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527B1 -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527B1
KR100532527B1 KR10-2003-0097327A KR20030097327A KR100532527B1 KR 100532527 B1 KR100532527 B1 KR 100532527B1 KR 20030097327 A KR20030097327 A KR 20030097327A KR 100532527 B1 KR100532527 B1 KR 10053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force
angle
hardness
operation amount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791A (ko
Inventor
하야사카사토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5Force feedback applied to a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레버(1)에 조작반력(역각:力覺)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2)과, 레버(1)의 경도각도의 변화에 연동하여 조작반력이 변화하도록 역각부여수단(2)을 제어하고, 또한 지도화면(51)이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경도각도의 변화에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변화하도록 표시수단(5)을 제어하는 CPU(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POWER SENSE APPLYING TYPE INPUT/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카 네비게이션시스템 등의 전기기기에 설치되어, 마우스에 부착된 휠이나 레버 등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신호를 입력하고, 이 신호에 따라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시스템에는,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 예를 들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신호를 입력하고, 지도화면을 원하는 방향으로 스크롤시키는 입출력장치가 있으나, 이 종류의 입출력장치에는 조작부재에 역각(力覺)을 부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없었다.
또한 선행 기술문헌정보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련이 있는 기재가 개시된 문헌을 현재까지로서는 발견할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그런데 카 네비게이션시스템에서는,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가 일정하다. 그러나 조작자는 스크롤의 속도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화면을 빠르게 스크롤시켜 원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싶기 때문에, 레버를 필요 이상의 조작력으로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현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여, 이들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에 조작반력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조작반력과 스크롤 속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의 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조작량이 클수록 큰 조작반력을 산출하는 조작반력 연산부와, 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반력제어신호를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와,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와, 이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한창 변화하고 있을 때에는, 검지수단에 의하여 조작방향으로서 임의의 조작방향이 검지됨과 동시에, 한창 변화하고 있는 조작량이 시시각각 검지되어, 조작량이 검지될 때마다 임의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에서는,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의 연산이 행하여져,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조작량에 대응한 크기의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이 때,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량이 커지고 있으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은 산출될 때마다 커진다. 또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량이 작아지고 있으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은 산출될 때마다 작아진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제어수단이,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한창 커지고 있으면, 조작량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커진다. 또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조작량이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작아진다.
또 제어수단에서는, 상기한 조작반력의 제어와 병행하여 화면의 스크롤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가 산출되는, 즉, 스크롤 속도가 산출된다. 그리고 스크롤 제어부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스크롤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 제어신호가 표시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이, 스크롤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스크롤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조작량에 대응하는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된다. 즉,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한창 커지고 있으면, 조작량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이, 예를 들면 가속된다. 또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조작량이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이, 조작량이 커지는 경우와는 반대로 감속된다. 또한 조작량의 변화와 스크롤의 가감속과의 관계는 상기와 반대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부재의 조작량의 변화에 연동하여 조작부재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변화한다. 즉, 조작자가 조작부재로부터 받는 저항력(역각)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이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커지고, 조작반력이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크게 함으로써 스크롤을 가속시킬 수 있고, 조작력을 작게 함으로써 스크롤을 감속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 중립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360°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수단이 화면내를 이동하는 커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이 화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커서위치 연산부와, 이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의 위치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커서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커서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검지수단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의 위치가 산출된다. 이 때,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커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더욱 멀어진 위치가 된다. 또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화면의 중심에 더욱 가까운 위치가 된다. 그리고 커서제어부에 의하여,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커서의 위치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이, 커서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커서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커서가 조작부재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을 경도각도의 변화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즉, 조작부재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커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또 조작부재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화면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따라서, 조작부재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화면의 스크롤이 예를 들면 가속할 때에,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또 조작부재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있어서의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화면의 스크롤이 감속될 때에,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화면의 중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즉,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화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커서의 위치가 스크롤 속도에 대응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커서를 화면의 스크롤방향 및 스크롤의 속도의 지표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여, 이들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에 조작반력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검지되는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조작반력과 스크롤 속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조작량이 소정의 제 1 조작량인지, 이 제 1 조작량보다도 작은 소정의 제 2 조작량인지,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인지를 판정하는 조작량 판정부와, 이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 및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각각의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유지시간 계측부와, 상기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판정되는 조작량과, 상기 유지시간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되는 시간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방향에 의거하여 조작반력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큰 조작반력을 산출하고,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이 된 시점의 조작반력보다도 작은 조작량을 산출하고,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그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조작반력과 동일한 조작반력을 산출하는 조작반력 연산부와, 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반력제어신호를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로부터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와, 이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부재의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으로 유지되면, 검지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의 제 1 조작량이 검지되어,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에서는,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유지시간 계측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시시각각 계측되어, 시간이 계측될 때마다 조작반력 연산부로부터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의 길이에 대응한 크기의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즉,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큰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이,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져 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반력이 한창 커지고 있을 때에, 조작부재의 조작량이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로 되돌아가, 그 범위내에서 한창 변화하고 있게 되면, 검지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이 검지됨과 동시에,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에서 한창 변화하고 있는 조작량이 시시각각 검지되어, 조작량이 검지될 때마다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에서는,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연산부로부터 조작량이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라고 판정될 때마다, 조작량이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조작반력과 동일한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이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조작량이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에 조작반력으로 유지된다.
또 조작부재의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으로 되돌아가 유지되면, 검지수단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이 검지됨과 동시에, 제 2 조작량이 검지되어,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에서는,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유지시간 계측부에 의하여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시시각각 계측되어, 시간이 계측될 때마다 조작반력 연산부로부터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의 길이에 대응한 크기의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즉,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이 된 시점의 조작반력보다도 작은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이,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의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이 된 시점의 조작반력보다도 작아져 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반력이 한창 작아지고 있을 때에, 조작부재의 조작량이 다시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되어도, 그 시점의 조작반력이 유지된다.
또 제어수단에서는, 상기한 조작반력의 제어와 병행하여 화면의 스크롤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스크롤 속도 연산부로부터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산출된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가 산출되는, 즉, 스크롤 속도가 산출된다. 그리고 스크롤 제어부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스크롤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 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이, 스크롤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스크롤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된다. 즉,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한창 커지고 있으면,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화면의 스크롤이 예를 들면 가속된다. 또 임의의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화면의 스크롤이, 조작반력이 커지는 경우와는 반대로 감속된다. 또한 조작반력의 크기변화와 화면의 스크롤의 가감속과의 관계는 상기와 반대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부재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의 변화에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변화한다. 즉, 조작자가 조작부재로부터 받는 저항력(역각)과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와,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가 발진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발진제어신호를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발진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부재가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었을 때와, 화면이 한창 스크롤되고 있을 때에 조작부재가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었을 때에, 발진제어부로부터 역각부여수단에 발진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의하여 조작부재가 진동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조작부재의 진동(역각)에 의하여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이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커지고, 조작반력이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의 속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크게 함으로써 스크롤의 속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조작력을 작게 함으로써 스크롤을 감속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처음에, 본 발명의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카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채용되는 것이다. 제 1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 예를 들면 360°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1)와, 예를 들면 포텐시오미터에 의하여 조이스틱(1)의 경도방향과 경도각도를 검지하여, 이들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를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하여 레버(1)에 조작반력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2)과, 화면으로서 예를 들면 지도화면(51)을 표시하는 표시수단(5)과, 역각부여수단(2)과 표시수단(5)을 검지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 즉 CPU(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CPU(4)는,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즉 레버(1)의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 에 의거하여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에서, 경도각도가 클수록 큰 조작반력을 산출하는 조작반력 연산부(4a)를 가진다. 또 CPU(4)는,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역각부여수단(2)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반력제어신호를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4b)를 가진다.
또 CPU(4)는,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는, 즉 스크롤 속도를 산출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4c)를 가진다. 또 CPU(4)는,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지도화면(51)이 스크롤되도록 표시수단(5)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여, 표시수단(5)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4d)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4c)는, 예를 들면, 경도각도가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 표시수단(5)은, 지도화면(51) 내를 이동하는 커서(52)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4)는, 지도화면(51)의 중심(53)을 기준으로 하여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52)의 위치를 산출하는 커서위치 연산부(4e)를 가진다. 또 CPU(4)는, 상기 커서위치 연산부(4e)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에 커서(52)가 표시되도록 표시수단(5)을 동작시키기 위한 커서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5)에 출력하는 커서제어부(4f)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버(1)의 임의의 방향에 있어서의 경도각도가 한창 변화하고 있을 때에는, 검지수단(3)에 의하여 레버(1)의 경도방향으로서 임의의 경도방향이 검지됨과 동시에, 한창 변화하고 있는 경도각도가 시시각각 검지되고, 경도각도가 검지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를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CPU(4)에 출력된다.
그리고 CPU(4)에서는,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에서, 경도각도에 대응한 크기의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이 때,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커지고 있으면,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의 크기는 산출될 때마다 커진다. 또 검지신호가 제어수단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의 크기는 산출될 때마다 작아진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4b)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은,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커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커지고, 레버(1)가 풀 조작되었을 때에, 즉 경도각도가 최대가 되었을 때에 조작반력의 크기가 최대가 된다. 또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이 작아지고, 레버(1)가 중립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에, 즉 경도각도가 0°가 되었을 때에, 레버(1)에 조작반력이 부여되지 않게 된다.
또 CPU(4)에서는, 상기한 조작반력의 제어와 병행하여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검지신호가 CPU(4)에 입력될 때마다,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가 산출되는, 즉 스크롤 속도가 산출된다. 이 때, 검지신호가 CPU(4)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커지고 있으면,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의 속도는 산출될 때마다 커진다. 또 검지신호가 CPU(4)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의 속도는 산출될 때마다 작아진다. 그리고 스크롤 제어부(4d)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스크롤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 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5)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5)이, 스크롤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스크롤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지도화면(51)이 스크롤된다. 즉,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커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이 가속되고, 레버(1)가 풀 조작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스크롤의 속도가 최대가 된다. 또 레버(1)가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이 감속되고, 레버(1)가 중립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스크롤이 정지한다.
또 CPU(4)에서는, 상기한 조작반력의 제어 및 상기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제어와 병행하여 커서위치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검지신호가 CPU(4)에 입력될 때마다, 커서위치 연산부(4e)에 의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52)의 위치가 산출된다. 즉, 검지신호가 제어신호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커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4e)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중심(53)으로부터 더욱 멀어진 위치가 된다. 또 검지신호가 제어신호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4e)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의하여 가까운 위치가 된다. 그리고 커서제어부(4f)에 의하여, 커서위치 연산부(4e)에 의하여 커서(52)의 위치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커서(52)의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5)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5)은, 커서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커서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커서(52)가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을 경도각도의 변화에 연동하여 이동한다. 즉,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커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지도화면(51)의 중심(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서(52)가 이동하고, 레버(1)가 풀 조작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지도화면(51)의 가장자리부에 도달한다. 또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커서(52)가 이동하고, 레버(1)가 중립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도달한다.
또한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임의의 경도각도로 유지되면,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임의의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서(52)가 정지한다. 이 때,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조작반력의 크기가 임의의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크기로 유지되고, 지도화면(5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 속도도, 임의의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지된다.
또 레버(1)가 경도된 상태에서 조작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면, 레버(1)는 자동 복귀한다. 즉, 레버(1)는 조작력을 부여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부여되어 있던 조작반력에 의하여 복귀동작을 개시한다. 그리고 복귀동작의 개시에 따라 경도각도가 작아지면, 레버(1)에는 작아진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크기의 조작반력이 부여되고, 이 조작반력에 의하여 레버(1)의 복귀동작이 진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레버(1)의 복귀동작과, 조작반력의 부여를 반복하여 레버(1)는 중립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 레버(1)는 조작반력을 부여받지 않게 되어 정지하고, 자동복귀가 완료된다.
또 레버(1)가 자동복귀하고 있는 동안,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은 감속해 가고, 커서(52)는 지도화면(51)의 중심(53)으로 근접해 간다. 그리고 레버(1)가 중립위치에 정지하면,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이 정지하고, 커서(52)가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정지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조작반력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커지고, 레버(1)의 경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조작반력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작아진다. 즉, 조작자가 레버(1)로부터 받는 저항력(역각)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레버(1)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지도화면(51)을 원하는 속도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롤 속도와 지도화면(51)의 중심(53)을 기준으로 한 커서(52)의 위치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커서(52)를 스크롤 속도의 지표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지도화면(51)의 스크롤 속도를 조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대상인 화면이 카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도화면(51)이기 때문에, 조작부재가 레버(1)이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대상이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는 화면인 경우, 조작부재는 마우스에 구비되는 휠이어도 좋다. 이 경우의 휠은, 중립위치와 풀 조작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휠의 회전각도가 커지는 데 연동하여 휠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와,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가 커지고, 휠이 풀 조작위치에 도달하면, 조작반력의 크기와,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가 최대가 된다. 또 휠의 회전각도가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휠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와,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가 작아지고, 휠이 중립위치에 도달하면, 조작반력이 휠에 부여되지 않게 되어, 화면의 스크롤이 정지된다.
따라서, 조작부재가 휠인 경우에도,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휠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표시된 화면을 원하는 속도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대상이 되는 화면이 지도화면(51)이고, 지도화면(51)에서는 스크롤이 정지된 상태로부터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것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조작자는 불필요한 화면을 빠르게 스크롤시키고 싶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조작력으로 레버를 조작하는 경향에 있으므로,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즉, 조작자가 조작력을 크게 하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이 가속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이 감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여, 화면이 미리 스크롤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스크롤을 감속시켜 정지시킬 때에, 조작부재를 스크롤의 감속 및 정지를 위한 브레이크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한 스크롤 속도의 연산을, 검지수단(3)으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반력 연산부(4a)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즉 조작반력의 방향 및 크기에 의거하여 스크롤 속도 연산부(4c)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의 연산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동등한 것에 도 1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CPU(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CPU(40)는,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예를 들면, 풀 조작시의 경도각도, 즉 최대 경도각도(이하,「제 1 경도각도」라고 함)인 것인지, 제 1 경도각도보다도 작은 소정의 경도각도(이하,「제 2 경도각도」라고 함)인 것인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인 것인지를 판정하는 조작량 판정부(40a)를 가진다. 이 조작량 판정부(40a)는, 레버(1)가 중립위치로부터 조작된 후에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인 것인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인 것인지의 판정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CPU(40)는, 상기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고,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유지시간 계측부(40b)를 가진다.
또 CPU(40)는, 상기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판정되는 경도각도와, 상기 유지시간 계측부(40b)에 의하여 계측되는 시간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방향에 의거하여, 제 1 조작반력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조작반력 연산부(40c)를 가진다.
이 조작반력 연산부(40c)에서는,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되고,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큰 제 1 조작반력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2 경도각도라고 판정되고,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가 된 시점의 제 1 조작반력보다도 작은 제 1 조작반력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경도각도가 그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제 1 조작반력과 동일한 제 1 조작반력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반력 연산부(40c)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O°(중립위치)부터 커지고, 상기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어,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경도각도에 따라 소정의 제 2 조작반력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조작반력 연산부(40c)는,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보다 작아진 상태에 있어서도, 경도각도에 따라 상기 제 2 조작반력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조작반력의 크기에는 최소값이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최소값은 제 2 조작반력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CPU(40)는,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 1 조작반력 및 제 2 조작반력의 각각에 의거하여 역각부여수단(2)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 및 제 2 조작반력제어신호의 각각을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40d)를 가진다.
또 CPU(40)는,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연산을 행하여, 레버(1)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방향과, 레버(1)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는, 즉 지도화면(51)의 스크롤 속도를 산출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를 가진다.
또한 이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는,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40d)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 1 조작반력이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CPU(40)는,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지도화면(51)이 스크롤되도록 표시수단(5)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5)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40f)를 가진다.
또 CPU(40)는, 상기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었을 때, 및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레버(1)가 진동하도록 역각부여수단(2)을 동작시키기 위한 발진제어신호를 역각부여수단 (2)에 출력하는 발진제어부(40g)를 가진다. 또한 발진제어신호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 및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레버(1)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한 시점 및 제 2 경도각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출력되고, 이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 및 제 2 경도각도로부터 어긋났을 때에 출력되지 않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CPU(40)는, 지도화면(51)의 중심(53)을 기준으로 하여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52)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커서위치 연산부(40h)를 가진다. 또 CPU(40)는, 상기 커서위치 연산부(40h)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에 커서(52)가 표시되도록 표시수단(5)을 동작시키기 위한 커서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5)에 출력하는 커서제어부(40i)를 가진다.
또한 커서(52)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가 되었을 때에, 지도화면(51) 내에 2점쇄선의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는 바깥 원(41)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커서(52)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가 되었을 때에, 지도화면(51)내에 2점쇄선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안쪽 원(42)상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커서(52)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되었을 때, 안쪽 원(42)과 바깥 원(41) 사이의 영역(43) 내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있어서의 경도각도가 한창 변화하고 있을 때에는, 검지수단(3)에 의하여 레버(1)의 경도방향으로서 임의의 경도방향이 검지됨과 동시에, 한창 변화하고 있는 경도각도가 시시각각 검지되고, 경도각도가 검지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를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CPU(40)에 출력된다.
이것에 따라, CPU(4O)에서는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커서위치 연산부 (40h)에 의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52)의 위치가 산출된다. 이 때, 검지신호가 CPU(40)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커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40h)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중심(53)으로부터 더욱 멀어진 위치가 된다. 또 검지신호가 CPU(40)에 입력될 때마다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작아지고 있으면, 커서위치 연산부(40h)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52)의 위치는, 산출될 때마다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의하여 가까운 위치가 된다. 그리고 커서 제어부(40i)에 의하여, 커서위치 연산부(40h)에 의하여 커서(52)의 위치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커서(52)의 위치에 대응하는 커서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5)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5)이, 커서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커서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커서(52)는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변화하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을 이동하고, 레버(1)가 풀 조작위치에 도달하면, 즉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가 되면, 바깥 원(41) 상에 표시된다. 또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일 때에 안쪽 원(42)상에 표시된다.
또 CPU(40)에서는, 상기한 커서(52)의 위치의 제어와 병행하여 조작반력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레버(1)의 중립위치로부터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동작이 개시되면, 검지신호가 CPU(4O)에 입력될 때마다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인지의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가 아니라고 계속 판정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조작량 판정부(40b)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가 아니라고 판정될 때마다, 제 2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40c)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2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제 2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제 2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제 2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제 2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가 중립위치로부터 임의의 경도방향의 조작이 개시되어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경도각도에 따라 제 2 조작반력이 레버(1)에 계속 부여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있어서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2 조작반력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이 행하여지고 있고, 제 1 조작반력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한 스크롤 속도의 연산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은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검지수단(3)에 의하여 제 1 경도각도가 검지되어 검지신호가 CPU(40)에 출력되면, CPU(4O)에서는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라고 판정된다. 이에 따라, 발진제어부(40g)가 작동하여 역각부여수단(2)에 발진제어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유지시간 측정부(40b)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의 계측이 개시된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보다도 긴 시간,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된다고 하면,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발진제어신호가 계속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발진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레버(1)가 소정시간 진동한다. 또한 레버(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반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는 제 2 조작반력이 부여되면서 진동한다.
그 사이, 유지시간 측정부(40b)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시시각각 계측되고 있다. 그리고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큰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즉,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제 2 조작반력보다도 약간 큰 최소값의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되고, 그 후,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큰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40d)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제 1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로 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임의의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이 커져 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 조작반력이 한창 커지고 있을 때에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로 되돌아가, 경도각도가 그 범위내에서 변화하게 되면, 검지수단(3)에 의하여 그 범위내에서 한창 변화하고 있는 경도각도가 시시각각 검지되고, 경도각도가 검지될 때마다 검지신호가 CPU(4O)에 출력된다.
그리고 CPU(40)에서는,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고 있는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라고 판정될 때마다,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조작반력과 동일한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40d)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제 1 조작반력에 대응한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제 1 조작반력이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제 1 조작반력으로 유지된다.
또한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에서 변화하고 있을 때, 커서(52)는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영역(43) 내를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 조작반력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로 되돌아가면, 검지수단(3)에 의하여 제 2 경도각도가 검지되고, 검지신호가 CPU(40)에 출력된다.
그리고 CPU(40)에서는, 조작량 판정부(40a)에 의하여,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라고 판정된다. 이것에 따라 유지시간 측정부(40b)에 의하여 발진제어부(40g)가 작동하고, 역각부여수단(2)에 발진제어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의 계측이 개시된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보다도 긴 시간,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된다고 하면,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도달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발진제어신호가 계속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발진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레버(1)가 소정시간 진동한다. 또한 레버(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조작반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1)는 제 1 조작반력이 부여되면서 진동한다.
이 사이, 유지시간 측정부(40b)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시시각각 계측되고 있다. 그리고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가 된 시점의 제 1 조작반력보다도 작은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된다. 그리고 조작반력 제어부(40d)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제 1 조작반력에 대응하는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설정되어, 역각부여수단(2)에 출력된다.
그리고 역각부여수단(2)이,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제 1 조작반력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도달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이 작아져 간다.
또한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일 때, 커서(52)는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궤도상에 있어서의 안쪽 원(42)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조작반력이 한창 작아지고 있을 때에,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가 되어도, 그 시점의 제 1 조작반력이 유지된다.
또 CPU(40)에서는, 상기 조작반력의 제어 및 상기 커서(52)의 위치제어와 병행하여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하여,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제 1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가 산출되는, 즉, 스크롤 속도가 산출된다. 즉,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커지고 있으면,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는 산출될 때마다 커진다. 또 조작반력 연산부(40c)에 의하여 산출되는 제 1 조작반력이 산출될 때마다 작아지고 있으면,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는 산출될 때마다 작아진다. 그리고 스크롤 제어부(40f)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 연산부(4Oe)에 의하여 스크롤 속도가 산출될 때마다, 그 산출된 스크롤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 제어신호가 설정되어, 표시수단(5)에 출력된다.
그리고 표시수단(5)이, 스크롤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스크롤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레버(1)의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속도로 지도화면(51)이 스크롤된다. 즉,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이 한창 커지고 있으면, 제 1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이 가속된다. 또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이 한창 작아지고 있으면, 제 1 조작반력이 작아지는 데 연동하여,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이 감속한다. 또 임의의 경도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1 조작반력이 유지되어 있으면, 임의의 경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스크롤 속도가 유지된다.
또 레버(1)에 제 1 조작반력이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버(1)에 조작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면, 레버(1)는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보다도 작아지기까지는 제 1 조작반력에 의하여 자동 복귀하고, 제 2 경도각도보다도 작아지고 나서는 제 2 조작반력에 의하여 자동 복귀한다. 그리고 레버(1)는 중립위치에 도달하면, 제 2 조작반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어 정지한다.
이 사이,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은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보다도 작아졌을 때에 정지한다. 또 커서(52)는 레버(1)의 자동복귀에 연동하여,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근접해 가, 레버(1)가 중립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지도화면(51)의 중심(53)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 1 조작반력이 커지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롤이 가속된다. 또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 1 조작반력이 작아지고, 이에 연동하여 스크롤이 감속된다. 또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경도각도가 그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에 있어서의 제 1 조작반력이 유지되고, 스크롤 속도도 그 시점 그대로 유지된다. 즉, 조작자가 레버(1)로부터 받는 저항력(역각)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레버(1)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지도화면(51)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원하는 속도로 지도화면(51)을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레버(1)의 경도각도가 제 1 경도각도에 유지되었을 때와, 제 2 경도각도에 유지되었을 때에 레버(1)가 진동한다. 따라서, 레버(1)의 진동(역각)에 의하여 제 1 경도각도와 제 2 경도각도를 인식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대상인 화면이 카 네비게이션시스템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도화면(51)이기 때문에, 조작부재가 레버(1)이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대상이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는 화면인 경우, 조작부재는 마우스에 구비되는 휠이어도 좋다. 이 경우의 휠은, 중립위치와 풀 조작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서는, 휠이 최대 회전각도(풀 조작위치)에 유지되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작반력이 커지고, 이에 연동하여 화면의 스크롤이 가속된다. 또 휠에 조작반력이 부여되고 나서 회전각도가 소정의 회전각도로 되돌아갔을 때에는, 소정의 회전각도로 유지되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작반력이 작아지고, 이에 연동하여 화면의 스크롤이 감속된다. 또 휠의 회전각도가 최대 회전각도와 소정의 회전각도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로 유지된 상태에서는, 회전각도가 그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조작반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조작부재가 휠인 입출력장치이어도, 조작자가 휠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화면의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퍼스널 컴퓨터에 표시된 화면을 원하는 속도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대상이 지도화면(51)이고, 불필요한 화면을 빠르게 스크롤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이 가속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면의 내용에 따라서는 조작반력이 커지는 데 연동하여 스크롤이 감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 1,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검지수단(3)이 포텐시오미터에 의하여 레버(1)의 동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검지수단이 인코더에 의하여 레버(1)의 동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조작부재에 부여되는 조작반력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즉, 조작자가 조작부재로부터 받는 저항력(역각)의 크기와, 스크롤의 속도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부재에 부여하는 조작력을 가감함으로써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화면을 원하는 속도로 스크롤시킬 수 있다.
또 특히,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조작자는 커서를 스크롤 속도의 지표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특히,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재가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었을 때와,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었을 때에, 조작부재가 진동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조작부재의 진동(역각)에 의하여 제 1 조작량 및 제 2 조작량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스크롤의 속도를 조절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 : 레버(조작부재) 2 : 역각부여수단
3 : 검지수단 4 : CPU(제어수단)
4a : 조작반력 연산부 4b : 조작반력 제어부
4c : 스크롤 속도 연산부 4d : 스크롤 제어부
4e : 커서위치 연산부 4f : 커서 제어부
5 : 표시수단 40 : CPU(제어수단)
4Oa : 조작량 판정부 40b : 유지시간 측정부
40c : 조작반력 연산부 40d : 조작반력 제어부
40e : 스크롤 속도 연산부 40f : 스크롤 제어부
40g : 발진제어부 40h : 커서위치 연산부
40i : 커서 제어부 41 : 바깥 원
42 : 안쪽 원 43 : 영역
51 : 지도화면(화면) 52 : 커서
53 : 화면의 중심

Claims (6)

  1.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여, 이들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에 조작반력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조작반력과 스크롤 속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의 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는 조작반력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조작량이 클수록 큰 조작반력을 산출하는 조작반력 연산부와,
    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반력제어신호를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와,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량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와,
    이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이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 중립위치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중립위치로부터 360° 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표시수단이 화면내를 이동하는 커서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이 화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경도방향 및 경도각도에 대응하는 커서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커서위치 연산부와, 이 커서위치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커서의 위치에 커서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커서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커서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4. 수동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이 조작부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검지하여, 이들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나타내는 검지신호를 출력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조작부재에 조작반력을 부여하는 역각부여수단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검지되는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라, 조작반력과 스크롤 속도가 대응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조작량이 소정의 제 1 조작량인지, 이 제 1 조작량보다도 작은 소정의 제 2 조작량인지,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의 크기인지를 판정하는 조작량 판정부와,
    이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 및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각각의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유지시간 계측부 와,
    상기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판정되는 조작량과, 상기 유지시간 계측부에 의하여 계측되는 시간과,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나타나는 조작방향에 의거하여 조작반력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함과 동시에,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큰 조작반력을 산출하고,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에 유지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조작량이 제 2 조작량이 된 시점의 조작반력보다도 작은 조작량을 산출하고,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된 후에 변화하여 제 1 조작량과 제 2 조작량 사이의 범위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조작량이 그 범위내의 크기가 된 시점의 조작반력과 동일한 조작반력을 산출하는 조작반력 연산부와,
    이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반력제어신호를 설정하고,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조작반력 제어부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로부터 산출되는 조작반력에 의거하여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방향과, 조작반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연산을 행하는 스크롤 속도 연산부와,
    이 스크롤 속도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스크롤 속도로 화면이 스크롤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롤 제어신호를 설정하고, 표시수단에 출력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조작량 판정부에 의하여 조작량이 제 1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와, 제 2 조작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부재가 발진하도록 상기 역각부여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발진제어신호를 역각부여수단에 출력하는 발진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속도 연산부가, 상기 조작반력 연산부에 의하여 산출되는 조작반력이 클수록 큰 스크롤의 속도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KR10-2003-0097327A 2002-12-27 2003-12-26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KR100532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81705 2002-12-27
JP2002381705A JP4014504B2 (ja) 2002-12-27 2002-12-27 力覚付与型入出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791A KR20040060791A (ko) 2004-07-06
KR100532527B1 true KR100532527B1 (ko) 2005-12-02

Family

ID=3250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327A KR100532527B1 (ko) 2002-12-27 2003-12-26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35770A1 (ko)
EP (1) EP1437640A3 (ko)
JP (1) JP4014504B2 (ko)
KR (1) KR100532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2157A (ja) * 2004-05-19 2005-12-02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2007156349A (ja) * 2005-12-08 2007-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772909B1 (ko) * 2006-05-30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270700B1 (ko) * 2006-11-15 2013-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시야각 구현 방법 및 장치
US8780046B2 (en) 2007-09-10 2014-07-15 Blackberr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enhancem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034397B1 (en) 2007-09-10 2017-01-11 BlackBerr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enhancement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109173A1 (en) * 2007-10-28 2009-04-30 Liang Fu Multi-function computer pointing device
JP2011232946A (ja) * 2010-04-27 2011-11-17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US9678572B2 (en) * 2010-10-01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EP2437151B1 (en) 2010-10-01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KR101743632B1 (ko) 2010-10-01 201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책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
US20120086629A1 (en) * 2010-10-07 2012-04-12 Thoern Ola Electronic device having movement-based user input and method
US9013514B2 (en) * 2012-03-08 2015-04-21 John F. Bochniak Variable speed autoscroll system and method
JP6098438B2 (ja) * 2013-08-27 201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装置
DE102015103407A1 (de) 2015-03-09 2016-09-15 Preh Gmbh Bedienelement mit von der Detektionsrichtung abhängigem haptischem Feedback
JP2017117401A (ja) * 2015-12-25 2017-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制御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操作機器の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8759A (ja) * 1997-03-21 1998-10-09 Sony Corp 電子地図表示装置
KR19980070044A (ko) * 1997-02-21 1998-10-26 제프리엘.포먼 스크롤 바 내에 이너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1166865A (ja) * 1999-12-10 2001-06-22 Alpine Electronics Inc 操作指示方式
JP2002031539A (ja) * 2000-07-14 2002-01-31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13989A (ja) * 2000-11-20 2002-07-3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のスクロール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0877B2 (en) * 1995-12-13 2004-06-15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ling haptic feedback for enhancing navigation in a graphical environment
US6686911B1 (en) * 1996-11-26 2004-02-03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 knob with control modes and force feedback
US6636197B1 (en) * 1996-11-26 2003-10-21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effects for control, knobs and other interface devices
US6285351B1 (en) * 1997-04-25 2001-09-04 Immersion Corporation Designing force sensations for computer applications including sounds
JP3624626B2 (ja) * 1997-05-28 2005-03-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850619B2 (ja) * 1999-07-14 2006-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EP1182536A1 (en) * 2000-08-16 2002-02-2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Navigation in large data s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044A (ko) * 1997-02-21 1998-10-26 제프리엘.포먼 스크롤 바 내에 이너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JPH10268759A (ja) * 1997-03-21 1998-10-09 Sony Corp 電子地図表示装置
JP2001166865A (ja) * 1999-12-10 2001-06-22 Alpine Electronics Inc 操作指示方式
JP2002031539A (ja) * 2000-07-14 2002-01-31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13989A (ja) * 2000-11-20 2002-07-3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のスクロール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7640A2 (en) 2004-07-14
EP1437640A3 (en) 2010-10-27
JP4014504B2 (ja) 2007-11-28
KR20040060791A (ko) 2004-07-06
US20040135770A1 (en) 2004-07-15
JP2004213294A (ja)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527B1 (ko) 역각부여형 입출력장치
EP1901158A1 (en) Data processing device
JP467853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地図スクロール処理方法
KR20090008976A (ko) 네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지도 스크롤 방법 및 그 네비게이션단말
US200802433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daptive scroll operation for navigation system
KR101664037B1 (ko) 차량용 제어 패널
US20130226411A1 (en) Vehicle control system, steering simulating system, steering torque appl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program for steering torque application method
US20130285949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touchpad signals
JP2002213989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のスクロール制御装置
US20070143706A1 (en) Variable-speed scrollbar
US8203578B2 (en) Map scrol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smooth map scroll operation for navigation system
US9671879B2 (en) Search controller and search manipulation system
JP2007328394A5 (ko)
KR20170127209A (ko) 운전 지원 장치 및 그의 조향 제어 방법
JP4897342B2 (ja) 車載地図表示装置
CN115257924B (zh) 线控转向比调整方法、系统、车辆及介质
JP4870979B2 (ja) 地図表示装置
KR102021459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H07181051A (ja) 走行位置表示装置
JP200701733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4006708A (ja) 表示情報のスクロール制御装置
JP2019179460A (ja) 移動体
JP2008134504A (ja) 地図表示装置
KR20180068503A (ko) 차량의 클러스터의 동적 표시 장치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8128713A (ja) 地図表示装置、その縮尺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