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955B1 -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955B1
KR100532955B1 KR10-2003-0038747A KR20030038747A KR100532955B1 KR 100532955 B1 KR100532955 B1 KR 100532955B1 KR 20030038747 A KR20030038747 A KR 20030038747A KR 100532955 B1 KR100532955 B1 KR 10053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output
puls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014A (ko
Inventor
강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3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955B1/ko
Priority to US10/673,014 priority patent/US6989703B2/en
Publication of KR2004010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H03K5/1534Transition or edge det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293Output pulse is a delayed pulse issued after a rising or a falling edge, the length of the output pulse not being in relation with the length of the input triggering pulse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딜레이 요소들을 통합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복수개의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변환부,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부,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와 딜레이부를 통과하여 일정 시간 지연된 지연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지연 펄스 신호를 입력신호 변환부로 입력된 입력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출력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내부의 딜레이 발생 회로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기능을 갖는 회로의 중복 배치를 피할 수 있어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Shared delay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딜레이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딜레이 요소들을 통합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버퍼 기능이나, 시간 지연 등의 목적으로 그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딜레이 회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내에는 동일한 시간 지연을 가지며, 동일한 시간 지연을 갖는 딜레이 회로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도 많다.
도 1 은 입력신호를 수신한 다음, 이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후 출력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딜레이 회로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의 경우, 각 딜레이 회로의 지연시간과 그 기능은 동일한 것으로 본다.
도 1 에서, "PERI" 는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를 회로 블록에 제공하는 주변 영역을 나타내며, "DELAY" 는 딜레이 회로를 나타낸다. 또한, "BLOCK" 은 반도체 장치내에 있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회로 블록을 의미한다.
도 1 은 회로 블록이 4 개인 경우를 의미하며,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는 각 회로 블록(BLOCK0, BLOCK1, BLOCK2,BLOCK3)에 입력된다.
동작에 있어서, 각 입력신호 및 회로 블록의 선택은 통상 제어신호(예컨대, 어드레스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 회로 블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입력된 신호는 회로 블록내의 딜레이 회로를 거쳐 출력신호(OUTPUT)를 발생하며, 이 출력신호는 해당 회로 블록내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중의 하나가 선택되지만, 특별한 경우 2 개 이상의 입력신호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도 있다.
도 2A, 2B 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딜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 지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흐름(signal flow)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A 는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형식으로 인가되는 레벨 신호의 딜레이 과정을 도시하며, 도 2B 는 펄스 신호의 딜레이 과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딜레이 회로에 인가된 레벨 신호 또는 펄스 신호는 소정 시간 지연되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 1 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회로 블록이 있는 경우, 각 회로 블록에 입력되는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가 동일한 동작을 위한 신호인 경우에도 복수개의 분리된 경로를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동일한 회로 구성 요소인 저항,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동일한 시간 지연을 갖는 딜레이 회로들이 각 회로 블록마다 중복 배치되어 면적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정, 전압,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 지연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일한 지연시간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딜레이 회로를 중복 배치하지 않으며, 동일한 지연 특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회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지연시간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복수개의 딜레이 회로를 하나의 공유 딜레이 회로로 대체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회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는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며, 하나의 공유 딜레이 회로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는 입력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시키고, 소정 시간 지연 시킨 후, 펄스 신호를 입력신호와 동일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는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복수개의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변환부,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부,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와 딜레이부를 통과하여 일정 시간 지연된 지연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지연 펄스 신호를 입력신호 변환부로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출력 제어부를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현된 반도체 장치의 공유 딜레이 회로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공유 딜레이 회로는 입력신호 변환부(300), 공유 딜레이부(320), 출력 제어부(340)를 구비한다. 회로 블록부(360)은 출력 제어부(34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하는 부분이다.
도 3 에 있어서, 입력신호 변환부(300)는 복수개의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펄스 변환부(310, 311, 312, 313)를 구비한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는 입력 신호가 4 개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펄스 변환부(310, 311, 312, 313)는 그 회로 구조가 동일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공유 펄스 변환부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펄스 변환부(310, 311, 312, 313)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를 수신한 다음,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4A 내지 4D 는 펄스 변화부에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파형과 펄스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펄스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다.
입력신호는 일반적으로 레벨 신호 또는 펄스 신호의 2 종류가 있다. 여기서, 도 4A, 4B 는 레벨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4C, 4D 는 펄스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 는 하이 레벨로 천이하는 레벨 신호를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 경우, 펄스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펄스 변환부의 구성에 따라서 일정 폭의 로우 펄스 또는 일정 폭의 하이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B 는 로우 레벨로 천이하는 레벨 신호를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A 와 마찬가지로, 펄스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펄스 변환부의 구성에 따라서 일정 폭의 로우 펄스 또는 일정 폭의 하이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C 는 라이징 펄스 신호를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여기서, 펄스 변환부는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폭 변조된 펄스 신호를 출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폭 변조된 펄스 신호는 일정 폭의 로우 펄스 또는 일정 폭의 하이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D 는 폴링 펄스 신호를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C 와 마찬가지로, 펄스 변환부는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펄스 폭을 변조하여 폭 변조된 펄스 신호를 출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폭 변조된 펄스 신호는 일정 폭의 로우 펄스 또는 일정 폭의 하이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신호를 소정 폭의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이유에 대하여는 후술된다.
다음, 도 3 에 있어서, 공유 딜레이부(302)는 하나의 딜레이부(330)를 포함하며, 딜레이부(330)는 복수개의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를 수신한 다음, 일정시간 지연된 지연신호(DELAY OUTPUT)를 출력한다. 여기서, 공유 딜레이부(320)는 딜레이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지연신호(DELAY OUTPUT)외에 복수개의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를 출력 제어부(340)에 인가한다.
도 3 의 딜레이부(33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의 일예들은 도 5A, 5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에 도시된 딜레이부(330)의 일예는 4 개의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를 수신하는 펄스신호 감지부(331)와 펄스신호 감지부(331)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딜레이 제어부(333)를 포함한다. 펄스신호 감지부(331)는 NAND 게이트(331)로 구성되며, 복수개의 펄스신호중의 하나가 액티브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5A 는 펄스신호가 로우 펄스인 경우 액티브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신호중의 하나가 액티브 되면(즉, 일정 폭을 갖는 로우 펄스 신호가 인가되면), NAND 게이트(331)는 동일한 펄스폭을 갖는 하이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딜레이 제어부(333)는 소정의 시간 지연을 위한 회로로 구성되며, 이러한 딜레이 제어부의 구성은 당업자가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당업자는 딜레이 체인 등을 이용하여 시간 지연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NAND 게이트(331)의 출력신호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딜레이 제어부(333)로부터 출력된다. 딜레이 제어부(333)의 출력신호는 "DELAY OUTPUT" 으로 표시된다.
도 5B 에 도시된 딜레이부(330)의 다른 일예는 4 개의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를 수신하는 NOR 게이트(332)와 NAND 게이트(334) 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딜레이 제어부(334)를 포함한다. 도 5B 는 펄스신호가 하이 펄스인 경우 액티브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신호중의 하나가 액티브 되면(즉, 일정 폭을 갖는 하이 펄스 신호가 인가되면), NOR 게이트(332)는 동일한 펄스폭을 갖는 로우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딜레이 제어부(334)는 소정의 시간 지연을 위한 회로로 구성되며, 이러한 딜레이 제어부의 구성은 당업자가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A 와 마찬가지로, NOR 게이트(332)의 출력신호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딜레이 제어부(334)로부터 출력된다. 딜레이 제어부(333)의 출력신호는 "DELAY OUTPUT" 으로 표시된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딜레이 제어부의 출력신호는 펄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한 신호이다.
다음, 도 3 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340)는 펄스 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와 함께 딜레이부(330)의 출력신호(DELAY OUTPUT)를 수신하며, 그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은 도 6 과 도 7A, 7B 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출력 제어부(34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출력 제어부(340)는 복수개의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342, 344, 346, 348)을 포함한다.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342, 344, 346, 348)는 딜레이부(330)의 출력신호(DELAY OUTPUT)를 수신한다.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342, 344, 346, 348)의 출력신호는 "OUTPUT0", "OUTPUT1", "OUTPUT2", "OUTPUT3" 로 표시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도 7A, 7B 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7B 는 도 6 에 도시된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의 내부 구성도로서, 도 7A 는 자동 리셋 타입(Auto Reset Type)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을 나타내고, 도 7B 는 매뉴얼 리셋 타입(Manual Reset Type)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을 나타낸다.
도 7A 에 있어서, 자동 리셋 타입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은 딜레이부(330)의 출력신호(DELAY OUTPUT)를 수신하는 스위치(700)와, 펄스신호(예컨대, PULSE0)를 수신하여 스위치(700)를 턴온/오프시키는 스위치 제어부(702)와, 스위치(7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DELAY OUTPUT)를 수신하는 제어부(704)를 구비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입력신호가 "INPOU0" 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3 및 도 7A 에 있어서, 펄스 변환부(310)는 입력신호(INPUT0)를 수신하여 펄스 신호(PULSE0)를 출력한다. 또한, 딜레이부(330)의 출력신호(DELAY OUTPUT)은 펄스 신호(PULSE0)가 소정 시간 지연된 신호이다.
동작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앞서는 펄스 신호(PULSE0)가 스위치 제어부(702)에 인가되어 스위치(700)를 턴온시키면, 소정 시간 지연 된 후에 딜레이부(330)의 출력신호(DELAY OUTPUT)가 스위치(700)를 통과하여 제어부(704)로 입력된다. 제어부(704)는 입력된 신호(DELAY OUTPUT)에 대한 출력을 펄스 신호로 출력할 것인지, 레벨 신호로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또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레벨 신호 또는 펄스 신호중의 하나인 입력신호(INPUT0)가 펄스 변환부(310)에 의하여 소정의 펄스 신호로 변환되었더라도, 최종적으로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342)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OUTPUT0)는 소정 시간 지연된 입력신호(INPUT0)일 것이다. 여기서, 도 7A 의 자동 리셋 타입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은 제어부(704)의 출력신호가 펄스 신호인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로서, 제어부(704)로부터 펄스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치(700)를 폐쇄(close)하라는 신호를 스위치 제어부(702)로 보낸다. 이 경우, 스위치 제어부(704)는 스위치(700)를 폐쇄하며, 따라서 딜레이 공유 회로는 다음 입력신호가 인가되기까지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도 7B 의 매뉴얼 리셋 타입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은 제어부(704)의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과 같은 레벨 신호인 경우에 사용되는 모드로서, 외부의 리셋 신호(RESET0)를 사용하여 스위치 제어부(702)와 제어부(704)의 출력을 프리차지 상태로 강제로 리셋시키는 회로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7A 와 동일하다.
도 8A 는 출력 제어부(340)의 최종 출력이 펄스 신호인 자동 리셋 타입의 딜레이 공유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A 에 있어서,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는 도 3 의 입력신호 변환부(300)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상 타잎 1 과 같은 펄스신호(PULSE0)가 인가되었다고 가정한다.
타잎 1 의 펄스신호(PULSE0)가 인버터(INV1)를 통과하면 그림과 같이 타잎2 의 펄스신호가 된다. 참고로, 인버터(INV1)를 사용하여 타잎2 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딜레이 제어부(333)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와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서이다.
다음, 타잎 1 의 펄스신호(PULSE0)가 NAND 게이트(331)를 통과하면 타잎2 의 펄스신호가 되며, 이 펄스신호가 딜레이 제어부(333)를 통과하면 소정 시간 지연된 타잎 2 의 펄스신호가 딜레이 제어부(333)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NAND 게이트(331)와 딜레이 제어부(333)는 도 3 의 딜레이부(330)를 나타낸다.
동작에 있어서, 인버터(INV1)로부터 출력된 타잎2 의 펄스신호는 NMOS 트랜지스터(N1)을 턴온시킨다. NMOS 트랜지스터(N1)가 턴온되면, 래치 회로(INV2, INV3)에 의하여 스위치 기능을 갖는 전송 게이트(TG1)는 오픈 상태를 유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딜레이 제어부(333)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가 오픈되어 있는 전송 게이트(TG1)를 통과하여 제어부(704)에 인가된다. 제어부(704)는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며, 이 펄스신호는 입력신호(INPUT0)의 파형과 동일하다. 따라서, 입력신호(INPUT0)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제어부(704)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하여 PMOS 트랜지스터(P1)가 턴온되면, 래치 회로(INV2, INV3)에 의하여 전송 게이트(TG1)는 폐쇄 상태(closed state)를 유지한다. 이 경우,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342)는 대기 모드를 유지하며, 다음 입력신호가 인가되기를 기다린다.
참고로, 도 8A 에 있어서, 전송 게이트(TG1)는 도 7A 의 스위치(700)를 나타내며, 래치 회로(INV2, INV3)는 도 7A 의 스위치 제어부(702)를 나타내며, NMOS 트랜지스터(N1)는 펄스신호(PULSE0)를 수신하여 도 7A 의 스위치 제어부(702)를 제어하는 소자를 나타내며, PMOS 트랜지스터(P1)는 제어부(704)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도 7A 의 스위치 제어부(702)를 제어하는 소자를 나타낸다.
도 8B 는 출력 제어부(340)의 최종 출력이 레벨 신호인 매뉴얼 리셋 타입의 딜레이 공유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B 의 회로는 입력신호(예컨대, INPUT0)가 레벨 신호인 경우에 사용되는 회로로서, 제어부(704)의 출력되는 신호가 레벨 신호이며, 리셋 신호(RESET0)에 의하여 PMOS 트랜지스터(P1)와 제어부(704)가 초기화된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A 의 회로와 그 동작이 동일하다.
동작에 있어서,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입력신호(INPUT0)는 딜레이 공유 회로를 통과하여 일정 시간 후에 제어부(70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리셋 신호(RESET0)가 인가되기 전에는, 제어부(704)는 현재 레벨 신호를 유지하며, 이 경우에는 새로운 펄스신호(PULSE0)가 인가되더라도 무시된다. 그러나, 리셋 신호(RESET0)가 인가되기 전이라도, 펄스신호(PULSE1, PULSE2, PULSE3)는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리셋 신호는 각 회로 블록별로 입력되거나 동시에 입력될 수도 있다. 리셋 신호(RESET0)가 인가되면, 전송 게이트(TG1)은 폐쇄되고, 제어부(704)의 출력은 대기모드인 프리차지 상태로 된다.
도 9 는 도 8B 에 사용된 제어부(704)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전송 게이트(TG1)를 통과한 펄스 신호가 제어부(704)에 인가되면, 제어부(704)의 출력단은 프리차지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며, 리셋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는 래치 회로에 의하여 액티브 상태를 계속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레벨 신호인 입력신호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출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딜레이 공유 회로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력신호(INPUT0, INPUT1, INPUT2, INPUT3)를 지연시키는 하나의 공통된 딜레이 회로를 사용한다.
2) 입력신호의 형태가 펄스 신호인지, 레벨 신호인지 문제되지 않는다.
3) 공유 딜레이 회로를 사용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일정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한다. 즉, 입력신호를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로 변환한다.
4)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와 소정 시간 지연된 펄스신호(PULSE0, PULSE1, PULSE2, PULSE3)를 스위치 및 출력 제어부로 전송한다.
5) 지연되지 않은 펄스신호는 스위치 및 출력 제어부의 스위치 제어부(도 7 의 702)를 제어하여 스위치(700)를 오픈 상태로 유지한다.
6) 그 후, 딜레이부를 통과하여 일정 시간 지연된 펄스신호가 스위치(700)를 통하여 제어부(704)로 전송된다.
7) 제어부(704)는 입력된 펄스신호를 입력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레벨 신호 또는 펄스 신호로 변환시킨다.
8) 제어부(704)의 출력신호는 대응하는 회로 블록에 인가된다.
9)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신호는 일정시간 경과 후 그 원래의 형태로 출력되어 회로 블록에 인가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딜레이부(330)의 지연 시간은 입력신호간의 최소 딜레이(즉, 현재 입력신호와 후속 입력신호간의 간격)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내부의 딜레이 발생 회로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기능을 갖는 회로의 중복 배치를 피할 수 있어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지연 회로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발생하는 고정 변화, 전압 변화, 온도 변화에 따른 딜레이 차이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반도체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딜레이 회로 구조도.
도 2A, 2B 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딜레이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킨 지연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현된 반도체 장치의 공유 딜레이 회로의 실시예.
도 4A 내지 4D 는 펄스 변화부에 인가되는 입력신호의 파형과 펄스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인 펄스 신호의 파형도.
도 5A, 5B 는 도 3 의 딜레이부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의 일예.
도 6 은 도 3 의 출력 제어부의 기본 구성도.
도 7A, 7B 는 도 6 에 도시된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의 내부 구성도.
도 8A 는 출력 제어부의 최종 출력이 펄스 신호인 자동 리셋 타입의 딜레이 공유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8B 는 출력 제어부의 최종 출력이 레벨 신호인 매뉴얼 리셋 타입의 딜레이 공유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9 는 도 8B 에 사용된 제어부의 일예

Claims (11)

  1. 복수개의 입력신호를 복수개의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입력신호 변환부,
    상기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펄스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부,
    상기 입력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펄스신호와, 상기 딜레이부를 통과하여 일정 시간 지연된 지연 펄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지연 펄스 신호를 상기 입력신호 변환부로 입력된 상기 입력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및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변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펄스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레벨 신호 또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는 상기 복수개의 펄스신호중의 하나가 액티브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펄스신호 감지부와,
    상기 펄스신호 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한 다음,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신호 감지부는 NAND 게이트 또는 NOR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및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펄스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은 상기 펄스신호에 의하여 액티브되며, 상기 지연 펄스 신호를 상기 입력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및 출력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펄스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스위치 및 출력 제어 유닛은 스위치, 스위치 제어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턴온/오프를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지연 펄스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제어부로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지연 펄스 신호를 상기 입력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신호가 출력된 후, 외부 신호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스위치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대기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10. 삭제
  11. 삭제
KR10-2003-0038747A 2003-06-16 2003-06-16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KR10053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747A KR100532955B1 (ko) 2003-06-16 2003-06-16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US10/673,014 US6989703B2 (en) 2003-06-16 2003-09-26 Shared delay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747A KR100532955B1 (ko) 2003-06-16 2003-06-16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014A KR20040108014A (ko) 2004-12-23
KR100532955B1 true KR100532955B1 (ko) 2005-12-01

Family

ID=3350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747A KR100532955B1 (ko) 2003-06-16 2003-06-16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89703B2 (ko)
KR (1) KR100532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9079B2 (ja) * 2004-12-28 2007-12-05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遅延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2031175B1 (ko) * 2012-06-13 2019-10-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40002133A (ko) 2012-06-28 2014-01-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신호 지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0109A (en) * 1971-11-15 1973-09-18 Nissan Motor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JPS565536B2 (ko) * 1973-05-21 1981-02-05
US4159528A (en) * 1978-03-22 1979-06-26 Rca Corporation Parallel transfer analyzer for performing the chirp Z transform
FR2666183B1 (fr) * 1990-08-23 1992-11-06 Bull Sa Circuit a constante de temps reglable et application a un circuit a retard reglable.
US5490126A (en) * 1993-04-07 1996-0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on a disk
WO1997014143A1 (fr) * 1995-10-09 1997-04-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opt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014A (ko) 2004-12-23
US6989703B2 (en) 2006-01-24
US20040251945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193B1 (ko) 상보 클럭 발생 방법 및 클럭 발생기
US6876352B1 (en) Scanning circuit
JP4642417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532955B1 (ko) 반도체 장치의 딜레이 공유 회로
JPH04213913A (ja) クロック周波2逓倍器
JP4019079B2 (ja) 遅延回路及び半導体装置
JPH10233662A (ja) 出力信号発生用回路装置
KR100308068B1 (ko) 펄스 발생장치
JP2541244B2 (ja) クロック発生回路
US6300801B1 (en) Or gate circuit and state machine using the same
KR960004566B1 (ko) 스태틱 램(sram)의 어드레스 입력회로
JP2001197755A (ja) スイッチ制御回路
JPS588169B2 (ja) ハケイヘンカンソウチ
US20230170885A1 (en) Voltage conversion circuit and memory
KR20010015332A (ko) 위상 조정 회로 및 이를 내장한 반도체 기억장치
JP2932813B2 (ja) 出力ラッチ回路
JPS62260421A (ja) 相補形d形フリツプフロツプ回路
KR950028313A (ko) 동상신호 출력회로, 역상신호 출력회로 및 2상신호 출력회로
KR100462119B1 (ko) 오프셋 전압 제거 회로
KR0147680B1 (ko) 클럭지연회로
KR0144487B1 (ko) 가변형 지연회로
KR100479819B1 (ko) 신호천이검출장치
KR100487492B1 (ko) 동적구동회로의출력제어방법
KR100474991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입력버퍼 및 입력 버퍼링 방법
KR100278801B1 (ko)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내부클럭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