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545B1 -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545B1
KR100531545B1 KR10-2003-0076425A KR20030076425A KR100531545B1 KR 100531545 B1 KR100531545 B1 KR 100531545B1 KR 20030076425 A KR20030076425 A KR 20030076425A KR 100531545 B1 KR100531545 B1 KR 10053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attery
lead acid
electrolyte
gas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304A (ko
Inventor
김광석
김용우
나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03-007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5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성(충전)공정을 거쳐 제조된 납축전지의 극판 표면에 가스와 거품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납축전지의 각 전조내에 충전되는 전해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납축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납축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납축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전기적 활성을 부여하는 화성(충전)공정이후 극판 표면에 가스(H2, O2) 및 거품이 존재하여 전해질인 황산의 양이 일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내부 파티션별로 황산의 레벨 차이를 보여 제품의 외관 및 성능면에서 균일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운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납축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조하는 케이스 제조공정과 ; 제조된 케이스의 내부에 극판과 격리판을 설치하는 극판설치공정과; 극판과 격리판이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공정과; 전해액이 주입된 납축전지에 전기를 충전하는 화성(충전)공정과; 화성공정을 거치면서 극판과 격리판상에 부착된 가스와 거품을 제거하는 가스제거공정과; 완성품의 품질검사공정으로 납축전지를 제조함으로써, 납축전지의 극판 표면에 가스와 거품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것이 가스제거공정을 거치면서 진동에 의해 가스와 거품을 극판으로부터 분리제거함으로써, 납축전지의 각 전조내에 충전되는 전해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납축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납축전지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성(충전)공정을 거쳐 제조된 납축전지의 극판 표면에 가스와 거품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납축전지의 각 전조내에 충전되는 전해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납축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납축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각각 납과 산화납으로 이루어진 두 극판과 전해질인 황산 수용액 사이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다. 이것은 복수의 양극과 음극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판들을 인접한 판들과 격리시키는 격리판과 함께 음극판과 양극판이 번갈아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극판과 격리판 이외의 공간을 전해질인 황산수용액으로 채워져 있다.
종래 납축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전기적 활성을 부여하는 화성(충전)공정이후 극판 표면에 가스(H2, O2) 및 거품이 존재하여 전해질인 황산의 양이 일정수준을 유지하지 못하고, 내부 파티션별로 황산의 레벨 차이를 보여 제품의 외관 및 성능면에서 균일한 제품을 생산하기 어렵고, 또한 이를 보완하는 특별한 기술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화성(충전)공정을 거쳐 제조된 납축전지의 극판 표면에 가스와 거품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납축전지의 각 전조내에 충전되는 전해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납축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납축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화성공정을 거친 납축전지를 진동 콘베이어상에서 납축전지에 진동을 가하여 극판 표면의 가스 및 거품을 제거하여 전해질의 레벨 저하 및 불균일성(황산의 비중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납축전지의 제조는 크게 건식 제조방식과 습식 제조방식으로 나누어진다. 건식 제조방식은 납축전지 제조 메이커에서 납축전지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액시키지 않은 상태로 출시된 후 사용자가 전해액을 직접 주액하는 방식이고, 습식 제조방식은 납축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 전해액을 미리 주액하여 제품을 출시하는 방식이다.
전해액의 주액은 1차로 전해액을 주액한 후 이를 쏟아 버린 제품에 2차 전해액을 주액한다.
숙성완료된 극판(pbo)을 양극pbo2로, 음극pb로 변환시키는 화성(충전)공정에서 완전충전상태가 되고 난 후, 물이 전기분해 되어 양극에서는 산소(O2)가 음극에서는 수소(H2)가 발생되며, 이러한 가스는 제품 출시 후 충방전시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해액 주액시 극판 내부의 공극률에 따라 주액량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를 보이게 되며 주액방식(중력방식/압력차방식 등)의 차이에 따라 거품의 발생 정도가 달라져 최종적으로 전해액의 레벨편차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납축전지의 내부에 주액되는 전해액의 수위를 균일하게 유지시킴에 있어서, 전해액이 담겨지는 전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거품과 가스의 기포를 제거하여 전해액의 레벨편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의 납축전지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스와 거품제거 공정의 진동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의 제조공정(1)과; 제조된 케이스의 내부에 극판과 격리판을 설치하는 극판 설치공정(2)과; 극판과 격리판이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공정(3)과; 전해액이 주입된 납축전지에 전기를 충전하는 화성(충전)공정(4)과; 화성공정을 거치면서 극판과 격리판상에 부착된 가스와 거품을 제거하는 가스제거공정(5);과 완성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검사공정(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제거공정(5)은 화성공정을 거친 납축전지(100)를 검사공정(6)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에 진동장치(20)를 설치시켜 컨베이어(10)를 타고 이동하는 납축전지(10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진동장치는 공지의 어떠한 진동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화성(충전)공정(4)에서 완전충전상태가 되고 난 후, 물이 전기분해 되어 양극에서는 산소(O2)가 음극에서는 수소(H2)가 발생되며, 이러한 가스의 기포와 거품은 진동장치(20)가 설치된 콘베이어(10)를 타고 이송되는 과정 즉, 가스제거공정(5)을 거치면서 가스의 기포와 거품이 제거되어 전해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성(충전)공정을 거치면서 납축전지의 극판 표면에 가스와 거품이 부착되어 존재하는 것이 가스제거공정을 거치면서 진동에 의해 가스와 거품을 극판으로부터 분리제거함으로써, 납축전지의 각 전조내에 충전되는 전해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납축전지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납축전지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스와 거품제거 공정의 진동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의 제조공정 2. 극판 설치공정
3. 전해액 주입공정 4. 화성(충전)공정
5. 가스제거공정 6.검사공정
10. 컨베이어 20. 진동장치

Claims (1)

  1. 납축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조하는 케이스 제조공정(1)과 ; 제조된 케이스의 내부에 극판과 격리판을 설치하는 극판 설치공정(2)과; 극판과 격리판이 설치된 케이스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전해액 주입공정(3)과; 전해액이 주입된 납축전지에 전기를 충전하는 화성(충전)공정(4)과; 화성공정을 거치면서 극판과 격리판상에 부착된 가스와 거품을 제거하는 가스제거공정(5)과; 완성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품질검사공정(6)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3-0076425A 2003-10-30 2003-10-30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KR10053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425A KR100531545B1 (ko) 2003-10-30 2003-10-30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425A KR100531545B1 (ko) 2003-10-30 2003-10-30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304A KR20050041304A (ko) 2005-05-04
KR100531545B1 true KR100531545B1 (ko) 2005-11-28

Family

ID=3724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425A KR100531545B1 (ko) 2003-10-30 2003-10-30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76B1 (ko) * 2007-10-17 2008-01-21 (주)오성엠테크 폐배터리 재생장치
KR101654103B1 (ko) * 2014-04-17 2016-09-06 세방전지(주) 축전지 충전 수조의 가스포집장치 및 방법
JP7188090B2 (ja) * 2019-01-08 2022-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304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43894A (zh) 一种内化成铅酸蓄电池超声波化成方法
EP3701578A2 (en) A composite lead-acid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ors based on shaped elements made of conductive porous carbon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WO2017030272A1 (ko) 진동을 이용한 전지셀 제조용 가스 트랩 제거 장치
KR100531545B1 (ko) 납축전지의 제조방법
WO2016038786A1 (ja) 鉛蓄電池
CN109950637A (zh) 一种缩短聚合物锂离子电池陈化时间的方法
JP2009252433A (ja) 制御弁式鉛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578139B2 (ko)
JP6551012B2 (ja) 鉛蓄電池用負極および鉛蓄電池
KR101786378B1 (ko) 수직형 전해장치
JPH08329975A (ja) 密閉型鉛蓄電池
BG66146B1 (bg) Метод за ускорено формиране и зареждане на оловни батерии
KR100782986B1 (ko) 전지를 이용한 펄스 화성법
JP2008166124A (ja) 制御弁式鉛蓄電池の製造方法
KR20100116063A (ko) 수계 전해액 함침성이 우수한 파워배터리용 활성탄 탄소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JP3676387B2 (ja) 密閉形鉛蓄電池の製造方法
JP2003178794A (ja) シール形鉛蓄電池の製造法
JP2019079778A (ja) 鉛蓄電池
JPH10308215A (ja) 密閉形鉛蓄電池の製造法
JPH1064530A (ja) 鉛蓄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JPS607069A (ja) シ−ル鉛蓄電池の製造方法
KR101199025B1 (ko) 폐배터리 극판 재생 방법
JP2005100726A (ja) 液式鉛蓄電池
JP2008091189A (ja) 密閉式鉛蓄電池
JP2023022290A (ja) 液式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