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040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3040B1
KR100533040B1 KR10-2004-0010435A KR20040010435A KR100533040B1 KR 100533040 B1 KR100533040 B1 KR 100533040B1 KR 20040010435 A KR20040010435 A KR 20040010435A KR 100533040 B1 KR100533040 B1 KR 10053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ower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075A (ko
Inventor
송양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3040B1/ko
Priority to CN2004100915149A priority patent/CN1658641A/zh
Publication of KR2005008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 제어에 있어서, 임의의 기기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력을 일정 값 이상으로 높임으로써 기지국의 전력이 높은 지역에서도 원활한 기기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휴대폰의 메뉴화면에서 제어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어모드 선택이 확인되면 인증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인증이 성공되면 폰 송신전력을 최대로 설정하고 원격 제어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원격제어 종류 중 자동차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차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도어록 제어인지 또는 시동 제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록 제어 또는 시동 제어 선택에 따른 해당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회신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회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해석하여 해당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LING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액세스(Access)를 시도하려는 경우 초기에 개방 루프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방식으로 송신전력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개방 루프 전력제어 방식은 기지국에서의 신호수신세기(RSSI) 값에 따라 전력을 자동으로 설정하게 된다.
초기송신전력은 기지국(BS : Base Station)에서 내려주는 액세스 파라미터 메시지(access parameter message)에 포함된 시스템 파라미터(INIT_PWR, NOM_PWR)를 반영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NOM_PWR와 INIT_PWR은 기지국이 액세스 파라미터 메시지(Access Parameters Message)를 통해 전송한 시스템 파라미터 값이며, '73'은 오프셋 전력(offset pwr) 값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 초기송신전력 값으로 기지국으로의 액세스를 시도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입력 전력에 따라 송신출력 전력이 변화되는데 이는 휴대폰의 평균송신전력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은 연산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수학식 2]에서 NOR_PWR_EXT는 확장 핸드오프 방향 메시지(Extended Handoff Direction Message)에 의해 정해진다.
즉, 이동통신단말기가 받는 수신입력전력에 따라 단말기의 송신전력이 변경되어 단말기 유효반경이 유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를 [수학식 2]에서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신호로부터 측정된 전체 평균수신전력이 커지면 기지국이 가까운 곳에 있음을 인식하여 적은 전력의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상기 적은 전력의 신호도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 전력이 제어됨으로 기지국의 전력이 높은 경우에는 단말기 전력이 낮아져 유효 반경이 좁아지고 반대로, 기지국의 전력이 낮은 경우에는 단말기 전력이 높아져 유효 반경이 넓어진다는 것이다.
한편,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 제어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는 2001년 특허출원 46958호(명칭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록 개폐 장치 및 그 제어방법)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잠금제어 모드가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잠금 장치로 단말기 번호 및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잠금 장치의 열쇠 구동부를 작동시켜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지국의 전력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력이 결정됨으로 기지국의 전력이 낮은 지역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력이 높아 제어할 기기에 제어신호가 정확히 전달되지만, 만일 기지국의 전력이 높은 지역의 경우라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낮은 전력으로 인해 제어할 기기까지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어 해당 기기의 제어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전력이 낮은 경우에도 사용자 알 수 없으므로 기기가 제어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해당 기능 또는 해당 기기의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 제어에 있어서, 임의의 기기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일정 값 이상으로 높임으로써 기지국의 전력이 높은 지역에서도 원활한 기기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창안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단말기 송신 전력의 레벨을 증폭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키 조작을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해당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제어 상태를 회신받아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제어 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폰"이라 약칭하고 상기 휴대폰으로 제어할 기기는 "자동차"로서 제어 기능은 "도어록 제어", "시동 제어"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자동차에 장착된 제어모듈은 휴대폰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실행시킨 후 그 실행 상태에 따른 정보를 휴대폰으로 회신하도록 구성함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자동차 제어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의 메뉴화면에서 제어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제어모드 선택이 확인되면 인증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인증이 성공되면 폰 송신전력을 최대로 설정하고 원격 제어 종류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원격제어 종류 중 자동차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자동차 제어 메뉴가 선택되면 도어록 제어인지 또는 시동 제어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록 제어 또는 시동 제어 선택에 따른 해당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따른 회신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회신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해석하여 해당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동차 제어 단계는 도어록 메뉴와 시동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도어록 메뉴 선택으로 확인되면 도어 잠금 해제인지 또는 도어 잠금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도어 잠금 해제/잠금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고 해당 상태를 회신받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시동 메뉴 선택으로 확인되면 시도 온인지 또는 시동 오프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시동 온/오프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고 해당 제어상태를 회신받아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폰의 초기화면에서 메인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폰에 탑재된 다양한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폰 메뉴화면에서 이전버튼을 선택하면 초기화면으로 복귀하고 메뉴화면의 다양한 메뉴 중 제어모드 메뉴를 선택하면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기 위한 암호입력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암호와 현재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따라서, 상기 과정에서 암호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폰 송신전력을 최대로 설정하고 다양한 원격제어 기능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에서 자동차 제어를 전제로 가정하였으므로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자동차 제어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이후, 사용자가 자동자 제어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도어록 메뉴와 시동 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도어록 메뉴가 선택되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도어 잠김해제 기능이 선택되는지 또는 도어 잠김 기능이 선택되는지 확인하고 해당 선택기능에 따른 제어신호를 RF부(도면 미도시)를 제어하여 최대송신전력으로 송출시키게 된다.
이후, 자동차에 탑재된 해당 제어모듈에서 휴대폰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해독하여 도어록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수행하고 그 수행에 따른 도어록 상태정보를 휴대폰으로 회신한다.
따라서, 휴대폰은 자동차에 탑재된 제어모듈로부터 도어록 동작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이를 해독한 후 현재 자동차에서 제어된 도어록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시동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도어록 메뉴의 선택 시에 따른 동작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최대 송신전력으로 송출하고 자동차에 탑재된 제어모듈에서 회신된 시동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초기 원격제어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암호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휴대폰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소정 회수의 암호 입력 과정을 진행시키면서 입력 암호가 미리 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반복된 암호 입력 과정으로도 암호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폰 초기화면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명된 경우 불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폰 자체를 잠금 상태로 전환함과 아울러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폰의 전원을 켠 경우 미리 설정된 암호(이는 원격제어를 위한 암호와 다르게 설정함을 원칙으로 한다)의 입력을 요구하여 정당한 사용자만이 휴대폰을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차의 기능 제어를 위한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임의의 기기(예로, 현관 도어, 조명등, 가전기기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동작을 도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기지국(230)의 송신신호를 수신한 휴대폰(210)는 그 기지국(230)의 송신전력을 측정하여 단말기 송신전력을 설정한다. 이후, 휴대폰(210)은 원격제어 모드의 설정을 인식하면 단말기 송신전력을 최대로 설정하고 키 조작에 의한 기능 제어신호를 최대 송신전력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제어 대상기기(220)는 휴대폰(210)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능을 구동시키고 그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폰(110)으로 회신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단말기 송신전력을 최대 송신전력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해당 기능의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유효 반경을 확장하여 기지국의 송신전력이 높은 지역에서도 단말기의 제어신호가 해당 제어기기에 수신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자동차 기능 제어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능 제어 설명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Claims (3)

  1.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제어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원격 제어 모드가 설정되면 정당한 사용자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이 성공되면 단말기 송신 전력을 증폭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키 조작을 확인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어 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제어 대상기기로부터 제어 상태를 회신받아 동작 상태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를 위한 단말기 송신전력은 최대 송신전력 레벨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KR10-2004-0010435A 2004-02-17 2004-02-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KR100533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35A KR100533040B1 (ko) 2004-02-17 2004-02-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CN2004100915149A CN1658641A (zh) 2004-02-17 2004-11-18 一种利用移动通信终端的远程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435A KR100533040B1 (ko) 2004-02-17 2004-02-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075A KR20050082075A (ko) 2005-08-22
KR100533040B1 true KR100533040B1 (ko) 2005-12-02

Family

ID=3500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435A KR100533040B1 (ko) 2004-02-17 2004-02-17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33040B1 (ko)
CN (1) CN16586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64901B (zh) * 2006-04-29 2010-09-15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无线多跳中继接入网的接入方法、中继站、基站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8641A (zh) 2005-08-24
KR20050082075A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3219B (zh) 以解锁机动车的系统形式的设备和用于解锁机动车的方法
US20070060056A1 (en) Remote Access Method and Device
US201603004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hone key fob management
CN102104435A (zh) 用于交通工具的被动进入系统和方法
KR20170023012A (ko) 전자식 액세스 제어 디바이스 및 액세스 제어 방법
JP2006352460A (ja) 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サービスセンタ及びリモート操作装置
EP3300033B1 (en) Access control system, portable us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CN107968766B (zh) 一种身份认证的方法及装置
CN105848091A (zh) 无钥匙的车辆控制方法及装置
JP2016035133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7444340A (zh) 无线通信系统
CN105196971B (zh) 车辆控制方法、装置、系统及车辆
CN111989723B (zh) 共享系统
KR101459967B1 (ko) 스마트키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JP201503038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携帯機、及び車載機
CN110827449A (zh) 一种智能门锁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706737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認証機、及び携帯機
KR100533040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CN204020809U (zh) 一种控制车辆状态的检测装置及设备
KR20070002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4585961B2 (ja)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
CN105590361A (zh) 一种智能防盗门和对智能防盗门远程开锁的方法
CN113329369B (zh) 车辆解闭锁方法、装置及系统
JP2006347432A (ja) 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KR10031891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고유 정보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