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518B1 -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 Google Patents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518B1
KR100534518B1 KR1019980038593A KR19980038593A KR100534518B1 KR 100534518 B1 KR100534518 B1 KR 100534518B1 KR 1019980038593 A KR1019980038593 A KR 1019980038593A KR 19980038593 A KR19980038593 A KR 19980038593A KR 100534518 B1 KR100534518 B1 KR 10053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age
yarn
segment
shrink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144A (ko
Inventor
준 영 윤
대 현 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8003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5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2Producing patterns by locally destroying or modifying the fibres of a web by chemical actions, e.g. making translu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아래 식(Ⅰ)의 수축 특성을 만족하며 서로 비상용성인 저수축 분절(1)과 고수축 분절(2)로 구성되며, 원사 단면상에서 상기 저수축 분절(1)들이 고수축 분절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주로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의류용 원단제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본 발명은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주로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원단제조에 사용된다. 지금까지는 주로 저수축사와 고수축사를 공기교락에 의해 혼섬처리한 이수축 혼섬사를 사용하여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조해오고 있다. 이때 고수축사(심사)로는 고배향 미연신사가 주로 사용되며 저수축사(효과사)로는 해도형 또는 분할형 복합사가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고수축사(심사)와 저수축사(효과사)를 공기혼섬한 이수축 혼섬사로 제조된 원단은 열처리 공정에서 저수축사와 고수축사의 수축차를 발현되기 때문에 촉감 및 벌키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양호한 제직 공정성을 위하여 저수축사와 고수축사를 높은 공기압력으로 혼섬해야 하기 때문에 혼섬시 형성된 교락점 중 일부가 염색후에도 풀리지 않아 염반이 발생한다.
둘째, 저수축사 및 고수축사를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한 후, 이들을 또다른 공정으로 혼섬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다.
셋째, 심사인 고수축사가 고배향 미연신사이기 때문에 일반 연신사인 경우에 비해 원사 제조공정상 불량률이 높고, 후가공시 장력 및 열처리온도가 조금만 불균일해도 쉽게 원사변형이 일어나 공정통과성이 저하된다.
넷째, 효과사인 저수축사 극세섬유이기 때문에 공기교락 공정의 조건을 설정하기 어렵다.
다섯째, 비록 원사 상태에서는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수축율 차이가 크다고 해도 원단 상태에서는 원단 조직에 의한 장력이 발생하므로 고수축사와 저수축사의 수축차가 충분하게 발현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제직 등의 공정통과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원단제조시 제조된 원단의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하며 염반이 발생되지 않는 이수축 복합사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단제조시 제조된 원단의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래 식(Ⅰ)의 수축 특성을 만족하며 서로 비상용성인 저수축 분절(1)과 고수축 분절(2)로 구성되며, 원사 단면상에서 상기 저수축 분절(1)들이 고수축 분절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수축 혼섬사의 분할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이수축 혼섬사의 분할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서로 비상용성인 저수축 분절(1)과 고수축 분절(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축 분절(1)들은 도면과 같이 원사 단면상에서 고수축 분절(2) 사이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저수축 분절(1)과 고수축 분절(2)은 아래 식(Ⅰ)과 같은 수축 특성을 만족한다.
또한 저수축 분절의 비등수 수축율(S1)은 3∼30%, 고수축 분절의 비등수 수축율(S2)은 10∼50%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전체 이수축 복합사의 단면적에 대한 저수축 분절(1)의 단면적 비는 5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축 분절(1)의 단면적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저수축 분절이 원단 표면으로 부출되는 효과가 저하되어 촉감 및 벌키성이 저하된다. 저수축 분절로는 폴리아미드가 주로 사용될 수 있고, 고수축 분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메틸-5-술포이소프탈레이트(DMIS) 및/또는 이소프탈릭 액시드(IPA) 가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저수축 분절은 섬도 0.5데니어 이하로 극세화하는 것이 촉감 향상 등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상기 저수축 분절용 폴리머와 고수축 분절용 폴리머를 통상의 분할형 복합방사 장치에서 복합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를 사용하여 직물을 제직한 후 정련, 감량, 열고정, 염색, 파이날 세트 공정으로 최종 가공지를 제조한다. 이수축 혼섬사의 감량은 물리적 마찰방법이나 화학적인 용해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상기 정련 및 감량 공정에서의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의 비등수 수축율 차이와 열고정 및 파이날 세트 공정에서의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의 잔류 수축율 차이에 의해 이수축 혼섬 효과가 발현하게 된다. 감량공정에서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이 분할된 후 이들의 비등수 수축율 및 잔류 수축율 차이에 의해 저수축 분절들은 원단 표면으로 부출되고, 고수축 분절은 수축되어 원단 이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은 혼섬 공정없이 자연스럽게 혼섬되어진다. 이와 같이 극세사인 저수축 분절들이 원단 표면으로 부출되기 때문에 원단의 촉감이 향상됨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혼섬 효과에 의해 원단의 벌키성도 향상된다. 특히 고수축 분절의 형태가 다형 단면이기 때문에 혼섬의 효과는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공기교락에 의한 교락점이 없기 때문에 염색시 염반이 발생되지 않아 원단의 품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사 및 가공지의 물성 또는 특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비등수 수축율(%)
일정길이의 원사를 100℃의 열수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원사길이를 측정한 다음 다음 식으로 구한다.
·잔류 수축율(%)
비등수 수축율의 측정이 완료된 원사를 180℃ 열풍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원사길이를 측정한 다음 다음 식으로 구한다.
·전체 수축율(%)
비등수 수축율 및 잔류 수축율의 측정이 완료된 원사의 길이를 측정한 다음 다음 식으로 구한다.
·총 촉감 계수
가와바다 시스템으로 측정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르도 클로로 페놀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6이고 비등수 수축율이 25%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5몰%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고수축 분절용 폴리머]와 25℃ 황산 용매에서 측정한 상대점도가 2.4이고 비등수 수축율이 8%인 폴리아미드[저수축 분절용 폴리머]로 통상의 분할형 복합방사 장치에 공급하여 도 1과 같은 단면형태를 갖는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이수축 복합사를 제조한다.
이때 원사 단면상에서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의 단면적 비는 30:70으로 한다. 상기 이수축 복합사를 평직물(경사밀도:130본/인치, 위사밀도 85본/인치)을 제직 및 정련하고 염화나트륨으로 감량처리하여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을 분할한다. 계속해서 열고정, 염색 및 최종세트 처리하여 최종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복합사 및 최종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오르도 클로로 페놀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6이고 비등수 수축율이 30%이고, 이소프탈릭 액시드(IPA)가 5몰%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고수축 분절용 폴리머]와 25℃ 황산 용매에서 측정한 상대점도가 2.4이고 비등수 수축율이 8%인 폴리아미드[저수축 분절용 폴리머]로 통상의 분할형 복합방사 장치에 공급하여 도 1과 같은 단면형태를 갖는 100데니어/36필라멘트의 이수축 복합사를 제조한다.
이때 원사 단면상에서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의 단면적 비는 40:30으로 한다. 상기 이수축 복합사를 평직물(경사밀도:130본/인치, 위사밀도 85본/인치)을 제직 및 정련하고 염화나트륨으로 감량처리하여 고수축 분절과 저수축 분절을 분할한다. 계속해서 열고정, 염색 및 최종세트 처리하여 최종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복합사 및 최종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공기교락 장치에 비등수 수축율이 8%인 70데니어/9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함과 동시에 비등수 수축율이 30%인 30데니어/12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연신사를 심사로 공급한 후, 이들을 2.0㎏/㎠의 공기압 및 400m/분의 사속으로 공기교락시켜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혼섬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최종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혼섬사 및 최종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공기교락 장치에 비등수 수축율이 8%인 70데니어/96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 연신사를 효과사로 공급함과 동시에 비등수 수축율이 30%이고 해성분 용출 후 단사섬도가 0.05데니어인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심사로 공급한 후, 이들을 2.0㎏/㎠의 공기압 및 400m/분의 사속으로 공기교락시켜 이수축 혼섬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혼섬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최종 가공지를 제조한다. 제조한 이수축 혼섬사 및 최종 가공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 표 1 > 원사 및 최종 가공지 물성 측정결과
본 발명의 이수축 복합사는 제직 등의 후가공 통과성이 양호하며, 원단제조시 제조된 원단의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하고 염반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이수축 혼섬사는 공기교락 공정이 생략된 일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원가가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 이수축 복합사의 분할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이수축 복합사의 분할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저수축 분절 2 : 고수축 분절

Claims (3)

  1. 아래 식(Ⅰ)의 수축 특성을 만족하며 서로 비상용성인 저수축 분절(1)과 고수축 분절(2)로 구성되며, 원사 단면상에 상기 저수축 분절(1)들이 고수축 분절 사이사이에 위치하며, 전체 이수축 복합사의 단면적에 대한 저수축 분절(1)의 단면적 비가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2. 1항에 있어서, 저수축 분절의 비등수 수축율(S1)은 3~30%이고 고수축 분절의 비등수 수축율(S2)은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3. 1항에 있어서, 저수축 분절은 폴리아미드이고 고수축 분절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디메틸-5-술포이소프탈레이트(DMIS) 및/또는 이소프탈릭 액시드(IPA)가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KR1019980038593A 1998-09-18 1998-09-18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KR10053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593A KR100534518B1 (ko) 1998-09-18 1998-09-18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593A KR100534518B1 (ko) 1998-09-18 1998-09-18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44A KR20000020144A (ko) 2000-04-15
KR100534518B1 true KR100534518B1 (ko) 2006-03-20

Family

ID=1955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593A KR100534518B1 (ko) 1998-09-18 1998-09-18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65B1 (ko) 2012-09-20 2014-08-05 (주)파카 분할형 이형단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270A (ko) * 1999-12-27 2001-07-09 구광시 방사조업성이 우수한 복합섬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126A (ja) * 1990-08-27 1992-04-09 Toyobo Co Ltd 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4902B1 (ko) * 1994-06-18 2001-10-24 구광시 폴리에스테르분할형복합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8126A (ja) * 1990-08-27 1992-04-09 Toyobo Co Ltd 異収縮混繊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4902B1 (ko) * 1994-06-18 2001-10-24 구광시 폴리에스테르분할형복합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65B1 (ko) 2012-09-20 2014-08-05 (주)파카 분할형 이형단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144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7029C2 (ru) Сопряженный мультифиламент типа море-остров, содержащий окрашенный в массе компон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2007262610A (ja) 混繊糸
KR100534518B1 (ko) 촉감 및 벌키성이 우수한 이수축 복합사.
JPS6364535B2 (ko)
RU2284382C2 (ru) Ткань из ультратонкой нити с превосходными устойчивостью к стирке и светостойкостью
JP3692001B2 (ja) 伸縮性織物
JP4233245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912065B2 (ja) 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および仮撚加工糸
KR100530573B1 (ko) 극세섬유 경편지의 제조방법.
KR100462502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섬유 직물의 제조방법
JP4123646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KR100476472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JP2000136440A (ja)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KR10021121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
JP4363235B2 (ja) セルロース脂肪酸エステル系繊維を用いた裏地用織物
KR940004699B1 (ko) 촉감이 유연한 고밀도 직물의 제조방법
JP2000248430A (ja)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KR20020078701A (ko)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
KR100313565B1 (ko) 외관과촉감이우수한이수축혼섬사직물의제조방법
KR19980066988A (ko) 극세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7646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
KR100482452B1 (ko) 분할형 복합섬유.
KR100611839B1 (ko)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폴리에스테르 직물
JP2001123358A (ja) 織編物
JPH07316946A (ja) 軽量布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