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856B1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856B1
KR100535856B1 KR1020040067623A KR20040067623A KR100535856B1 KR 100535856 B1 KR100535856 B1 KR 100535856B1 KR 1020040067623 A KR1020040067623 A KR 1020040067623A KR 20040067623 A KR20040067623 A KR 20040067623A KR 100535856 B1 KR100535856 B1 KR 10053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polyvinyl chloride
weight
spong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상욱
김해룡
김용운
김효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04006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88Vulcanizing the material before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다공질 연속 기공 구조를 가지고, 고흡수성, 친수성, 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며, 산업용품 및 생활용품으로서 유용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가소제, 복합안정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필러, 윤활제, 계면활성제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경화된 혼합물을 물에 침적시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chloride sponge}
본 발명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질 연속 기공 구조를 가지고, 고흡수성, 친수성, 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며, 산업용품 및 생활용품으로서 유용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스폰지는 생활용품 분야 뿐 만 아니라, 각종 전자산업 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산업 분야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리드 프레임(Lead Fram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판유리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스폰지(10)는 에칭액, 수세수, 현상액, 점착액, 감광성 수지판의 세척수, 유분, 냉각수 등 각종 액(12)의 흡수 및 제거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각종 스랏지 및 고-액 분리용 탈수 롤러, 제지 공정 등의 스퀴즈 롤러, 옵셋 인쇄용 급수 롤러, 제지 카-링 방지용 급수 롤러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산업 분야의 세정용 롤러로서 현재 사용되는 스폰지 롤러로는 폴리비닐알콜(PVA) 스폰지 롤러, 폴리우레탄(PU) 스폰지 롤러,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롤러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폴리비닐알콜(PVA) 스폰지 롤러는 건조 시 경화되는 문제점과,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폴리우레탄(PU) 스폰지 롤러는 흡수 능력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나, 내화학성이 낮을 뿐 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높고 제조방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롤러는 내흡수성, 내마모성 등이 낮고, 제조 단가가 높을 뿐 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롤러의 제조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롤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가소제, 안정제, 필러, 윤활제 등을 동시에 1단계로 혼합하고(S10), 소정 형태의 몰드에 충진(S20)한 다음, 소결(S22)하거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가소제 및 안정제를 75℃에서 0.5 내지 1시간 동안 혼합하여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하고(S12), 이를 볼밀에서 3 내지 6시간 동안 분쇄(S14)한 다음, 수용성 염류인 염화나트륨, 윤활제 및 필요에 따라 CaCO3 등의 필러를 첨가(S16)한 후, 혼합된 재료를 소정 형태의 몰드에 충진(S20)한 다음 소결(S22)한다. 이때 상기 소결 공정(S22)은 통상 테프론, 실리콘 수지, 유리,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몰드에서 145 내지 150℃의 온도로 상기 혼합 재료를 4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열 과정은 통상 3차원적인 균일한 열전달을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이 소결된 혼합 재료를 25 내지 30℃로 냉각(S24)한 다음, 소결된 혼합 재료를 몰드로부터 분리(S26)시키고, 분리된 혼합 재료를 물에 함침시켜 수용성 염류인 염화나트륨을 제거(S28)하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가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은 우선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설비단가가 매우 고가이며, 여러 공정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재료의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및 설비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 단계를 단축할 수 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원가 및 설비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흡수성, 친수성, 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며, 산업용품 및 생활용품으로서 유용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가소제, 복합안정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필러, 윤활제, 계면활성제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경화된 혼합물을 물에 침적시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가소제, 복합안정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필러, 윤활제, 계면활성제,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페이스트(paste)를 제조(S30)함으로서, 종래의 분쇄 후 소결 공정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는 평균 입자크기가 1 내지 30 ㎛이고, 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중합도가 600 내지 2,000인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의 평균 입자크기가 1 ㎛ 미만인 경우에는 염화나트륨과의 분산도와 흡수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화나트륨과의 분산도와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중합도가 60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000을 초과하면 스폰지의 표면이 부드럽지 못하고 경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 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iisodecyl phthalate: DIDP),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부틸벤질프탈레이트(butyl benzyl phthalate: BBP)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내마모성, 내열성, 그리고 제품으로부터의 가소제 용출 등을 고려하면 단독의 디옥틸프탈레이트 혹은 디옥틸프탈레이트와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00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이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높아 저탄력성의 문제가 있고, 2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낮아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복합안정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복합안정제로는 Ba-Cd-Zn(상품명: BZ-207P, 동구산업(주)), Ca-st(스테아레이트)/epoxy, Ba-st/epoxy, Al-st/epoxy 등의 복합 금속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a-Cd-Zn 복합 금속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안정제의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복합안정제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의 열안정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고, 상기 복합안정제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에 흡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35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흡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븐 내에서의 가공시 열분해를 촉진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필러(filler)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내마모성, 구조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TiO2, CaCO3, Al2 O3 등의 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크기가 20 내지 100 ㎛인 분말형태 CaCO3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4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필러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이거나, 상기 필러의 평균 입자크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구조안정성 저하와 변색의 우려가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기공형성이 어려워지고 오히려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윤활제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윤활제로는 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 디카르복실산 에스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4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윤활제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윤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친수성, 보수성, 흡수성 등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Fatty acid)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 각종 글리콜에스테르, 아민 옥사이드(amine oxde)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의 흡수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폰지 표면에 균열이 일어나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염화나트륨은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에 연속의 다공질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염화나트륨의 평균 입자크기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0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NaCl의 사용량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가 연속의 다공질성 구조를 가지지 못할 우려가 있고, 10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치수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염화나트륨의 평균 입자크기가 20 ㎛ 미만이면 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0 ㎛를 초과하면 스폰지 표면이 거칠어지고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을 이용하여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와 가소제를 약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30℃에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와 가소제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약 1 내지 3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정도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와 가소제가 충분히 혼합되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계면활성제, 염화나트륨 등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고, 약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약 30℃에서, 상기 성분들이 충분히 혼합되도록, 예를 들면 약 30분간 롤밀을 사용하여 혼합하여 페이스트(paste)를 제조한다(S30).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소정 형상을 가지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몰드에 충진(S32)한 후, 오븐, 바람직하게는 열풍 강제순환 오븐(convection oven)에 넣어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이 충분히 경화 또는 소결되도록, 예를 들면, 170℃에서 30분간 가열한다(S34). 다음으로, 몰드를 오븐에서 꺼내어 분당 5℃로 서냉하여, 경화물이 충분히 냉각되면(S36), 예를 들면 경화물의 온도가 30℃가 되면, 몰드 내의 경화물을 몰드로부터 분리시키고(S38), 경화물을 약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의 물에 침적시켜, 경화물 내의 염화나트륨을 제거함으로서(S40),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를 제조한다. 이와 같은 염화나트륨의 제거는 경화물을 50℃의 물에 2시간 동안 침적시켜, 경화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1차 세정 공정과, 1차 세정 공정 후, 다시 압착식의 염분 제거기를 이용하여 50℃의 물속에서 경화물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완전히 제거하는 2차 세정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단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는 매우 우수한 연속 기공도를 나타내는 다공질성 구조를 가진다. 또한, 종래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는 표면에서만 흡수가 일어나는 반면, 본 발명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는 표면과 내부에서 모두 흡수가 일어나므로, 표면 뿐 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흡수력이 증대되며, 계면 활성제와 복합안정제를 포함함으로서, 친수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육면체 형태의 스폰지(20)로 절단 가공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실린더형 스폰지(22)로 가공하고, 중앙에 회전축(24)을 끼워, 롤러(26)를 제조하여 전자 산업 분야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평균 입자크기가 10 ㎛이고, 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중합도가 1,200인 분말형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 g 및 디옥틸프탈레이트 100 g을 30℃에서 2시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Ba-Cd-Zn 복합안정제 2 g, 분자량이 400 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5 g, 평균 입자크기가 30 ㎛인 분말형태 CaCO3 40 g, 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 3 g, 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Fatty acid) 25 g, 및 평균 입자크기가 30 ㎛인 염화나트륨 600 g을 첨가하고, 30℃에서 약 30분간 롤밀을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혼합된 페이스트를 금속제의 몰드에 주입한 후, 열풍 강제순환 오븐에 넣어 170℃에서 30분간 페이스트를 가열함으로서, 페이스트를 경화시켰다. 몰드를 오븐에서 꺼내어 분당 5℃로 서냉하여, 경화물의 온도가 30℃가 되면, 몰드 내의 경화물을 몰드로부터 분리시키고, 경화물을 50℃의 물에 2시간 동안 침적시켜, 경화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제거한 후, 다시 압착식의 염분 제거기를 이용하여 50℃의 물속에서 경화물로부터 염화나트륨을 완전히 제거하여, 목적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를 제조하였으며, 그 단면의 전자 주사현미경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은 각 성분을 혼합, 가열, 분쇄, 소결하는 종래의 매우 복잡한 4단계 공정 대신, 혼합 및 가열의 단순한 2단계 공정만으로 양호한 물성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를 제조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은 제조 공정 단계를 단축하여, 제조 원가 및 설비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는 고흡수성, 친수성, 보수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하여, 매트, 벽지, 마우스 패드, 방석, 흡수성 패드 등의 생활용품 분야에 사용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 리드 프레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표시장치, 판유리 제조 등의 전자산업 분야에서 에칭액, 수세수, 현상액, 점착액, 감광성 수지판의 세척수, 유분 등 각종 액의 흡수 및 제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각종 스랏지 및 고-액 분리용 탈수 롤러, 제지 공정의 스퀴즈 롤러, 기타 각종의 스퀴즈 롤러, 옵셋 인쇄용 급수 롤러, 제지 카-링 방지용 급수 롤러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산업 분야에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스폰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 롤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단면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8)

  1.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가소제, 복합안정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필러, 윤활제, 계면활성제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경화된 혼합물을 물에 침적시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는 평균 입자크기가 1 내지 30 ㎛이고, 비닐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중합도가 600 내지 2,000인 분말 형태인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부틸벤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안정제는 Ba-Cd-Zn 복합 금속 안정제이며,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1000이며, 상기 필러는 TiO2, CaCO3, Al2O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윤활제는 하이드록시 스테아릭산, 디카르복실산 에스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염화나트륨의 평균 입자크기는 20 내지 100 ㎛인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50 내지 200 중량부이고, 상기 복합안정제의 사용량은 1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15 내지 50 중량부이고, 상기 필러의 사용량은 15 내지 45 중량부이고, 상기 윤활제의 사용량은 1 내지 10 중량부이고,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5 내지 40 중량부이며, 상기 염화나트륨의 사용량은 300 내지 1000 중량부인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수지와 가소제를 먼저 혼합한 다음, 복합안정제, 폴리에틸렌글리콜, 필러, 윤활제, 계면활성제 및 염화나트륨을 첨가하고 혼합하는 것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스폰지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040067623A 2004-08-26 2004-08-26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KR10053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23A KR100535856B1 (ko) 2004-08-26 2004-08-26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623A KR100535856B1 (ko) 2004-08-26 2004-08-26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856B1 true KR100535856B1 (ko) 2005-12-09

Family

ID=3730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623A KR100535856B1 (ko) 2004-08-26 2004-08-26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8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81B1 (ko) 2013-03-08 2015-05-11 주식회사 엔앤비 Pvc 마스킹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pvc 마스킹 보호필름
KR101737507B1 (ko) * 2014-12-15 2017-05-18 (주)에이앤티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펀지, 이를 이용한 이물 포집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978B1 (ko) * 2017-04-11 2019-01-28 (주)에이앤티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DE102022114194A1 (de) 2022-06-03 2023-12-14 Dyemansion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Oberfläche eines Formtei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81B1 (ko) 2013-03-08 2015-05-11 주식회사 엔앤비 Pvc 마스킹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pvc 마스킹 보호필름
KR101737507B1 (ko) * 2014-12-15 2017-05-18 (주)에이앤티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펀지, 이를 이용한 이물 포집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42978B1 (ko) * 2017-04-11 2019-01-28 (주)에이앤티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DE102022114194A1 (de) 2022-06-03 2023-12-14 Dyemansion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Oberfläche eines Formtei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44B1 (ko) 연속기공탄성체의 제조방법
US7972396B2 (en) Method of producing polishing pad
US6391460B1 (en) Rubber for hot press cushioning p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ot press cushioning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EP2049304B1 (en)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s comprising liquid organic material core encapsulated in polymer shell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N109070383B (zh) 陶瓷生片制造用脱模膜
KR102105452B1 (ko) 중공형 중합체-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복합체
KR100535856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US20220315739A1 (en) Plate-like composite material containing polytetrafluoroethylene and filler
TWI565735B (zh) A polishing pad for surface planarization processing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same
KR102016175B1 (ko) 알칼리토금속 산화물-중합체 연마 패드
JP2009227564A (ja) ガラス基板の熱処理用セッター、そ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
US11472165B2 (en) Plate-like composite material
KR102016176B1 (ko)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연마 패드의 형성
EP0638529B1 (en) Precursor of amorphous carbon molded article
EP267936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wder compact, and powder compact
KR101942978B1 (ko)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JP2009204292A (ja) ガラス基板の熱処理用セッター、そ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
KR100614926B1 (ko) 거품 침투코팅을 이용한 필터여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필터여재 및 필터
KR102548342B1 (ko) 탄성 경화 미세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4241B1 (ko) 불소계 이형필름, 이를 통한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
KR100910767B1 (ko) 함침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및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프리프레그
KR102463481B1 (ko)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기 실크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틴 글라스 효과가 우수한 유리패널의 제조방법
US11829015B2 (en) Porous liquid crystal polymer sheet and wiring circuit board
EP0393016A2 (de) Schwer entflammbare, hochtemperaturbeständige Formkörper auf Basis von Polyimiden
KR20230147050A (ko) 수지 분립체를 사용한 3차원 조형물의 제조 방법, 3차원조형물, 그리고 수지 분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