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791B1 -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791B1
KR100532791B1 KR10-2001-7005500A KR20017005500A KR100532791B1 KR 100532791 B1 KR100532791 B1 KR 100532791B1 KR 20017005500 A KR20017005500 A KR 20017005500A KR 100532791 B1 KR100532791 B1 KR 10053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device
manual release
housing
contac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387A (ko
Inventor
울러만볼프강
자이버스루드비히
Original Assignee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1008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2Insulating body insertable betwee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3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 H01H73/303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with an insulating body insertable between the contacts when released by a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8Terminals for switching devices which make the devices interchangeable, e.g. with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Landscapes

  • Breaker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단기는 두 개의 병렬 배치된 플랫 플러그를 갖는 절연 재료로 구성된 편평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 플러그는 스냅 고정 부재로서 구성되며 플랫 플러그 상에 고정된 바이메탈에 의해 접촉된다. 접촉 단부에서 상기 바이메탈은 대향 접촉부와의 접촉 중첩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차단기는 과전류에 기인하여 접촉부가 개방되는 경우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개방된 접촉부 사이의 간격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접촉 분리기를 갖춘다. 상기 접촉 분리기는 스프링 압력에 대항하여 외측으로부터 충돌할 때 접촉 분리 위치로부터 복귀될 수 있다. 수동 해제 장치는 차단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해제 장치는 접촉 위치로부터 접촉부 개방 위치로 바이메탈의 접촉 단부를 안내한다.

Description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Circuit Breaker Protecting Electric Circuits In Road Vehicle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유럽특허 제 0 151 692 B1호 및, 독일 특허 제 35 26 785 C1호)에 개시된 특징을 갖는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단기는 DIN 72581-3에 따른 종래의 컷아웃 퓨즈(cut-out fuse) 대신에 플랫 퓨즈 소켓을 갖는 차량에 널리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시 단락에 언급한 형태의 차단기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독일 특허-A-1099624호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과전류 방출 없이 자동 차단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보호되는 회로를 단순한 방법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차량의 전기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단순한 수동 회로 차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차량이 장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누전에 기인하는 배터리 방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차량의 최종 검사 시기로부터 차량이 소비자에게 배달될 때까지 종종 요구된다. 이 때, 차량은 장기간에 걸쳐 종종 운송되거나 입고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의해 성취된다.
도 1은 차단기의 개별 부품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바이메탈의 접촉 위치에서 조립된 스위치를 도시하는 도 1의 선 II-II를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수동 해제 장치가 최대 해제 위치로 피벗되며 차단기가 개방된 도 2와 유사한 도면.
도 4는 수동 해제 장치가 해제된 도 3에 따른 해제 위치에서의 차단기의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차단기의 접촉 및 수동 해제 영역을 도시하는 부분 절단 확대도.
도 8은 수동 해제 장치(29)의 변형 실시예의 도면.
종속 청구항에는 상기 해결책의 구조적인 변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해결책은 특히 차단기의 치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명된다. 특히, 수동 해제 장치는 두 개의 아암의 피봇 레버로서 설계되며, 상기 레버의 해제 아암은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의 접촉 측부 상의 비작동 위치에 위치된다.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의 접촉 위치에서, 해제 아암은 바이메탈에 접촉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해제 아암은 수동 해제 장치의 베어링 샤프트에 의해 피봇 구동부로서의 해제 장치의 하부 레그 상에 인가된 스프링 압력에 의해 상기 초기의 비작동 위치에 비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특정의 구조적 특징은 두 개의 아암의 피봇 레버로서 작용하는 수동 해제 장치가 가동성 스냅 고정 연결부에 의해 하우징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 샤프트에 스냅 고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좁은 공간 조건에 적용되며 조립이 단순하며 저비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수동 해제 장치는 경량이며 인접한 열(row)에 배치된 다수의 차단기의 공지된 좁은 조건 하에서도 신뢰적으로 작동한다. 부가의 접촉 분리기를 포함하는 청구항 2에 따른 실시예에서, 해제 장치의 해제 운동이 소정의 접촉 분리를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명백하게 알 수 있다. 접촉 분리기의 가압 단부는 분리기가 수동으로 해제된 후 차단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수동 해제 장치의 작동 아암은 접촉 분리기가 가압 단부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 뿐만 아니라 바이메탈이 저온이 될 때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차단기의 자동 스냅 고정 연결 또는 재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는 개시 단락에 언급한 종래의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차단기의 작동 원리는 유럽 특허 제 0 151 692 B1호 및 독일 특허 35 26 785 C1호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요지는 차단기의 현저한 구조적 변화 없이 외부 수동 해제 장치의 옵션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임의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상기 특허의 내용이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과전류 차단기에서,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가 두 개의 평행한 플랫 플러그(2,3) 주위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플랫 플러그(2,3)를 하우징에 고정한다. 플랫 플러그(2,3)의 플러그 단부는 베이스부(1)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플러그의 단부(4,5)는 차단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다. 플랫 플러그(2,3)는 공지된 DIN 규격 72581-3의 지침에 따라 컷아웃 퓨즈로서 작용하는 공지된 플랫 퓨즈 삽입부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플랫 플러그(2,3)는 베이스부(1) 상으로 종방향(9)으로 압박될 수 있는 하우징 커버(8)의 상부 하우징 표면(6,7)의 평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압박 또는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8)는 베이스부(1)에 스냅 고정된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 표면(6)의 고정 개구(10)가 베이스부(1)의 고정 치형부(11) 상에 스냅 고정된다.
플랫 플러그(2,3)는 전체 길이에 걸쳐 편평한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플랫 플러그(2)의 내측 단부(4)에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가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그의 고정 단부(13)를 고정 지점(14)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된다. 접촉 단부로서의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가동성 단부(15)는 다른 플랫 플러그(3)의 내측 단부(5)와의 중첩 위치로 돌출된다. 상부 측부에서, 상기 내측 단부(5)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가동성 단부(15)의 하측에 고정된 가동성 접촉부(17)를 위한 정지된 대향 접촉부(16)를 지지한다.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가 저온이 될 때, 가동성 단부(15)에 고정된 가동성 접촉부(17)는 플랫 플러그(3)의 대향 접촉부(16)에 접촉된다. 이는 두 개의 플랫 플러그(2,3) 사이의 전류 경로를 폐쇄시킨다. 도 2 및 도 5는 접촉 분리기(18)가 베이스부(1)를 향한 가동성 접촉부(17)의 플랭크에 지지된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인장된 압축 스프링(19)은 종방향(9)에 대향하는 가압 방향으로 가동성 접촉부(17)의 플랭크에 대해 분리기를 가압한다. 압축 스프링(19)은 후방 단부(20)에 의해 베이스부(1)에 대해 지지된다. 차단기 하우징의 내측에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압축 스프링(19)의 위치 고정용 중심잡기 맨드릴(22)은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 표면(21)에 장착된다.
접촉 분리기(18)는 평면도(도 1)에서 직각을 형성하는 구조의 레그 중 하나를 포함하며, 종방향(9)에 대향하여 돌출된 다른 레그(23)는 플랫 플러그(2,3)의 내측 단부(4,5) 사이에 위치된 접촉 분리기(18)의 가압 단부(24)를 지지하며, 따라서 접촉부(16,17)가 접촉 위치(도 2, 도 3)에 있으며 압축 스프링(19)이 하우징 커버(8) 내측에 대응하여 압박될 때, 양측부에 배치된 플랫 플러그(2,3)의 내측 단부(4,5)에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다.
접촉부(16,17)가 접촉부 개방 방향으로 분리될 때, 가동성 접촉부(17)는 대향 접촉부(16)로부터 상승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1)를 향한 플랭크에서 접촉 분리기(18)의 접촉이 해제된다(도 3, 도 4; 도 6, 도 7). 이는 접촉 분리기(18)를 종방향(9)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피복 위치로 압박하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에 연결된 가동성 접촉부(17)로부터 고정 접촉부 또는 대향 접촉부(16)를 보호하는 피복 위치로 압박하는 압축 스프링(19)을 해제시킨다. 상기 피복 위치에서, 접촉 분리기(18)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정지부(26)가 그를 향한 대향 접촉부(16)의 플랭크에 충돌한다. 상기 정지부는 접촉 분리기(18)의 분리 이동과 접촉 분리기(18)의 위치를 제한하여 대향 접촉부(16)를 보호한다. 압축 스프링(19)은 종방향(9)에 대향하여 접촉 분리기(18) 상에 영구적인 압력을 계속 인가한다. 팽창된 압축 스프링(19)에 의해 실시되는 도시된 종방향 변위시에, 접촉 분리기(18)는 하우징 내에 자유롭게 연장된 플랫 플러그(3)의 내측 단부(5)의 상부 표면 상에 레일과 같이 안내된다. 트랙 홈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안내 홈(27)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접촉 분리기(18)의 하측에 제공된다(도 1).
두 개의 접촉부(16,17)의 분리 위치에서(도 3, 도 4; 도 6, 도 7), 접촉 분리기(18)의 가압 레그의 가압 단부(24)는 하우징 커버(8)의 개구(28)를 통해 돌출되며, 이에 의해 완전한 접촉부 개방을 신호화한다. 하우징 색상과 구별되는 가압 단부(24)의 신호 색상은 상기 신호의 외부 인식을 보장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과전류 차단기의 상술한 기능은 개시 단락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능과 동일하며, 접촉부(16,17) 개방은 바이메탈 해제, 즉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가열에 의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해제 장치가 바이메탈 스냅 해제에 부가하여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접촉 위치(도 2, 도 5)로부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를 선택적으로 상승시키는 수동 해제 장치(29)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두 개의 아암 레버로서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작동 단부는 플랫 플러그(2,3)로부터 이격되어 지향된 하우징 커버(8)의 편평한 측부(30)로부터 돌출된다. 수동 해제 장치(29)는 플랫 플러그(3)의 내측 단부(5)를 향한 측부에서 레그(23) 또는 접촉 분리기(18)의 가압 단부(24)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레그(23)에 평행하게 종방향(9)으로 연장된다.
접촉부 개방을 위해, 수동 해제 장치(29)는 접촉부 개방 방향(25)으로 가동성 접촉부(17)를 지지하는 접촉 측부로부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접촉 단부(15)를 이동시킨다. 두 개의 아암 피봇 레버로서 형성된 수동 해제 장치(29)의 해제 아암(31)은 하우징 커버(8)에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된 베어링 샤프트(32) 주위로 상향으로 피봇됨으로써 이러한 이동을 수행한다.
수동 해제 아암(29)의 작동 아암(33)인 다른 아암은 베어링 샤프트(32)를 지나 돌출된다. 전체 작동 아암(33)은 하우징 커버(8)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또한 기본적으로는 베어링 샤프트(32)를 위한 케이스이다.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두 개의 유지벽(34,3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지벽은 종방향 안내 또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방향 설정을 동시에 보장하며, 하우징 커버(8)와 베어링 샤프트(32)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 외측에서, 베어링 샤프트(32)는 하우징 개구(36)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수동 해제 장치(29)가 하우징 내부로 돌출된다.
수동 해제 장치(29)는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일체형 U형 부품이며, 두 개의 U형 레그가 베어링 샤프트(32) 주위로 연장된다. 도면의 하부에 도시된 하나의 U형 레그는 작동 아암(33)과 하우징 내부로 돌출된 해제 아암(31)으로 형성된다. 수동 해제 장치(29)의 베어링 샤프트(32)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와 상부 하우징 표면(6,7)에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다. 상기 베어링 샤프트는 도 2 내지 도 7의 도면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베어링 샤프트(32)의 상부에 고정 레그(37)로서 배치된 수동 해제 장치(29)의 U형 레그는 베어링 샤프트(32) 후방으로 연장되며 해제 레그(31)의 방향으로 돌출된 유지 래치(38)를 갖춘다.
또한, 고정 레그(37)는 상측부에 돌출형 하우징 정지부(39)를 가지며, 상기 정지부는 하우징 개구(36)를 통하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며 도 2 및 도 5의 상부 하우징 표면(6)에서의 정지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U형상부의 크로스헤드(40)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작동 아암(33)을 형성한다.
수동 해제 장치(29)의 해제 아암(31)인 하부 U형 레그의 내측 플랭크는 베어링 셸(41)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연장부의 중앙 영역에 중공으로 형성된다.
수동 해제 장치(29)는 가동성 스냅 연결부에 의해 베어링 샤프트(32) 상에 스냅 고정된다. 이를 위해, 두 개의 U형 레그부는 일체형 스냅 부재 및/또는 스냅 부재와 협동하는 대향 표면으로서 베어링 샤프트(32) 주위로 탄성적으로 연장된다. 수동 해제 장치(29)가 해제 피봇 운동(42)을 수행할 때, 베어링 샤프트는 탄성적으로 전개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전개 작용에 의해 축적된 탄성 스프링 압력은 해제 피봇 운동(42)에 대향하여 초기 피봇 위치로 수동 해제 장치(29)를 자동적으로 피봇시키는 복귀 압력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단면 형상은 소정의 비대칭성, 특히 해제 피봇 위치(도 3, 도 6)에서 U형 레그(31,37)에 작용하는 베어링 샤프트(32)의 단면 치수가 수동 해제 장치의 비작동 위치(도 2,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서 U형 레그(31,37)에 작용하는 단면 치수 보다 크다는 사실에 의해 특정화된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수동 해제 장치(29)의 피봇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작동 아암(33)용 피봇 정지부(44)와 유지 랜치(38)용 대향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수동 해제 장치(29)의 U형상 및 탄성적 일치성 뿐만 아니라 원으로부터 편향되어 타원으로 근접하게 근사되는 베어링 샤프트(32)의 단면 형상은 다수의 이유로 인해 장점이 있다. 베어링 샤프트(32)의 단면 형상에 무관하게, 수동 해제 장치(29)는 베어링 샤프트(32) 상에 단순하고 견고하게 스냅 고정된다. 하우징 개구(36)에 배치된 수동 해제 장치(29)의 U형 단부는 외측으로부터 압박되어 적소에 스냅 고정된다. 도 5 및 도 7은 압박 또는 비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수동 해제 장치(29)의 해제 아암은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 하부에 배치된다. 수동 해제 장치(29)가 베어링 샤프트(32)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해제 아암(31)는 상승된다. 상기 해제 단부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 하부로 연장되며 대향 접촉부(16)로부터 접촉부(17)를 상승시키는 위치로 스냅 디스크를 상승시킨다. 이는 가동성 접촉부(17)와 접촉 분리기(18)의 접촉을 해제하며, 접촉 분리기는 재폐쇄를 방지하는, 즉 그에 연결된 가동성 접촉부(17) 또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접촉 위치로의 복귀를 방지하는 압축 스프링(19)의 압력 하에 피복 위치(도 3, 도 6)로 이동한다. 수동 해제 장치의 작동 아암(33) 상에 시계 방향 피봇 압력(P)(도 3, 도 6)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것이 중지되면, 수동 해제 장치(29)는 해제되며 두 개의 U형 레그 사이에 작용하며 베어링 샤프트에 의해 인가되는 축적된 전개 압력에 기인하여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초기 위치로 후방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상기 초기 위치에서, 해제 아암(31)은 플랫 플러그(3)의 내측 단부(5)와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 모두로부터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도 8은 수동 해제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변형예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크로스헤드(40)의 헤드 표면(45) 너머로 돌출된 작동 테일(tail)(46)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작동 테일(46)은 해제 아암(31)의 종방향 연장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크로스헤드(40)와 해제 아암(31) 또는 작동 아암(33)의 종방향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임계점은, 작동 테일에 인가된 거의 모든 압력이 차단기를 해방하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피봇 이동으로 전혼되는 압력의 방향에 무관한 힘의 성분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장치가 수평 및 수직 평면(도 8) 모두에서 베어링 샤프트(32)에 대해 편심 이동되는 지점이다. 화살표(47)는 피봇 방향(47) 또는 그로부터 발생하는 토오크를 나타낸다. 화살표는 또한 이러한 토오크 효과를 발생시키는 작용 방향(48,49)을 나타낸다.
더욱이, 수동 해제 장치(29)는 하우징의 색상과 명백하게 대조되는 색상을 가지며, 다수의 열 장치에서 신뢰적인 선택 및 수동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DIN 72581-3에 따른 안전 색상에 유사하게 선택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부 26 : 정지부
2 : 플랫 플러그 27 : 안내 홈
3 : 플랫 플러그 28 : 개구
4 : 내측 단부 29 : 수동 해제 장치
5 : 내측 단부 30 : 편평한 측부
6 : 상부 하우징 표면 31 : 해제 아암
7 : 상부 하우징 표면 32 : 베어링 샤프트
8 : 하우징 커버 33 : 작동 아암
9 : 종방향 34 : 유지벽
10 : 고정 개구 35 : 유지벽
11 : 고정 치형부 36 : 하우징 개구
12 :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 37 : 고정 레그
13 : 고정 단부 38 : 유지 래치
14 : 고정 지점 39 : 하우징 정지부
15 : 가동성 단부 40 : 크로스헤드
16 : 대향 접촉부 41 : 베어링 셸
17 : 가동성 접촉부 42 : 해제 피봇 운동
18 : 접촉 분리기 43 : 대향 정지 표면
19 : 압축 스프링 44 : 피봇 정지부
20 : 단부 45 : 헤드 표면
21 : 지지 표면 46 : 작동 테일
22 : 중심잡기 맨드릴 47 : 피봇 방향
23 : 레그 48 : 작용 방향
24 : 가압 단부 48 : 작용 방향
25 : 접촉부 개방 방향

Claims (14)

  1. 두 개의 평행한 상부 표면(6,7)을 가지며 공간 절약형 병렬 배치를 위해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편평한 평행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을 갖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로서, 그의 편평한 평면이 상기 두 개의 하우징 표면(6,7)에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 플랫 퓨즈 홀더 접촉용 플랫 플러그(2,3)가 하우징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플랫 플러그(2,3)가 삽입된 상기 하우징 측벽은 상기 플랫 플러그(2,3)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에 의해 형성되며, 다른 하우징 측벽은 베이스부(1)상에 압박되며 스냅 고정되며 상기 차단기의 작동부를 에워싸는 하우징 커버(8)의 구성 부품이며, 상기 플랫 플러그(2,3)는 그의 하우징측 단부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하우징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플랫 플러그(2)에 고정되며 과전류 발생시 접촉을 개방하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8)는 상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를 접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수동 해제 장치(29)를 위해 조립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에 대향하는 편평한 측부(30)에 위치된 관통 개구(36)를 가지며,
    상기 관통 개구는 수동 해제 장치(29)용 베어링 샤프트(32)를 둘러싸며, 상기 샤프트는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상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연장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8)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는, 스냅 고정 위치에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가 접촉부 개방 방향에서 상기 디스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차단기 내부로 돌출되는 해제 아암을 갖는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12)의 하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 레버로서 작용하며, 작동 단부(33)가 상기 하우징 커버(8)의 편평한 측부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측부(30)를 지나 돌출되도록 상기 베어링 샤프트(32) 상에 외부적으로 스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스프링 압력에 의해 접촉부(16,17) 사이로 이동하며, 상기 접촉부를 서로로부터 이격시키는 접촉 분리기(18)가 제공되며, 상기 분리기는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용 하우징 관통 개구(36)에 인접한 수동 해제 장치(29)와 동일한 하우징 측부(30)로부터 돌출된 가압 단부(24)에 의해 스프링 압력에 대향하여 상기 접촉부(16,17) 사이의 분리 위치로부터 복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는, 두 개의 U형 레그가 형상 끼워맞춤과 강제 끼워맞춤 형태로 상기 베어링 샤프트(32)를 둘러싸며, 상기 바이메탈 스냅 디스크 하부로 연장되는 U형 레그는 해제 아암(31)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U형상 절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아암(31)을 형성하지 않는 수동 해제 장치(29)의 U형 레그는 조립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32) 후방으로 고정 레그(37)로서 연장되며 상기 해제 아암(31)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지 래치(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상기 하우징 내로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돌출 하우징 정지부(39)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형상부의 크로스헤드 (40)는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작동 아암(33)의 외측 작동 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해제 아암을 형성하는 U형 레그(31,37)의 내부는 베어링 샤프트(32)를 위한 베어링 셸(41)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연장부의 중앙 영역에서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두 개의 U형 레그는 일체형 스냅 부재로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32)를 탄성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샤프트(32)의 U형 레그의 단면 형상은, 전개 작용에 의해 축적된 스프링 압력이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를 초기 피봇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압력으로서 작용하도록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해제 피봇 운동(42) 중에 탄성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피봇 위치(도 3, 도 6)에서 U형 레그(31,37)에 작용하는 베어링 샤프트(32)의 단면 치수는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비작동 위치(도 2,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서 상기 U형 레그(31,37)에 작용하는 단면 치수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는 일체형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의 외측은 돌출형 작동 테일(46)을 지지하며, 상기 작동 테일은 상기 베어링 샤프트(32)에 대하여 한편으로는 해제 아암(31) 또는 작동 아암(33)의 종방향의 교차 영역, 다른 한편으로는 크로스헤드(40)의 종방향의 교차 영역에서 편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테일(46)은 상기 해제 아암(31) 또는 작동 아암(33)의 종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크로스헤드(40)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해제 장치(29)를 표시하는 색상은 DIN 72581-3에 따른 안전 색상에 유사하게 상기 하우징과 대조되며, 보호되는 각각의 전기 회로의 전류 강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KR10-2001-7005500A 1998-12-09 1999-11-05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KR10053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6707.3 1998-12-09
DE19856707A DE19856707A1 (de) 1998-12-09 1998-12-09 Schutzschalter zur Absicherung von Stromkrei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387A KR20010089387A (ko) 2001-10-06
KR100532791B1 true KR100532791B1 (ko) 2005-12-02

Family

ID=789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500A KR100532791B1 (ko) 1998-12-09 1999-11-05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90489B1 (ko)
EP (1) EP1141987B1 (ko)
JP (1) JP4205862B2 (ko)
KR (1) KR100532791B1 (ko)
CN (1) CN1184660C (ko)
AT (1) ATE226357T1 (ko)
DE (2) DE19856707A1 (ko)
WO (1) WO20000349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133B1 (ko) 2008-09-29 2012-12-20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소형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5652B2 (en) 2001-07-10 2007-09-04 Yingco Electronic Inc. Controllable electronic switch
US7324876B2 (en) 2001-07-10 2008-01-29 Yingco Electronic Inc.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energy distribution at local sites
US6825750B2 (en) * 2001-07-10 2004-11-30 Yingco Electronic Inc. Controllable electronic switch with interposable non-conductive element to break circuit path
US6707368B2 (en) * 2001-07-18 2004-03-1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nually trippable circuit breaker
US6744345B2 (en) * 2002-05-06 2004-06-01 Cooper Technologies Mid-range circuit breaker
US7071809B2 (en) 2002-11-25 2006-07-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hermal fuse containing bimetallic sensing element
DE202005007220U1 (de) * 2005-05-06 2006-09-21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utzschaltersystem
US7382223B2 (en) * 2005-11-21 2008-06-03 Sensata Technologies, Inc. Thermal circuit breaker
US7405645B2 (en) * 2006-04-20 2008-07-29 Sensata Technologies, Inc. Thermally activated circuit interrupter
JP4906881B2 (ja) * 2009-03-27 2012-03-2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熱動形過負荷継電器
DE202011110510U1 (de) * 2010-09-24 2014-05-27 Ellenberger & Poensgen Gmbh Miniatur-Schutzschalter
US9455106B2 (en) 2011-02-02 2016-09-27 Littelfuse, Inc. Three-function reflowa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US8941461B2 (en) * 2011-02-02 2015-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function reflowa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DE202012013004U1 (de) * 2012-12-15 2014-08-04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utzschalter und Adapter für einen Schutzschalter
DE102015001945A1 (de) 2015-02-16 2016-08-18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utzschalte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018100890B3 (de) * 2018-01-16 2019-07-18 Marcel P. HOFSAESS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WO2019142212A1 (en) * 2018-01-16 2019-07-25 Hero MotoCorp Limited Switch device
DE102019112074B4 (de) * 2019-05-09 2020-12-17 Marcel P. HOFSAESS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US10796872B1 (en) * 2019-09-01 2020-10-06 Kuoyuh W.L. Enterprise Co., Ltd. Vehicle circuit breaker
DE102019125452B4 (de) * 2019-09-20 2021-04-22 Marcel P. HOFSAESS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DE102019125451B4 (de) * 2019-09-20 2021-04-08 Marcel P. HOFSAESS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FR3142282A1 (fr) * 2022-11-21 2024-05-24 Safran Electrical & Power Contacteur de puissance a ecran de clarification d’arc electrique et aeronef comportant un tel contacteur de puissan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98730A (fr) * 1949-10-06 1952-01-22 Ile D Etudes Electro Mecanique Dispositif de commande de circuit électrique
DE1091205B (de) 1959-08-20 1960-10-20 Licentia Gmbh Kleinselbstschalter in Schalenbauweise mit Handausloesung
DE1099624B (de) * 1959-11-23 1961-02-16 Licentia Gmbh Kleinselbstschalter in Schalenbauweise mit Handausloesung
DE1805368A1 (de) * 1967-11-15 1969-05-29 Texas Instruments Inc Automatischer Schalter
CH647094A5 (en) * 1979-11-09 1984-12-28 Weber Ag Fab Elektro Two-pole protective circuit breaker with thermal tripping
US4363016A (en) * 1981-06-03 1982-12-07 Amf Incorporated Circuit breaker
DE3424089A1 (de) * 1983-08-19 1985-03-07 Weber AG Fabrik elektrotechnischer Artikel und Apparate, Emmenbrücke Druckknopfbetaetigter ueberstromschalter
DE3342144A1 (de) * 1983-11-22 1985-05-30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Druckknopfbetaetigter ueberstromschutzschalter
DE3526785C1 (de) * 1985-07-26 1986-07-17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Druckknopfbetaetigter UEberstromschutzschalter
DE8522254U1 (de) * 1985-08-02 1985-09-26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Überstromschutzschalter
DE3786492T2 (de) * 1986-05-26 1993-1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tromkreisunterbrecher.
DE8626325U1 (ko) * 1986-10-02 1987-01-02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De
US4814739A (en) * 1987-12-18 1989-03-21 Eaton Corporation Combination push/pull electric switch and circuit breaker
DE8904063U1 (ko) * 1989-04-03 1989-06-22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De
US5742219A (en) * 1994-04-28 1998-04-21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Switchable circuit breaker
US5854585A (en) * 1997-04-10 1998-12-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nual reset electrical equipment protector apparatus
US5861794A (en) * 1998-05-04 1999-0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hermal circuit breake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133B1 (ko) 2008-09-29 2012-12-20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소형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26357T1 (de) 2002-11-15
JP4205862B2 (ja) 2009-01-07
US6590489B1 (en) 2003-07-08
CN1184660C (zh) 2005-01-12
DE59903125D1 (de) 2002-11-21
DE19856707A1 (de) 2000-06-21
EP1141987B1 (de) 2002-10-16
CN1324493A (zh) 2001-11-28
WO2000034971A1 (de) 2000-06-15
JP2002532826A (ja) 2002-10-02
KR20010089387A (ko) 2001-10-06
EP1141987A1 (de)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791B1 (ko) 도로 차량의 전기 회로 보호용 차단기
KR101368118B1 (ko) 전기 접속 단자용 작동 장치
US6897760B2 (en) Circuit breaker
US7009129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breaker mechanism
JP3216776B2 (ja) 回路遮断器
JP4760898B2 (ja) 回路遮断器
US20080169175A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KR100773318B1 (ko) 회로 차단기의 부속 스위치 장치
US6225588B1 (en) Trip device of circuit breaker
KR20010108005A (ko) 플러그접속식 회로차단기
US4902999A (en) Enclosed bimetal circuit breaker
RU2461906C1 (ru) Миниатюрный защит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US6208228B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trip bar assembly accomodating internal space constraints
JP4851295B2 (ja) 回路遮断器
US6707368B2 (en) Manually trippable circuit breaker
JP3399126B2 (ja) 回路遮断器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JP2757341B2 (ja) 回路遮断器
US8178807B2 (en) Electrical switch
JP4540237B2 (ja) 回路遮断器
KR0179280B1 (ko) 배선용 차단기
JP2003162949A (ja) 回路遮断器
JPH089880Y2 (ja) 開閉器
KR20210053079A (ko) 배선용 차단기
KR20180097156A (ko) 분리가능한 전기 콘택들 및 에어 스위칭에 의한 전류용 스위치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