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124B1 -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124B1
KR100345124B1 KR1019990062100A KR19990062100A KR100345124B1 KR 100345124 B1 KR100345124 B1 KR 100345124B1 KR 1019990062100 A KR1019990062100 A KR 1019990062100A KR 19990062100 A KR19990062100 A KR 19990062100A KR 100345124 B1 KR100345124 B1 KR 10034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damper rod
cylinder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3987A (ko
Inventor
이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12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쇽 업소오버로 입력되는 하중이 분산되면서 차체 전달되도록 하고, 실린더 내벽에 피스톤의 측압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댐퍼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는 휠측에 마운트 되고, 상단 댐퍼 로드가 차체에 마운트 되는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로드의 상단부에 구형 볼을 형성하고, 상하 신축성을 가지면서 상기 구형 볼과 결합되어 차체에 마운트 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SHOCK ABSORBER DAMPER ROD MOUNT OF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쇽 업소오버의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 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 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 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서스펜션 시스템은 첫째,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둘째, 운전자의 운전 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셋째,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 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는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어떤 방식의 현가장치이든지 감쇠수단으로 쇽 업소오버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쇽 업소오버의 상단, 즉 댐퍼 로드의 상단부를 차체와 연결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쇽 업소오버(100)의 실린더(102) 내측에 배치되는 피스톤과 연결된 댐퍼 로드(104)의 상측부에는 실린더(102)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톱퍼(106)가 배치되고, 그 상측에 브라켓(108)을 연결하되, 이의 브라켓(108)은 상,하 부시(110)(112)와, 이 상,하 부시(110)(112) 사이에 상,하 캡(114)(116)을 두고 그 상,하 캡(114)(116) 사이에 브라켓(108)이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너트(118)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 로드(104)의 상단에 고정되는 브라켓(108)은 차체(120)에 용접수단에 의해 완전 고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쇽 업소오버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부시와 캡, 그리고 브라켓을 통해 그대로 차제로 전달되는 바, 승차감을 좋지 않게 함은 물론 브라켓과 차체 연결부의 균열 및 파단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단의 부시가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바, 실린더 내의 측압을 그대로 잔존케 함으로써, 변형 내지 이상 작동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쇽 업소오버로 입력되는 하중이 분산되면서 차체 전달되도록 하고, 실린더 내벽에 피스톤의 측압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쇽 업소오버의 댐퍼 로드 마운트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종래 마운트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댐퍼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는 휠측에 마운트 되고, 상단 댐퍼 로드가 차체에 마운트 되는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로드의 상단부에 구형 볼을 형성하고, 상하 신축성을 가지면서 상기 구형 볼과 결합되어 차체에 마운트 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마운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부호 2는 쇽 업소오버를 지칭한다.
상기 쇽 업소오버(2)는 공지에서와 같이,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4)의 내부에 미도시한 피스톤이 내장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4)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댐퍼 로드(6)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4)의 하단부는 휠측에 마운트 되고, 상단부는 차체에 마운트 된다.
이에 따라 휠이 노면 조건에 따라 승강될 때 이 승강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쇽 업소오버(2)의 댐퍼 로드(6)의 상단부를 차체(8)에 마운트 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볼 죠인트 연결 방식으로 마운팅 하였다.
즉, 상기 댐퍼 로드(6)의 상단부에 구형 볼(10)을 일체로 형성하고, 차체(8)에는 상기 구형 볼(10)을 지지할 수 있는 마운트 플레이트(12)를 배치하여 상호 결합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2)는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원통형 부재의 중간부 하측을 전둘레에 걸쳐 오목부(14)로 형성하여 그 상측부를 큰 반구부(16)로 형성하고, 하측부는 작은 반구부(18)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큰 반구부(16)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시켜 플렌지(18)를 형성하여 이 플렌지(20)가 고정볼트(19) 또는 기타의 고정 수단으로 차체(8)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작은 반구부(18)는 그 곡률이 상기 댐퍼 로드(6)의 볼(10)의 곡률 보다 약간 크게 하여 그 사이에 고무패드(22)를 두고 상호 구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댐퍼 로드(6)가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실린더(4) 하측 마운트 부분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하중이 입력되더라도 실린더 내의 측압 발생없이 항상 쇽 업소오버(2)가 일직선화 된 상태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12)에는 상하 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큰 반구부(16)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작은 반구부(18)의 중간 부분까지 세로방향의 탄성 홀(24)을 형성하여 신축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상기 큰 반구부(16)의 탄성홀(24) 사이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홀(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볼 죠인트 방식으로 쇽 업소오버(2)를 체결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노면의 조건에 따라 쇽 업소오버(2)에서 하중(Fi)이 입력되면, 이 하중에 의하여 마운트 플레이트(12)는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수축되면서 1차 하중(Fe)을 감쇠시킨 후 나머지 최소의 하중(Ft)이 차체로 전달되는 바, 종래와 같이 쇽 업소오버(2)에 그대로 차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크게 저감된다.
그리고 실린더(4) 하부의 마운트 부분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하중이 입력되면, 댐퍼 로드(6)의 상단부가 볼 죠인트 연결되는 바, 어느 방향이든지 쇽 업소오버(2)가 자연스럽게 일직선화 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측압 발생이 근본적으로 치유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8은 스톱퍼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쇽 업소오버의 상단부를 차체에 마운트 함에 있어서, 볼 죠인트 방식으로 마운트 시킴으로써, 최소한의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쇽 업소오버가 항상 일직선화된 상태에서 감쇠작용을 함으로써, 실린더 내부의 측압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쇽 업소오버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유체가 충진된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되고, 이 피스톤은 실린더의 상측으로 관통되는 댐퍼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는 휠측에 마운트 되고, 상단 댐퍼 로드가 차체에 마운트 되는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로드의 상단부에 구형 볼을 형성하고, 상하 신축성을 가지면서 상기 구형 볼과 결합되어 차체에 마운트 되는 마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운트 플레이트는 원통형 부재의 중간부 하측을 전둘레에 걸쳐 오목부로 형성하여 상측부의 큰 반구부와 하측부의 작은 반구부를 형성하되, 상기 큰 반구부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시켜 플렌지를 형성하여 이 플렌지가 차체에 마운트 되도록 하고, 작은 반구부는 곡률을 상기 댐퍼 로드의 볼 곡률 보다 약간 크게 하여 사이에 고무패드를 두고 상호 구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마운트 플레이트는 큰 반구부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작은 반구부의 중간 부분까지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세로방향의 다수 탄성홀을 형성하고, 상기 큰 반구부의 탄성홀 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KR1019990062100A 1999-12-24 1999-12-24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KR10034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00A KR100345124B1 (ko) 1999-12-24 1999-12-24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100A KR100345124B1 (ko) 1999-12-24 1999-12-24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987A KR20010063987A (ko) 2001-07-09
KR100345124B1 true KR100345124B1 (ko) 2002-07-24

Family

ID=1962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100A KR100345124B1 (ko) 1999-12-24 1999-12-24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9749A (zh) * 2015-12-11 2016-04-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减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3987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684A (en) Suspension device for the cab of a truck vehicle
KR10034512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오버 댐퍼 로드 마운트 구조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JPH0129127Y2 (ko)
KR100579227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00507122B1 (ko) 맥퍼슨 스트럿형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찰 저감장치
KR20010045889A (ko) 자동차의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206928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KR100506654B1 (ko) 차축식 현가장치
JPH0139202Y2 (ko)
KR0185448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JPH035697Y2 (ko)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20030006654A (ko) 자동차 현가 장치의 범프 스토퍼
KR20080078278A (ko) 쇽업소버의 아이
KR100441132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의 강성연결장치
KR20050060526A (ko) 차량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KR20220057350A (ko) 전기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JP2002048181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位置調整装置
KR20080009437A (ko) 차량용 쇽 업소버
JPH06262924A (ja) 懸架装置
KR19980044919U (ko) 범퍼 스톱퍼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