 품종은 표준품종인 원흑에 비하여, 경장은 26cm 더 컷고, 절수는 1개가 많았다. 또한, 분지수는 표준품종과 유사하게 6.4개로 조사되었으며 협당립수는 1립협, 2립협, 3립협 구성비율이 표준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량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총협수, 립수, 주당 수량, 구당 수량은 각각 184개, 397립, 23.1g, 4.6g으로 표준품종보다 낮았다. 100립중은 9.4g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소립이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10a당 수량을 계산하였을 때, 413kg/10a으로 표준품종인 원흑에 비해서는 70% 수준이나, 기능성 물질인 프로시아니딘 B2와 에피카테킨 함량이 각각 301%, 및 217% 높았다. 구체적으로 프로시아니딘 B2 함량은 선발품종 SCEL-1, 원흑, 청자3호에서 각각 149.4, 49.5, 및 34.3 ug/100mg이었고, 에피카테킨 함량은 선발품종 SCEL-1, 원흑, 청자3호에서 각각 46.9, 21.6, 및 20.1 ug/100mg이었다. 이때 프로시아니딘 B2 함량 및 에피카테킨 함량은 하기 실시예2의 1절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확인하였다. 이때 프로시아니딘 B2 함량 및 에피카테킨 함량은 하기 실시예2의 1절의 방법에 따라 추출하여 확인하였다.
이렇게 상기 실험을 통하여 SCEL-1은 균일성이 높고, 표준품종 및 대조품종과의 비교를 통하여 기존품종과 구별이 되며, 농업적 형질과 수량성 측면에서 농업형질과 수량성 및 기능성 물질 함유량 측면에서 선발된 품종이 구별되는 독립된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다.
이렇게 선발된 신품종을 흑색 소립 편타원 콩을 SCEL-1로 명명하고 2018년 3월 15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하였다. 도 1은 본원의 콩 품종의 육성 계통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선발된 콩 품종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및 그 용도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1에서 선발된 콩 신품종 SCEL-1의 종자(seed)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1. 추출물의 제조
선발된 품종의 종자(seed)를 분석 직전에 고속분쇄기(Wonder Blender, 820W, 30000RPM, Sanplatec Corp)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콩 분말 1 g을 70 (v/v)% 에탄올 수용액 100 ml과 유리관 내에서 혼합하고, 50 ℃에서 6 시간 자성 바(magnetic bar)를 사용하여 교반하였다. 이후 추출물은 filter paper로 (Garde No.131 Qualitative filter paper, Advantec)여과시켰다.
그 후, 상기 에탄올 층을 질소가스 건조기(hurricane-Eagle, 청민테크)로 1 시간 건조시킨 다음, 하루 동안 동결 건조시켜 완전히 수분을 제거하였다.그 결과, 콩 추출물 0.19 g (표준편차 SD: ±0.015)을 얻었다. 실험에서 상기 추출물은 50% v/v 에탄올 중 30 mg/ml 농도로 용해하여 HPLC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주름 개선 효과의 확인
1절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사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되는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3D 피부인 EpiDermFTTM과 무모 생쥐 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1) 인공 피부를 사용한 확인
구체적으로, MatTek 사에서 제조한 3차원(3D) 피부인 EpiDermFTTM을 구매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3D 스킨을 6공 플레이트에 제조사에서 제공한 배지 900ul를 채운 후 위에 얹은 후 37 ℃, 5 % CO2, 100 % 습도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24 시간 후에 자외선B (40 mJ/cm2)을 조사하고 각각의 시험물질 10, 30, 및 100 ug/ml씩을 함유한 배지로 갈아주었다. 배양 72 시간 후 아래쪽 즉, 인공피부에서 분비된 단백질인 콜라게나제(MMP-1)와 프로콜라겐이 함유된 배양액을 수확(harvest)해서 ELISA 키트(AP biotech RPN2610)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타입I 콜라게나제(MMP-1)의 양을 정량하였다. 또한 동일한 상등액을 이용하여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프로콜라겐의 양을 ELISA 키트(Takara MK101)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각각의 값들은 ml당 단백질 양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4 및 도 1은 본원 콩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된 인공 피부에서 MMP-1 및 프로콜라겐 양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료 농도(ug/ml) MMP-1 생합성 (pg/ml) 잔존 프로콜라겐 양 (pg/ml)
무처리군 3980 ± 250 19000 ± 320
UVB 유도군
(40 mJ/cm2)
11800 ± 300 15000 ± 220
SCEL-1 콩 10 9980 ± 220 17000 ± 130
30 8100 ± 230 19000 ± 260
100 7600 ± 180 22000 ± 379
검정콩 10 11200 ± 350 16000 ± 400
30 10400 ± 320 17300 ± 480
100 8500 ± 350 18500 ± 500
쥐눈이콩 10 10800 ± 340 16800 ± 496
30 10100 ± 380 18100 ± 550
100 8300 ± 220 19200 ± 460
표 4 및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SCEL-1 추출물을 처리함에 의해 UVB가 초래시키는 타입 I 콜라게나제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MP-1)의 생합성을 감소시키고, 또한 이에 따라 프로콜라겐의 분해도 방지함을 알 수 있었다. 3가지 콩을 비교한 결과 SCEL-1이 다른 종류의 검은 콩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동물 모델을 사용한 확인
1절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경구투여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무모 생쥐 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8 주령 암컷 무모 생쥐(오리엔트바이오, SKH-1 종, 평균 무게 26.2g)를 각각 대조군 및 시험군에 대해 각 군당 7마리씩 나누었다. 실험군은 1절에서 얻어진 동결건조된 추출물을 2 % 에탄올, 1 % Tween 80, 및 0.8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수용액에 녹여 얻어진 2.5 mg/10ml와 5.0 mg/10ml 추출물 용액을 몸무게에 따라 25 mg/kg/day, 및 50 mg/kg/day가 되도록 생쥐에게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부피 기준으로 2 % 에탄올, 1 % Tween 80, 및 0.8 % CMC 수용액을 생쥐에게 투여하였다. 투여는 경구용 존대(zoned)를 사용하여 위장 내에 직접 투여하는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이렇게 하여 콩 추출물을 25 및 50 mg/kg/day의 양으로 생쥐에게 투여하였다. 이 투여 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상기 추출물 용액 또는 2 % 에탄올, 1 % Tween 80, 및 0.8 % CMC 수용액의 투여와 함께 각각 대조군 및 시험군에 대해 각 군의 생쥐에 자외선을 1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씩 일주일에 3회 2주간, 2MED씩 일주일에 3회 2주간, 3MED씩 일주일에 2회 2주간, 4MED씩 일주일에 2회 2주간 총 8주 조사하였다. 매일 1회 8주간 각 시료를 경구 투여한 후 실리콘(SILFLO impression material, Flexi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피부주형(replica)을 제작하여 주름의 상태를 미세주름측정기 (Visioline VL650, Courage + Khazaka, Koln, Germany)로 측정하여 주름 형태를 관찰하고 주름관련 인자 수치를 확인하였다.
주름관련 인자 수치 중 Mean form factor가 가장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법으로 다음의 공식으로부터 산출한다. Mean form factor는 replica에 광원을 조사하여 생긴 주름의 그림자를 깊이와 길이로 분석하여 나타낸다.
Mean form factor = 1-(주름 깊이/주름 길이). 이때 이 값은 항상 0과 1 사이에 존재하며 측정값이 1에 가까울수록 주름개선 효능이 뛰어남을 의미한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원 콩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된 인공 피부에서 주름 형태 및 주름 관련 인자 mean form factor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나타난 것처럼 SCEL-1 50mg/kg/day 경구 투여된 군은 Mean form factor 값이 0.7로 다른 종류의 콩을 섭취한 군보다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이 끝난 무모 생쥐의 피부조직을, 포르말린 처리한 후 피부조직의 두께를 관찰하기 위하여 H&E 염색을 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콜라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Masson Trichome 염색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본원 콩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된 생쥐 피부를 H&E 염색한 결과 및 생쥐 피부에서 콜라겐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시료 경구투여용량 (mg/kg/day) 표피두께 (um)
무처리군 15.5 ± 0.84
UVB (40 mJ/cm2) 55.2 ± 0.08
SCEL-1 콩 25 46.5 ± 3.35
50 43.9 ± 1.19
일반검정콩 25 55.6 ± 0.98
50 55.7 ± 1.39
쥐눈이콩
(원주)
25 51.9 ± 2.17
50 55.0 ± 0.38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CEL-1 처리군은 자외선 조사 시 피부의 표피 두께가 현저히 낮아 피부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시료 경구투여용량 (mg/kg/day) 콜라겐 양 (%)
무처리군 193.8 ± 5.6
UVB (40 mJ/cm2) 100 ± 7.1
SCEL-1 콩 25 147.6 ± 11.5
50 176.1 ± 6.8
검정콩 25 150.7 ± 5.1
50 161.0 ± 7.2
쥐눈이콩 25 147.3 ± 4.7
50 159.2 ± 7.2
도 3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CEL-1 처리군은 자외선 조사 시 콜라겐이 파괴되는 것을 예방하고 콜라겐을 복구시키는 활성이 다른 종의 콩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CEL-1 추출물은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되는 피부조직이나 주름을 개선하는 효능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3. 콩 추출물의 성분 분석
콩 추출물에 대하여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을 수행하여, 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gilent 1260 HPLC 시스템과 Bruker MicrOTOF-Q II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콩 추출물의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컬럼은 Prevail C18 (250x4.6 mm, 5 um)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이동상 용매 A는 95 % 물/5 % 아세토니트릴 (0.1% 포름산), 이동상 용매 B는 95 % 아세토니트릴/5 % 물 (0.1% 포름산)을 이용하였다. 용매 유속은 0.7 ml/min으로 설정하였다. 성분 분리를 위해 사용된 용매의 농도 구배 조건은 표 5와 같다.
시간(분) A(%) B(%) 유속(ml/min) 최대 압력(bar)
0.00 95.00 5.00 0.700 1000.00
3.00 95.00 5.00 0.700 1000.00
23.00 50.00 50.00 0.700 1000.00
28.00 0.00 100.00 0.700 1000.00
33.00 0.00 100.00 0.700 1000.00
33.10 95.00 5.00 0.700 1000.00
40.00 95.00 5.00 0.700 1000.00
컬럼의 온도는 35 ℃를 유지하였으며 시료는 10 μL를 주입하였다. 질량 분석기기는 ESI(+) 모드에서 질량범위 50 ~ 800 m/z, 분무 가스(nebulization gas)는 8 L/min, 소스 가스(source gas) 온도 180℃, 모세관(capillary) 전압 +4500V, 콘(cone) 전압 35 V를 사용하여 콩 추출물 속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발된 SCEL-1 품종의 에피카테킨 (epicatechin) 및 프로시아니딘 B2는 각각 0.32 내지 0.46 %, 1.0 내지 2.0%로서 대조품종 원흑의 0.14 내지 0.15 %, 0.33 내지 0.35 % 보다 월등히 함량이 높았다.
안토시아닌 항산화 물질의 대표물질인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기준으로 선발된 SCEL-1 품종의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에피카테킨의 함량비는 1: 2.0 내지 2.1 : 0.43 내지 0.48로 포함된다. 반면 원흑의 경우는 1: 0.43 내지 0.70 : 0.19 내지 0.25로 나타난다.

Claims (13)

  1.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을 포함하고,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보다 프로시아니딘 B2 함량이 더 높은 콩 (Glycine max (L.) Merrill) 품종 SCEL-1의 종자 (seed)로서, 상기 콩 품종의 종자의 대표적 시료가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물, C1-6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건강은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 개선인 것인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을 전체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2.1 내지 3.4 %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을 중량 기준으로 1: 2.0 내지 2.1: 0.43 내지 0.48의 함량비로 포함된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99.9 %인 것인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적인 것인 조성물.
  7.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프로시아니딘 B2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은 중량 기준으로 1: 2.0 내지 2.1: 0.43 내지 0.48의 함량비인 것인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건강은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 개선인 것인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아니딘-3-O-글루코시드, 프로시아니딘 B2, 및 에피카테킨,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의 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 내지 99.9 %인 것인 조성물.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적인 것인 조성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국립농업과학원에 수탁번호 KACC 98050P로 기탁되어 있는 것인 콩 품종의 종자를 물, C1-6의 알코올,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2. 청구항 1 내지 4, 6 내지 8, 10 및 11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피부 주름 발생의 예방 또는 주름의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투여는 피부에 도포 또는 적용하는 것이고 화장하는 것인 방법.
  13. 삭제
KR1020180078246A 2018-07-05 2018-07-05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10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46A KR102101790B1 (ko) 2018-07-05 2018-07-05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PCT/KR2019/008302 WO2020009538A1 (en) 2018-07-05 2019-07-05 Composition for skin health including extract of seed of new soybean cultivar scel-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246A KR102101790B1 (ko) 2018-07-05 2018-07-05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055A KR20200005055A (ko) 2020-01-15
KR102101790B1 true KR102101790B1 (ko) 2020-04-20

Family

ID=6906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46A KR102101790B1 (ko) 2018-07-05 2018-07-05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1790B1 (ko)
WO (1) WO2020009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60A (ko) 2020-09-29 2022-04-05 (주)아모레퍼시픽 에피카테킨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콩 신품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304B1 (ko) * 2004-05-21 2011-12-13 주식회사 머젠스 히아루론산,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또는 콜라겐의생합성을 촉진하는 대두추출물
US8435541B2 (en) * 2010-09-02 2013-05-07 Bath & Body Works Brand Management, Inc. Top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matrix metalloproteases and providing antioxidative activities
EP2739155A4 (en) * 2011-08-05 2015-10-07 Stemtech International Inc SKIN CARE WITH COMBINATIONS OF NATURAL INGREDIENTS
KR101815225B1 (ko) * 2015-06-29 2018-01-08 한국화학연구원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3546B1 (ko) * 2015-08-31 2016-04-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두 추출물 및 헤마토코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p Dermatol.18(10). pp.883~886. (2009 Oct)*
J Oleo Sci. 62(8). pp.623~629. (2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660A (ko) 2020-09-29 2022-04-05 (주)아모레퍼시픽 에피카테킨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콩 신품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9538A1 (en) 2020-01-09
KR20200005055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72B1 (ko)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US1161262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ginseng berry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101790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건강을 위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635306B1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172369B1 (ko) 보리 새싹 급여를 통한 기능성 계란 생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기능성 계란
KR102131299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102088468B1 (ko) 신품종 콩 scel-1 종자, 그의 식물체 및 그 일부 및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KR101965594B1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26840B1 (ko) 무궁화 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무궁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조성물
KR101979916B1 (ko) 밀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5896618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KR102200906B1 (ko) 엽록소 또는 색소가 제거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055221A1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육모 개선 효능 조성물
KR102287153B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584039B1 (ko) 덩굴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및 화장품
KR102133479B1 (ko) 국내 자생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04339A (ko) 발모 효과를 갖는 쌍별귀뚜라미 발효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43660A (ko) 에피카테킨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콩 신품종
KR20230104338A (ko) 발모 효과를 갖는 쌍별귀뚜라미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355780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팔미토일-2-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60081207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