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362B1 - 연료도어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연료도어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62B1
KR100534362B1 KR1020040049101A KR20040049101A KR100534362B1 KR 100534362 B1 KR100534362 B1 KR 100534362B1 KR 1020040049101 A KR1020040049101 A KR 1020040049101A KR 20040049101 A KR20040049101 A KR 20040049101A KR 100534362 B1 KR100534362 B1 KR 100534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fuel door
rack gear
hous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도어의 개방력 향상시키고,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가 연료도어 하우징에 고착되어 열림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범퍼 푸싱수단을 구비한 연료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는, 차량내 핸들레버의 조작에 따른 작동력이 메인케이블을 통하여 연료도어 하우징 일측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전달되고, 그 작동력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슬라이딩되면서 연료도어 로킹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연료도어가 개방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연료도어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범퍼가 마주하는 위치의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에 설치된 푸셔하우징,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범퍼와 간섭되도록 설치되며, 기어부를 갖는 푸셔,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대향배치되는 랙기어, 상기 메인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선단이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케이블과 일체로 작동되는 서브케이블, 상기 랙기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가 상기 서브케이블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시 전방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푸셔와 랙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푸셔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도어 개방구조{Opening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본 발명은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도어의 개방력 향상시키고, 연료도어 오버슬램 범퍼가 연료도어 하우징에 고착되어 열림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범퍼 푸싱수단을 구비한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도어 내측면에는 통상 오버슬램범퍼라고 불리는 범퍼가 설치되는데,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로 연료도어(20)의 내측면 바깥쪽에 상하로 2개가 설치되며, 연료도어(20)를 닫을 때 연료도어 하우징(10)에 연료도어(20)가 직접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료도어(20)와 연료도어 하우징(10)간의 간격 혹은 단차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연료도어(20)가 수동에 의해 닫힐 때가 아닌, 차량내의 핸들레버(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열릴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핸들레버(미도시)의 조작으로 메인케이블(3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31)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연료도어 로킹부(22)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서 힌지부(23)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도어(20)가 자동적으로 열려야 하는데, 겨울철 영하의 기온으로 인해 범퍼(21)와 연료도어 하우징(10) 사이에 결빙이 발생하거나, 범퍼(21)불량으로 인해 범퍼가 연료도어 하우징(10)에 고착되어 있는 경우에 연료도어가 제대로 열리지 않는 열림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료도어의 개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범퍼가 연료도어 하우징에 고착된 경우 범퍼를 강제적으로 푸싱하여 열림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연료도어 개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는, 차량내 핸들레버의 조작에 따른 작동력이 메인케이블을 통하여 연료도어 하우징 일측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전달되고, 그 작동력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슬라이딩되면서 연료도어 로킹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연료도어가 개방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연료도어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범퍼가 마주하는 위치의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에 설치된 푸셔하우징,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범퍼와 간섭되도록 설치되며, 기어부를 갖는 푸셔,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대향배치되는 랙기어, 상기 메인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선단이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케이블과 일체로 작동되는 서브케이블, 상기 랙기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가 상기 서브케이블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시 전방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푸셔와 랙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푸셔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푸셔는 전방측이 폐쇄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푸셔의 상측 내주면과 하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셔 내측으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기어부에 대응하도록 나사산이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푸셔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푸셔하우징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의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설명에서의 길이방향은, 랙기어의 슬라이딩 방향 혹은 푸셔의 슬라이딩 방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별도의 구분이 없는 한, 동일한 명칭은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재를 지칭하며,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된 부재와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연료도어(20)의 일반적인 개방구조를 살펴보면, 연료도어 개방구조는, 연료도어 하우징(10)의 내측공간으로 돌출설치된 스트라이커(31)와, 일측은 스트라이커(31)에 그리고 타측은 차량 내의 핸들레버(미도시)에 연결되는 메인케이블(30)과, 연료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스트라이커(31)에 의해 구속되는 로킹부(22)와, 연료도어(20)를 연료도어 하우징(10)에 힌지고정하되 연료도어(20)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부(2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는 이에 더하여, 메인케이블(30)로부터 분기되는 2개의 서브케이블(40)과, 이 서브케이블(40)에 의해 작동되는 푸셔(50) 그리고 푸셔(50)의 작동을 매개하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서브케이블(40)과 푸셔(50)에 의한 연료도어 개방구조를 살펴본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서브케이블(40)은 메인케이블(30)로부터 분기되어 연료도어 하우징(10)에 설치된 푸셔(50)에 연결되는데, 메인케이블(30)로부터 분기되어 있을 뿐 메인케이블과 일체로 작동되며,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서브케이블(40)은, 차량내 설치된 핸들레버(미도시)를 잡아당김에 따른 작동력을 메인케이블을 통하여 그대로 전달받는다.
도 4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50)는, 연료도어(20)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범퍼(21)에 대응하는 위치의 연료도어 하우징(10), 정확하게는 푸셔하우징(6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연료도어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그 선단부가 연료도어 하우징(10) 외부로 출몰된다.
푸셔(5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푸셔(50)는, 단면형상이 사각인 홈부(52)가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직육면체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기어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푸셔(50)의 전방측은 폐쇄되고 후방은 개방되어 있는데, 전방의 폐쇄부는 중공의 몸체부분 보다 직경이 크며, 원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푸셔(50)는 전방이 개방된 푸셔하우징(60) 내에 삽입설치되어 있는데, 푸셔하우징(60)의 후면 내측에는 푸셔하우징(60)의 길이방향으로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62)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탄성스프링(43)의 장착 및 랙기어(41)의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며, 개방된 전방에는 푸셔(50)의 폐쇄부와 간섭되는 단턱(61)이 형성되어 있어 푸셔하우징(60)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푸셔(5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한다. 가이드(62)는, 푸셔(50)가 푸셔하우징(60)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푸셔(50)의 삽입홈(52) 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서브케이블(40)의 선단측은, 푸셔하우징(60)의 후방을 관통하여, 홈부(52)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랙기어(41) 후단에 연결된다.
랙기어(4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상면과 하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단에 서브케이블(40)에 연결되어 있어 서브케이블(40)이 랙기어(41)를 잡아당기면 그 작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이 가이드(62) 내에는 서브케이블(40)의 선단부에 끼워져 일단은 랙기어(41)의 후단을 타단은 푸셔하우징(6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케이블(40)에 의해 잡아당겨진 랙기어(41)는, 가이드(62)의 안내에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었다가 탄성스프링(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푸셔(50)와 랙기어(41)의 사이에는 랙기어(4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길이방향(회전축 방향이기도 하다)을 갖는 2개의 피니언(42)기어가 개재되는데, 이 피니언기어(42)는, 랙기어(41)의 상면과 이에 대향배치되는 푸셔(50)의 기어부(51)(상측 내주면) 그리고 랙기어(41)의 하면과 이에 대향배치되는 푸셔(50)의 기어부(51)(하측 내주면)에 각각 치합되어 있으며, 전진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는 랙기어(41)와 푸셔(50)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면서 랙기어(41)가 슬라이딩되는 반대방향으로 푸셔(50)가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의 작용을 살펴본다.
차량 내에 설치되는 핸들레버를 잡아당기면, 메인케이블(30)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케이블(40)이 그 작동력을 랙기어(41)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랙기어(41)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랙기어(4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42)는 회전운동(상측 피니언은 반시계방향, 하측 피니언은 시계방향)되며 푸셔(50)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며, 이러한 푸셔(50)에 의해 연료도어의 범퍼(21)가 밀쳐진다. 따라서, 푸셔(50)에 의해 연료도어의 개방력이 향상되며, 메인케이블(30)에 연결된 스트라이커(31)에 의한 구속력이 해제되었음에도 범퍼(21)와 연료도어 하우징(10)간의 고착상태로 인하여 열림불량이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된다.
그리고, 해들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전진 슬라이딩되었던 푸셔(50)는, 탄성스프링(4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랙기어(41)에 의해 후방으로 원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각 구성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 특히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에 의한 푸셔의 작동구조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따르면, 푸셔에 의해 연료도어의 개방력이 향상되며, 범퍼가 연료도어 하우징에 고착됨으로 인한 연료도어의 열림불량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연료도어 개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연료도어 개폐용 스트라이커에 연결되는 메인케이블이 도시되었다.
도 2는 연료도어가 닫혀져 연료도어 하우징에 범퍼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메인케이블과 연료도어 푸싱부에 연결되는 서브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개방구조의 범퍼푸싱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료도어 하우징 20: 연료도어
21: 범퍼 22: 로킹부
30: 메인케이블 31: 스트라이커
40: 서브케이블 41: 랙기어
42: 피니언기어 50: 푸셔
51: 기어부 60: 푸셔하우징

Claims (3)

  1. 차량내 핸들레버의 조작에 따른 작동력이 메인케이블을 통하여 연료도어 하우징 일측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전달되고, 그 작동력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슬라이딩되면서 연료도어 로킹부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연료도어가 개방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연료도어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범퍼가 마주하는 위치의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에 설치된 푸셔하우징;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범퍼와 간섭되도록 설치되며, 기어부를 갖는 푸셔;
    상기 푸셔하우징 내에 전후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대향배치되는 랙기어;
    상기 메인케이블로부터 분기되어 선단이 상기 랙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케이블과 일체로 작동되는 서브케이블;
    상기 랙기어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가 상기 서브케이블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시 전방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푸셔와 랙기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셔의 기어부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푸셔 및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전방측이 폐쇄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푸셔의 상측 내주면과 하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푸셔 내측으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기어부에 대응하도록 나사산이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푸셔하우징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랙기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중공의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개방구조.
KR1020040049101A 2004-06-28 2004-06-28 연료도어 개방구조 KR10053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01A KR100534362B1 (ko) 2004-06-28 2004-06-28 연료도어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01A KR100534362B1 (ko) 2004-06-28 2004-06-28 연료도어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362B1 true KR100534362B1 (ko) 2005-12-08

Family

ID=3730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101A KR100534362B1 (ko) 2004-06-28 2004-06-28 연료도어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6A (zh) * 2012-12-21 2013-03-2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锁止机构可伸缩的加油口盖系统
KR201900697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티 아이싱 충전도어 장치 및 친환경 차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5776A (zh) * 2012-12-21 2013-03-20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锁止机构可伸缩的加油口盖系统
CN102975776B (zh) * 2012-12-21 2015-08-19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锁止机构可伸缩的加油口盖系统
KR20190069721A (ko) * 2017-12-12 2019-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티 아이싱 충전도어 장치 및 친환경 차량
KR102452695B1 (ko) 2017-12-12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티 아이싱 충전도어 장치 및 친환경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240B2 (en) Closing device for furniture
JP6110333B2 (ja) 車両のパーキングロック解除装置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CN102155110B (zh) 门把手装置
US20050253400A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US730281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US6598911B2 (en) Latch arrangement
KR100534362B1 (ko) 연료도어 개방구조
JP2007153155A (ja) リッド構造
KR890001458Y1 (ko) 문짝용 핸들장치
WO2020162397A1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5320646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ロック装置
WO2017145405A1 (ja) 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付きドアラッチ装置及び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の組付方法
WO2022224791A1 (ja) 進退移動装置
JP4854073B2 (ja) 制動機構
CN106458153A (zh) 转向锁定装置
US11859415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11964631B2 (en) Damper device
JP6658468B2 (ja) フューエルリッド構造
US20070158152A1 (en) Device for slowing the movement of a drawer or similar movable memeber, having releasable locking means
JP5339619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5162793B2 (ja) 車両シート用ラッチ装置
JP4426994B2 (ja) 車載用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JP7365508B2 (ja) ロック装置
GB2590227A (en) Hand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