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70Y1 -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70Y1
KR200153470Y1 KR2019940038640U KR19940038640U KR200153470Y1 KR 200153470 Y1 KR200153470 Y1 KR 200153470Y1 KR 2019940038640 U KR2019940038640 U KR 2019940038640U KR 19940038640 U KR19940038640 U KR 19940038640U KR 200153470 Y1 KR200153470 Y1 KR 200153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d
collar
rotating disc
upper spring
up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859U (ko
Inventor
박천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8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70Y1/ko
Publication of KR960020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션비임 액슬형 리어 서스펜션(torsional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에 사용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되는 벤딩 모우먼트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원판을 구비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rear strut insulat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 상기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어퍼부시(32)와 로워 부시(30), 및 상기 부품들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20)의 부분에 끼워지는 칼라(34)를 포함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28)이 제공되고; 상기 어셈블리(28)은,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이 그들 사이에 중심공간(42)를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중심공간(42)에서 칼라(34)의 외면에는 회전원판(38)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원판(38)과 피스톤 로드(20)과 칼라(34)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피스톤 로드(20)의 액슬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원판(38)이 피스톤 로드(20)과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회전원판(38)의 단부에 형성되는 축부분(44)는 상기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따라,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부분의 변형, 마모 및 내부유체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제1도는 차량의 범핑 및 리바운드시 액슬의 횡변위가 생기게 되는 원인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원판이 삽입된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원판의 형상을 독립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액슬
14 : 래터럴 로드 16 : 타이어
18 : 어퍼 스프링시트 20 : 피스톤 로드
22 : 범퍼 러버 24 : 더스트 커버
26 : 코일 스프링 28 :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30 : 로워 부시 32 : 어퍼 부시
34 : 칼라 36 : 와셔
38 : 회전원판 40 : 어퍼 컵
42 : 중심공간 44 : 축부분
본 고안은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토션비임 액슬형 리어 서스펜션(torsional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에 사용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에 작용하는 벤딩 모우먼트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원판을 구비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rear strut insulator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토션 비임 액슬형 서스펜션은 액슬 위치에 크로스 비임이 설치되어 있는 형태의 서스펜션으로서 강판을 성형하여 만든 트레일링 아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가 많고 횡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래터럴 로드(lateral rod)가 부착된다.
토션 비임 액슬형 서스펜션에 있어서의 가장 큰 취약점은,제1도에 L로 도시한 바와같이, 차체(10)의 범핑 및 리바운드시에 액슬(12)의 횡변위가 크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는 래터럴 로드(14)의 원운동에 따라 액슬(12)의 좌우방향으로 횡변위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횡변위의 발생은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에도 문제가 되지만, 서스펜션의 단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리어 서스펜션 쇽업소버에 있어서는 내구력에 지배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쇽업소버의 차체(10)측 고정점에서는 그 위치가 변하지 않지만, 액슬(12)측의 고정점은 액슬(12)의 횡변위와 함께 좌우로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면 제1도에 각로 도시한 바와같이, 액슬(12)고정점의 횡변위 발생으로 차체(10)측 고정점에 대해 회전 모우먼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회전 모우먼트에 대하여 차체측 고정점에서 반력이 발생되어 차체측 고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외팔보(cantilever beam)와 같은 현상이 된다. 즉, 차체측 고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액슬측의 고정점에서의 변위에 의해 하중을 부여하는 것과 같게 된다. 도면부호 16은 타이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됨으로써 쇽업소버의 어셈블리 단위에서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와의 접촉부위에서 반력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통) 부분의 변형(휨), 마모, 및 내부유체의 누유현상이 발생되어 내구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쇽업소버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퍼 스프링 시트와 어퍼 컵의 사이에 회전원판이 개재되어 쇽업소버의 차체측 고정점에서 쇽업소버의 액슬방향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액슬의 횡변위에 대한 반력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부분의 변형, 마모 및 내부유체의 누유현상을 방지하고 쇽업소버의 내구력을 개선하며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어퍼 컵과 어퍼 스프링시트, 상기 어퍼 컵과 어퍼 스프링시트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어퍼 부시와 로워 부시, 및 상기 부품들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의 부분에 끼워지는 칼라는 포함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상기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는, 어퍼 컵과 어퍼 스프링시트가 그들 사이에 중심공간을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중심공간에서 칼라의 외면에는 회전원판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원판과 피스톤 로드와 칼라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피스톤 로드의 액슬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원판이 피스톤 로드와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회전원판의 단부에 형성되는 축부분은 상기 어퍼 컵과 어퍼 스프링시트이 사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회전원판이 피스톤 로드 및 칼라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므로, 피스톤 로드에 가하여지는 회전 모우먼트가 제거되어 선행기술에서 어퍼 부시와 로워 부시에 의해 압착되는 피스톤 로드의 부분에서 발생되었던 반력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부분의 변형, 마모 및 내부유체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원판이 삽입된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쇽업소버의 바디측 고정부에 대한 부분도를 도시하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원판의 형상을 독립적으로 나타낸다.
쇽업소버는 실린더 부분(도시안됨)에 수납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되는 피스톤 로드(20), 범퍼 러버(22), 더스트 커버(24), 및 코일 스프링(26)을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26)의 상부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28)이 제공되고;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28)은, 어퍼 스프링 시트(18), 어퍼 컵(40), 어퍼부시(32)와 로워 부시(30)을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20)은 상기 어퍼 스프링시트(18)과 어퍼 컵(40)과 어퍼부시(32)와 로워부시(2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피스톤 로드(20)의 상단부는 차체에 의해 지지된다. 어퍼 컵(40)의 상방에는 어퍼부시(32)가 제공되고, 하부에 있는 어퍼 스프링시트(18)의 하방에는 로워 부시(30)이 제공된다. 로워부시(30)와 어퍼 부시(32)를 통과하는 피스톤 로드(20)의 외면에는 칼라(34)가 끼워지게 된다. 도면 부호 36은 와셔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어퍼 스프링시트(18)과 어퍼 컵(40)의 사이에는 중심공간(42)가 마련되며, 어퍼 스프링시트(18)과 어퍼 컵(40)은 상기 중심공간(42)를 마련하도록 성형된다. 중심공간(42)내에는 회전원판(38)이 제공되며, 회전원판(38)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상으로 성형된다. 회전원판(38)의 도면 좌우측 단부에 고정되는 축부분(44)는 어퍼 스프링시트(18)과 어퍼 컵(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회전원판(38)은 피스톤 로드(20) 및 칼라(34)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딸, 래터럴 로드의 원운동에 따라 액슬에 횡변위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회전원판이 피스톤 로드 및 칼라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므로, 피스톤 로드 부분에 대한 회전 모우먼트가 제거되어 선행기술에서 부시에 의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내에서 발생되었던 반력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 부분의 변형, 마모 및 내부유체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서로 결합되는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 상기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의 상하부에 각각 제공되는 어퍼 부시(32)와 로워 부시(30), 및 상기 부품들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20)의 부분에 끼워지는 칼라(34)를 포함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28)에 있어서,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이 그들 사이에 중심공간(42)을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중심공간(42)에서 칼라(34)의 외면에는 회전원판(38)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원판(38)과 피스톤 로드(20)과 칼라(34)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피스톤 로드(20)의 액슬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원판(38)이 피스톤 로드(20)과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회전원판(38)의 단부에 형성되는 축부분(44)는 상기 어퍼 컵(40)과 어퍼 스프링시트(18)의 사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2019940038640U 1994-12-30 1994-12-30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200153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40U KR200153470Y1 (ko) 1994-12-30 1994-12-30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640U KR200153470Y1 (ko) 1994-12-30 1994-12-30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859U KR960020859U (ko) 1996-07-18
KR200153470Y1 true KR200153470Y1 (ko) 1999-08-02

Family

ID=1940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640U KR200153470Y1 (ko) 1994-12-30 1994-12-30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9622B2 (en) 2016-12-12 2020-02-04 Hyundai Motor Company Engine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9622B2 (en) 2016-12-12 2020-02-04 Hyundai Motor Company Engine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859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71250B1 (en) Swing-arm-type suspension with a lateral rod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456282A (en) Independent rear wheel suspension with a toe angle controlling trailing arm
US4753455A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system
JPS59966Y2 (ja) 自動車用後輪懸架装置
JPH07205626A (ja) 車輪懸架装置
AU2007211726A1 (en) Wheel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US5851016A (en) Rear wheel suspension
US7784807B2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0131309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5560637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200153470Y1 (ko)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920001041Y1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형(Strut type)현가 장치의 인슐레이터 구조
KR100475910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KR910007989Y1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0118507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47182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31689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100462243B1 (ko) 토션 빔 서스펜션
JPH0885316A (ja) 後輪懸架装置
KR100503342B1 (ko) 차량용 캠버 컨트롤 서스펜션
KR100291056B1 (ko) 맥퍼슨식현가장치용인슐레이터
KR0185448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JPH0524421A (ja) 車両用懸架装置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JPH01279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