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836B1 -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836B1
KR100535836B1 KR10-2003-0002430A KR20030002430A KR100535836B1 KR 100535836 B1 KR100535836 B1 KR 100535836B1 KR 20030002430 A KR20030002430 A KR 20030002430A KR 100535836 B1 KR100535836 B1 KR 100535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hloride
oxo
reaction
tetrahydrothiophene
homocysteinethiolac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452A (ko
Inventor
이태석
육진수
이종수
유창현
이주철
이철민
이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켐
Priority to KR10-2003-000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83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제조 공정이 온화하고, 단순할 뿐 만 아니라,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고순도, 고수율로 엘도스테인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을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얻는 과정; 및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 상기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머캅토아세트산과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ation of Erdosteine}
본 발명은 엘도스테인(Erdosteine)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이 온화하고, 단순할 뿐 만 아니라,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고순도, 고수율로 엘도스테인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도스테인은 프리 라디칼 제거활성을 갖는 약제로서,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흡연으로 유발된 α1-안티트립신(antitrypsin)의 산화를 억제하여 기관지 폐포의 파괴를 방지하고, 호흡기 면역물질인 면역글루블린(immunoglobulin) A, 리소자임 등 인체 내 생리적 항균물질을 증가시켜,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엘도스테인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이와 같은 엘도스테인을 합성하기 위한 몇 가지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특허 제4,411,909호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L-호모시스테인 티오락톤 염산염(D,L-homocysteine thiolactone hydrochloric acid)과 할로겐아세틸할라이드를 반응시켜, 3-할로아세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3-haloacetamido-2-oxo-tetrahydrothiophene)을 합성한 다음, 염기성 조건에서 머캅토아세트산과 반응시켜, 목적화합물인 [(2-옥소-3-테트라히드로티에닐카바모일)-메틸티오]아세트산 ([(2-oxo-3-tetrahydrothienylcarbamoyl)-methylthio] acetic acid, 엘도스테인)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제4,411,909호에서는 할로겐 X로서 Cl을 사용하므로, 중간체로서 3-클로로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이 생성된다. 그러나 상기 중간체는 머캅토아세트산과의 반응성이 약하므로, 최종 목적물인 엘도스테인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중간체와 머캅토아세트산을 강염기성 수용액 중에서 약 5분간 가열, 환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미국특허 제4,411,909호에 개시된 방법은 반응조건이 매우 격렬하므로, 티오락톤(thiolactone)링의 분해가 일어나 다량의 부산물이 생성되어, 수율이 약 48%에 불과하며, 두 단계 모두의 수율도 약 38%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한 엘도스테인의 제조방법이 이탈리아 특허 제1,264,888호(EDMOND PHARMA SRL사)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8408호(경동제약주식회사)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들은 모두 상기 미국특허에 개시된 방법의 격렬한 반응조건을 피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이탈리아 특허 제1,264,888호는 티오디글리콜릭산을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시켜, 혼합무수물을 형성하고, 이를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과 반응시켜 엘도스테인을 얻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8408호는 티오디글리콜릭산 무수물(thiodiglycolic anhydride)을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과 반응시켜 엘도스테인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반응 물질을 별도로 합성하여 사용하므로, 합성단계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조건이 온화하며,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고순도, 고수율로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단계가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 D,L-호모시스테인 티오락톤 염산염을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얻는 과정; 및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 상기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머캅토아세트산과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반응의 용매로서,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를 출발물질인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에 대하여 15 내지 20배(w/v) 사용하며, 상기 염기의 사용량은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의 당량 x 2) ≤ (염기의 당량) ≤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의 당량 +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의 당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들은 미국특허 제4,11,909호에 개시된 엘도스테인 제조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연구하는 중,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염산염과 할로아세틸할라이드의 반응에서,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대신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중간체로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얻으면,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약한 유기염기를 사용하고, 저온의 온도조건을 채용하는 매우 온화한 반응조건에서도 반응이 신속히 진행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반응 조건은 머캅토아세트산과 티오락톤 고리의 가수분해 등을 유발하지 않으며, 전체 반응을 원-폿(one-pot) 반응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엘도스테인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을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 등의 브로모아세틸할라이드와 반응시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합성한다.
상기 반응은 트리에틸아민 등의 약한 유기염기의 존재 하에,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실할라이드와 아민과의 반응에서는 총 생성되는 산의 양보다 0.1 내지 0.5당량 정도, 소량 과량의 염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응에서는 이와 같이 염기를 과량 사용하면, 용액의 색깔이 심하게 변색되고 다량의 부생성물이 생성되므로, 전체 발생할 수 있는 산의 양(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염산염의 당량 +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의 당량)보다 트리에틸아민을 소량 적게 사용하여, 부반응이 전혀 없도록 반응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염기의 사용량은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의 당량 x 2) ≤ (염기의 당량) ≤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염산염의 당량 +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의 당량)이며, 만일 염기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미반응의 우려가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변색 및 부반응의 우려가 있다. 상기 반응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 용매는 출발물질인 D,L-호모시스테인 티오락톤 염산염에 대하여 약 15 내지 20배(w/v)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응의 반응 온도는 약 -3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 및 반응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반응 속도의 저하 등 반응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 1당량에 대하여, 1.0 내지 1.1당량의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정량적으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중간체인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은 저온에서도 머캅토아세트산과 반응할 정도로, 반응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상기 중간체를 분리하지 않고, 반응혼합물에 바로 1 내지 1.2당량의 머캅토아세트산 및 2 내지 2.2당량의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 염기를 첨가하여, 부반응 없이 거의 정량적으로 목적화합물인 엘도스테인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은 0 내지 5℃의 낮은 온도에서도 진행되므로, 부반응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엘도스테인을 분리하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에 물과 수산화나트륨 등의 무기염기를 바람직하게는 약 4당량 첨가하여 추출하면, 수층으로 엘도스테인이 모두 추출된다. 여기서 무기염기를 첨가량이 적은 경우에는, 유기층에 엘도스테인이 다량 존재하게 되므로, 수산화나트륨 등 강염기의 첨가는 필수적이며, 무기염기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티오락톤링의 분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엘도스테인을 추출한 수층을 분리하고, 진한 염산을 가하여 용액의 pH를 1 내지 2정도로 조정하면, 순수한 엘도스테인을 결정으로 석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은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3-클로로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과 비교하여 반응성이 현저히 우수하므로, 중간체로서 3-클로로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형성하는 경우와는 달리, 중간체 및 엘도스테인을 합성하는 두 단계 반응을 별도의 정제 과정없이, 원-폿(one-pot) 반응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고순도, 고수율로 최종 목적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엘도스테인의 제조
스텐레스 스틸 반응기에 디클로로메탄 3000ml을 넣고,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 154g을 투입한 다음, 트리에틸아민 202.4g을 넣고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한다. 반응액의 온도를 -30℃로 낮춘 후,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 211.6g을 넣은 다음,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혼합물에 머캅토아세트산 110.5g 및 트리에틸아민 222.6g을 넣는다. 반응액을 동 온도에서 60분간 교반한 후, 수산화나트륨 160g을 물 1500ml에 녹인 용액을 가하여 추출한다. 다음으로, 유기층을 제거한 후, 수층에 진한 염산 208.8g을 가하면 결정이 석출된다. 반응액을 5oC로 냉각하고 1시간 교반한 후,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70℃에서 열풍, 건조하여 목적화합물 206.9g을 얻을 수 있으며, 얻어진 화합물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융점: 156℃ (ref: 156oC ~ 158oC)
IR: λmax(cm-1) : 3303, 3112, 1745, 1680, 1617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도스테인의 제조방법은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과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의 반응에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염기의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반응성을 가지는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부반응없이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여기에 머캅토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목적화합물을 원-폿 반응으로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반응조건이 온화하며, 부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고순도, 고수율로 목적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목적화합물의 합성단계가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 및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염산염의 당량 x 2) 내지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의 당량 +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의 당량)의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을 브로모아세틸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얻는 과정; 및
    별도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고,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상기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을 머캅토아세트산과 반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메탄을 출발물질인 D,L-호모시스테인티오락톤 염산염에 대하여 15 내지 20배(w/v)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브로모아세틸아미도-2-옥소-테트라히드로티오펜과 머캅토아세트산의 반응액에 물과 4당량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엘도스테인을 수층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KR10-2003-0002430A 2003-01-14 2003-01-14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KR10053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30A KR100535836B1 (ko) 2003-01-14 2003-01-14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430A KR100535836B1 (ko) 2003-01-14 2003-01-14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452A KR20040065452A (ko) 2004-07-22
KR100535836B1 true KR100535836B1 (ko) 2005-12-09

Family

ID=3735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430A KR100535836B1 (ko) 2003-01-14 2003-01-14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8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452A (ko)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2482A (zh) 用于制备4-甲氧基吡咯衍生物的中间体的方法
CN110637009A (zh) 用于制备4-甲氧基吡咯衍生物的中间体的方法
KR100535836B1 (ko) 엘도스테인의 제조 방법
KR100520184B1 (ko) 레바미파이드의 개선된 제조방법
KR920000308B1 (ko) 안정한 파모티딘결정형 폴리모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57702B1 (ko) 미티글리니드 칼슘 이수화물의 제조방법
KR100554108B1 (ko) 에르도스테인의 제조방법
AU600838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extrorotatory 3-(3-pyridyl)-1H, 3H-pyrrolo(1,2-c)-7-thiazolecarboxylic acid
CN115175913A (zh) 取代的双三环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JP4190879B2 (ja) テアニンを製造するための新規な中間体
KR20030050412A (ko) 레바미피드의 제조방법
CN114605320B (zh) 一种5-硝基-6-甲基烟酸乙酯的合成方法
US6861525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imidazo[1,2-A]pyridine-3-acetamides
JP4621429B2 (ja) 乳酸誘導体
JPH07508495A (ja) オキシテトラサイクリンの精製方法および中間体
JP4842469B2 (ja) 2−アミノ−3−カルボキシ−1,4−ナフトキノンの製造法
KR100893756B1 (ko) 몬테루카스트의 효율적 제조방법
KR100472048B1 (ko) 아즈트레오남의 신규제조방법
KR20220137293A (ko) 독시플루리딘의 제조 방법
CN113801062A (zh) 3-氨基-5-(3,5-二氟苄基)-1h-吲唑的制备方法
JP3953141B2 (ja) 5−メチル−1,4−ベンゾジオキサン−6−カルボン酸類及びその新規中間体の製法
KR960011779B1 (ko) 세팔로스포린 결정성 수화물의 신규 제조방법
KR100537385B1 (ko) 소듐 티오퓨로에이트의 제조방법
CN114751846A (zh) 一种氟苯尼考的缬氨酸脂盐的制备方法
JP4351316B2 (ja) ベンゾオキサゾ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