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402B1 -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 Google Patents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402B1
KR100527402B1 KR10-2000-0029691A KR20000029691A KR100527402B1 KR 100527402 B1 KR100527402 B1 KR 100527402B1 KR 20000029691 A KR20000029691 A KR 20000029691A KR 100527402 B1 KR100527402 B1 KR 10052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lay
receiving
delay lin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782A (ko
Inventor
김영희
구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2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402B1/ko
Priority to US09/867,812 priority patent/US6396322B1/en
Publication of KR2001010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6Output synchroniz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고정루프에 관한 것으로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는 클럭을 양(+)입력으로 반전된 클럭(CLKB)을 음(-)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1차동증폭기; 클럭을 음(-)입력으로 반전된 클럭(CLKB)을 양(+)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차동증폭기; 상기 제1 및 제2 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보상하고자하는 스큐만큼 시간 지연을 시키기 위한 딜레이부; 상기 딜레이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측정 딜레이 라인;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간지연이 조절된 딜레이만큼 클록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 상기 위상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2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변이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같은 딜레이만큼 지연하기 위한 복사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과 복사 딜레이 라인으로부터 출력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루프 클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Delay locked loop of DDR SDRAM}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연고정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의 핵심은 고속, 저전력, 고집적으로 요약된다. 현재 반도체 메모리의 추세는 확장된 데이터 출력(EDO : Extended Data Output)메모리와 동기식(Syncronous) 메모리를 거쳐서 DDR(Double Data Rate) 동기식 메모리와 RAMBUS DRAM등의 고속화 추세로 가고 있다. 현재 포스트 차지 로직(Post Charge Logic)으로 100MHz 정도의 억세스 타임을 구현하고 그 이상에서는 위상고정루프(PLL)나 지연고정루프(DLL)을 이용하여 클럭 스큐(Clock Skew)를 제거하여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200MHz 이상의 클럭 주파수에서는 추가적인 클럭 스토리지 노드(Clock Storage Node)나 버스 라인(Bus Line)과 제어 로직등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칩의 크기를 크게하는 원인이 된다.
반도체 메모리의 시장은 고속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패스트 페이지(Fast Page), 확장된 데이터 출력(EDO) 메모리, 동기식 메모리, DDR 동기식 메모리, RAMBUS 메모리 순으로 발전해오고 있고, 이들 각각은 회로 구성에 따라 동작 속도를 달리하지만 결국 한계가 있다.
이 중에서 동기식 메모리는 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데이터를 내보내고 다음 클럭의 상승 에지에서 데이터를 받는다. 이 데이터의 출력 스트로브에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까지의 딜레이를 tAC(Access Time)라고 한다.
250MHz동작에서는 tAC는 tCK(Clock Cycle Time)과 같게되고 이는 DRAM 콘트롤러가 다음 클럭에서 데이터를 가져오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즉 250MHz 이상의 동작에서는 제대로 된 데이터를 읽고 쓰기가 불가능하다.
도1은 tAC(Clock Access Time)와 클럭 스큐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tAC는 클럭 스큐와 데이터 버퍼링 타임으로 이루어진다. 클럭 스큐는 외부의 클럭과 입력 버퍼와 클럭 드라이버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클럭과의 딜레이를 의미한다. 외부의 클럭을 받아들이는 입력 버퍼의 딜레이를 d1이라고 하고 입력버퍼에 직렬연결된 클럭 드라이버의 딜레이를 d2라고 했을 때 클럭 스큐는 d1+d2가 된다. 이러한 클럭 스큐를 줄이고자 위상고정루프(PLL)나 지연고정루프(DLL) 등을 사용하여 칩의 고속화를 실현한다.
그러나 위상고정루프(PLL)나 지연고정루프(DLL)는 록(Lock) 타임(tLOCK)을 위해 수 많은 사이클을 필요로하며 이로 인해 대기 전류(Stanby Current)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2는 위상고정루프의 블럭도와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2를 참조하면, 위상고정루프는 외부 클럭을 버퍼링하는 입력버퍼(200)와, 상기 입력버퍼(200)와 피드백된 딜레이모니터회로(24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외부클럭과 궤환된 클럭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에러검출기(210)와, 상기 위상에러검출기(210)에서 출력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저역필터(220)와, 상기 저역필터(220)의 출력에 비례하는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제어발진기(230)와, 상기 전압제어발진기(23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위상고정루프가 정상적으로 록킹이 되었는지를 알려주는 딜레이모니터회로(240)와, 상기 전압제어발진기(230)의 출력을 드라이빙하기 위한 클럭드라이버(250)를 구비한다.
외부 클럭과 내부 클럭의 위상을 비교하여 클럭 스큐를 없애기 위해 - 위상 에러가 없음을 의미 함 - 록킹 시간(tLOCK)만큼 수백번 사이클을 반복한다. 그리고 CMOS 공정에서는 상기 전압제어발진기(230)나 상기 저역필터(220)을 설계하기란 쉽지 않다. 상기 전압제어발진기(230)나 상기 저역필터(220)의 파라미터(Parameter)들은 더 낮은 이득과 잡음 제거를 요구하므로 동작 전압의 변동이나 공정 마진이 없다. 이에 동기식 딜레이 라인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여기에서는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Syncronous Mirror Delay)를 대표적으로 예를 들기로 한다. 하지만 이는 클럭의 상승 에지만 검출하여 동작하므로 DDR 동기식 메모리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도3은 상기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의 블럭도와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면,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는 외부클럭을 버퍼링하는 입력버퍼(300)와, 상기 입력버퍼(300)의 출력을 입력받아 보상하고자하는 스큐(Skew)만큼 시간지연시키기 위한 딜레이모니터회로(DMC)(310)와, 상기 딜레이모니터회로(310)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1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포워드딜레이어레이(FDA)(320)와,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의 출력과 상기 입력버퍼(30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시간지연이 조절된 딜레이만큼 클록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미러제어부(MCC)(330)와, 상기 미러제어부(33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2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백워드딜레이어레이(BDA)(340)와,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지연고정루프 클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50)를 구비한다.
내부클럭은 2 클럭 만에 외부 클럭과 동기될 수 있으나 단위 딜레이가 지터(Jitter)의 제한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딜레이 체인의 길이가 길어져서 면적 소모가 커지게 된다. 지연고정루프가 피드백 회로여서 많은 클럭이 필요한데 비해서 상기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SMD)는 두 개의 연속적인 펄스(tLOCK)로 클럭 스큐를 제거한다.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FDA)(320)는 단일 입력과 다수의 출력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BDA)(340)는 단일 출력과 다수의 입력을 가진다. 이들은 각각 포워드딜레이(tDF)와 백워드딜레이(tDB)라는 딜레이 유닛을 가진다.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위치해 있지만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는 회로를 간단하고 작게 구성하기 위함인데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FDA)의 출력과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BDA)의 입력은 미러제어부(33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4는 상기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도4를 참조하면,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는 외부클럭을 입력받는 입력 버퍼(300)와, 상기 입력버퍼(300)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간 지연하는 딜레이부(310)와, 상기 딜레이부의 시간 지연된 클럭을 입력받는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와,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의 출력과 상기 딜레이부(310)의 출력을 입력받는 미러제어부(330)와, 상기 미러제어부(330)의 출력을 입력받는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와,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의 출력을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35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는 첫 단이 상기 딜레이부(310)의 출력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321)와 상기 난드게이트(321)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322)로 구성되어 있고, 두번째 단은 상기 인버터(322)의 출력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323)와 상기 난드게이트(323)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3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번째 단은 상기 인버터(324)의 출력과 미러제어부(330)의 출력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325)와 상기 난드게이트(325)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3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번째 단의 구성이 복수개의 단으로 직렬연결되어 여러개의 단을 구성한다.
상기 미러제어부(330)는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의 각 단의 인버터의 출력과 상기 딜레이부(310)의 출력을 입력받는 다수 개의 난드게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은 상기 미러제어부(330)의 출력과 전단의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와 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단(350)은 상기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의 최종단의 출력을 입력받는 짝수개의 인버터를 구비한다.
딜레이 구성요소는 인버터 한개와 난드게이트 한개로 구성되며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는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와 미러제어부(330) 레이아웃(Layout)을 미러 이미지로 하여 공정조건이나 전압변동에 무관하게 딜레이가 일치되도록 설계한다.
상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를 통과하는 클럭은 포워드딜레이(tDF)만큼 딜레이되다가 마침내 1 클럭 주기만큼 딜레이되게 된다. 이 경우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를 통해 딜레이된 클럭 신호와 외부 클럭이 동위상된 것이므로 결국 td + NtDF = tCLK가 되는 N을 찾은 것이 된다. 따라서 딜레이 어레이는 N번째 단까지 활성화되며 이러한 활성화 신호들이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로 전달된다. 만일 tDF(포워드 딜레이) = tDB(백워드 딜레이)라면 포워드딜레이어레이(320) 값에 의해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도 N번째 단까지만 동작하여 백워드딜레이어레이(340)의 전체 딜레이는 tCK - td가 된다. 이에 따라 외부 클럭이 경험하는 총 딜레이는 입력 버퍼(300)의 딜레이를 d1이라 하고 출력단(350)의 딜레이를 d2라고 하면 다음 수학식1과 같다.
d1 + tCLK + (tCLK - d1 - d2) + d2 = 2CLK
이러한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에서는 단위 딜레이 값이 지터(Jitter)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기술은 클럭의 라이징 에지서만 지연고정루프가 동작하여 DDR 동기식 메모리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클럭의 라이징 에지와 폴링 에지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는 클럭을 양(+)입력으로 입력받고 반전된 클럭(CLKB)을 음(-)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1차동증폭기; 클럭을 음(-)입력으로 입력받고 반전된 클럭(CLKB)을 양(+)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차동증폭기; 상기 제1 및 제2 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보상하고자하는 스큐만큼 시간 지연을 시키기 위한 딜레이부; 상기 딜레이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측정 딜레이 라인;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간지연이 조절된 딜레이만큼 클록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 상기 위상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2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변이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같은 딜레이만큼 지연하기 위한 복사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과 복사 딜레이 라인으로부터 출력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루프 클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클럭에 동기된 딜레이 회로를 가진 지연고정루프의 블럭도이다.
상기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는 클럭(CLK)을 양(+)입력으로 반전된 클럭(CLKB)을 음(-)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1차동증폭기(500)와, 클럭을 음(-)입력으로 반전된 클럭(CLKB)을 양(+)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차동증폭기(570)와, 상기 제1 및 제2 차동증폭기(500, 570)의 출력을 입력받아 보상하고자하는 스큐만큼 시간 지연을 시키기 위한 딜레이부(510)와, 상기 딜레이부(5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측정 딜레이 라인(520)과,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520)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500)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간지연이 조절된 딜레이만큼 클록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530)와, 상기 위상 비교기(530)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50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2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변이 딜레이 라인(540)과,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540)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기(570)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520)과 같은 딜레이만큼 지연하기 위한 복사 딜레이 라인(550)과, 지연고정루프 클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560)를 구비한다.
상기 복사 딜레이 라인(550)은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520)과 공정 및 설계 조건이 같아야 한다. 이는 입력 버퍼(500)의 입력을 반대 극성으로 하여 상승 클럭과 반대인 하강 클럭을 검출하게 된다. 클럭 신호의 첫번째 펄스는 두번째 펄스가 나올 때까지 입력 버퍼의 고정된 딜레이와 tCK(클럭의 한 사이클) - (d0+d1+d2)의 딜레이를 가진 측정 딜레이 라인(520)을 통과한다. 상기 딜레이 tCK - (d0+d1+d2)는 변이 딜레이 라인(540)의 딜레이 길이를 결정한다. 두번째 펄스는 변이 딜레이 라인(540)을 거쳐서 출력버퍼(560)을 통하여 나온다. 그러므로 전체 딜레이는 d0+(d0+d1+d2) + d1+[tCK-(d0+d1+d2)] + d2 = 2tCK와 같다. 즉 클럭 스큐는 2 클럭 안에 제거된다. 복사 딜레이 라인(550)은 클럭의 하강 에지에서 클럭 신호를 [(tCK -(d0+d1+d2)] 만큼 딜레이시키므로 클럭의 하강 에지도 록킹(Locking)되게 된다. 지연고정루프의 최소 록킹 주파수는 상기 딜레이부(510)의 딜레이 시간에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520)의 딜레이 시간을 더한 딜레이에 의해 결정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의 딜레이 어레이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딜레이 어레이는 복수개의 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의 첫번째 단(600)은 전원전압과 상기 딜레이부(510)의 출력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601)와, 상기 난드게이트(601)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602)와, 상기 난드게이트(601)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500)의 출력을 입력받는 D-플립플롭(603)과, 상기 D-플립플롭(603)의 출력과 다음단의 난드게이트(621)의 출력을 반전하여 입력받는 난드게이트(604)와, 상기 난드게이트(604)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500)의 출력을 입력받는 노아게이트(605)와, 상기 노아게이트(605)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606)와, 상기 인버터(606)의 출력과 다음단의 인버터(622)의 출력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607)와, 상기 난드게이트(607)의 출력을 입력받아 전단의 난드게이트로 출력하는 인버터(608)와, 제2차동증폭기(570)의 출력과 상기 난드게이트(604)의 출력을 입력받는 노아게이트(609)와, 상기 노아게이트(609)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610)와, 상기 인버터(610)의 출력과 다음단의 인버터(623)의 출력을 입력받는 난드게이트(611)와, 상기 난드게이트(611)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612)를 구비한다.
두번째 단(620)의 구성은 상기 첫번째 단(6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세번째 단(630)은 난드게이트(631)가 두번째 단(620)의 인버터(624)의 출력과 첫번째 단(600)의 난드게이트(604)의 출력을 입력받는 것이 다르며 구성은 첫번째 단(600)의 구성과 동일하다. 나머지단의 구성도 세번째 단(630)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러한 구성이 복수개로 나열되어 있다.
딜레이 어레이는 2-입력 난드게이트와 인버터로 구성된 측정 딜레이 라인과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 위상 비교기와 록킹된 딜레이 어레이의 변이 딜레이 라인과 복사 딜레이 라인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제1입력클럭(CLK_DEL)과 반전된 제1입력클럭(CLKB_DEL) 신호를 스위칭하는 2-입력 노아 게이트와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하는 2-입력 게이트와 인버터의 딜레이는 d1이다.
딜레이 어레이의 위상 비교기는 입력 버퍼의 출력인 제1입력클럭(CLK_DEL)의 상승 에지에서 위상 비교기의 딜레이 라인의 N번째 단의 출력과 N+1번째 단의 출력을 비교하여 N번째 단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고 N+1 번째 단의 출력이 논리 로우 상태이면 위상이 록킹(Locking)되었으므로 위상비교기의 출력을 논리 로우로 만든다. 도6에서 록킹(Locking)된 부분을 도시하였으며, 이 단(Stage) 이후에는 신호가 전파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록킹된 단의 다음단부터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게 한다.
포저티브(Positive) 에지(Edge)에서 트리거(Trigger)되는 D-플립플롭은 딜레이 어레이의 위상 비교기에서 사용되었으며 D-플립플롭을 모델링하여 변이 딜레이 라인과 복사 딜레이 라인 사이의 커패시터의 부하를 같게하여 주었다.
도7은 0.6 마이크로 CMOS 공정으로 제작된 실제 칩의 측정된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상기 도7을 참조하면, 클럭(CLK)과 반전된 클럭(CLKB)가 움직이는 것에 따라 출력이 200MHz의 클럭 주파수에서도 클럭 스큐 없이 정상적으로 나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클럭과 반전된 클럭에 제어받는 복사 딜레이 라인을 사용함으로써 클럭의 상승 에지와 하강 에지에서 모두 지연고정루프 클럭을 검출하도록 하여 DDR 동기식 메모리에서도 지연고정루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tAC(Clock Access Time)와 클럭 스큐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2는 위상고정루프의 블럭도와 타이밍도,
도3은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의 블럭도와 타이밍도,
도4는 싱크로너스 미러 딜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5는 본 발명의 클럭에 동기된 딜레이 회로를 가진 지연고정루프의 블럭도,
도6은 본 발명의 지연고정루프의 딜레이 어레이의 상세한 회로도,
도7은 0.6 마이크로 CMOS 공정으로 제작된 실제 칩의 측정된 전압 신호를 나타내는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 : 제1차동증폭기 510 : 딜레이부
520 : 측정 딜레이 라인 530 : 위상 비교기
540 : 변이 딜레이 라인 550 : 복사 딜레이 라인

Claims (7)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지연고정루프에 있어서,
    클럭을 양(+)입력으로 입력받고 반전된 클럭(CLKB)을 음(-)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1차동증폭기;
    클럭을 음(-)입력으로 입력받고 반전된 클럭(CLKB)을 양(+) 입력으로 입력받아 버퍼링하는 제2차동증폭기;
    상기 제1 및 제2 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보상하고자하는 스큐만큼 시간 지연을 시키기 위한 딜레이부;
    상기 딜레이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1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측정 딜레이 라인;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시간지연이 조절된 딜레이만큼 클록이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위상 비교기;
    상기 위상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제2방향으로 시간 지연을 조절하기 위한 변이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제2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과 같은 딜레이만큼 지연하기 위한 복사 딜레이 라인;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과 복사 딜레이 라인으로부터 출력을 입력받아 지연고정루프 클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버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연고정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은,
    상기 딜레이부의 출력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제1난드게이트와,
    상기 제1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1 인버터를 첫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은,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제2난드게이트와,
    상기 제2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 인버터를 두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비교기는,
    상기 제1난드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는 D-플립플롭과,
    상기 D-플립플롭의 출력과 다음단의 D-플립플롭의 반전된 출력을 입력받는 제3난드게이트를 첫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딜레이 라인은,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과 상기 제3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4난드게이트와,
    상기 제4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3 인버터를 세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딜레이 라인은,
    상기 제3난드게이트의 출력과 상기 제1차동증폭기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1노아게이트와,
    상기 제1노아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4 인버터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과 다음단으로부터의 변이 딜레이 라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5난드게이트와,
    상기 제5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5 인버터를 첫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딜레이 라인은,
    상기 제2차동증폭기의 출력과 상기 제3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2노아게이트와,
    상기 제2노아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6 인버터와,
    상기 제6 인버터의 출력과 다음단의 복사 딜레이 라인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6난드게이트와,
    상기 제6난드게이트의 출력을 입력받는 인버터를 첫번째 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KR10-2000-0029691A 2000-05-31 2000-05-31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KR10052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691A KR100527402B1 (ko) 2000-05-31 2000-05-31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US09/867,812 US6396322B1 (en) 2000-05-31 2001-05-30 Delay locked loop of a DDR SD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691A KR100527402B1 (ko) 2000-05-31 2000-05-31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782A KR20010108782A (ko) 2001-12-08
KR100527402B1 true KR100527402B1 (ko) 2005-11-15

Family

ID=1967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691A KR100527402B1 (ko) 2000-05-31 2000-05-31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96322B1 (ko)
KR (1) KR100527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6886A1 (en) * 2001-06-22 2002-12-26 Adkisson Richard W. SYNC pulse compensation and regeneration in a clock synchronizer controller
KR100410555B1 (ko) * 2001-07-18 2003-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합한 내부클럭 발생방법 및내부클럭 발생회로
US6798259B2 (en) * 2001-08-03 2004-09-28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ynchronous mirror delays and delay locked loops
US6647081B2 (en) 2001-12-12 2003-11-11 Emulex Corporation Phase-locked loop (PLL) circuit for selectively correcting clock skew in different modes
US6664850B1 (en) * 2001-12-19 2003-12-16 Sun Microsystems, Inc. Delay variability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46099B2 (en) * 2002-01-03 2008-03-18 Intel Corporation Network fabric physical layer
KR100414215B1 (ko) * 2002-01-03 200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동기 범위를 갖는 동기 미러 지연 회로
KR100477836B1 (ko) * 2002-05-30 2005-03-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드라이버
US6917228B2 (en) * 2002-06-06 2005-07-12 Micron Technology, Inc. Delay locked loop circuit with time delay quantifier and control
US6930525B2 (en) * 2002-06-12 2005-08-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ay circuit
US7418616B2 (en) 2002-07-15 2008-08-26 Brooktree Broadband Hold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ynchronous data access
KR100673126B1 (ko) * 2002-10-28 2007-01-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클럭 버퍼 회로
KR100505657B1 (ko) * 2002-12-10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단위 지연 시간을 가지는 지연소자를 구비하는지연 시간 보상 회로
US6774691B2 (en) 2003-01-07 2004-08-10 Infineon Technologies Ag High resolution interleaved delay chain
US8934597B2 (en) * 2003-03-12 2015-01-13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ple delay locked loop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KR100528473B1 (ko) * 2003-03-13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미러 지연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한 반도체 집적 회로장치
JP3935928B2 (ja) * 2003-03-25 2007-06-27 富士通株式会社 遅延回路、および遅延回路の制御方法
KR100922883B1 (ko) * 2003-04-29 2009-10-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싱크러너스 미러 딜레이를 사용한 지연고정루프
JP3859624B2 (ja) * 2003-07-31 2006-12-20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遅延回路と遅延同期ループ装置
KR100578232B1 (ko) * 2003-10-30 2006-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US7272526B2 (en) * 2003-11-19 2007-09-18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alibrating a plurality of phase-delayed clock signal edges within a reference clock period
US7050919B1 (en) * 2003-11-19 2006-05-23 Analog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calibrating a plurality of phase-delayed clock signal edges within a reference clock period
US7221201B2 (en) * 2004-08-11 2007-05-22 Micron Technology, Inc. Fast-locking digital phase locked loop
CN1977487B (zh) * 2004-08-19 2010-08-18 株式会社瑞萨科技 相位同步电路
US7199629B2 (en) * 2004-10-27 2007-04-03 Infineon Technologies Ag Circuit having delay locked loop for correcting off chip driver duty distortion
JP4488872B2 (ja) * 2004-11-29 2010-06-2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位相同期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466783B2 (en) * 2004-12-13 2008-1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to implement a double data rate (DDR) interface
DE102005007652A1 (de) * 2005-02-19 2006-08-24 Infineon Technologies Ag DLL-Schaltung zum Bereitstellen eines Ausgangssignals mit einer gewünschten Phasenverschiebung
CN101147320A (zh) * 2005-03-22 2008-03-1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实现异步延迟的电子电路
US7212053B2 (en) * 2005-05-12 2007-05-01 Micron Technology, Inc. Measure-initialized delay locked loop with live measurement
US7471130B2 (en) * 2005-05-19 2008-12-30 Micron Technology, Inc. Graduated delay line for increased clock skew correction circuit operating range
US7423919B2 (en) * 2005-05-26 2008-09-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efficiency of synchronous mirror delays and delay locked loops
JP2007018648A (ja) * 2005-07-11 2007-01-25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US7453301B1 (en) 2005-08-05 2008-11-18 Xilinx, Inc. Method of and circuit for phase shifting a clock signal
US7453297B1 (en) * 2005-08-05 2008-11-18 Xilinx, Inc. Method of and circuit for deskewing clock signals in an integrated circuit
JP4841927B2 (ja) * 2005-10-20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非同期伝送装置、非同期伝送方法
US7882322B2 (en) * 2006-06-27 2011-0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arly directory access of a double data rate elastic interface
US7734944B2 (en) * 2006-06-27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 for windaging of a double rate driver
US7752475B2 (en) * 2006-06-27 2010-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te data launch for a double data rate elastic interface
US7783911B2 (en) * 2006-06-27 2010-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bus driver launch delay/cycle delay to reduce elastic interface elasticity requirements
US7739538B2 (en) * 2006-06-27 2010-06-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 data rate chaining for synchronous DDR interfaces
US7433262B2 (en) * 2006-08-22 2008-10-07 Atmel Corporation Circuits to delay a signal from DDR-SDRAM memory device including an automatic phase error correction
US7539078B2 (en) * 2006-08-22 2009-05-26 Atmel Corporation Circuits to delay a signal from a memory device
KR100886645B1 (ko) * 2006-12-28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버퍼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423928B2 (en) * 2007-01-30 2008-09-09 Atmel Corporation Clock circuitry for DDR-SDRAM memory controller
US8132040B1 (en) * 2007-10-25 2012-03-06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Channel-to-channel deskew systems and methods
US7652512B2 (en) * 2008-02-07 2010-01-26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Clock synchronizing circuit
US8826057B1 (en) 2012-03-30 2014-09-02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ultiple time domain synchronizer circuits
US8943242B1 (en) * 2012-03-30 2015-01-27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Timing controllers having partitioned pipelined delay chains therein
US9520864B2 (en) 2014-06-06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Delay structure for a memory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376A (en) * 1994-10-05 1997-01-14 Micro Linear Corporation Clock deskewing apparatus including three-input phase detector
JPH08329507A (ja) * 1995-05-30 1996-12-13 Sharp Corp トラッキング補正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
JP2000235791A (ja) * 1999-02-15 2000-08-29 Toshiba Corp クロック同期遅延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1042A1 (en) 2002-03-14
KR20010108782A (ko) 2001-12-08
US6396322B1 (en) 200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402B1 (ko) 디디알 동기식메모리의 지연고정루프 장치
KR100422585B1 (ko) 링 - 레지스터 제어형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02664B1 (ko) 온 다이 터미네이션 모드 전환 회로 및 그방법
US6445231B1 (en) Digital dual-loop DLL design using coarse and fine loops
KR100605588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클럭록킹 방법
US63924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delay locked loop circuits
US6194932B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US796980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output enable signal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20000006028A (ko) 2배데이터속도타이밍을위한클록대기보상회로
US6815985B2 (en) Clock divider and method for dividing a clock signal in a DLL circuit
KR20060095260A (ko) 반도체 기억 소자의 지연 고정 루프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35947A (ko) Dram의 동작 주파수를 높이기 위한 지연고정루프
KR19980069815A (ko) 위상 비교 회로 및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890041B1 (ko) 반도체 소자의 클럭 버퍼 회로
US6144713A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for controlling delay time with reduced lock-up time
US7109774B2 (en) Delay locked loop (DLL) circuit and method for locking clock delay by using the same
US8446197B2 (en) Delay locked loo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940325B2 (en) DLL circuit
JP2006333472A (ja) 遅延ロックループ、および、遅延鎖の設定方法
KR100550633B1 (ko) 반도체 기억 소자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0792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00244B1 (ko) 클럭공급회로및그것을이용한집적회로장치
JPH11317076A (ja) 入力回路および該入力回路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
KR100321756B1 (ko) 고주파에서 동작하는 레지스터 지연고정루프
KR100685613B1 (ko) 고속 동작을 위한 dll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