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45B1 - 역전사효소 저해제 - Google Patents

역전사효소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45B1
KR100530445B1 KR1019980043529A KR19980043529A KR100530445B1 KR 100530445 B1 KR100530445 B1 KR 100530445B1 KR 1019980043529 A KR1019980043529 A KR 1019980043529A KR 19980043529 A KR19980043529 A KR 19980043529A KR 100530445 B1 KR100530445 B1 KR 100530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transcriptase
elm
extract
belonging
ulm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173A (ko
Inventor
도시코 가도노
요시히로 세기노
사치오 와카야마
Original Assignee
호아시 마사히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아시 마사히토 filed Critical 호아시 마사히토
Publication of KR1999003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71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종래 알려져 있는 당느릅나무의 유래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독성이 낮으므로 소량으로써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의약품, 식품, 음료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역전사효소 저해제
본 발명은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에서 유래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한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근년,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이나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human adult T cell leukemia, HALT)이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이들의 예방법이나 치료법의 확립이 급무로 되어 있다.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은 인간 면역부전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에 의하여 발증(發症)하며,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은 인간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human T cell leukemia virus)에 의하여 발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RNA를 DNA로 변환하는 역전사효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트로바이러스이다.
따라서 이들 레트로바이러스에 존재하는 역전사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AIDS 등의 발증을 방지하는 연구가 여러 가지 되어 왔다. 그 결과, 금일까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지는 여러 가지 물질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아지도티미딘, 디데옥시시티딘, 디데옥시노신이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AIDS 치료약으로서 인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치료약은 제조 코스트가 높고 부작용이 강하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자연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부작용이 적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성분을 저렴하게 취득하는 시도가 되고 있다. 예컨대 국제공개 공보 WO95/l9782에는 당느릅나무의 화부를 원료로 하여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조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당느릅나무의 화부(花部)로부터 조제한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안전성이 높기는 하지만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은 반드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실용화를 위해서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이 한층 더 높은 식물 유래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종다양한 느릅나무에 대하여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검토한 결과, 특정의 느릅나무의 화부에 예기치 않았던 현저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이 있음을 우연히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료로 사용하는 식물종은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것이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울무스 홀랜디카는 울무스 카르피니폴라(Ulmus carpinifolla)와 울무스 글라브라(Ulmus glabra)의 교잡품종을 포함하는 것이며, 비교적 대형의 것이 많다. 그리고 작은 가지의 표면이 평활하고 익편(翼片)의 중앙에 열매가 달려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울무스 홀랜디카는 유럽에 있어서 가로수나 공원수로서 식목되어 있으며 원예품종도 있다.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구체적인 식물종으로서, 그 이종(異種) 식물인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그로네페이트(Groenveid), 벨기카(Belgica), 클루시우스(Clusius), 콜루멜라(Columella), 도도엔스(Dodoens) 및 호메스테드(Homestead)를 비롯한 느릅나무를 예시할 수가 있다.
웨가타아(Vegeta)는 복수의 주된 가지로 되어 있고, 극히 튼튼한 느릅나무이다. 어린 나무의 주된 가지는 비스듬히 뻗어나고자 하는데, 생장함에 따라 옆으로 퍼져 처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가지는 한 덩어리로 정리되는 일이 없이 제멋대로 아무렇게나 뻗어나가고 있는 것이 많다. 줄기에는 길게 갈라진 곳이 많이 보이고 회색을 하고 있다. 웨가타아(Vegeta)의 잎은 뒤에 설명하는 벨기카(Belgica)의 잎보다도 크고 코멜린(Commelin)의 잎보다 넓적하다. 잎의 밑은 폭이 넓고 형상은 역란형(逆卵型) 또는 타원형 등의 여러 가지이다. 그리고 싹은 일반적으로 크고 광택이 있는 적다색을 하고 있다. 웨가타아(Vegeta)에는 헌팅돈(Huntingdon) 느릅나무도 포함된다.
코멜린(Commelin)은 수관(樹冠)이 벌어진 튼튼한 느릅나무이다. 줄기는 약간 나선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비교적 똑바르게 뻗어있는 것이 많다. 웨가타아(Vegeta)에 비하면 가지는 드문드문하고 가늘다. 가지의 색은 붉은 기를 띤 다색인 것이 일반적이다. 수관은 밑에서부터 들여다 보이는 것이 많다. 그리고 잎은 옅은 녹색이고 작으며, 잎맥(葉脈)은 밝은 색을 띠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잎차례(葉序)는 드문드문하고 웨가타아(Vegeta)보다도 훨씬 후에 낙엽한다. 잎은 타원형이고 선단이 짧고 뾰쪽한 것이 많다. 코멜린(Commelin)은 일반적으로 바람에 강하여 낙엽이 느리다.
그로네페이트(Groenveid)는 대형이고 바람에 강한 느릅나무이다. 나무높이는 약 15∼20m이며 정점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있고, 수관(樹冠)이 가늘고 가지런한 형을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잎은 작고 극히 밀집해 있으며 진한 녹색을 하고 있으나 가을에는 완전히 황색으로 된다. 잎의 뒷면에는 솜털이 있고 약간 둔한 색을 하고 있다. 생장이 느리므로 꽃과 열매가 비교적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필요한 꽃부분(花部)을 한 그루의 느릅나무로부터 다량으로 취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클루시우스(Clusius)는 형이 가즈런한 수관(樹冠)을 가지고 있고, 바람에 강한 특징을 가진 느릅나무이다. 콜루멜라(Columella)는 나무 몸체가 작은 느릅나무이다. 도도엔스(Dodoens)는 잎이 광택이 있는 진한 녹색이고 굵은 가지가 위로 뻗어있는 튼튼한 느릅나무이다. 호메스테드(Homestead)는 미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느릅나무이다. 도도엔스(Dodoens)와 호메스테드(Homestead)는 함께 웨가타아(Vegeta)와 흡사한 점이 많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 중에는 울무스 카르피니폴라(Ulmus carpinifolla)와 울무스 글라브라(Ulmus glabra)의 교잡품종이 포함된다.
울무스 카르피니폴라(Ulmus carpinifolla)는 나무높이가 약 25∼30m이고 폭이 넓으며 타원형의 나무형을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무가 나이를 더함에 따라 나무껍질은 거칠어진다. 작은 가지는 비교적 가늘고 털은 생기지 않은 것이 많다. 그리고 종(種)에 따라서는 생장이 빠른 어린 가지에 코르크층이 명료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잎은 역란형(逆卵型)을 하고 있고, 8cm 미만의 작은 것이 많다. 좌우로는 12조(組) 전후의 잎맥(葉脈)이 있다.
울무스 카르피니폴라(Ulmus carpinifoll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종류는 풍부하며, 예컨대 담피에리(Dampieri), 호에르숄미엔시스(Hoersholmiensis), 사르니엔시스(Sarniensis), 우레디(Wredei)를 예시할 수 있다.
한편, 울무스 글라브라(Ulmus glabra)는 폭이 넓고 둥근 수관(樹冠)을 가진 대형의 느릅나무이다. 뿌리는 그다지 발달해 있지않고 수피(樹皮)는 회색이며 처음에는 평활하지만 후에는 얕은 홈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두툼한 다색(茶色)의 굵은 가지가 빽빽하게 생겨있고, 관(冠) 부분의 표피는 핑크색을 띠고 있다. 잎은 8∼l6cm이고 울무스 카르피니폴라(Ulmus carpinifolla)보다도 거친 것이 많다. 잎자루(葉柄)는 짧고 비스듬하게 된 잎의 밑둥(葉脚)이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좌우로 뻗어나는 잎맥은 12∼18조이고, 꽃차례(花序)는 조금 크다. 그리고 종자를 날려버리기 위한 익편(翼片)은 역란형을 하고 있고, 열매는 중앙에 달려있다.
울무스 글라브라(Ulmus glabr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구체예로서 캄페르도우니(Camperdownii), 엑소니 엔시스(Exoniensis), 호리존탈리스(Horizontalis)를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구체예 이외의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을 기타의 식물종과 교배시킨 식물종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교배시키는 기타의 식물종은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기타의 식물종이어도 좋고,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지 않는 식물종이어도 좋다. 그리고 교배시키는 식물종은 1종류만이어도 좋고 복수종이어도 좋다. 더욱이 교배시켜 얻은 품종을 다시 교배시켜 얻은 품종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는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서 유래하는 식물종을 이용한 것이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의 화부 (花部)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서 유래하는 식물종은 겨울부터 이른 봄까지에 걸쳐 꽃봉오리가 열리며, 봄에 꽃을 피운다. 꽃눈의 크기는 작더라도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꽃봉오리 단계에서부터 꽃을 활짝 피우기까지의 사이에 화부(花部)를 취득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의 화부에는 강력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이 발견된다. 그 활성은 당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보다도 훨씬 강하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중에서도, 특히 그 이종 식물인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및 그로네페이트(Groenveid)는 특히 현저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다종다양한 느릅나무 식물중에서 특히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에 한하여 이러한 높은 활성이 나타나는 것은 전혀 예기하고 있지 않았던 것이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서 유래하는 식물종의 화부(花部)는 역전사효소 저해제로서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하여 이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세편상(細片狀) 또는 분말상으로 한 후에 적당한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사용해도 좋고,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해도 좋다.
화부를 세편상(細片狀) 또는 분말상으로 할 때에는 채취한 화부를 그대로 커터, 세단기(細斷機), 콜로이드 밀 등을 사용하여 처리해도 좋지만, 일단 건조한 후에 세단, 분말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부의 건조는 수분함량이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미만으로 될 때까지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조는 자연건조이어도 좋고 기계건조이어도 좋다. 그리고 건조를 할 경우는 화부 채취로부터 30분 이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부의 건조온도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식 드럼 가열장치나 전자파(電磁波) 등을 사용하여 급속 가열건조해도 좋다. 가압식 드럼 가열장치를 사용할 경우는 80∼140℃의 범위내에서 가열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시간은 통상 2분 이내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40∼50초 정도로 한다. 그리고 전자 레인지 등의 전자파를 사용할 경우에는 예컨대 600W에서 20∼50초 정도 가열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가열건조함으로써 화부 원료중에 함유되어 있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효소의 활성을 억제 또는 실활시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성분의 분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가 있다.
급속 가열건조한 것은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다시 저온건조한 후에 사용해도 좋다. 저온건조를 할 경우에는 -5℃∼10℃의 범위내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건조는 원적외선 건조장치 등의 열풍건조장치, 통풍건조장치, 빙온(氷溫) 건조장치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할 수가 있다. 예컨대 원적외선 건조를 한 후에 빙온건조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저온건조를 하면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성분의 분해를 방지할 수가 있다.
화부의 세단(細斷)이나 분말화는 목적에 합당한 장치나 도구를 사용하여 할 수가 있다. 예컨대 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50∼100㎛의 분말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세단이나 분말화는 건조전, 고온 건조후, 저온 건조후 중의 어느 쪽이어도 좋다.
화부는 이렇게 하여 세편상 또는 분말상으로 하는 외에 추출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추출의 대상이 되는 화부는 채취한 화부 그 자체, 채취한 화부를 세편화한 것, 고온건조한 것, 저온건조한 것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추출효율을 올리기 위해 화부는 어느 정도 세편화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는 물 또는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이외의 추출용매도 사용할 수가 있다. 알코올계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tert-부탄올, 펜탄올, 이소펜탄올, 헥산올, 이소헥산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예컨대 30∼50%의 에틸 알코올 또는 메틸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할 수가 있다.
추출은 상온에서 해도 좋고 환류하에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5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환류온도에서 속스레 추출기에 의하여 30∼60분간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가 있다.
추출한 추출액은 그대로 역전사효소 저해제로서 사용해도 좋지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농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의 정도는 사용환경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농도 10% 정도로 하여 액제로서 사용해도 좋고, 분말상으로 될 때까지 용매를 제거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종 유래의 성분으로서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의 화부로부터 얻은 상기한 재료만을 사용해도 좋고, 이것을 기타의 식물종으로부터 얻은 재료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러한 기타의 식물종 유래의 재료로서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재료를 널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옻나무 일부분 또는 그 추출물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옻나무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것들 중에서 선택할 수가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옻나무과 옻나무속에 속하는 식물종의 잎부분이다. 예컨대 옻나무(Rhus vernicitlua), 개옻나무(Rhus trichocarpa), 시타우루시(Rhus ambigna), 붉나무(Rhus javanica), 산황로(Rhus sylvestris)를 예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옻나무잎이 연한 어린 잎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8 주령(週令)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 주령이하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옻나무 잎부분은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식물종의 화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방법에 따라 건조, 분말화, 세편화, 추출할 수가 있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 화부(花部)의 성분과 옻나무 일부분 유래의 성분의 혼합비율은 적절히 결정할 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1 : 0.1∼10의 범위내, 그 중에서도 1 : 0.5∼2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1 : 2 정도의 비율로 혼합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의약품, 식품, 음료로 하여 안전하고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의약품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투여경로에 따라 여러 가지 제형을 선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예컨대 직장투여, 비내(鼻內)투여, 뺨쪽투여, 혀밑투여, 질내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투여, 정맥내 투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경구투여, 피하투여 또는 경피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투여에 적합한 제제로서 정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액제, 시럽제 등을 들 수 있고,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로서 주사제, 점적제, 좌제, 흡입제, 경피 흡수제, 경점막 흡수제, 첩부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는 정맥주사, 근육주사, 피하주사, 점적 등의 어느 것에라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특히 경구용 제제, 주사제, 첩부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필요에 따라 약리학적 및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첨가할 수가 있다. 예컨대 부형제, 붕괴제 또는 붕괴 보조제, 결합제, 활택제. 코우팅제, 색소, 희석제, 기제, 용해제 또는 용해 보조제, 등장화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분사제, 점착제, 습윤제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첨가제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여러 가지 부가적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활성성분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설계할 수가 있다. 그리고 체내의 필요한 개소에서 활성성분이 집중적으로 방출되도록 설계할 수가 있다. 이러한 서방성(徐放性) 제제나 드럭 딜리버리 시스템은 제제업계에 있어서 주지의 방법에 따라 설계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의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담체로서 유당, 전분,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이나 유지를 예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는 울무스 홀랜디카 유래의 활성물질을 0.01∼100 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이나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기타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옻나무잎에서 유래하는 조성물과 조합하면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1)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 또는 그 추출물과 (2) 옻나무 일부분 또는 그 추출물이 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성물중의 어느 것에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역전사효소 저해제 키트가 포함된다.
성분 (1)과 성분 (2)는 본 발명의 역전사 저해 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성물중의 어느 것에 함유되어 있으면 좋다. 예컨대 성분 (1)을 함유한 조성물과 성분 (2)를 함유한 조성물로 된 키트이어도 좋고, 성분 (1)과 성분 (2)의 존재비가 다른 복수의 조성물로 된 키트이어도 좋다. 사용할 때에는 이들 조성물을 적당히 조합하여 투여한다. 예컨대 복수의 조성물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해도 좋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투여해도 좋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의 투여량은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 환자의 성별, 체중, 연령, 질환의 종류나 정도, 제형, 투여경로, 투여회수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 예컨대 경구투여할 경우에는 0.1㎍∼100mg(활성성분 건조중량) / kg체중 / 일이고, 1일 1회로부터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가 있으며, 투여량은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각종 식품이나 음료에 함유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음료로 할 수가 있다. 예컨대 홍차, 청량 음료수, 쥬우스, 엿, 전분질 식품, 각종 가공식품 등에 첨가할 수가 있다. 울무스 홀랜디카 유래의 활성 물질의 첨가량은 약 0.1∼99 중량%의 범위내로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겔화제 등을 첨가하여 식감을 개량해도 좋다.
아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 나온 성분, 비율, 조작순서 등은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한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실시예에 나온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 [분제(粉劑)]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및 그로네페이트(Groenveid)의 꽃봉오리를 네덜란드국 암르텔담시내에서 3월에 채취하였다. 채취한 꽃봉오리를 각각 믹서를 사용하여 110∼120℃에서 수분량 1∼5%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수득한 건조분말에 탈산소제를 넣고 밀봉하여 상온에서 보존하였다.
1주간 보존한 후 건조분말을 꺼집어 내어 유당과 0.1% 청색 1호 알루미늄 레이크 유당과 더불어 아래의 표에 나온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제를 가진 본 발명의 분제를 얻었다.
[표 1]
(실시예 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옻나무의 어린잎 분말과 조합시킨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분제)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옻나무의 어린잎을 일본국의 石川縣에서 3월에 채취하여 믹서를 사용하여 분쇄한 후 110∼120℃에서 수분량이 1∼5%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수득된 건조분말에 탈산소제를 넣고 밀봉하여 상온에서 보존하였다. 1주간 보존후 실시예 1에서 얻은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또는 그로네페이트(Groenveld)의 건조분말과 전분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각 건조분말과 전분은 각각 아래의 표에 나온 양으로 혼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본 발명의 혼합분제를 얻었다.
[표 2]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캡슐제)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또는 그로네페이트(Croenveid) 분말을 함유하는 각 분제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또는 그로네페이트(Groenveid) 분말과 옻나무 분말을 함유하는 각 분제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주사제)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및 그로네페이트(Groenveid)의 꽃봉오리를 네덜란드국 암스텔담시내에서 3월에 채취하였다. 채취한 꽃봉오리를 믹서를 사용하여 분쇄하고 110∼120℃에서 수분량이 1∼5%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수득된 건조분말에 탈산소제를 넣고 밀봉하여 상온에서 보존하였다. 1주간 보존후 각 건조분말을 80℃의 물로 추출하여 용매를 감압유거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을 염화 나트륨과 함께 증류수에 용해하였다. 건조분말, 염화 나트륨 및 증류수는 각각 아래의 표에 나온 양으로 혼합하였다. 수득한 수용액을 여과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표 3]
(실시예 5)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기능성 음료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및 그로네페이트(Groenveid)의 꽃봉오리를 네덜란드국 암스텔담시내에서 3월에 채취하였다. 채취한 꽃봉오리를 즉시에 세편화(細片化)하여 60℃의 물로 추출하였다. 수득한 추출액을 고형분 중량이 10%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아래의 성분과 혼합하였다. 각 성분은 각각 아래의 표에 나온 비율로 혼합하였다. 이렇게함으로써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진 기능성 음료를 얻었다.
[표 4]
(시험예 1)
본 시험예에 있어서 표 5에 기재된 여러 가지의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비교하였다.
닭 골수아구증 바이러스(avian myeloblasosis virus) 유래의 역전사효소를 사용하여 표 5의 각종 느릅나무를 원료로 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한 역전사효소 저해제의 IC50(㎍/ml)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5에 나온 바와 같다.
[표 5]
상기 표에 기재한 것 이외의 광범한 느릅나무에 대해서도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나 IC50이 10 이하인 것은 없었다. 이 시험결과로부터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에서 유래하는 조성물은 현저하게 높은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그 중에서도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및 그로네페이트(Groenveid)의 3종에서는 극히 강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를 옻나무 어린잎과 중량비 1 : 0.5∼2로 하여 혼합하면 역전사효소 저해활성이 더욱 2∼5배 정도 높아지는 것도 확인되고 있다. 특히 중량비 1 : 2로 혼합한 조성물의 활성이 높았다. 더욱이 이들 역전사효소 저해활성 시험에 있어서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종래 알려져 있는 당느릅나무 유래의 역전사효소 저해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역전사효소 저해제는 독성이 낮으므로 소량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의약품, 식품, 음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14)

  1.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가, 그 이종(異種) 식물로서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그로네페이트(Groenveid), 벨기카(Belgica), 클루시우스(Clusius), 콜루멜라(Columella), 도도엔스(Dodoens) 및 호메스테드(Homestead)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가, 그 이종(異種) 식물로서 웨가타아, 코멜린 및 그로네페이트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를 건조한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옻나무 잎부분 또는 그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의약 조성물.
  7. (1)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 또는 그 추출물과, (2) 옻나무 잎부분 또는 그 추출물이 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성물 중의 어느 하나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용 키트.
  8. 울무스 홀랜디카(Ulmus hollandica)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花部)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가, 그 이종(異種) 식물로서 웨가타아(Vegeta), 코멜린(Commelin), 그로네페이트(Groenveid), 벨기카(Belgica), 클루시우스(Clusius), 콜루멜라(Columella), 도도엔스(Dodoens) 및 호메스테드(Homestead)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가, 그 이종(異種) 식물로서 웨가타아, 코멜린 및 그로네페이트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를 건조한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옻나무 잎부분 또는 그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의약 조성물.
  14. (1) 울무스 홀랜디카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화부 또는 그 추출물과, (2) 옻나무 잎부분 또는 그 추출물이 키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성물 중의 어느 하나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성인 T 세포 백혈병용 키트.
KR1019980043529A 1997-10-23 1998-10-17 역전사효소 저해제 KR100530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0665 1997-10-23
JP29066597A JP3820307B2 (ja) 1997-10-23 1997-10-23 逆転写酵素阻害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73A KR19990037173A (ko) 1999-05-25
KR100530445B1 true KR100530445B1 (ko) 2006-04-17

Family

ID=1775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529A KR100530445B1 (ko) 1997-10-23 1998-10-17 역전사효소 저해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32725A (ko)
EP (1) EP0934747B1 (ko)
JP (1) JP3820307B2 (ko)
KR (1) KR100530445B1 (ko)
CN (1) CN1165319C (ko)
AT (1) ATE278409T1 (ko)
AU (1) AU728460B2 (ko)
CA (1) CA2250549C (ko)
DE (1) DE69826828T8 (ko)
ES (1) ES2230646T3 (ko)
NZ (1) NZ3323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307B2 (ja) * 1997-10-23 2006-09-13 保芦 将人 逆転写酵素阻害剤
KR100397793B1 (ko) * 2000-07-28 200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느릅나무로부터 분리된 신규의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항암 면역활성의 세포밖 당화합물의 제조방법
US20040052868A1 (en) 2002-09-12 2004-03-18 William Asiedu Composition treating for AIDS and associated conditions
JP5840346B2 (ja) 2007-11-15 2016-01-06 保芦 将人 抗癌剤
JP5580549B2 (ja) * 2009-05-13 2014-08-27 株式会社紀文食品 乳癌抑制剤
JP5361527B2 (ja) * 2009-05-13 2013-12-04 株式会社紀文食品 貧血治療剤
JP2010265202A (ja) * 2009-05-13 2010-11-25 Kibun Foods Inc 細胞増殖抑制剤
JP2012025666A (ja) * 2010-07-20 2012-02-09 Hoashi Masahito 副作用低減剤
EP3719034A4 (en) 2017-10-27 2021-07-28 Green Cross Holdings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ACTOR 8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TENT OF VON WILLEBRAND FACTOR (VWF) AND VON WILLEBRAND FA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8908B2 (ja) * 1994-01-20 1998-04-08 保芦 将人 抗ウイルス粉末素材と抗ウイルスエキス
JP3820307B2 (ja) * 1997-10-23 2006-09-13 保芦 将人 逆転写酵素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319C (zh) 2004-09-08
JP3820307B2 (ja) 2006-09-13
CA2250549C (en) 2005-05-17
AU728460B2 (en) 2001-01-11
AU8929098A (en) 1999-05-13
EP0934747A1 (en) 1999-08-11
US6132725A (en) 2000-10-17
NZ332360A (en) 1999-03-29
DE69826828D1 (de) 2004-11-11
CN1222385A (zh) 1999-07-14
EP0934747B1 (en) 2004-10-06
CA2250549A1 (en) 1999-04-23
ES2230646T3 (es) 2005-05-01
KR19990037173A (ko) 1999-05-25
ATE278409T1 (de) 2004-10-15
DE69826828T2 (de) 2006-03-09
JPH11130688A (ja) 1999-05-18
DE69826828T8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zimierski et al. Cornelian cherry (Cornus mas L.)–characteristics, nutritional and pro-health properties
JP4393777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用組成物
CA2647135C (en)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KR100530445B1 (ko) 역전사효소 저해제
KR101784633B1 (ko) S-메틸 메티오닌이 함유된 양배추 추출방법
JP5580549B2 (ja) 乳癌抑制剤
Böhm Opuntia dillenii–an interesting and promising Cactaceae taxon
JP2006265260A (ja) 食品および飲料
JP2010265202A (ja) 細胞増殖抑制剤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361527B2 (ja) 貧血治療剤
JP3431577B2 (ja) 医薬組成物
JP2003231641A (ja) 肝機能障害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医薬組成物
US8852658B2 (en) Anticancer composition
JPH10179157A (ja) クロロフィラーゼ抑制剤、それを含む食品、飼料及び化粧料
KR101023546B1 (ko)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13475534B (zh) 一种海巴戟杀菌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434162B1 (ko) 말레익하이드라지드를 이용한 인삼 장과의 결실 억제 방법과 그에 따른 인삼 식물체
Paudel et al. Choerospondias axillaris (Roxb.) BL Burtt & AW Hill A nacardiaceae
KR20210133852A (ko) 화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im et al. Castanea sativa
KR20030019998A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포함하는 식품
KR20140092622A (ko) 마가목 잎 차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가목 잎 차
JP2012025666A (ja) 副作用低減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