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373B1 -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373B1
KR100529373B1 KR10-2000-0076704A KR20000076704A KR100529373B1 KR 100529373 B1 KR100529373 B1 KR 100529373B1 KR 20000076704 A KR20000076704 A KR 20000076704A KR 100529373 B1 KR100529373 B1 KR 10052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tate
board
exchange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449A (ko
Inventor
김용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37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에서 통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요금 정산 장애를 개선하는 교환기 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선로공사 시에 극성이 상대측과 거꾸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포트 점유 시에 이미 전류의 흐름이 반대로 되어있으므로 이미 하이신호가 감지되어 정상적인 요금 정산이 불가능하여 수작업으로 선로를 바꾸어야 하며,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선로를 처음부터 맞추어 연결하기가 어려워 개통 후 얼마 동안은 모니터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요금 정산이 제대로 안 되는 채널이 확인되면, 선로를 바꾸어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정확한 요금 정산이 어려우며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요금정산에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에서 통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선로 연결 확인없이 보드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 및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Method for accounting analog local line and exclusive line of private branch exchange}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에서 통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요금 정산 장애를 개선하는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금 정산은 호를 발생한 가입자에게 사용요금을 청구하기 위하여 교환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로서, 교환시스템에서는 가입자마다 발생된 요금 정산을 한달 단위로 고정시켜 수집하고, 산출하여 사용요금을 청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처리는 무선통신(또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무선통신 가입자의 경우에는 호를 발생하는 장소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특정 지역에서의 통화요금에 대한 내역을 정확히 정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 교환기에서 아날로그 국선이나 전용선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고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한다.
도 1은 종래 전용선을 이용한 통화가 이루어지는 순서를 도시한 것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선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고(off-hook) 다이얼을 누르면 내선 가입자 보드에서는 오프 훅(off hook) 신호와 다이얼 신호를 감지하여 발신측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발신측 제어부에서 발신측 전용선 보드로 시져(seizure) 신호를 전송한다. 즉, 발신측 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할 때 수화기를 든 오프 훅 상태에서 다이얼 톤을 수신하고 내선가입자가 단말기의 "9"번과 같은 숫자를 입력하여 외부와의 통화를 요구한다.(S1~S3)
그러면 수신측 전용선 보드에서는 수신측 제어부로 시져를 검출했다는 신호(seizure detect)를 전송하고, 수신측 제어부는 수신측 내선 가입자 보드로 링(ring)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측 가입자가 신호를 듣고 수화기를 들면 오프 훅 신호가 수신측 내선 가입자 보드에서 수신측 제어부로 전송된다. 그리고 수신측 제어부는 수신측 전용선 보드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S4~S7)
발신측 전용선 보드에서는 수신측 전용선 보드로부터 응답 신호를 검출하여(answer detect) 발신측 제어부로 전송하며(S8), 발신측 제어부에서는 요금 정산을 시작하고, 발신측과 수신측의 사용자는 서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통화를 종료하고 수신가입자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on-hook) 수신측 내선 가입자 보드에서 수신측 제어부로 온 훅 신호를 전송하며(S9), 수신측 제어부는 수신측 전용선 보드로 통화대기하는 복구를 감지하도록 신호(clear backward)를 전송하고, 발신측 전용선 보드에서는 통화대기(clear backward) 신호를 감지하여 발신측 제어부로 전송하고 발신가입자가 수신가입자의 통화종료를 의미하는 링톤을 수신하여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통화를 마치며 요금 정산도 종료된다(S10~S12).
도2는 종래에 극성반전시의 상태에서 선로상태가 정상일 때의 선로의 구성도인 2(a)와, 발신측 채널 점유 상태의 선로를 나타내는 2(b)와, 수신측 극성 반전 상태의 선로를 나타내는 2(c)로 이루어진다.
도2(a)는 발신자와 수신자가 통화대기 상태로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선로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2(b)는 발신자가 아날로그 국선이나 전용선의 임의의 채널을 발신을 위한 점유를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2(c)는 수신자와 발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착신이 이루어지면, 수신측의 L1, L2(각 -48V, GND 공급)의 극성이 바뀐다.
이때 아날로그 국선(전용선) 보드에서는 전류의 흐름이 반대가 되어 극성감지 회로부에서 이를 감지하고 하이(high)신호(5V)의 아날로그 신호 형태로 프로그래머블 아날로그 신호 변, 복조 회로의 입력 단으로 들어가 CPU에서 8ms 주기로 신호의 상태 점검을 요구할 때마다 CPU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한다.
또한, CPU가 요금 정산용 시그널 변환임을 인정하고 제어부로 보고하기 위한 조건은 포트를 점유하고 상대측에서 이를 감지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점유 후 수백 ms 동안 로우(low)신호(0V)가 유지되어야 하며, 그 시간이 종료되고, 로우신호(0V)에서 하이신호(5V)로 전환이 발생하여야 하며, 일정 시간 동안 하이신호(5V)가 유지되어야 제어부에 극성 반전이 시작되었음을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화가 종료되면 전류의 흐름이 원 상태로 복귀되어 로우신호(0V)로써 요금 정산의 종료를 제어부로 통보하게 된다.
종래에 선로공사 시에 극성이 상대측과 거꾸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포트 점유 시에 이미 전류의 흐름이 반대로 되어있으므로 이미 하이신호가 감지되어 정상적인 요금 정산이 불가능하여 수작업으로 선로를 바꾸어야 하며, 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선로를 처음부터 맞추어 연결하기가 어려워 개통 후 얼마 동안은 모니터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요금 정산이 제대로 안 되는 채널이 확인되면, 선로를 바꾸어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정확한 요금 정산이 어려우며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요금정산에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환기에서 통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선로상태를 자동으로 감지 확인하여 인력과 시간을 절감시켜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교환기에서 요금정산 방법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보드 탈장 후 재실장되면 선로상태를 점검하여 정상연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로상태가 정상이면 선로상태 메모리에 정상 표시를 하고, 상기 선로상태가 비정상이면 선로상태 메모리에 비정상표시를 하는 단계와, 채널 점유시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를 점검하여 상기 선로상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비정상이면 극성반전 릴레이를 구동시켜 정상루틴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정상이면 정상루틴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상태 메모리는 선로의 연결상태가 정상 및 비정상 상태를 서로 다른 값으로 각각 설정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극성복구 릴레이는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 저장된 선로의 연결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선로의 연결상태를 반전하여 극성을 맞추어 호통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장치에서 선로상태 정상인 경우의 블록구성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장치에서 선로상태 비정상인 경우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채널의 선로상태를 저장하는 선로상태 메모리(도면상에 미도시)와, 아날로그 국선이나 전용선의 임의의 채널을 호통화를 위해 채널이 점유될 때마다 해당 채널의 선로상태 메모리를 확인하여 채널이 정상 상태이면 정상루틴이 수행되도록 하고 채널이 비정상 상태이면 극성을 반전시키는 제 1 및 제 2 극성반전 릴레이(11)(12)를 구비하여 채널의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선로 연결이 바르지 못한 채널을 보드 내에 선로상태 메모리에 기억 저장하였다가 정상적인 요금정산이 되도록 하는 발신측 보드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탈장 후 재실장되면 선로상태를 점검하여 정상연결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21~S23)와, 상기 선로상태가 정상연결이면 선로상태 메모리에 정상연결임을 나타내는 0을 표시하고, 상기 선로상태가 비정상연결이면 선로상태메모리에 비정상연결임을 나타내는 1로 표시하는 단계(S24)(S25)와, 채널 점유시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를 점검하여 어떤 메모리 값이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S26)(S27)와,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비정상연결임을 표시하면 제1및 제2 극성반전 릴레이(11)(12)를 구동시킨 다음 정상루틴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28)와,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정상연결임을 표시하면 정상루틴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29)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5는 도4의 상태천이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교환기의 아날로그 국선,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선로 상태 확인없이 보드 실장시 내부에서 선로 연결상태를 확인하여 선로 연결이 바르지 못한 채널을 보드 내에서 기억하고 있다가, 호통화를 위한 채널을 점유시에 극성을 바꾸어 정상적인 요금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선로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아날로그 국선(전용선) 보드 실장 시 전 채널에 걸쳐 포트점유를 각각 1초 정도로 한다(S50). 점유시간 동안 채널별로 나타난 극성반전 신호를 할당된 선로 상태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이때 로우신호(0V)로 인식되는 채널은 정상이며, "0"으로 저장하며, 또한 하이신호(5V)로 인식되는 채널은 "1"로 저장하고, 이는 선로가 잘못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S51, S52). 운용중 호통화로 채널이 점유될 때 마다 해당 채널의 선로 상태 메모리를 확인하며, 이는 제어부에서 점유 요청 메시지를 받음으로서 가능하다(S53). 그리고 선로상태 메모리에 값이 "0"으로 저장되어 있으면, 정상적인 루틴을 수행하여 시져(Seizure) 및 다이얼 펄스(Dial Pulse) 릴레이를 구동시킨다(S54). 또한 선로상태 메모리에 값이 "1"로 저장되어 있으면, 정상루틴에 앞서 극성반전 릴레이를 이용하여 구동시켜 극성을 맞춰준다(S55).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고 종료하면 통화대기 상태로선로를 복구시킨다(S5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로 상태를 선로 상태 메로리에 저장 후에 호통화시 비정상 선로의 극성을 반전시켜 호통화시에 정확한 요금정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에서 통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선로 연결 확인없이 보드 내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 및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전용선을 이용한 통화 방법의 흐름도.
도2는 종래 극성반전시의 상태에서 선로상태 블록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로상태 블록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환기에서 요금 정산 방법 순서도.
도5는 도4의 상태천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측 보드, 11 : 제 1 극성반전 릴레이,
12 : 제 2 극성반전 릴레이, 20 : 수신측 보드.

Claims (3)

  1. 보드 탈장 후 재실장되면 선로상태를 점검하여 정상연결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선로상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선로상태 메모리에 정상상태 데이터값을 저장하고, 상기 선로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별되면 선로상태 메모리에 비정상상태 데이터값을 저장하는 단계;
    채널 점유시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를 점검하여 상기 선로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비정상이면 극성반전 릴레이를 구동시켜 상기 선로의 연결상태를 반전하여 극성을 맞춘 후, 정상루틴을 수행하여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선로상태 메모리에서 선로상태가 정상이면 정상루틴이 수행하여 요금을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0-0076704A 2000-12-14 2000-12-14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KR100529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04A KR100529373B1 (ko) 2000-12-14 2000-12-14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704A KR100529373B1 (ko) 2000-12-14 2000-12-14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49A KR20020048449A (ko) 2002-06-24
KR100529373B1 true KR100529373B1 (ko) 2005-11-17

Family

ID=2768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704A KR100529373B1 (ko) 2000-12-14 2000-12-14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3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90A (ko) * 1993-10-30 1995-05-17 김광호 국선연결 상태 검사회로 및 방법
KR19980076608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 라인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00059936A (ko) * 1999-03-10 2000-10-16 원진 근거리 디지털 가입자 선로장치
KR20010061368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교환기의 선로 및 포트 정상 설치 확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290A (ko) * 1993-10-30 1995-05-17 김광호 국선연결 상태 검사회로 및 방법
KR19980076608A (ko) * 1997-04-11 1998-11-16 윤종용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 라인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00059936A (ko) * 1999-03-10 2000-10-16 원진 근거리 디지털 가입자 선로장치
KR20010061368A (ko)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교환기의 선로 및 포트 정상 설치 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449A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2813B1 (en) Terminal equipment
KR100529373B1 (ko) 교환기내의 아날로그 국선과 전용선 보드의 요금 정산 방법
US6810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 information notification service
KR10049200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공중전화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3092332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JP3077416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728767Y2 (ja) 船舶電話等の交換機に用いる自動極性反転装置
KR100639854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fsk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인터페이스 방법
JPS5821469B2 (ja) 網制御装置
KR100317528B1 (ko) 휴대형 정보처리 기기 접속이 가능한 공중전화장치 및 그제어방법
JPH0218618Y2 (ko)
JP2551772B2 (ja) 加入者用電話機による課金通信方式
KR20020028949A (ko) 인터넷 망에 있어서 전화 요금 과금을 위한 극성 반전신호 발생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전화 요금 과금 방법
JP4013362B2 (ja) 回線端末装置
JPH07212477A (ja) 構内自動交換機
JPS6256711B2 (ko)
JPS6119273A (ja) 予報音送出方式
JPH06261125A (ja) Lcr機能を備えた構内交換機
JPH01314465A (ja) 電話機の通話時間制限方式
JP2001177643A (ja) 情報通知系サービス試験方式及びその装置
JPH07107178A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4223739A (ja) 回線選択装置
JPH03283964A (ja) 電話装置
JPH02218260A (ja) 料金通知方式
JPH11112641A (ja) 通信装置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