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978B1 -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978B1
KR101942978B1 KR1020170046843A KR20170046843A KR101942978B1 KR 101942978 B1 KR101942978 B1 KR 101942978B1 KR 1020170046843 A KR1020170046843 A KR 1020170046843A KR 20170046843 A KR20170046843 A KR 20170046843A KR 101942978 B1 KR101942978 B1 KR 10194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chloride
molding
water
sodium chlorid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754A (ko
Inventor
김해룡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앤티 filed Critical (주)에이앤티
Priority to KR102017004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97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09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using liquids, e.g. solvents, swel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4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for curing or vulcanising preform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32Producing rolling bodies, e.g. rollers, wheels, pulleys or pin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09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using liquids, e.g. solvents, swelling agents
    • B29C2071/0018Absorbing ingredients, e.g. drugs, flavourings, UV screeners, embedded in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전자 기기의 제조 공정에서 각종 액체의 흡수 및 제거에 사용되거나, 제지 공정 등의 스퀴즈 롤러, 옵셋 인쇄용 급수 롤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은,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고 가열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스폰지 롤의 형태로 경화시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초음파 장치가 구비된 수조에 위치시키고,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20 내지 1,0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하여 1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조의 하부에 회전하는 2개의 하부 롤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하나의 상부 롤을 위치시킨 다음, 하부 롤과 상부 롤의 사이에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위치시켜, 상기 롤들과 함께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회전 및 압착시켜 2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수조의 물을 배출하고, 수조 상부에 장착된 물공급 노즐을 통해,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물을 분사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최종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high-absorptive polyvinylchloride sponge roll}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의 제조 공정에서 각종 액체의 흡수 및 제거에 사용되거나, 제지 공정 등의 스퀴즈 롤러, 옵셋 인쇄용 급수 롤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 분야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리드 프레임(Lead Fram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판유리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스폰지 롤(sponge roll)은 에칭액, 세정(wipe)액, 현상액, 점착액, 유분, 냉각수 등 각종 액체의 흡수 및 제거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고-액 분리용 탈수 롤러, 제지 공정 등의 스퀴즈 롤러, 옵셋 인쇄용 급수 롤러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스폰지 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스폰지 롤(30)은 다수의 미세 기공(32)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실린더 형상의 스폰지 롤(30) 중앙에 회전축(34)을 끼워, 기판(38)과 회전 접촉시킴으로서, 기판(38)을 오염시킨 각종 액체를 흡수 및 제거한다.
통상적으로, 액체 흡수용 스폰지 롤은 폴리비닐알콜(PVA),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 등으로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콜(PVA) 스폰지 롤은 흡수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높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수분이 모두 증발할 경우, 즉 건조될 경우 경화되어, 제품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내화학성이 낮으며,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폴리우레탄(PU) 스폰지 롤은 건조시 경화되지 않고 알칼리에도 강하며 내열성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극성 용매에 약한 단점이 있다. 폴리염화비닐(PVC) 스폰지 롤은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건조 시 경화되지 않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수분 흡수량이 낮고, 제조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스폰지 롤의 제조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10-1302808호에는 LCD 패널 세정용 스폰지 롤을 소정 형상의 성형틀 내에서 발포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1576080호에는, 와이어 및 망부재의 표면에서 합성 수지를 발포시켜 세정 및 이송용 비접착식 스폰지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10-1579572호에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소정의 틀에 주입하고, 성형한 다음, 기공 형성재 등을 수세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서, 스폰지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10-0535856호에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가소제 및 염화나트륨을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물을 몰드에 주입하고, 오븐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된 혼합물을 냉각한 후, 경화된 혼합물을 물에 침적시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PVC) 스폰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폰지 롤 제조 방법은, 주로 발포를 이용하여 스폰지 롤을 제조하거나, 기공 형성제를 수세에 의해 제거하여 스폰지 롤을 제조한다고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이,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여 스폰지 롤을 제조하면, 기본적인 스폰지 롤 특성이 우수하지만,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 과정에서, 염분이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못하여, 염분의 제거에 1주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등, 제조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면서도, 제조 공정을 효율화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분 흡수력이 높고, 건조 시에도 경화가 적어, 세정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고 가열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스폰지 롤의 형태로 경화시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초음파 장치가 구비된 수조에 위치시키고,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20 내지 1,0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하여 1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조의 하부에 회전하는 2개의 하부 롤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하나의 상부 롤을 위치시킨 다음, 하부 롤과 상부 롤의 사이에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위치시켜, 상기 롤들과 함께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회전 및 압착시켜 2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수조의 물을 배출하고, 수조 상부에 장착된 물공급 노즐을 통해,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물을 분사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최종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염화비닐을 이용하면서도, 제조 공정을 효율화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흡수력이 높고, 건조 시에도 경화가 적어, 세정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스폰지 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 내의 염화나트륨을 용해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염화비닐(PVC), 가소제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고체 분말 또는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평균 입자 크기가 1 내지 30 ㎛이고, 염화비닐 단량체의 중합도가 500 내지 2,000인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평균 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염화나트륨과의 분산도와 흡수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평균 입자크기가 너무 크면 염화나트륨과의 분산도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중합도가 너무 작으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중합도가 너무 크면 스폰지의 표면이 부드럽지 못하고 경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 DO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 (diisodecyl phthalate: DIDP),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yl phthalate: DBP), 디옥틸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부틸벤질프탈레이트(butyl benzyl phthalate: BBP)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의 내마모성, 내열성, 제품으로부터의 가소제 용출 등을 고려하면, 디옥틸프탈레이트 단독 혹은 디옥틸프탈레이트와 부틸벤질프탈레이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약 100중량부이다. 상기 가소제의 사용량이 너무 작으면, 경도가 너무 높아 탄력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너무 많으면, 경도가 너무 낮아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화나트륨은,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에 연속의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염화나트륨의 평균 입자크기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0 내지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800 중량부이다. 상기 염화나트륨의 사용량이 너무 작으면,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스폰지가 연속의 다공질성 구조를 가지지 못할 우려가 있고, 너무 많으면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의 치수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염화나트륨의 평균 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스폰지의 흡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너무 크면 스폰지 표면이 거칠어지고 내마모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염화비닐 혼합물은 내열제,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필러(filler),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와 같은 내열제로는 Ba-Cd-Zn, Ca-st(스테아레이트)/epoxy, Ba-st/epoxy, Al-st/epoxy 등의 복합 금속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a-Cd-Zn 복합 금속 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의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의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50 중량부이다. 상기 필러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의 내마모성, 구조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TiO2, CaCO3, Al2O3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크기가 20 내지 100 ㎛인 분말 형태 CaCO3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5 내지 45 중량부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의 친수성, 보수성, 흡수성 등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Fatty acid)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구체적으로 각종 글리콜에스테르, 아민 옥사이드(amine oxde)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액체 상태로 만들기 위한 용매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 등의 케톤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톨루엔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알코올과 아세톤을 5 : 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고형분(폴리염화비닐, 염화나트륨, 가소제 등)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 중량부이다. 여기서, 상기 용매의 사용량이 너무 작으면,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 또는 분산되지 못하거나, 추후 염화나트륨의 제거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상기 용매의 사용량이 너무 많으면,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성형 작업이 곤란하거나, 폴리염화비닐 조성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고 가열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스폰지 롤의 형태로 경화시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얻는다. 예를 들면, 롤(roll) 형상의 금속제 몰드에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압력을 가해 충진시킨 다음, 오븐, 바람직하게는 열풍 강제순환 오븐(convection oven)에 몰드를 넣고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몰드의 형태, 예를 들면, 스폰지 롤의 형태로 경화 또는 소결시킨다.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성형물이 경화되면, 몰드를 오븐에서 꺼내어 냉각시키고, 몰드 내의 성형물을 몰드로부터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성형물을 물에 침적시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 내의 염화나트륨을 용해시켜 제거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 내의 염화나트륨을 용해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은, (1) 초음파에 의한 염분 제거, (2) 롤러 회전 및 압착에 의한 염분 제거, 및 (3) 물 분사에 의한 염분 제거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초음파 장치(6)가 구비된 수조(2)에 위치시키고,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에 초음파(ultrasonic vibration)를 가하여 1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한다(제1 염분 제거 단계).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수조(2)에 위치시키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내부의 염화나트륨이 용해 및 배출되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기공(32, 도 1 참조)이 형성되고, 형성된 기공에 수조(2)의 물이 채워지게 된다. 수조(2)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기공에 채워진 물을 통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내부로 전달된다.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외부로부터 염화나트륨이 용해되어 배출됨에 따라, 초음파는 점차적으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내부로 전달되어, 염화나트륨의 용해를 촉진시킨다. 이는 초음파가 액체를 매질로 전달되기 때문이며, 염화나트륨의 배출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생성되는 기공을 통하여, 초음파를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내부로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장치(6)에서 발생하여, 수조(2)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20 내지 1,0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950 kHz의 주파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이다. 여기서,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가 너무 낮으면, 염화나트륨의 제거 효과가 불충분할 우려가 있고, 너무 높으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초음파에 의한 상기 제1 염분제거 단계는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물 침적에 의한 염화나트륨의 제거는 30 내지 40 ℃에서 수행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열제를 첨가하여, 보다 고온의 조건에서, 염화나트륨의 제거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2)의 하부에 회전하는 2개의 하부 롤(8, 10)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하나의 상부 롤(12)을 위치시킨 다음, 하부 롤(8, 10)과 상부 롤(12)의 사이에 제1 염분 제거 단계를 수행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위치시켜, 상기 롤들(8, 10, 12)과 함께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회전 및 압착시켜 2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한다(제2 염분 제거 단계). 상기 제2 염분 제거 단계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부 롤(8, 10)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아래쪽에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지지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 롤(12)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의 위쪽에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누름으로써,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하부 롤(8, 10)을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지지하고, 상부 롤(12)을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압착시키면서, 상부 롤(12),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및 하부 롤(8, 10)을 회전시키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이 회전함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이 압축 및 이완을 반복한다. 즉, 상부 롤(12)에 맞닿는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부분은 압착되고, 상부 롤(12)에 맞닿지 않는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부분은 이완된다. 이와 같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이 압착 및 이완을 반복하면, 펌프(pump) 작용에 의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내부 기공에 위치한 물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내부에서 유동함으로써,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 내부의 염화나트륨 용해를 촉진한다.
상기 제2 염분 제거 단계는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염분 제거 단계에 있어서, 수조(2)에 장착된 초음파 장치(6)를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에 제2 염분 제거 단계와 동일한 조건으로 초음파를 인가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수조(2)의 물을 배출하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 상부에 장착된 물공급 노즐(14)을 통해, 제2 염분 제거 단계를 수행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에 물을 분사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최종 제거한다(제3 염분 제거 단계). 본 단계는 흐르는 물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세정하여, 용해된 염화나트륨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에 다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염화나트륨이 제거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4)을 환류 정온기에서 건조시키면,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은 친수성이 우수하여, 수분의 흡수 속도 및 흡수율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며, 완전 건조 시에도 수축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치수의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을 제조할 수 있고, 종래에 1주일 이상 걸리던 염분 제거 단계를 3일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폴리염화비닐, 가소제 및 염화나트륨(NaCl)을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몰드에 충진시키고 가열하여,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스폰지 롤의 형태로 경화시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얻는 단계;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초음파 장치가 구비된 수조에 위치시키고,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700 내지 9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하며,
    상기 수조에서, 폴리염화비닐 성형물 내부의 염화나트륨이 용해 및 배출되어,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기공이 형성되고, 형성된 기공에 수조의 물이 채워지며, 상기 기공에 채워진 물을 통하여, 초음파가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으로,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1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수조의 하부에 회전하는 2개의 하부 롤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하나의 상부 롤을 위치시킨 다음, 하부 롤과 상부 롤의 사이에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위치시켜, 상기 롤들과 함께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회전 및 압착시키고,
    상기 2개의 하부 롤을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지지하고, 상부 롤을 이용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을 압착시키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이 회전함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이 압축 및 이완을 반복하며, 700 내지 900 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가하여,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일 동안 2차적으로 염화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수조의 물을 배출하고, 수조 상부에 장착된 물공급 노즐을 통해,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물을 분사하여, 폴리염화비닐 성형물에 존재하는 염화나트륨을 최종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을 액체 상태로 만들기 위한 용매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폴리염화비닐 조성물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150 중량부인 것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46843A 2017-04-11 2017-04-11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KR10194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43A KR101942978B1 (ko) 2017-04-11 2017-04-11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843A KR101942978B1 (ko) 2017-04-11 2017-04-11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754A KR20180114754A (ko) 2018-10-19
KR101942978B1 true KR101942978B1 (ko) 2019-01-28

Family

ID=6410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843A KR101942978B1 (ko) 2017-04-11 2017-04-11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9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856B1 (ko) * 2004-08-26 2005-12-09 주식회사 에스케이에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KR101579572B1 (ko) 2008-06-30 2015-12-22 아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세정용 스폰지 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856B1 (ko) * 2004-08-26 2005-12-09 주식회사 에스케이에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KR101579572B1 (ko) 2008-06-30 2015-12-22 아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세정용 스폰지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754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902B2 (en) Continuous pore elasto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water-absorbing roller and swab
KR20110044208A (ko) 세정용 스폰지 롤러
JP5425111B2 (ja) 浸漬法を利用した疎水性表面を有する3次元形状構造物の製造方法
KR100700767B1 (ko)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방법
JP2006131881A (ja) 多孔質体の製造方法、多孔質体、反射防止膜、反射防止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反射防止シート
KR101942978B1 (ko) 고흡수성 폴리염화비닐 스폰지 롤의 제조방법
JP6854069B2 (ja) グラファイト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811176B1 (ko) 필름 제조 방법 및 필름 제조 장치
KR101615266B1 (ko) 균일한 미세기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합성 피혁 및 폴리우레탄 필름
JP5520030B2 (ja) 研磨パッドおよび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
JP2012124434A (ja) 圧電・焦電素子用多孔質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88417A (ja) 炭素及びグラファイト表面をシールする局所処理
JP5587337B2 (ja) 複数層化学機械平坦化パッド
CN1465218A (zh) 电路形成基板的制造方法及电路形成基板的制造用材料
KR100535856B1 (ko)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스폰지 제조 방법
JP6762115B2 (ja) 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
CN110740577A (zh) 一种线路板塞孔方法及一种线路板
JP2015217639A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装置
JP2010058062A (ja) フッ素樹脂多孔膜、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ー
JP4647892B2 (ja) 精密研磨材
JPH06278135A (ja) 樹脂含浸方法
JP2003200440A (ja) ゴムローラの成形金型、ゴムローラの製造方法
KR102506522B1 (ko) 폴리비닐아세탈 브러쉬의 제조방법
KR101431225B1 (ko) 잉크 전사를 통한 패턴 형성방법
KR100910767B1 (ko) 함침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프리프레그의 제조방법 및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프리프레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