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758B1 -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758B1
KR100535758B1 KR10-2003-0056101A KR20030056101A KR100535758B1 KR 100535758 B1 KR100535758 B1 KR 100535758B1 KR 20030056101 A KR20030056101 A KR 20030056101A KR 100535758 B1 KR100535758 B1 KR 10053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er duct
cold
defroster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469A (ko
Inventor
이명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7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5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the housing or parts thereof being integrated in other devices, e.g.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의 전방측으로 설치되는 디프로스터 덕트(Defroster Duct)에 양방향으로 각각 상향 구배된 안내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원활한 냉기 또는 온기의 송풍을 통한 제상능력을 배가하기 위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벤틸레이션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디프로스터 덕트와,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분기하도록 양방향으로 개방됨과 함께 일측면으로 개방된 안내블레이드와, 상기 안내블레이드의 외부 중앙을 함몰 형성하여 내측면을 대칭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배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양분하도록 안내하는 구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structure of defroster duct in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내의 전방측으로 설치되는 디프로스터 덕트(Defroster Duct)에 양방향으로 각각 상향 구배된 안내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원활한 냉기 또는 온기의 송풍을 통한 제상능력을 배가하기 위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벤틸레이션 덕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재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는 여러 가지 기후나 주행조건에서도 차실내에 탑승한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주된 기능이고, 한편으로는 외기와의 온도차이로 인해 윈드쉴드나 도어글래스에 발생되는 서리와 성에 등을 방지하거나 또는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해 줌으로써 안전운행에 기여하는 것이 부수적인 기능인 바, 근래에 들어서는 자동차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상기 공조장치의 공조성능(HVAC;Heat Ventilation Air Condition)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공조장치에서 차실내에 구비된 공조장치의 토출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상부면의 전단부에서 각각 윈드쉴드와 사이드도어의 글래스를 향하도록 형성된 디프로스터 그릴(11)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전면으로 각각 차실내의 전방좌석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전방 벤틸레이션 그릴(12) 및,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위에서 차체를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콘솔박스(도시하지 않음)의 후단부와 차실내의 바닥부에 각각 차실내의 후방좌석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후방 벤틸레이션 그릴(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디프로스터 그릴(11)은 윈드쉴드의 중앙부로 향하는 센터 디프로스터 그릴(11a)과, 좌/우측 사이드도어의 글래스를 향하는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11b)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 벤틸레이션 그릴(12)은 차실내의 전방좌석부의 중앙부를 향하는 센터 벤틸레이션 그릴(12a)과, 전방좌석부의 양측부를 향하는 사이드 벤틸레이션 그릴(12b)을 각각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터 그릴(11)과 전방 벤틸레이션 그릴(12)은 다수개의 덕트부재를 매개로 블로워(4)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부재는 각각 블로워(4)와 연통되도록 히터(H)측에 설치된 센터 덕트(5)와, 이 센터 덕트(5)와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양측방향으로 분지되도록 연결되어 중앙에 센터 디프로스터 그릴(12a)과 양측 선단에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12b)을 각각 설치하도록 된 디프로스터 덕트(6) 및 상기 센터 덕트(5)와 일단이 연결되면서 타단이 역시 양측방향으로 분지되도록 연결되어 중앙에 센터 벤틸레이션 그릴(12a)과 양측 선단에 사이드 벤틸레이션 그릴(12b)을 각각 설치하도록 된 벤틸레이션 덕트(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6)는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받기 위한 분기관(8)을 형성하여 블로워(4)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6)에는 분기관(8)에 대응되는 내측에 냉기 또는 온기를 분기, 송풍하기 위해 분기판(9)이 설치된다.
상기 분기판(9)은 디프로스터 덕트(6)의 내측면에 수직되는 즉, 분기판(8)을 통해 공급되는 온기 또는 냉기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11b)은 전방좌석부의 좌우측으로 배치된 사이드도어의 글래스부위를 향해 설치되어 있어, 우천시나 동절기에 차실내와 외기와의 사이에 온도차이로 인해 사이드도어의 글래스에 발생되는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디프로스터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기판은 디프로스터 덕트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송풍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분기판의 모서리 부분에서 와류를 발생하면서 송풍량이 줄어 송풍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프로스터 덕트에 내측면이 상향 구배되어 분기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원활한 송풍을 하도록 하기 위한 안내블레이드를 형성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프로스터 덕트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분기하도록 양방향으로 개방됨과 함께 일측면으로 개방된 안내블레이드내측면을 대칭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배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양분하도록 안내하는 구배부를 형성한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 덕트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 덕트에 형성되는 안내블레이드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블레이드를 통해 온기 또는 냉기가 송풍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과 도면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하부에 결합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디프로스터 덕트(106)와,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106)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분기하도록 양방향으로 개방됨과 함께 일측면으로 개방된 안내블레이드(120)와, 상기 안내블레이드(120)의 외부 중앙을 함몰 형성하여 내측면을 대칭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배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양분하도록 안내하는 구배부(122)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106)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하부에 결합되어 블로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풍되는 냉기(冷氣) 또는 온기(溫氣)를 안내하여 차량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106)에는 냉기 또는 온기를 디프로스터 그릴(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송풍되도록 안내블레이드(12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블레이드(120)는 다수 개의 디프로스터 그릴에 바람직하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하기 위해 디프로스터 덕트(106)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블레이드(120)는 디프로스터 그릴의 상면으로 돌출 되며, 디프로스터 덕트(106)의 길이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개방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송풍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블레이드(120)는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도시하지 않음)로 냉기 또는 온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고, 센터 디프로스터 그릴(도시하지 않음)로 송풍하도록 전측면이 개방된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블레이드(120)의 후측면은 밀폐되어 있다.
상기 안내블레이드(120)의 하측면은 완만하게 하향 경사진 구배부(122)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구배부(122)는 안내블레이드(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안내블레이드(120)는 양쪽으로 냉기 또는 온기를 양분하여 송풍할 수 있도록 개방된 양쪽 끝단 가장자리에서 중앙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배부(122)를 형성한다.
상기 구배부(1220는 안내블레이드(120)의 내측에 별도로 부착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안내블레이드(120)의 중앙부분을 함몰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배부(122)의 끝단에는 리브(124)가 구배부(122)에 대해 수직되게 상향 돌출 되어 있다.
상기 리브(124)는 전측면이 개방된 구배부(122)를 따라 안내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바람직하게 일정량을 양측면으로 송풍되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블레이드(120)는 블로워(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를 센터 디프로스터 그릴 또는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로 송풍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안내블레이드(120)의 내부에는 완만하게 하향 경사진 구배부(122)가 형성되어 냉기 또는 온기가 유동되며 와류(渦流)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안내블레이드(120)의 내부에 완만하게 구배진 구배부(122)가 형성됨으로써 냉기 또는 온기가 유동에 간섭을 받지 않고 송풍될 수 있어서 소음도 일부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배부(122)의 양끝단에 돌설된 리브(124)는 냉기 또는 온기가 구배부(122)를 따라 양측방향으로 일정량 이상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도시된 지시선( →)은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에 의하면, 디프로스터 덕트에 형성되며 냉기 또는 온기를 분기하기 위한 안내블레이드의 내측면을 완만하게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온기 또는 냉기가 송풍되는 중에 상호 간섭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제상효과를 극대화하고, 소음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체의 전방측으로 설치되는 공조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종래 디프로스터 덕트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 덕트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프로스터 덕트에 형성되는 안내블레이드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블레이드를 통해 온기 또는 냉기가 송풍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블로워 5: 센터 덕트
6,106: 디프로스터 덕트 7: 벤틸레이션 덕트
8: 분기관 9: 분기판
11: 디프로스터 그릴 11a: 센터 디프로스터 그릴
11b: 사이드 디프로스터 그릴12: 전방 벤틸레이션 그릴
12a: 센터 벤틸레이션 그릴 12b: 사이드 벤틸레이션 그릴
13: 후방 벤틸레이션 그릴 120: 안내블레이드
122: 구배부 124: 리브

Claims (2)

  1.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안내하도록 설치된 디프로스터 덕트와,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분기하도록 양방향으로 개방됨과 함께 일측면으로 개방된 안내블레이드와, 상기 안내블레이드의 외부 중앙을 함몰 형성하여 내측면을 대칭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배하여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을 양분하도록 안내하는 구배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의 끝단부 가장자리에는 송풍되는 온기 또는 냉기가 개방된 일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줄여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해 리브가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2. 삭제
KR10-2003-0056101A 2003-08-13 2003-08-13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KR10053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101A KR100535758B1 (ko) 2003-08-13 2003-08-13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101A KR100535758B1 (ko) 2003-08-13 2003-08-13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469A KR20050017469A (ko) 2005-02-22
KR100535758B1 true KR100535758B1 (ko) 2005-12-12

Family

ID=3722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101A KR100535758B1 (ko) 2003-08-13 2003-08-13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7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3909U (ja) * 1982-12-16 1984-06-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90043244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용 안내덕트의 구조
JP2003146052A (ja) * 2001-11-14 2003-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構造
KR20030088225A (ko) * 2002-05-13 2003-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디프로스터 노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3909U (ja) * 1982-12-16 1984-06-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90043244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버스용 안내덕트의 구조
JP2003146052A (ja) * 2001-11-14 2003-05-2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キャビンの構造
KR20030088225A (ko) * 2002-05-13 2003-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디프로스터 노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469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62670A1 (ja) 空気吹出装置
US4549471A (en) Defroster system for use in motor vehicles
US20100062702A1 (en) Defroster nozzle
US4766805A (en) Windshield defroster system for vehicle
KR100535758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KR100543758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JP200709910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437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1005778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10055061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트 덕트 구조
US2019037527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139891B2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
KR100577808B1 (ko) 자동차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KR100309037B1 (ko) 자동차의카울에어박스
JPS6240844Y2 (ko)
JP2006082655A (ja) 車輌用空調装置
JPS62286823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JPH0116687Y2 (ko)
KR201100244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41333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JP2005153700A (ja) 車両用デフロスタ装置
JPH0356408Y2 (ko)
KR0153140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0589262B1 (ko) 자동차 제상성능 향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