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886B1 -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886B1
KR100530886B1 KR10-2003-0006289A KR20030006289A KR100530886B1 KR 100530886 B1 KR100530886 B1 KR 100530886B1 KR 20030006289 A KR20030006289 A KR 20030006289A KR 100530886 B1 KR100530886 B1 KR 10053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bite
broaching
sli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809A (ko
Inventor
박홍순
Original Assignee
박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2220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308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순 filed Critical 박홍순
Priority to CNA03804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638927A/zh
Priority to AU2003217498A priority patent/AU2003217498B2/en
Priority to US10/504,229 priority patent/US7037054B2/en
Priority to JP2003569380A priority patent/JP3863146B2/ja
Priority to EP20030712998 priority patent/EP1476283B1/en
Priority to PCT/KR2003/000323 priority patent/WO2003070435A1/en
Publication of KR2003006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7/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 B23D37/08Broaching machines with vertically-arranged working tools
    • B23D37/12Broaching machines with vertically-arranged working tools for broaching oute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1/00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1/08Broaching machines or broaching devic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of control devices
    • B23D41/083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3/00Broaching tools
    • B23D43/02Broaching tools for cutting by rectilinea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 블레이드에 절곡 내지 용접용 홈을 정확한 형상으로 가공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는,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의 베이스(12)에 서로 마주하여 한 쌍의 고정블록(20)이 장착되고 이 고정블록(20)의 내측엔 슬라이더(30)가, 이 슬라이더(30)엔 바이트 지지블록(40)이 제각기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30)와 바이트 지지블록(40)은 제1, 제2작동기구(51,52)에 의해 상하로 작동된다. 상기 고정블록(20)과 슬라이더(30) 및 바이트 지지블록(40)은 서로 상응하여 결합되는 더브테일 타입(dovetail type)의 제1 내지 제4안내부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블록(20)의 제1안내부와 슬라이더(30)의 제2안내부는 슬라이더(30)가 하부로 하강될수록 수평(횡)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되는 구배(경사)가 형성된다.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의 하부는 커팅 블레이드(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부(41c)가 형성되고 이 지지면부(41c)의 상단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브로우칭 날(41d)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본 발명은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팅 블레이드를 다양한 형상으로 벤딩 가공하기 전에 커팅 블레이드를 직각 및 예각으로 용이하게 절곡하거나 평면상 T형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커팅 블레이드에 홈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연질시트제품은 단순히 블랭킹 내지 피어싱의 절단공정만으로 완성품의 시트제품을 얻고, 종이박스포장지 또는 합성수지제의 비닐포장지 및 각종의 상자를 생산하는 경우는 상자의 펼친 상태, 즉 전개상태로 원단지를 재단한 후 접착 내지 접음으로써 완성품의 상자를 얻는다.
상기에서 상자를 제작할 때, 초기단계에서 준비되는 재단과정에서는 해당 포장상자의 전개형상과 동일한 외곽형상으로 성형된 커팅 블레이드를 판재형상의 목금형에 설치하되 커팅 블레이드의 날이 도출되게 장착한 목금형을 프레스의 램에 설치한 후, 하부 금형 위에 단일 혹은 여러 겹의 원단지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프레스의 램을 하강시켰다가 상승시키면 램에 장착된 목금형의 커팅 블레이드 형상대로 커팅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되게 된다.
상기 커팅 블레이드는 얇은 띠 형상의 특수강철로 만들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가장자리에 날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커팅 블레이드의 전통적인 제작공정은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쪽 가장자리를 연마하여 날을 형성하는 단계, 밴딩 홈 내지 브리지 홈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밴딩처리 후 절단의 과정을 다단계로 분리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를 제작할 때, 커팅 블레이드의 밴딩 공정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99123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컴퓨터 제어프로그램의 운영제어방법에 따라 이미 특정한 형상과 모양이 필요로 하는 치수에 맞추어 좌/우로 절곡을 수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부언하면, 안내부재 선단에 위치된 가동누름부재를 상기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미세 가동시켜 안내부재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배출되는 커팅 블레이드를 적절하게 밴딩 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에 있어서는 커팅 블레이드의 제작공정에서 예를 들어, 직각으로 커팅 블레이드의 절곡이 필요한 경우 절곡되는 커팅 블레이드의 지점은 커팅 블레이드의 내측엔 압축응력이 외측엔 인장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소정반경의 라운드가 형성되게되고, 이로 인하여 절곡부분을 직각으로 형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커팅 블레이드를 절곡시킬 경우 금속재질의 특성상 절곡 지점이 소정반경의 라운드를 유지하면서 절곡되어 정확한 각도로 절곡 자체가 불가능하고 결국 어느 정도의 가공오차가 발생되어도 이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커팅 블레이드의 밴딩작업은 특히 라운드의 발생없이 정확한 각도로 절곡하기 위해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상기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인이 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55939호에는 소정 폭의 얇은 띠로 형성되며 그 한쪽 가장자리에 날이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피 가공물의 형상대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구부릴 수 있는 커팅 블레이드에서 그 폭 방향으로 절곡용 홈이 형성된 것인바, 커팅 블레이드의 절곡 지점을 소정반경의 라운드없이 예각은 물론 둔각의 다양한 각도로 절곡할 수 있다. 상기 절곡용 홈은 그라인더나 바이트가 업/다운 실린더에 의해 하강되면서 절삭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고안은 커팅 블레이드의 절곡용 홈을 그라인더로 가공하는 경우 그라인더의 마모에 따라서 절곡용 홈의 형상이 변할 수 있으며, 또 바이트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절곡용 홈을 가공한 후 초기 위치로 바이트가 복귀될 때 바이트를 후퇴시킴 없이 그 가공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복귀시키므로 커팅 블레이드에 바이트가 접촉된 상태로 상승되고 이러한 바이트와 커팅 블레이드의 접촉은 마찰열을 발생시켜 바이트를 열화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그라인더 및 바이트로 절곡용 홈의 가공할 때에는 커팅 블레이드의 가공부위를 지지하는 구조가 없어 커팅 블레이드에서 굽힘이 발생되므로 정확한 절곡용 홈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39943호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마롤을 이용하여 컷팅 블레이드의 상면 및 하면에 호형상의 절곡용 홈을 연삭 가공하는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등록특허공보는 적어도 커팅 블레이드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의 연마롤을 이용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가압하면서 연마하나 이 역시 커팅 블레이드의 가공부위를 지지하는 구조를 마련할 수 없기 때문에 가공시 커팅 블레이드의 가공부위가 변형되기 쉬워 정확한 절곡용 홈이 형성될 수 없었다.
또한, 커팅 블레이드를 T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고정위치가 정확한 사각형상의 홈을 가공할 수 없으며, 상기 커팅 블레이드의 한쪽끝단을 반원으로의 연마가 어렵고 이렇게 제대로의 반원으로 연마되지 않으면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팅 블레이드를 절곡하고자하는 방향의 표면에 홈을 가공할 때 커팅 블레이드의 다른 한쪽 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공함으로써 커팅 블레이드의 변형이 방지되고 정확한 형상의 홈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홈을 형성한 후 브로우칭 바이트가 커팅 블레이드와 접촉되지 않게 커팅 블레이드로부터 브로우칭 바이트를 후퇴시켜 복귀시킴으로써 커팅 블레이드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브로우칭 바이트로 절곡을 위한 삼각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커팅 블레이드를 T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커팅 블레이드의 홈에 다른 커팅 블레이드를 용접할 때 보다 큰 용접강도가 보장되는 사각형상의 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의 베이스에 소정간격을 갖고 고정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제1안내부가 형성된 고정블록과; 이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제2안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부의 반대방향에 제3안내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의 제3안내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제4안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4안내부의 반대방향에 브로우칭 바이트가 고정된 바이트 지지블록과; 상기 슬라이더와 바이트 지지블록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제1, 제2작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는, 이에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더가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이송되도록 형성되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제3안내부는, 이에 결합되는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이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면 족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작동기구는 작동방향이 슬라이더를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기구는 작동방향이 바이트 지지블록을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면 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따를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에 결합되어 제1작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바이트 지지블록을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은 상기 슬라이더의 제3안내부에 결합되어 제2작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와 슬라이더의 제2안내부, 슬라이더의 제3안내부와 바이트 지지블록의 제4안내부는 서로 상응하여 결합되고 슬라이딩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통상 더브테일 타입(dovetail type)이나 T형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와 슬라이더의 제2안내부는 슬라이더가 정이송될수록 수평(횡)방향의 중앙으로 오므라들고 슬라이더가 역이송될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배(경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안내부 형상에 의할 경우 슬라이더는, 정방향 이송시 커팅 블레이드를 향하여 경사 접근하게 되고, 역방향 이송시 커팅 블레이드로부터 경사 후퇴하게 된다.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가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더는 정방향 이송시 커팅 블레이드를 향하여 수직 접근하게 되고, 역방향 이송시 커팅 블레이드로부터 수직 후퇴하게 된다.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슬라이더 및 바이트 지지블록이 제1,제2작동기구의 작동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및 바이트 지지블록의 끝단부분에는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제2수용홈이 형성되고 제1,제2작동기구의 제1,제2피스톤로드 끝단에는 상기 제1.제2수용홈에 이동되게 끼워지면서 연결되는 제1,제2슬라이더블록이 마련된다. 상기 제1.제2수용홈과 제1,제2슬라이더블록 또한 제1 내지 제4안내부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고 슬라이딩되는 형상이면 족하다.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가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작동기구의 작동방향과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은 일치하므로 수용홈 및 슬라이더 블록 결합 구조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의 하부는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면부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이 형성된다. 또 상기 브로우칭 날은 복수 개로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하부에 위치된 브로우칭 날들로부터 상부에 위치된 브로우칭 날들을 향하여 최종 가공될 홈의 형상에 점차적으로 가깝게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브로우칭 날을 갖는 브로우칭 바이트에서 최상부의 브로우칭 날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의 브로우칭 날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최상부의 브로우칭 날은 바로 밑의 브로우칭 날과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이상으로 떨어져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커팅 블레이드(10)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형성하고 이 홈(10a)을 중심으로 90°로 밴딩한 커팅 블레이드(10)를 나타낸 것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커팅 블레이드(10)에 사각형상의 홈(10b)을 형성하고 이 홈(10b)에 다른 커팅 블레이드(10)를 T형으로 용접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상기 홈(10a,10b)의 가공에 적합하도록 창작한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트의 홈 가공장치는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에서 터널형 가이드(도시되지 않았음)를 통해 지지된 상태로 한 쌍의 브로우칭 바이트(41) 사이로 커팅 블레이드(10)가 통과하고 정지중인 커팅 블레이드(10)의 한쪽 혹은 양쪽표면에 홈(10a,10b)을 형성하는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 홈 가공장치는,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의 베이스(12)에 소정간격을 갖고 서로 마주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고정블록(20), 이 고정블록(20)이 서로 대향된 내측에서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수평(횡)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 쌍의 슬라이더(30), 이 슬라이더(30)가 서로 대향된 내측에서 상하로 승/하강되게 설치되고 브로우칭 바이트(41)가 고정된 한 쌍의 바이트 지지블록(40), 상기 슬라이더(30)와 바이트 지지블록(40)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제1, 제2작동기구(5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40)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커팅 블레이트(10)의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한쪽 면에 홈(10a,10b)을 가공할 때, 다른 한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커팅 블레이드(10)의 다른 한쪽 면을 지지한다. 상기 커팅 블레이드(10)는 한 쌍의 브로우칭 바이트(41)를 부위만이 절취된 터널형 가이드를 통해 안내되고 지지된다.
상기 고정블록(20)은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의 베이스(12)에 소정간격을 갖고 서로 마주한 상태로 고정되는 한 쌍으로 이뤄지며, 서로 대향된 고정블록(20) 내측에 그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더브테일 타입의 제1안내부인 제1안내홈(21)이 상하로 형성되고 이 제1안내홈(21)은 이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30)가 하부로 내려갈수록 수평(횡)방향의 중앙을 향해 이동되게 소정각도로 구배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서로 대향된 상태로 고정블록(20)의 내측에 상하로 승/하강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한쪽에 고정블록(20)의 제1안내홈(21)과 상응하는 형상의 제2안내부인 제2안내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안내결합돌기(31)의 반대방향엔 상하로 긴 제3안내부인 제3안내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30)의 상단에는 제1작동기구(51)와의 연결을 위한 제1수평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0)의 제2안내결합돌기(31)는 고정블록(20)의 제1안내홈(21)과 동일한 구배를 갖고 형성되되 상기 제3안내결합돌기(32)는 바이트 지지블록(40)의 브로우칭 바이트(41)를 직립 하부로 안내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라이더(30)를 고정블록(20)에 설치시 직립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0)의 상단에는 제1실린더브래킷(22)이 장착되고 이 제1실린더브래킷(22)엔 제1작동기구(51)인 에어실린더가 장착되되 이 에어실린더의 제1피스톤로드(51a)가 하부로 도출되어 있고 그 하단엔 슬라이더(30)상단의 제1수평홈(33)에 수평(횡)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형상의 제1슬라이더블록(5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슬라이더블록(51b)은 제1피스톤로드(51a)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별도로 마련하여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40)은 서로 대향된 상태로 설치된 슬라이더(30)의 내측에 상하로 승/하강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한쪽에 슬라이더(30)의 제3안내결합돌기(32)와 상응하는 형상의 제4안내부인 제4안내홈(42)이 형성되고 이 제4안내홈(42)의 반대방향엔 브로우칭 바이트(41)가 복수의 제1,제2바이트 고정편(43,44)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하단엔 제2작동기구(52)와의 연결을 위한 제2수평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장착은 브로우칭 바이트(41)의 하단 및 양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2개의 제1바이트 고정편(43)과,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상단을 고정하는 제2바이트 고정편(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브로우칭 바이트(41)는 그 상단의 제2바이트 고정편(44)을 제거하면 빼낼 수 있도록 바이트 지지블록(40)과 제1바이트 고정편(43)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블록(20), 슬라이더(30) 및 바이트 지지블록(40)의 하부위치인 베이스(12)에는 제2실린더브래킷(53)이 장착되고 이 제2실린더브래킷(53)엔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가 장착되되 이 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52a)가 상부로 도출되어 있고 그 상단엔 바이트 지지블록(40)하단의 제2수평홈(45)에 수평(횡)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형상의 제2슬라이더블록(52b)이 체결되어 있다. 이 제2슬라이더블록(52b)은 제2피스톤로드(52a)의 상단에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제2피스톤로드(52a)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는 바이트 지지블록(40)에 복수의 제1,제2바이트 고정편(43,44)으로 고정되는 비교적 넓은 바이트 베이스(41a)와 이 바이트 베이스(41a)부분에서 한쪽으로 바이트 베이스(41a)의 폭보다 좁은 소정두께로 도출된 바이트 본체(41b)로 형성된다. 상기 바이트 본체(41b)는 하부가 커팅 블레이드(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부(41c)로 형성되고 이 지지면부(41c)의 상단에서부터 그 상부로 다수의 브로우칭 날(41d)이 형성된다.
상기 브로우칭 날(41d)은 하부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 커팅 블레이드(10)에 홈(10a,10b)을 가공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하부에 위치된 브로우칭 날(41d)들로부터 상부에 위치된 브로우칭 날(41d)들을 향하여 최종 가공될 홈(10a,10b)의 형상에 점차적으로 가깝게 만들어진다. 따라서, 브로우칭 바이트(41)에 의하여 커팅 블레이드(10)에 홈(10a,10b)이 가공될 때, 먼저 하부의 브로우칭 날(41d)들에 의하여 커팅 블레이드(10)에 홈(10a,10b)의 일부분이 가공되고 이후에 최상부의 브로우칭 날(41d)에 의하여 홈(10a,10b)이 최종적으로 가공된다. 즉, 이러한 홈(10a,10b)의 가공은 브로우칭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최상부의 브로우칭 날(41d)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의 브로우칭 날(41d)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최상부의 브로우칭 날(41d)은 바로 밑의 브로우칭 날에 대하여 커팅 블레이드(10)의 높이이상 떨어져있다.
그리고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는 가공하고자하는 커팅 블레이드(10)의 두께에 따라서 커팅 블레이드(10)에 대하여 하부의 지지면부(41c)를 기준으로 하여 브로우칭 날(41d)의 도출거리, 즉 홈(10a,10b)의 가공깊이가 세팅되어 있다. 이때, 홈(10a,10b)의 가공깊이는 상단의 날끝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적어도 평면상 날끝과 0.05㎜의 간격을 갖아야 한다. 그 이유는 상기 커팅 블레이드(10)의 날끝이 손상되면 재단시 원단이 확실하게 절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브로우칭 바이트(41)의 브로우칭 날(10d)이 2개 이상의 다수 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된 한 개의 브로우칭 날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 및 바이트 지지블록(40)이 세팅된 초기의 상부위치이고 한 쌍의 브로우칭 바이트(41)가 벌어진 상태에서 커팅 블레이드(10)를 공급한다. 이때, 커팅 블레이드(10)가 삼각형상의 홈(10a)을 형성하고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10)가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블록(20) 상단의 제1실린더브래킷(22)에 장착된 제1작동기구(51)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작동기구(51)의 제1피스톤로드(51a)가 하부로 도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51a)끝단의 제1슬라이더블록(51b)을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30)가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더(30)가 하부로 이동될수록 슬라이더(30)와 바이트 지지블록(40)은 고정블록(20)의 제1안내부인 제1안내홈(21)과 슬라이더(30)의 제2안내부인 제2안내결합돌기(31)가 소정각도로 구배(경사)져 있기 때문에 터널형 가이드의 커팅 블레이드(10)를 향하여 수평(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8b와 같이, 바이트 지지블록(40)에 장착된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지지면부(41c)가 커팅 블레이드(10)의 양쪽측면에 닿게 되므로 커팅 블레이트(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c와 같이, 홈(10a,10b)을 가공하고자 하는 쪽에 위치된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그 제2피스톤로드(52a)를 후퇴 하강시키면 상기 제2피스톤로드(52a)상단의 제2슬라이더블록(52b)을 통해 연결된 바이트 지지블록(40)이 하강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0)의 제3안내부인 제3안내결합돌기(32)에 바이트 지지블록(40)의 제4안내부인 제4안내홈(42)이 직립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바이트 지지블록(40)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직립상태의 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한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가 하강되면서 그 브로우칭 날(41d)은 커팅 블레이드(10)의 한쪽 면을 절삭함으로써 삼각형상의 홈(10a)이 가공되며, 이렇게 한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가 하강될 때, 다른 한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정지상태에서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지지면부(41c)에 의해 커팅 블레이드(10)의 한쪽 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커팅 블레이드(10)의 변형이 방지되고 정확한 삼각형상의 홈(10a)으로 가공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는 다수의 브로우칭 날(41d)을 가지고있고 각각의 브로우칭 날(41d)들은 커팅 블레이드(10)에 가까이 위치(즉, 하부위치)의 것으로부터 커팅 블레이드(10)로부터 멀리 있는 상부위치로 갈수록 삼각형상의 홈(10a) 형상에 점차적으로 접근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러므로, 브로우칭 바이트(41)가 커팅 블레이드(10)에 홈을 가공할 때, 비교적 작은 절삭저항이 발생하고 삼각형상의 홈(10a) 형성에 따른 가공부하가 작게 된다.
또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는 하부에 커팅 블레이드(10)의 절곡을 위한 삼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과, 상단에 커팅 블레이드(10)를 평면상 T형으로 용접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를 이용하여 삼각형상의 홈(10a)은 물론 사각형상의 홈(10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브로우칭 바이트(41)는 가공하고자하는 커팅 블레이드(10)의 두께에 따라서 커팅 블레이드(10)에 대하여 하부의 지지면부(41c)를 기준으로 하여 브로우칭 날(41d)의 도출거리, 즉 홈(10a,10b)의 가공깊이가 세팅되어 있으며, 상기 홈(10a,10b)의 가공깊이는 상단의 날끝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적어도 평면상 날끝과 0.05㎜의 간격을 갖고있다. 이렇게 날끝과 0.05㎜의 간격을 두는 이유는 상기 커팅 블레이드(10)의 날끝이 손상되면 재단시 원단이 확실하게 절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한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가 완전히 하강되면서 커팅 블레이드(10)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한 후에는 고정블록(20)상단의 제1실린더브래킷(22)의 제1작동기구(51)인 에어실린더를 작동시켜 상기 제1작동기구(51)의 제1피스톤로드(51a)가 상부로 삽입되어 원래위치(초기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51a)끝단의 제1슬라이더블록(51b)을 통해 연결된 슬라이더(30) 또한 상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더(30)가 상부로 이동될수록 슬라이더(30)와 바이트 지지블록(40)은 고정블록(20)의 제1안내부인 제1안내홈(21)과 슬라이더(30)의 제2안내부인 제2안내결합돌기(31)가 소정각도로 구배(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 8d와 같이, 터널형 가이드의 커팅 블레이드(10)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수평(횡)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40)에 장착된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지지면부(41c)가 커팅 블레이드(10)의 양쪽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10)로부터 브로우칭 바이트(41)가 외측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도 8e와 같이,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한 쪽에 위치된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를 다시 작동시키면 이 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52a)를 원래위치로 전진 상승시키고 상기 제2피스톤로드(52a)상단의 제2슬라이더블록(52b)을 통해 연결된 바이트 지지블록(40) 또한 상승시킨다.
따라서, 브로우칭 바이트(41)가 커팅 블레이드(10)에 닿지 않은 상태로 상승되므로 마찰이 없고 이로 인한 브로우칭 바이트(41)의 열화방지는 물론 수명연장이 이뤄진다. 이때, 상기 바이트 지지블록(40)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슬라이더(30)의 제3안내부인 제3안내결합돌기(32)에 바이트 지지블록(40)의 제4안내부인 제4안내홈(42)이 직립상태로 결합된 것이어서 직립상태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원래위치(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일련의 과정이 마무리되어 바이트 지지블록(40)의 브로우칭 바이트(4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또 다른 삼각형상의 홈(10a)이 가공될 위치까지 미리 프로그램된 거리만큼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설명은 커팅 블레이드(10)의 한쪽 면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것이고, 커팅 블레이드(10)의 다른 한쪽 면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할 때에는 한 쪽의 브로우칭 바이트(41)와 마주하는 다른 한쪽 브로우칭 바이트(4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가공과정을 필요한 개수만큼 반복하여 소정형상의 커팅 블레이드(10)를 얻는 것이나 그 가공과정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41)로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브로우칭 바이트(41)는 하부에 커팅 블레이드(10)의 절곡을 위한 삼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과, 상단에 커팅 블레이드(10)를 평면상 T형으로 용접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삼각형상의 홈(10a)은 물론 사각형상의 홈(10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상의 홈(10b)은 커팅 블레이드(10)의 사각형상의 홈(10b)에 다른 커팅 블레이드(10)를 용접할 때 사용하기 위한 홈이며, 이는 브로우칭 바이트(41)의 하부에 형성된 브로우칭 날(41d)들은 통상의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하기 위한 브로우칭 날(1a)로부터 적어도 커팅 블레이드(10)의 높이이상 떨어진 상부위치에 제공되는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에 의하여 가공된다.
상기 커팅 블레이드(10)에 삼각형상 및 사각형상의 홈(10a,10b)을 형성하는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삼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들을 이용하여 도 1a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10)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을 이용하여 도 2a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10)에 사각형상의 홈(10b)을 가공하도록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52a)의 행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팅 블레이드(10)에 삼각형상의 홈(10a)을 가공할 때는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이 삼각형상의 홈(10b)을 가공하기 위한 브로우칭 날(41d)로부터 적어도 커팅 블레이드(10)의 높이이상 떨어진 상부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사각형상의 브로우칭 날(41d)은 커팅 블레이드(10)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52a)의 행정을 짧게 하고, 사각형상의 홈(10b)을 가공할 때는 제2작동기구(52)인 유압실린더의 제2피스톤로드(52a)의 행정을 길게 조정하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에 의하면, 커팅 블레이드를 절곡하고자하는 방향의 표면에 홈을 가공할 때 커팅 블레이드의 다른 한쪽 면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공함으로써 커팅 블레이드의 변형이 방지되고 정확한 형상의 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홈을 형성한 후에 브로우칭 바이트가 커팅 블레이드와 접촉되지 않게 커팅 블레이드로부터 브로우칭 바이트를 후퇴시켜 복귀시킴으로써 커팅 블레이드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나의 브로우칭 바이트로 절곡을 위한 삼각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커팅 블레이드를 T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커팅 블레이드의 홈에 다른 커팅 블레이드를 용접할 때 보다 큰 용접강도가 보장되는 사각형상의 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서 제1,제2구동기구를 에어실린더 및 유압실린더로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모터 등과 같은 다른 구동기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도 1a는 커팅 블레이드에 삼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서 홈을 기준으로 절곡한 상태의 커팅 블레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는 커팅 블레이드에 사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커팅 블레이드의 홈에 다른 커팅 블레이드를 T형으로 용접한 상태의 커팅 블레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일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를 커팅 블레이드 성형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한 쌍의 브로우칭 바이트가 커팅 블레이드를 파지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브로우칭 바이트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커팅 블레이드에 삼각형상의 홈을 가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베이스 20: 고정블록
21: 제1안내부 22: 제1실린더브래킷
30: 슬라이더 31: 제2안내부
32: 제3안내부 33: 제1수평홈
40: 바이트 지지블록 41: 브로우칭 바이트
41a: 바이트 베이스 41b: 바이트 본체
41c: 지지면부 41d: 브로우칭 날
42: 제4안내부 43: 제1바이트 고정편
44: 제2바이트 고정편 45: 제2수평홈
51: 제1작동기구 51a: 제1피스톤로드
51b: 제1슬라이더블록 52: 제2작동기구
52a: 제2피스톤로드 52b: 제1슬라이더블록
53: 제2실린더브래킷 10: 커팅 블레이드
10a: 절곡용 홈

Claims (11)

  1. 커팅 블레이드 홈 가공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고정되고 제1안내부가 형성된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에 결합되어 제1작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바이트 지지블록을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제3안내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제3안내부에 결합되어 제2작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며, 브로우칭 바이트를 수용하는 바이트 지지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 및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한 슬라이더의 제2안내부, 상기 슬라이더의 제3안내부 및 그에 상응하는 형상을 한 바이트 지지블록의 제4안내부는 서로 상응하며 결합되는 더브테일 타입(dovetail typ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의 제1안내부는 슬라이더가 정이송될수록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중앙으로 오므라들고 슬라이더가 역이송될수록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배(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 홈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에는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우칭 바이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로우칭 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 홈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우칭 날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우칭 날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8. 삭제
  9. 삭제
  10.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에 있어서,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제1안내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제1안내부와 상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안내부를 포함하여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며, 바이트 지지블록이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제3안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3안내부와 상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4안내부를 포함하며, 커팅 블레이드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브로우칭 바이트를 수용하는 바이트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11.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에 있어서,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안내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제1안내부와 상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안내부를 포함하여 커팅 블레이드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되며, 바이트 지지블록이 커팅 블레이드의 높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제3안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3안내부와 상보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4안내부를 포함하며, 커팅 블레이드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브로우칭 바이트를 수용하는 바이트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KR10-2003-0006289A 2002-02-20 2003-01-30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KR10053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A038043920A CN1638927A (zh) 2002-02-20 2003-02-17 用于在切割刀片上形成槽的装置
AU2003217498A AU2003217498B2 (en) 2002-02-20 2003-02-17 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US10/504,229 US7037054B2 (en) 2002-02-20 2003-02-17 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JP2003569380A JP3863146B2 (ja) 2002-02-20 2003-02-17 カッティングブレードの溝加工装置
EP20030712998 EP1476283B1 (en) 2002-02-20 2003-02-17 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PCT/KR2003/000323 WO2003070435A1 (en) 2002-02-20 2003-02-17 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09136 2002-02-20
KR1020020009136 2002-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09A KR20030069809A (ko) 2003-08-27
KR100530886B1 true KR100530886B1 (ko) 2005-11-24

Family

ID=3222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289A KR100530886B1 (ko) 2002-02-20 2003-01-30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8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21B1 (ko) * 2008-10-20 2011-01-14 주식회사 서울레이저발형시스템 채널의 절곡홈 가공장치
WO2011093587A3 (ko) * 2010-01-26 2011-10-27 Park Young Keun 홈 가공 장치
KR101303400B1 (ko) * 2013-03-19 2013-09-05 오성용 자동차용 변속레버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0440A (ja) * 1985-10-29 1987-05-09 Shiyouda Shoji Kk 液晶表示素子固着ガラス板の面取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940007123A (ko) * 1992-09-29 1994-04-26 베르너 발데크 비스아조, 비스아조메틴과 아조-아조메틴 화합물
KR19980073656A (ko) * 1997-03-18 1998-11-05 송병준 컷팅 블레이드 절곡홈 가공장치
KR200155939Y1 (ko) * 1997-04-01 1999-09-01 박홍순 커팅 블레이드의 요홈부 형성과 직각 절곡을 위한 절곡홈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0440A (ja) * 1985-10-29 1987-05-09 Shiyouda Shoji Kk 液晶表示素子固着ガラス板の面取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940007123A (ko) * 1992-09-29 1994-04-26 베르너 발데크 비스아조, 비스아조메틴과 아조-아조메틴 화합물
KR19980073656A (ko) * 1997-03-18 1998-11-05 송병준 컷팅 블레이드 절곡홈 가공장치
KR200155939Y1 (ko) * 1997-04-01 1999-09-01 박홍순 커팅 블레이드의 요홈부 형성과 직각 절곡을 위한 절곡홈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21B1 (ko) * 2008-10-20 2011-01-14 주식회사 서울레이저발형시스템 채널의 절곡홈 가공장치
WO2011093587A3 (ko) * 2010-01-26 2011-10-27 Park Young Keun 홈 가공 장치
KR101303400B1 (ko) * 2013-03-19 2013-09-05 오성용 자동차용 변속레버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09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uckle bracket
KR100530886B1 (ko) 커팅 블레이드의 홈 가공장치
CN104870116A (zh) 激光加工机的修边工具及其修边方法
EP1476283B1 (en) Apparatus for forming groove used in cutting blade
KR102176173B1 (ko) 용접라인이 최소화된 플라스틱 창호용 용접기
JP2007083335A (ja) パイプ切断装置
CN211386579U (zh) 一种一步完成上下折弯冲压模具
JP2018149584A (ja) ワークの曲げ加工方法及び装置
JP4457398B1 (ja) 角パイプの折り曲げ方法、角パイプの折り曲げ構造及び角パイプの折り曲げ加工装置
JP4764027B2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プレス機械
JP3677931B2 (ja) 搬送機構を備えた部品加工装置
KR100337302B1 (ko) 프레스 금형의 홀 가공용 지그
CN212792749U (zh) 钣金折弯机的夹紧机构
JP3199991B2 (ja) プレス成形用金型装置
JPH06269869A (ja) ワークのプレス装置
RU221642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заготовки
JP2686822B2 (ja) 波形放熱板の製造方法及び波形放熱板の切断方法
CN220311466U (zh) 一种适配超出冲床设备行程规格的冲剪模具
JP2003251416A (ja) 中空材の端部成形装置
CN215467457U (zh) 一种便于取件的冲沙拉孔模具
CN219052613U (zh) 冲孔装置
JP3775252B2 (ja) 複合型プレス加工装置
JP4538997B2 (ja) プレス装置
JPH09141751A (ja) 成形品製造装置及び成形品製造方法
CN217570408U (zh) 一种冲剪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20

Effective date: 2010051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03

Effective date: 201008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