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852B1 -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852B1
KR100527852B1 KR10-2000-0002702A KR20000002702A KR100527852B1 KR 100527852 B1 KR100527852 B1 KR 100527852B1 KR 20000002702 A KR20000002702 A KR 20000002702A KR 100527852 B1 KR100527852 B1 KR 10052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equency
character
vo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826A (ko
Inventor
여순일
곽명신
김대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02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8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단절음 형태가 아닌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실제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문자화할 수 있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및 음성/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형태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입력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단위 시간으로 구획하는 음성신호구획부; 상기 음성신호구획부 및 상기 음성입력부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체배부; 상기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주파수압축부;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가 입력되어 있는 고유주파수기억부; 상기 주파수압축부에서 출력된 주파수와 상기 고유주파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주파수를 찾기 위한 주파수비교부; 상기 주파수비교부에서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오차보상부; 및 상기 오차보상부에서 확정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변환부를 포함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APPARATUS FOR VOICE/LETTER CONVERSION AND LETTER DIAPLAY AND METHOD FOR CONVERSION OF VOICE/LETTER}
본 발명은 전화기 또는 PDA 등과 같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통화 중 상대방의 음성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하기 위한 장치 및 음성/문자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하다 보면 상대방의 음성, 즉 어떤 문자를 이야기하는지를 명확히 판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단절음 형태가 아닌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실제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문자화할 수 있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및 음성/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에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형태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입력부;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단위 시간으로 구획하는 음성신호구획부; 상기 음성신호구획부 및 상기 음성입력부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체배부; 상기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주파수압축부;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가 입력되어 있는 고유주파수기억부; 상기 주파수압축부에서 출력된 주파수와 상기 고유주파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주파수를 찾기 위한 주파수비교부; 상기 주파수비교부에서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오차보상부; 및 상기 오차보상부에서 확정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변환부를 포함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형태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단위 시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데이터와 이미 알고 있는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 상기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에서의 오차를 보상하여 확정된 데이터를 찾는 단계; 상기 확정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문자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표시 장치가 부착된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서의 도면부호 '100'은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나타내는 표시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는, 상대방이 보낸 통화내용, 즉 음성신호인 아날로그(analog)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지털(digital) 데이터로 변환하여 주는 음성입력부(210),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단위시간으로 구획하는 음성신호구획부(230), 구획된 음성신호를 정수배하여 고주파 성분으로 변환시켜주는 음성신호체배부(220), 변화된 고주파를 인코딩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만들어 주기 위한 주파수압축부(240),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들이 기억되어 있는 고유주파수기억부(260), 압축된 데이터와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되어 있는 고유주파수 성분을 서로 비교하여 일치된 주파수 성분을 찾아내기 위한 주파수비교부(250), 주파수비교부(250)에서 발생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과 미리 기억되어 있던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간의 오차를 보상하여 주기 위한 오차보상부(270), 오차보상부(270)에서 출력된 주파수를 문자로 변환하여 주는 문자변환부(280), 전화기에 부착된 표시화면(292)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부(291)로 구성된 표시부(290), 문자 변환부(280)를 통과한 확정된 문자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를 재생시켜 표시해줄 수 있는 재생제어부(300), 전화기 사용자가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장치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선택부(310) 및 상기 도면부호 '210' 내지 '310' 각각에 해당하는 각부들의 동작을 원활히 제어하기 위한 장치제어부(3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고유주파수기억부(260)를 구성함에 있어서, 여러 문자의 크기 및 형태별로 로직(logic) 회로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hardware)로 구성하여 처리속도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문자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소프트웨어(software) 처리를 하게 되면 별도의 제어장치(CPU), 프로그램저장장치(ROM) 및 처리기억장치(RAM)들을 거치면서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문자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정보를 하드웨어화하여 보다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오차보상부(27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도 3을 참조하면, 오차보상부(27)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추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추정데이터저장부(271),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있는 데이터 중 추정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추정 데이터와 근접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근접데이터입력부(273),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추정 데이터와 근접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부(272), 비교부(272)에서의 결과에 대하여 오차의 정도를 판별하는 오차판별부(274) 및 오차판별부(274)를 거친 확정데이터를 출력하는 확정데이터출력부(27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는 고유주파수기억부(26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도 4를 참조하면, 고유주파수기억부(260)는 특정 문자에 대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특정데이터부(261), 압축을 실행한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한 인코딩부(262), 특정 주소에 특정 주파수 성분을 기억시키는 저장부(263) 및 특정 주소가 한 개일 경우 바로 그 주소에 해당하는 문자를 문자변환부(280)로 보내도록 제어하여 표시화면으로 보내도록 하는 제어부(26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의 장치제어부(320) 및 도 4의 제어부(264)는 로직회로로 구성을 하여 하나의 칩(chip)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 언급한 각부들의 동작을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선택부(310)를 통해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 장치를 온(ON)할 경우 동작이 개시된다.
통화를 개시하게 되면 상대방의 음성이 음성입력부(210)로 입력되고, 음성입력부(210)는 ADC(Analog Digital Convert)회로를 구비하여 아날로그 상태의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한편, 음성신호는 문자 하나 하나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신호이므로 이 일정한 간격을 단위 시간화하면 하나의 단위 시간안에는 하나의 문자가 말하여 지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하나의 단위 시간에 말하여 진 것은 고유주파수를 가지는 문자로 대응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말하여 진 음성신호를 하나의 단위 시간으로 구획한 후 구획 하나에 전달된 음성과 장치내에 기억시킨 모든 문자와의 비교과정을 거쳐 일치되는 것 하나를 그 음성에 해당하는 문자로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성입력부(210)를 통해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구획부(230)을 거쳐 단위 시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그러나, 말하는 것은 음성신호구획부(230)에서 나누어진 각각의 구획들을 무수히 많게 서로 연결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므로, 앞의 구획에서 말하여진 음성신호가 다음 구획이 끝나기 전에 문자로 바뀌어야 하는데, 하나의 구획에 들어온 음성신호는 그 고유주파수가 빨라야 수백 Hz이므로 이것을 인식하여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 고유주파수를 정수배하여 매우 빠른 주파수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음성신호체배부(220)에서 하나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음성신호를 매우 빠른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시킨다.
주파수압축부(240)에서는 표시장치내의 처리에 있어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신호체배부(220)에서 출력된 신호들을 인코딩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만든다.
주파수압축부(24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각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와의 비교를 위한 주파수비교부(250)를 거쳐 일치하는 하나의 주파수를 찾아내게 된다. 이때,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이 되어 있는 각 문자의 주파수 성분은 주파수압축부(240)에서와 같이 인코딩이 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같은 문자에 대해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시켜둔 고유주파수 성분과 실제로 통화자가 말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과 어느 정도의 차이가 생길 수가 있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3"이라는 숫자에 대한 고유주파수기억부(260)의 데이터베이스 내용과 실제로 통화자가 "3"이라고 발음한 음성신호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인식오차 범위를 가지고 있는 오차보상부(270)를 통해 오차를 보상하게 된다. 이때, 인식오차 범위는 각 문자에 대한 고유주파수를 규정하였을 때, 각 문자에 상호간에 서로를 구별할 수 있는 오차 한계를 정하여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주파수비교부(250)를 거쳐 오차보상부(270)로 입력되는 신호는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문자에 대한 압축데이터와 실제 음성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비슷한 신호인 추정 문자를 선별해내는 것이고, 오차보상부(270)에서는 이와 같은 신호를 확정문자로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오차보상부(270)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실제 통화자가 말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기억이 되어 있던 데이터를 주파수비교부(250)에서 서로 비교한 결과, 두 개가 추정되는 데이터로 판별이 되었을 경우, 이와 같은 두 개의 추정 데이터가 추정데이터저장부(271)에 입력된다.추정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되어 있는 두 개의 추정 데이터 중 첫번째 추정 데이터와 고유주파수기억부(260)에 있는 데이터 중 첫 번째 추정 데이터와 근접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근접데이터입력부(273)의 정보를 불러와서 비교부(272)에서 서로 비교를 한다. 이때, 비교부는 주파수비교부(250)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삭제
비교부(272)에서의 결과에 대하여 오차판별부(274)에서는 오차의 정도를 판별하게 되는데, 판별 결과가 각 문자가 구별되어지기 위한 최소한의 오차범위인 허용오차의 범위내에 들어오는 경우에는 확정된 문자로 규정하고 이를 확정데이터출력부(275)로 보내어 문자변환부(280)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허용오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라면 이 데이터는 소멸시키고, 두 번째 추정데이터를 대상으로 첫 번째 추정데이터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확정된 문자를 찾아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고유주파수기억부(260)의 동작을 보다 자세히 살펴본다.
특정데이터입력부(261)에서 고유주파수로 특정되어진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때, 특정된 데이터는 세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문자에 대해 가능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한글에 대해 특정데이터화 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한글로 발음될 수 있는 모든 문자에 대해 그 문자가 발음되는 고유주파수 성분을 추출하여 특정데이터입력부(261)를 거친 후 인코딩부(262)를 거쳐 압축을 실행한 데이터를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저장부(263)에 있는 특정 주소에 특정 주파수 성분을 각각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263)에 저장되어진 데이터가 주파수비교부(250)에서 실제 통화자가 말한 음성신호 데이터와 비교되어 지는 데이터가 된다. 다음으로, 제어부(264)에서는 비교 결과 실제 음성신호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오직 한 개일 경우에는 그 주소에 해당하는 저장부(263)의 문자를 도 2의 문자변환부(280)로 내보내도록 제어하게 되고, 특정 주소가 두 개 이상 지정이 되면 이들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오차보상부(270)의 근접데이터입력부(273)로 보내어지도록 제어한다.
오차보상부(270)를 거쳐 확정된 데이터는 문자변환부(280)를 거쳐 문자신호로 변환되어지게 된다. 이때, 문자변환부(280)에서는 글자형태 및 선명도 등의 처리도 함께 하게 된다.
재생제어부(300)에서는 확정된 문자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시에 내용을 재생시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재생제어부(300)는 처리기억장치(RAM)를 구비하여 기억과 재생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화번호 및 주소 등에 대한 정보의 기억/재생 기능과도 결합할 수 있다.
표시부(290)는 표시제어부(291) 및 표시화면(292)로 구성이 되는데, 표시제어부(291)는 문자변환부(280) 및 재생제어부(300)에서 출력된 정보를 입력받아 전화기에 부착된 표시화면(292)의 구성과 내용에 따라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표시화면(292)은 표시제어부(291)의 제어를 받아 해당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장치제어부(320)는 도 2에 도시된 각부들을 기능동작이 원활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단절음 형태가 아닌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실제 통화자의 음성신호를 문자형태로 변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화상 청각적으로 불분명한 음성신호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자 표시화면이 부착된 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오차 보상부의 보다 구체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고유주파수기억부의 보다 구체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10 : 음성입력부 220 : 음성신호체배부
230 : 음성신호구획부 240 : 주파수압축부
250 : 주파수비교부 260 : 고유주파수기억부
270 : 오차보상부 280 : 문자변환부
290 : 표시부 300 : 재생제어부
310 : 사용자선택부 320 : 장치제어부

Claims (10)

  1. 단말기에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형태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입력수단;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단위 시간으로 구획하는 음성신호구획수단;
    상기 음성신호구획수단 및 상기 음성입력수단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음성신호체배수단;
    상기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주파수압축수단;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가 입력되어 있는 고유주파수기억수단;
    상기 주파수압축수단에서 출력된 주파수와 상기 고유주파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주파수를 찾기 위한 주파수비교수단;
    상기 주파수비교수단에서의 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오차보상수단; 및
    상기 오차보상수단에서 확정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기 위한 문자변환수단
    을 포함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변환수단에서 출력된 확정된 문자를 기억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확정된 문자를 재생시켜 상기 문자표시수단으로 출력해주는 재생제어수단; 및
    상기 사용자가 음성/문자 변환 장치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수단은 ADC(Analog Digital Convert) 회로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주파수기억수단은,
    각 문자에 대한 고유주파수들을 입력받는 특정데이터입력수단;
    상기 특정데이터입력수단의 상기 고유주파수들을 압축하는 인코딩수단; 및
    상기 인코딩수단을 거친 상기 고유주파수들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주파수기억수단은,
    처리속도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여러 문자의 크기 및 형태별로 로직회로 및 메모리장치로 구성된 하드웨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보상수단은,
    상기 주파수비교수단에서 출력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추정데이터를 저장하는 추정데이터저장수단;
    상기 고유주파수기억부에서의 고유주파수들 중 상기 추정데이터와 근접한 대이터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는 근접데이터입력수단;
    상기 추정데이터와 상기 근접데이터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를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인식오차범위에 적용하여 확정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오차판별수단;
    상기 확정된 데이터를 상기 문자변환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확정데이터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변환수단 및 상기 재생제어수단에서 출력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 및
    상기 표시제어수단의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화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
  8. 외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형태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단위 시간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데이터를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상기 높은 주파수의 데이터를 압축하는 단계;
    상기 압축된 데이터와 이미 알고 있는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고유주파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
    상기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에서의 오차를 보상하여 확정된 데이터를 찾는 단계;
    상기 확정된 데이터를 문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문자 변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는,
    각 문자에 대한 고유주파수들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고유주파수들을 압축하는 단계와, 압축된 상기 고유주파수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를 보상하여 확정된 데이터를 찾는 단계는,
    상기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에서 발생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추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유주파수를 찾는 단계에서의 상기 고유주파수들 중 상기 추정데이터와 근접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추정데이터와 상기 근접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는 단계; 및
    상기 추정데이터와 상기 근접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는 단계에서의 상기 일치하는 데이터를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인식오차범위에 적용하여 확정된 데이터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문자 변환방법.
KR10-2000-0002702A 2000-01-20 2000-01-20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KR100527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702A KR100527852B1 (ko) 2000-01-20 2000-01-20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702A KR100527852B1 (ko) 2000-01-20 2000-01-20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26A KR20010073826A (ko) 2001-08-03
KR100527852B1 true KR100527852B1 (ko) 2005-11-15

Family

ID=1964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702A KR100527852B1 (ko) 2000-01-20 2000-01-20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214B1 (ko) * 2001-04-10 2004-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내용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05252B1 (ko) * 2005-06-27 2008-02-2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p 단말의 통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8550A (ja) * 1987-05-21 1988-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
KR970047886U (ko) * 1995-12-21 1997-07-31 문자 변환 기능이 부설된 전화기
US5724405A (en) * 1988-10-11 1998-03-03 Ultratec, Inc. Text enhanced telephony
KR19980083811A (ko) * 1997-05-19 1998-12-05 이철윤 전화기
JPH11155163A (ja) * 1997-11-19 1999-06-08 Nec Mobile Commun Ltd 移動電話局ハンドオフ処理方式
KR19990048911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8550A (ja) * 1987-05-21 1988-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
US5724405A (en) * 1988-10-11 1998-03-03 Ultratec, Inc. Text enhanced telephony
KR970047886U (ko) * 1995-12-21 1997-07-31 문자 변환 기능이 부설된 전화기
KR19980083811A (ko) * 1997-05-19 1998-12-05 이철윤 전화기
JPH11155163A (ja) * 1997-11-19 1999-06-08 Nec Mobile Commun Ltd 移動電話局ハンドオフ処理方式
KR19990048911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826A (ko) 200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251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видеоданных для сигналов вызова и передачи контекс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7003464B2 (en) Dialog recognition and control in a voice browser
US57522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names with a speech recognition program
KR100339587B1 (ko) Mp3 플레이어 겸용 휴대폰에서 음성 인식에 의한 선곡방법
CN1959617A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显示菜单的方法
JP380603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CN101345055A (zh) 语音处理器和通信终端设备
CN101379807A (zh) 用于音乐报警的视频序列
KR100527852B1 (ko) 음성/문자 변환 및 문자표시를 위한 장치와 음성/문자 변환 방법
KR100544810B1 (ko) 무선 휴대 단말 통신 시스템
JPH0787220A (ja) 情報処理装置
CA2058644C (en) Voice activated telephone set
KR20010076533A (ko) 휴대전화 단말기의 노래방 기능 구현 및 사용방법
US7203650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speech recognizer, and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capacity for vocal commanding
CN111128142A (zh) 一种智能音箱拨打电话的方法、装置及智能音箱
JP4039620B2 (ja) 音声合成装置および音声合成プログラム
CN115914456B (zh) 音频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863185A (ja) 音声認識装置
KR100469490B1 (ko) 음정의 조율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01114898A (ja) データ検索装置
KR20050087368A (ko) 무선 단말기의 벨소리 처리 장치
JP200618492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7163875A (ja) 音声合成装置および音声合成プログラム
JPS6182559A (ja) 自動発信装置
KR100258140B1 (ko) 음성우편장치의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