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837B1 -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837B1
KR100534837B1 KR10-2003-0062078A KR20030062078A KR100534837B1 KR 100534837 B1 KR100534837 B1 KR 100534837B1 KR 20030062078 A KR20030062078 A KR 20030062078A KR 100534837 B1 KR100534837 B1 KR 100534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oor
exhaust manifold
heat prot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856A (ko
Inventor
김한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8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temperat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4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0416Methods of control or diagnosing using the state of a sensor, e.g. of an exhaust gas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프로텍터(1)에 열방출홀(2)을 형성하고, 여기에 도어(4)를 설치하여, 엔진회전수가 4000rpm 이상이고 스로틀포지션센서 출력전압이 3V 이상이면 엔진제어유니트(8)가 상기 도어(4)를 개방하여 주행풍에 의해 배기매니폴드가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속운전영역(4000~6000rpm) WOT(wide open throttle) 상태에서도 공연비를 출력공연비로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고 연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heat protect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exhaust manifold for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장착되는 히트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매니폴드의 열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은 혼합기를 연소시켜 작동하고, 그 부산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인 배기매니폴드 역시 고온으로 가열되는 바, 이 배기매니폴드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이에 근접한 부속 장치들에 열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열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매니폴드(10)의 전면을 덮는 히트프로텍터(11)를 설치하여, 배기매니폴드(1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해주고 있다.
한편, 엔진 작동에 있어서 최대의 출력을 낼 수 있는 공연비(A/F)를 출력공연비라 하는데, 출력공연비는 대략 12.0~13.0이며 보통 12.5로 보고 있다.
따라서, 각 엔진 회전수 영역에서 스로틀밸브 최대 개방(WOT=Wide Open Throttle)시에는 상기 출력공연비로 공연비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 1]
공연비(A/F) 배기온도(℃)
10.0 825.3
11.0 861.2
12.0 878.9
13.0 900.5
(히트프로텍터 장착 2.2ℓ엔진, 5000rpm WOT 상태에서 측정)
고속영역에서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공연비 12.0~13.0일 때 약 880℃를 지나 900℃를 넘어서고 있다.
그런데, 주철로 제작되는 배기매니폴드의 내열한계는 표면온도 750℃정도로서 이 온도를 넘게 되면 크랙이 발생하는 등 손상되어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배기매니폴드에 히트프로텍터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고속영역에서 공연비를 출력공연비로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함으로써, 현재 6000rpm WOT 시에 보통 출력공연비보다 농후한 10.0~11.0의 공연비로 엔진을 운전하고 있다.
(만약, 이 영역에서 공연비를 출력공연비인 12.5로 제어하게 되면 배기가스온도가 배기가스 한계온도 850℃를 훨씬 뛰어 넘어 950℃ 이상으로 상승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즉, 히트프로텍터가 장착된 엔진은 과도한 배기가스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배기매니폴드 파손이 우려되어, 고속영역에서 출력공연비 제어를 하지 못함으로써 엔진 출력감소를 감수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한편, 배기매니폴드(10)의 열은 삼원촉매의 신속한 활성화(라이트 오프 타임-light off time-의 감소)를 위하여 엔진의 초기 냉간시동시에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히트프로텍터(11)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판형 부품으로서 배기매니폴드(10)에서 방출되는 열을 항상 차단만 할뿐, 그 방출량을 엔진 상태에 따라 조절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 상태에 따라 배기매니폴드의 열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초기 냉간 시동시 삼원촉매의 활성화 시간을 감소시키고, 고속영역 WOT 시 배기매니폴드 과열에 대한 우려 없이 공연비를 출력공연비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의 고속영역 출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연비도 개선될 수 있도록 된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에 형성된 열방출홀에 힌지를 매개로 장착된 도어를 구비한 히트프로텍터와, 상기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하여 도어를 여는 DC모터와, 상기 도어의 상단과 열방출홀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링과, 엔진 워밍업 이후 고속영역 WOT시 상기 DC모터를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하는 엔진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의 구성도로서, 히트프로텍터(1)에는 몸체의 전면 전반에 걸쳐 사각의 열방출홀(2)이 형성된다.
상기 열방출홀(2)에는 이를 개폐하는 도어(4)가 구비되는데, 이 도어(4)는 히트프로텍터(1)와 동일한 재질인 방열판재이며, 하단 양측이 열방출홀(2) 하부의 히트프로텍터(1) 몸체에 힌지(3)를 매개로 고정되어 있고, 상단의 양측은 스프링(5)으로 히트프로텍터(1) 몸체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은 인장스프링으로서, 보통상태에서는 상기 도어(4)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도어(4)가 열렸을때는 도어(4)를 닫힘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4)는 DC모터(6)에 의해 개방되는데, 이 DC모터(6)의 회전축에는 도어(4)의 전면 양측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7)의 타단이 권취되며, 상기 DC모터(6)는 히트프로텍터(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7)가 히트프로텍터(1)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DC모터를 히트프로텍터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장착하는 것은 히트프로텍터에 별도 또는 일체의 수평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수평브라켓 상에 DC모터를 볼트와 너트 또는 클램프 등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하면 되는 바,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이므로 별도의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DC모터(6)가 작동되면 회전축에 와이어(7)가 감겨지면서 도어(4)를 당기게 되어 열방출홀(2)이 개방된다.
한편, 상기 DC모터(6)는 엔진제어유니트(ECU;8)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기본적으로 엔진제어유니트(8)는 냉각수온센서, 엔진회전수센서, 스로틀포지션센서, 차속센서 등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인가받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도 이를 이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배기매니폴드의 표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배기매니폴드 표면 온도센서(9)를 장착하였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엔진이 시동되면 엔진제어유니트(8)는 먼저 엔진이 워밍업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엔진의 워밍업 여부는 냉각수온을 측정하여 판단하는바 엔진제어유니트(8)는 냉각수온센서로부터 전달된 냉각수 온도가 70℃ 이하이면 엔진이 냉간 운전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DC모터(6)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4)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여 열방출홀(2)이 개방되지 않으므로 히트프로텍터(1)에 의해 주행풍에 대해 차단되어 있는 배기매니폴드의 열방출량은 최소가 되며, 이로써 배기가스의 온도도 떨어지지 않게 되어 삼원촉매의 활성화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한편, 냉각수온이 70℃ 보다 높으면 엔진이 워밍업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어서 엔진의 작동 상태를 체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4)를 개방하여 배기매니폴드를 냉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는 고속도영역 WOT 상태에서 출력공연비 제어를 시작하여 배기가스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으로 상승할때이다.
따라서, 엔진제어유니트(8)는 엔진회전수센서와 스로틀포지션센서를 통해 엔진회전수(rpm)와 스로틀개도를 인지하여 그 때의 운전상태가 고속도영역이며 WOT 상태라면 상기 DC모터(6)를 작동시켜 와이어(7)를 권취함으로써 도어(4)를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8)가 엔진의 운전상태가 고속도 영역이며 WOT상태임을 판단하는 기준은 각각 엔진 회전수가 4000rpm 이상이고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의 입력전압이 3V 이상인가 이다.
이는 통상 4000rpm부터 고속영역 운전이라고 취급하는 것과 스로틀밸브 완전개방시 스로틀포지션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은 5V 인 것에서 결정된 것인데, 본 발명에서 출력공연비 제어시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이 6000rpm WOT 영역이므로 안전율을 고려하여 6000rpm 보다는 낮고 스로틀밸브 완전 개방보다는 소정량 못 미치는 개도량의 수준에서 도어(4)가 개방될 수 있도록 4000rpm, 3V를 도어 개방 시점의 판단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단,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도어(4)를 개방함에 있어 표시된 바와 같이, 차속이 일정 수준 이상(차속센서를 통해 검출된 차속이 80km/h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이는 주행풍이 충분치 못한 상황에서는 도어(4)를 개방하여도 효과적으로 배기매니폴드를 냉각시킬 수 없으며, 오히려 배기매니폴드로부터의 방출열에 의해 주변 부품이 열해를 입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각 조건의 판단 과정을 거치는 동안 모든 조건이 만족되면 도어(4)가 개방되어 주행풍에 의해 배기매니폴드가 신속하게 냉각됨으로써 6000rpm WOT 상태에서 출력공연비 12.5로 공연비제어를 실시하여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하여도 배기매니폴드가 과열되지 않게 되므로, 과열로 인한 배기매니폴드의 손상 문제를 우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 고속도 WOT 상태에서도 공연비를 출력공연비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이 영역에서의 엔진 출력이 향상되고, 동일 출력 발생시 소모되는 연료량도 저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건 판단의 각 단계에서 차량 및 엔진의 상태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되면 엔진제어유니트(8)는 DC모터(6)를 작동시키지 않게 되며, 따라서 스프링(5)의 힘에 의해 도어(4)는 열려 있는 상태라면 다시 닫히게 되고,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계속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배기매니폴드 표면 온도센서(9)로부터 검출된 배기매니폴드의 표면온도가 한계온도인 750℃를 넘어서게 되면 배기매니폴드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출력공연비로 제어되고 있는 공연비를 보다 농후하게(-0.5정도) 제어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떨어뜨림과 동시에 도어(4)를 개방하여 배기매니폴드를 냉각시킴으로써 배기매니폴드가 과열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시동 초기 영역 및 고속영역 WOT 상태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히트프로텍터에 의한 배기매니폴드의 방출열 차단으로 촉매의 활성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주변 부품을 열해로부터 보호하는 히트프로텍터 본래의 기능이 충실히 수행되고, 고속영역 WOT 상태에서는 히트프로텍터가 개방되어 배기매니폴드 냉각성능이 향상됨으로써 공연비를 출력공연비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엔진의 출력이 향상되고 저연비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기매니폴드에 일반적인 형태의 히트프로텍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히트프로텍터, 2 : 열방출홀,
3 : 힌지, 4 : 도어,
5 : 스프링, 6 : DC모터,
7 : 와이어, 8 : 엔진제어유니트,
9 : 배기매니폴드 표면 온도센서.

Claims (4)

  1. 히트프로텍터(1)에 형성된 열방출홀(2)에 힌지(3)를 매개로 장착된 도어(4),
    상기 도어(4)에 연결된 와이어(7)를 권취하여 도어(4)를 여는 DC모터(6),
    상기 도어(4)의 상단과 열방출홀(2)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도어(4)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스프링(5),
    엔진 워밍업 이후 엔진회전수가 4000rpm 이상이고, 스로틀포지션센서 출력전압이 3V 이상이면 고속도영역 WOT시로 판단하고 상기 DC모터(6)를 작동시켜 도어(4)를 개방하는 엔진제어유니트(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8)는 차속이 80km/h 이상일때만 DC모터(6)를 작동시켜 도어(4)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8)는 배기매니폴드 표면 온도센서(9)로부터 검출된 배기매니폴드 표면온도가 한계온도인 750℃를 넘어서면 공연비를 농후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DC모터(6)를 작동시켜 도어(4)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KR10-2003-0062078A 2003-09-05 2003-09-05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KR100534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78A KR100534837B1 (ko) 2003-09-05 2003-09-05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78A KR100534837B1 (ko) 2003-09-05 2003-09-05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56A KR20050024856A (ko) 2005-03-11
KR100534837B1 true KR100534837B1 (ko) 2005-12-08

Family

ID=3723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078A KR100534837B1 (ko) 2003-09-05 2003-09-05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7923U (ko) * 1985-10-18 1987-04-28
KR200162154Y1 (ko) * 1996-12-31 1999-12-01 정몽규 가변 열 보호구가 구비된 촉매 컨버터
JP2001164944A (ja) * 1999-12-13 2001-06-19 Sanwa Packing Kogyo Co Ltd 開口面積可変なヒートインシュレータ
KR100362418B1 (ko) * 2000-12-19 2002-1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기 매니폴드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7923U (ko) * 1985-10-18 1987-04-28
KR200162154Y1 (ko) * 1996-12-31 1999-12-01 정몽규 가변 열 보호구가 구비된 촉매 컨버터
JP2001164944A (ja) * 1999-12-13 2001-06-19 Sanwa Packing Kogyo Co Ltd 開口面積可変なヒートインシュレータ
KR100362418B1 (ko) * 2000-12-19 2002-1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기 매니폴드 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56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213B1 (ko) 전동식 워터펌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1214783A (ja) エンジン
US7343752B2 (en) Thermostat abnormal state detecting apparatus
US20040103862A1 (en) Engin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6443105B2 (en) Radiator fan controller
EP2721268B1 (en) Cool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534837B1 (ko) 엔진 배기매니폴드의 히트프로텍터 개폐장치
JPS63227918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H10252464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動力装置冷却装置
JPH11294164A (ja) 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
KR100353766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냉각수를 이용한 배터리 예열 장치
KR20220086272A (ko) 차량의 정차 시 엔진룸 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207449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5016465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05202748A (ja) 車両用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201122027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0764494B1 (ko) 가변 스월밸브 제어방법
KR960004697Y1 (ko) 자동차의 엔진 과냉 보호장치
KR101125377B1 (ko) 자동차의 난방장치 제어방법
JP2006207448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9980048966U (ko) 엔진냉각장치
KR20110062125A (ko) 엔진의 열부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10065B1 (ko) 자동차의 호핑방지방법
JP2014163322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100245681B1 (ko) 자동차의오버히트시냉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