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696B1 - 차량용 댐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96B1
KR100527696B1 KR10-2000-0081519A KR20000081519A KR100527696B1 KR 100527696 B1 KR100527696 B1 KR 100527696B1 KR 20000081519 A KR20000081519 A KR 20000081519A KR 100527696 B1 KR100527696 B1 KR 10052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valve assembly
cylinder
damp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280A (ko
Inventor
고석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6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3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haracterised by giving a particular shape to the cylinder, e.g. co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7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in twin-tube typ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20)의 대략 중간 부위가 굴곡되고 이 굴곡부(21a,21b)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로(22)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로드(5)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가 보조너트(23)를 매개로 일체로 결속되는 한편, 이들 보조너트(23)와 로드(5) 선단부 및 너트(18)의 상부면에 각각 미끄럼베어링(24)이 부착되어, 실린더(20)상에서 밸브조립체의 중심축이 좌/우측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이동되도록 되어, 설계자유도를 확보하면서 댐퍼의 기본성능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댐퍼{A Damp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히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승차감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은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현가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현가장치는 스프링의 고유진동수를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쇽업소버 및 차량의 로울링을 방지하여 주행중 차체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를 갖추고 있다.
한편, 쇽업소버는 차체로 가해지는 충격, 즉 노면에 굴곡 및 경사, 가속이나 제동 또는 선회에 따라 발생하는 갖가지 요동을 흡수 및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쇽업소버에 있어서 스트럿은 현가장치의 동작에 큰 역할을 하게 되는 중요한 부분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스트럿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1)와, 이 실린더(1)를 덮어주는 커버(2) 및, 이들 실린더(1)와 커버(2)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연결부(3,4)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는 연결부(3)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로드(5)와, 이 로드(5)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피스톤밸브(6)를 갖추고 있는 바, 이 피스톤밸브(6)는 다수의 부품이 상호 연결조합된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원주면을 따라 관통구멍(7)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8)와 와셔(9), 두 쌍의 오일유동구멍(10)이 형성된 피스톤(11), 상기 오일유동구멍(10)과 연결되는 관통공(12)을 갖춘 리테이너(13), 디스크-에스(14), 보조디스크(15), 리테이너(16), 상기 리테이너(13)의 하부에 디스크조립체를 지지하게 되는 메인디스크-에스(17)를 갖추고서 너트(18)와 같은 체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아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부(4)를 매개로 고정시키고 연결부(3)를 매개로 써스펜션서포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키게 되면 휠과 써스펜션서포트 사이에서 로드(5)가 실린더(1)의 내벽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차체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 로드(5)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는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유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댐퍼(19)는 직선운동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피스톤밸브(6)가 로드(5)에 고정되어 있어 정해진 유동로를 따라서만 오일이 유동하게 됨에 따라 정해진 부위만 하중을 받게 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승차감을 일정한도 이상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써, 실린더의 형상을 변경하고 이에 따라 로드의 선단에 설치되는 피스톤밸브가 좌우유동 가능되도록 설치하므로써 오일유동로를 확보하고 설계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승차감과 내구성을 높이고 공간활용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의 대략 중간 부위가 굴곡되고 이 굴곡부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로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로드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가 보조너트를 매개로 일체로 결속되는 한편, 이들 보조너트와 로드 선단부 및 너트의 상부면에 각각 미끄럼베어링이 부착되어, 실린더상에서 밸브조립체의 중심축이 좌/우측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댐퍼의 요부 단면도로써, 종래 사용예와 동일 부위에는 동일 참조부호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20)의 대략 중간 부위가 굴곡되고 이 굴곡부(21a,21b)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로(22)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로드(5)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공지의 밸브조립체가 보조너트(23)를 매개로 일체로 결속되는 한편, 이들 보조너트(23)와 로드(5) 선단부 및 너트(18)의 상부면에는 각각 미끄럼베어링(24)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조립체는 보조너트(23)를 매개로 하나의 몸체로 결속되어 있게 되므로 미끄럼베어링(24)을 매개로 로드(5) 선단에서 좌우로 일정 간격만큼 유동할 수 있게 되고, 로드(5)가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때 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오일 유동로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5)가 차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이동할 때 굴곡부(21a,21b)의 위치에 피스톤밸브(25)가 도달하면 밸브조립체가 이 굴곡부(21a,21b)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 3(a)와 도3(b)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굴곡부(21a,21b) 위치에서는 밸브조립체가 도 3(b)에 도시된 위치까지 중심축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로(22)에서는 이 이동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한편, 이동로(22)를 지나 굴곡부(21b)에 이르면 다시 도 3(a)에 도시된 위치까지 그 중심축이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로드(5) 상에서 피스톤밸브(25)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20)의 이동로에 대응하게 되므로써 밸브의 기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20)의 형상을 변경하게 되면 프론트 스트럿 장착 각도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5)와 오일씨일(도시되지 않음)에 마찰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쇽업소버의 장착각도를 수직에 가깝게 할 수 있어 주행시 휠의 거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쇽업소버의 성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밸브가 로드의 선단에 좌우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실린더의 형상을 변경하므로써 오일에 유동로를 확보하고 설계자유도를 높임으로써 승차감과 내구성을 높이고 공간활용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를 개략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댐퍼의 요부 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유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댐퍼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댐퍼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린더, 2 --- 커버,
3,4 --- 연결부, 5 --- 로드,
6,25 --- 피스톤밸브, 7 --- 관통구멍,
8 --- 지지플레이트, 9 --- 와셔,
10 --- 오일유동구멍, 11 --- 피스톤,
12 --- 관통공, 13,16 --- 리테이너,
14 --- 디스크-에스, 15 --- 보조디스크,
17 --- 메인디스크-에스, 18 --- 너트,
19 --- 댐퍼, 20 --- 실린더,
21a,21b --- 굴곡부, 22 --- 이동로,
23 --- 보조너트, 24 --- 미끄럼베어링,

Claims (1)

  1. 실린더(20)의 대략 중간 부위가 굴곡되고 이 굴곡부(21a,21b)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로(22)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로드(5)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밸브조립체가 보조너트(23)를 매개로 일체로 결속되는 한편, 이들 보조너트(23)와 로드(5) 선단부 및 너트(18)의 상부면에 각각 미끄럼베어링(24)이 부착되어, 실린더(20)상에서 밸브조립체의 중심축이 좌/우측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이동되도록 된 차량용 댐퍼.
KR10-2000-0081519A 2000-12-26 2000-12-26 차량용 댐퍼 KR10052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19A KR100527696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19A KR100527696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280A KR20020052280A (ko) 2002-07-04
KR100527696B1 true KR100527696B1 (ko) 2005-11-09

Family

ID=2768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519A KR100527696B1 (ko) 2000-12-26 2000-12-26 차량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6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280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696B1 (ko) 차량용 댐퍼
KR10039234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KR100233063B1 (ko) 전자식 댐퍼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0391602B1 (ko) 차량의 롤링 방지용 스트럿어셈블리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20080042345A (ko) 차량의 서스펜션장치
KR100458189B1 (ko) 감쇠력 가변 서스펜션
KR200153470Y1 (ko)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0298723B1 (ko) 자동가변축중심형쇽업소오버
KR950011794B1 (ko) 자동차의 현가아암 연결구조
KR100435736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JP360230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20240002065A (ko) 차량의 독립현가 스프링식 쇽업소버 댐퍼 연결힌지 구조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410748B1 (ko) 차량의 쇽업소버
KR19980045482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20030003533A (ko) 자동차의 로워암 구조
KR19980054472U (ko) 쇽 업소버의 아이부 장착구조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19980037562A (ko) 댐퍼 몰딩 러버의 구조
KR20020035337A (ko) 차량 현가장치의 스프링 마운팅 구조
KR19990038293A (ko) 자동차의 토션 빔형 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