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972B1 -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972B1
KR100534972B1 KR10-2003-0062084A KR20030062084A KR100534972B1 KR 100534972 B1 KR100534972 B1 KR 100534972B1 KR 20030062084 A KR20030062084 A KR 20030062084A KR 100534972 B1 KR100534972 B1 KR 10053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ing pad
disc
ring
brak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862A (ko
Inventor
우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9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링형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크브레이크 장치에서 브레이크디스크에 고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동시 발생되는 저더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링형패드의 주위에 분리되어 배치된 다수의 실린더유닛에 의해 서스펜션의 볼조인트가 브레이크디스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disk brak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디스크를 잡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캘리퍼에 관한 기술이다.
디스크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디스크의 양쪽에서 브레이크패드를 밀착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으로서, 제동시 발생되는 저더(judder)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브레이크패드에서 브레이크디스크에 고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펜션의 볼조인트가 브레이크디스크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유리하다.
본 발명은 디스크브레이크 장치에서 브레이크디스크에 고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동시 발생되는 저더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하면서, 서스펜션의 볼조인트가 브레이크디스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 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브레이크 캘리퍼는 브레이크디스크의 양쪽 측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링형패드와;제공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링형패드를 상기 브레이크디스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링형패드가 형성하는 원주상에 다수개가 분리되어 배치된 실린더유닛들; 상기 링형패드와 상기 실린더유닛들 사이에는 설치된 보강판 및; 상기 브레이크디스크와 상기 링형패드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실린더유닛들을 지지하며 내부에서 서스펜션암의 일단부와 볼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된 캘리퍼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를 도시한 구조도로서, 중앙의 브레이크디스크(1) 양쪽에는 브레이크디스크(1)의 측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링형패드(3)가 위치하고, 상기 링형패드(3)의 외측에는 제공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링형패드(3)를 상기 브레이크디스크(1)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실린더유닛(5)들이 상기 링형패드(3)가 형성하는 원주상에 다수개가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캘리퍼하우징(7)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1)와 링형패드(3)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실린더유닛(5)들을 지지하며 그 내부에서 서스펜션암(13)의 일단부와 볼조인트(9)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유닛(5)들에는 종래의 공지기술과 같이 운전자의 브레이크페달 조작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제동유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는 상기의 구조에 덧붙여, 상기 링형패드(3)와 실린더유닛(5)들 사이에 보강판(11)을 더 개재하고 있다.
이는 상기 실린더유닛(5)들에서 제공하는 국부적인 압력에 의해 상기 링형패드(3)가 손상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 또는 상기 링형패드(3)가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브레이크디스크(1)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유닛(5)들의 배치상태는 도 3과 같이 상기 링형패드(3)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하여, 상기 브레이크디스크(1)에 압착되는 링형패드(3)에 균형 있는 압력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캘리퍼하우징(7)의 내측에 구비된 볼조인트(9)는 상기 서스펜션암(13)을 상기 링형패드(3)와 브레이크디스크(1)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근접하여 형성하면 좋다.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13)의 일단측을 상기 캘리퍼하우징(7)에 연결하는 볼조인트(9)가 상기 브레이크디스크(1)에 가까워지면, 결과적으로 차륜의 킹핀 오프셋(king pin offset)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서,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13)의 일단부측을 연결하는 볼조인트(9)가 상기 캘리퍼하우징(7)의 내측에서 브레이크디스크(1)에 가급적 가깝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링형패드(3)에 압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유닛(5)들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어 서스펜션암(13)의 선단이 상기 캘리퍼하우징(7)의 내측으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디스크브레이크에서는 운전자의 제동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디스크(1)의 양쪽에서 각각 다수의 실린더유닛(5)들이 링형패드(3)를 압착시키기 때문에, 브레이크디스크(1)의 측면 전체에서 고른 마찰력이 발생되면서 크고 안정된 제동력이 발생된다. 즉, 저더(judder)의 발생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링형패드를 이용하여 디스크브레이크 장치에서 브레이크디스크에 고른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동시 발생되는 저더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링형패드의 주위에 분리되어 배치된 다수의 실린더유닛에 의해 서스펜션의 볼조인트가 브레이크디스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직진 안정성 및 조종 안정성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도 1의 구조에 보강판이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린더유닛들이 배치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브레이크디스크 3; 링형패드
5; 실린더유닛 7; 캘리퍼하우징
9; 볼조인트 11; 보강판
13; 서스펜션암

Claims (4)

  1. 브레이크디스크의 양쪽 측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링형패드와;
    제공받는 유압에 의해 상기 링형패드를 상기 브레이크디스크를 향하여 가압하도록 상기 링형패드가 형성하는 원주상에 다수개가 분리되어 배치된 실린더유닛들;
    상기 링형패드와 상기 실린더유닛들 사이에는 설치된 보강판 및;
    상기 브레이크디스크와 상기 링형패드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실린더유닛들을 지지하며 내부에서 서스펜션암의 일단부와 볼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된 캘리퍼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유닛들은 상기 링형패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KR10-2003-0062084A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KR10053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84A KR100534972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84A KR100534972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62A KR20050024862A (ko) 2005-03-11
KR100534972B1 true KR100534972B1 (ko) 2005-12-08

Family

ID=3723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084A KR100534972B1 (ko) 2003-09-05 2003-09-05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9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62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1340A (en) Vehicle wheel axle and brake mounting assembly
KR100534972B1 (ko) 차량의 디스크브레이크
JP471842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241229B1 (ko) 브레이크의 캘리퍼 하우징 주조용 중자
US4878564A (en) Disc brake assembly
JP410885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326669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0383989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JPH11222109A (ja) ブレーキ装置
JPH0650661Y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対向多ポット型キャリパ
JPH03234934A (ja) 多ポット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JP339339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764622B2 (ja) バーハンドル車両のディスクブレーキ取付け構造
JPS5825893B2 (ja) デイスクブレ−キ
JP384906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0119230Y1 (ko) 푸트 브레이크 페달의 연결 구조
JPH0712638U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取付け構造
JPH0354980Y2 (ko)
US4265339A (en) Disc brake
JPH0924279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191171Y1 (ko) 브레이크의 제동력 향상장치
JP384337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KR20050056494A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KR0140388Y1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20020025566A (ko) 자동차용 디스크브레이크의 캘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