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448B1 -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448B1
KR0185448B1 KR1019940013612A KR19940013612A KR0185448B1 KR 0185448 B1 KR0185448 B1 KR 0185448B1 KR 1019940013612 A KR1019940013612 A KR 1019940013612A KR 19940013612 A KR19940013612 A KR 19940013612A KR 0185448 B1 KR0185448 B1 KR 018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m
outer diameter
inner pipe
bush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540A (ko
Inventor
이택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4001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448B1/ko
Publication of KR96000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컨트롤 아암의 승강 운동을 원활히 하고, 전후력이 가해질 때 이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를 제공할 목적으로; 중간부 일측을 경계로하여 대외경부와 소외경부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대외경부의 양측으로 둘레턱 중 중앙부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의 상단 모서리부에 소정의 곡률을 갖고 요입되는 곡률부가 형성되는 내측 파이프와; 외주연의 형상이 상기 대외경부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파이프의 소외경부에 고착되는 리테이너와; 내측으로 중앙부 하측으로 상기 곡률부의 상면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는 구면부를 갖는 구면부재가 배치되는 격판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외측 파이프 사이로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내측 파이프의 양측단을 밀봉하여 주는 오일시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현가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시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부시의 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아암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하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며, 휠에 뱅기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할 때의 원심력 등을 이겨낼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연결이 견고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의 조건은 서로 상반되기 때문에 양자가 만족되도록 여러 가지 기구나 형식이 고안되고 있다.
이와같은 현가장치로는 그의 기구적인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는데, 그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제1도에서와 같은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를 들 수가 있다.
이의 현가장치는 쇽 업소오버(1)와 코일 스프링(3)이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으로 휠 지지체(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에 인슐레이터(7)를 개재시켜 현가지지되는 스트러트 아암(9)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휠 지지체(5)의 하단부를 차체(11)에 연결하여주는 컨트롤 아암(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휠(15)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이 스트러트 아암(9)에 의하여 완충 감쇠되어 차체(11)로 전달되고, 이에따른 휠(15)의 승강운동은 컨트롤 아암(13)의 회전 궤적에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휠 지지체(5)를 차체(11)와 연결하고 있는 컨트롤 아암(13)의 차체축 연결부(17)는 컨트롤 아암(13)의 상하 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봇 연결이 이루어지며, 또한 컨트롤 아암(13)의 승강 운동시 적정한 탄성력을 갖고 유연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시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의 비틀림 강성은 휠의 상, 하 운동의 따른 휠의 변위상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작용 차량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게 설계되어야만 승차감은 물론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부시를 살펴보면, 제3도에서와 같이, 단순히 내, 외측 파이프(100)(102) 사이로 탄성부재(104)가 배치되는 탄성부시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즉, 컨트롤 아암의 차체측 단부를 상기 외측 파이프(102)의 외측에 고착하거나 이에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내측 파이프(100)를 관통하는 미도시된 고정볼트로서 차체와 연결함으로써, 컨트롤 아암의 휠측단이 승강할 때 상기 외측 파이프(102)가 회전하면서 탄성부재(104)를 변형시킴으로써, 이 탄성부재(104)의 비틀림 강성으로 컨트롤 아암의 승강 운동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시에 있어서는 설계시 설정되었던 하나의 강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 단일체의 고무부재를 사용하게 되는 바, 컨트롤 아암의 승강 운동시 그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은 물론 휠에 전후력이 가해질 때 휠의 전후 밀림을 적절히 수용하지 못함으로써, 승차감은 물론 조종 안정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분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트롤 아암의 승강 운동을 원할히 하고, 전후력이 가해질 때 이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간부 일측을 경계로하여 대외경부와 소외경부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대외경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 중앙부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의 상단 모서리부에 소정의 곡률을 갖고 요입되는 곡률부가 형성되는 내측 파이프와; 외주연의 형상이 상기 대외경부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 파이프의 소외경부에 고착되는 리테이너와; 내측으로 중앙부 하측으로 상기 곡률부의 상면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는 구면부를 갖는 구면부재가 배치되는 격판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외측 파이프 사이로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내측 파이프의 양측단을 밀봉하여 주는 오일시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에서 상세한 설명이 되어 있는 바, 설명은 생략하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시의 단면도로서, 부호 31은 부시 전체를 지칭한다.
상기 부시(31)는 내, 외측 파이프(33)(35)와, 상기 내, 외측 파이프(33)(35)의 내외측으로 배치되는 구면부재(37)와 탄성부재(39)사이로 위치하는 격판부재(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 파이프(33)는 중간부 일측을 경계로 하여 대외경부(43)와 소외경부(45)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대외경부(43)의 양측으로는 둘레턱(47)(49)이 형성되고, 그중 중앙부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49)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소정의 곡률을 갖고 요입되는 곡률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외경부(45)에는 외주연의 형상이 상기 대외경부(43)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리테이너(53)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리테이너(53)의 일측 둘레턱(55)의 모서리부도 상기 곡률부(51)에 대응하는 또 다른 곡률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파이프(35)는 단순한 원통형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부에는 자체 탄성을 갖는 고무부재인 탄성부재(39)가 배치되며, 이의 탄성부재(39)의 내경부에는 격판 부재(4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탄성부재(39)는 그의 내외측으로 위치하는 격판 부재(41)와 외측 파이프(35)에 고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격판부재(41)의 내측으로 배치되는 구면부재(37)는 중앙부 하측으로 상기 곡률부(51)(57)의 상면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는 구면부(59)가 형성되어 그의 상측 부분이 양측의 스냅링(61)(63)에 의아여 격판부재(41)의 내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받침편(65)(67) 사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부재(41)와 내측 파이프(33)의 양측단은 오일시일(69)에 의하여 밀봉됨과 동시에 이에 그리이스(71)가 충진된다.
이러한 부시에 있어서, 외측 파이프(35)는 컨트롤 아암(13)의 차체측단 원통부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별도로 형성하여 컨트롤 아암(13)의 원통부 내에 삽입 고정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아암(13)의 회동시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내측파이프(33)는 미도시된 고정 볼트로서 차체(11)에 고정이 이루어져 제1도와 같은 상태로 적용된다.
이러한 부시(31)는 컨트롤 아암(13)의 상하 회동시 먼저 외측 파이프(35)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순간적인 충격은 탄성부재(39)에 의하여 1차 감쇠됨과 동시에 격판부재(41)로 전달된다.
그러면 이의 격판부재(41)는 구면부재(37)를 통해 내측 파이프(33)와 구름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컨트롤 아암(13)의 상하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휠(15)에 전후력이 가해져 컨트롤 아암(13)의 휠측단부가 전후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에도 외측 파이프(35)를 통해 입력되는 초기의 순간적인 충격은 탄성부재(39)에 의하여 1차 감쇠됨과 동시에 격판부재(41)로 전달된다.
그러면 이의 격판부재(41)는 구면부재(37)를 통해 내측 파이프(33)와 구름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컨트롤 아암(13)의 전후 방향에 대한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부시(31)는 휠(15)로 입력되는 충격과 진동이 우선적으로 탄성부재(39)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에 구면부재(37)의 운동특성에 의하여 극히 제한된 3차원 운동으로 컨트롤 아암(13)의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승차감과 자동차의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시(31)는 반드시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체에 상하 운동을 하는 회동체가 고정되는 부위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 아암의 승강 운동을 원활히 하고, 전후력이 가해질 때 이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중간부 일측을 경계로하여 대외경부와 소외경부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대외경부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 중 중앙부측으로 형성되는 둘레턱의 상단 모서리부에 소정의 곡률을 갖고 요입되는 곡률부가 형성되는 내측 파이프와; 외주연의 형상이 상기 대외경부와 동일하게 이루어져 상기 내측 파이프의 소외경부에 고착되는 리테이너와;내측으로 중앙부 하측으로 상기 곡률부의 상면과 구름접촉이 이루어지는 구면부를 갖는 구면부재가 배치되는 격판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외측 파이프 사이로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격판부재와 내측 파이프의 양측단을 밀봉하여 주는 오일시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KR1019940013612A 1994-06-16 1994-06-16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KR018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612A KR0185448B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3612A KR0185448B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40A KR960000540A (ko) 1996-01-25
KR0185448B1 true KR0185448B1 (ko) 1999-04-01

Family

ID=1938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612A KR0185448B1 (ko) 1994-06-16 1994-06-16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4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540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3384B1 (en) Double link type suspension system
US10065472B2 (en)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and vehicle suspension systems with dual bearing strut assemblies
US5411285A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
KR10256343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07112607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85448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KR100316892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2020050148A (ja) スタビライザ装置
KR200153470Y1 (ko) 리어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US20220153079A1 (en) Strut suspension system
KR0136256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슬립부시
KR960005202Y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 고정구조
KR0116863Y1 (ko) 자동차의 전륜현가장치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20120030850A (ko) 에어 서스펜션의 탑 마운트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JPS6397413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291056B1 (ko) 맥퍼슨식현가장치용인슐레이터
KR10034512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9005986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S6246929Y2 (ko)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2008002355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