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979B1 -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979B1
KR100526979B1 KR10-2003-0086628A KR20030086628A KR100526979B1 KR 100526979 B1 KR100526979 B1 KR 100526979B1 KR 20030086628 A KR20030086628 A KR 20030086628A KR 100526979 B1 KR100526979 B1 KR 100526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witch
guid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055A (ko
Inventor
정택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9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탈착식 시트의 고정여부를 탑승객 및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라이커(110, 110')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탄성적으로 '온'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수단(120)이 마련된 가이드(100)와; 로크캠(210) 및 로크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10, 110')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며, 그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수단(120)을 '오프'상태로 단락시키는 스위치단락수단(230)이 마련된 시트브래킷(200)과; 전원장치(400) 및 상기 스위치수단(120)이 연결된 지시수단(300)으로 구성되어, 탑승객의 편의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Device for displaying a locking for detachable seat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마련된 탈착식 시트의 고정여부를 탑승객 및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탑승객의 편의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승용차, 화물차, 특장차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어지며, 특히 승용차에는 탑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플로어패널에 시트가 고정되어 있다.
최근 들어 RV차량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의 기능성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시트를 개선하여 탈착 가능한 시트를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탑승객을 승차시키고자 할 때에는 시트를 장착하여 다수의 승객을 탑승시킬 수도 있으며,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식 시트를 차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이와 같이 확장된 차량의 내부 공간에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 11')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된 가이드(10)와; 로크캠(21) 및 로크플레이트(22)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1, 11')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시트브래킷(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브래킷(20)의 전후 측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10)에 마련된 스트라이커(11, 11')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방과 하측방을 향하여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의 이동을 돕기 위한 다수개의 구름수단(23)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0)의 전방측 스트라이커(11)에 시트브래킷(20)의 전방측 요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삽입한 후, 후방측 스트라이커(11')에는 상기 시트브래킷(20)의 후방측 요홈을 하측으로 눌러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브래킷(20)의 후측에는 후방측 요홈으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1')를 잠금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캠(21) 및 로크플레이트(22)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로크캠(21)과 로크플레이트(22)를 통하여 시트브래킷(20)이 상기 스트라이커(11')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브래킷(20)에 추가적으로 마련된 해제레버(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트브래킷(20)이 스트라이커(11, 11')로부터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를 선택적으로 차체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11, 11')에 시트브래킷(20)을 고정 혹은 해제시키는 로크캠(21)과 로크플레이트(22)에는 각각 그 회동 각도를 소정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로크캠핀(21a)과 로크플레이트핀(22a)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시트브래킷(20)에 형성된 소정구간의 가이드홈(25)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로크캠(21)과 로크플레이트(22)가 서로 연동 할 수 있도록 상기 로크캠핀(21a)과 로크플레이트핀(22a)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26)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시트를 선택적으로 탈착 시킬 수 있어 차량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는 시트브래킷이 가이드의 스트라이커에 정확하게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명확히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탈착식 시트가 차체에 정확히 잠금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사고 발생시, 탈착식 시트가 전도되면서 탑승객의 상해치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마련된 탈착식 시트의 고정여부를 시트 인근에 마련된 확인램프와 계기판에 마련된 경고등을 통하여 탑승객 및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어, 차량의 각종 사고 발생시 탈착식 시트의 불완전한 고정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차적인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트라이커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탄성적으로 '온'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수단이 마련된 가이드와; 로크캠 및 로크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며, 그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수단을 '오프'상태로 단락시키는 스위치단락수단이 마련된 시트브래킷과; 전원장치 및 상기 스위치수단이 연결된 지시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배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미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미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 110')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탄성적으로 '온'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수단(120)이 마련된 가이드(100)와; 로크캠(210) 및 로크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라이커(110, 110')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며, 그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수단(120)을 '오프'상태로 단락시키는 스위치단락수단(230)이 마련된 시트브래킷(200)과; 전원장치(400) 및 상기 스위치수단(120)이 연결된 지시수단(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위치수단(120)이 마련되어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가이드(100)와, 상기 스위치수단(120)을 제어하는 스위치단락수단(230)이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100)의 스트라이커(110, 1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시트브래킷(200)과, 상기 스위치수단(120)의 단락여부에 따라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하는 지시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100)와 시트브래킷(200)은 기존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와 같은 기존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에 본 발명은 스위치수단(120), 스위치단락수단(230), 그리고 지시수단(300)이 추가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브래킷(200)의 후측에는 스위치단락수단(230)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시트브래킷(200)의 후측을 가이드(100)의 후측 스트라이커(110')에 잠금 고정시킴에 따라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00)의 후측에 마련된 스위치수단(12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스위치수단(120)을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위치수단(120)과 연결되어 전원장치(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지시수단(300)이 선택적으로 점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단락수단(230)이 시트브래킷(200)의 후측과 일체로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단락수단(23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온'과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스위치수단(120)은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12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의 저면에 계단형으로 다단 절곡 되어 도선의 일측이 연결된 고정단(121)과, 부도체로 이루어져 탄성수단(122a)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121)으로부터 상측으로 탄지되는 승강로드(122)와, 도선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드(122)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로드(122)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고정단(122)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승강단(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단락수단(23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상기 시트브래킷(200)의 저면에 돌출 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승강로드(122)의 상단과 접촉 가능한 스위치단락브래킷(2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단락수단(230)은 시트브래킷(200)의 하측으로 돌출 되도록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물의 스위치단락수단(230)인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을 추가적으로 고정 체결할 수도 있으며,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을 상기 시트브래킷(200)에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300)은 탑승객 또는 운전자에게 탈착식 시트의 잠금 고정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30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에 인접하게 배설된 확인램프(310)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계기판에 배설된 경고등(320)으로 구성될 수도 있어, 탈착식 시트를 잠금 고정시킨 탑승객이 탈착식 시트의 잠금 고정 여부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탈착식 시트의 잠금 고정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체에 탈착식 시트를 잠금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패널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00)의 전방측 스트라이커(110)에 시트브래킷(200)의 전방측 요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삽입한 후, 후방측 스트라이커(110')에는 상기 시트브래킷(200)의 후방측 요홈을 하측으로 눌러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7의 도면부호 240은 탈착 시킨 시트브래킷(200)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구름수단이며, 211과 221은 각각 로크캠핀과 로크플레이트핀으로 시트브래킷(200)에 형성된 가이드홈(260) 내에 삽입되어 로크캠(210)과 로크플레이트(220)의 회동각을 제한하게 되며, 상기 로크캠(210)과 로크플레이트(220)가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탄성수단(270)이 마련되고, 상기 로크플레이트(220)에는 로크캠(210)이 삽입하여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걸림홈(222)이 절입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브래킷(200)의 후측에는 후방측 요홈으로 삽입된 스트라이커(110')를 잠금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캠(210) 및 로크플레이트(220)를 통하여 시트브래킷(200)이 상기 스트라이커(110')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시트브래킷(200)에 마련된 스위치단락수단(230)인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브래킷(200)과 일체로 하강하게 되며, 하강하는 상기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100)에 마련된 스위치수단(120)의 승강로드(122)의 상단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후, 탄성수단(122a)이 수축하게 되면서 상기 승강로드(122)가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로드(122)의 하단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500)에 의하여 고정된 승강단(123)이 상기 가이드(100)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500)을 통하여 고정된 고정단(121)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승강로드(122)와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단(121)과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지시수단(300)인 확인램프(310) 및 경고등(320)은 전원장치(400)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소등된다.
따라서, 탑승객 혹은 운전자는 탈착식 시트가 차체에 정확하게 잠금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상기한 확인램프(310)나 경고등(320)의 소등 상태를 보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시트브래킷(200)에 추가적으로 마련된 해제레버(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트브래킷(200)이 스트라이커(110, 110')로부터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탈착식 시트를 선택적으로 차체로부터 분리시킨 경우이거나, 혹은 차체에 탈착식 시트가 정확하게 잠금 고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시트브래킷(200)에 마련된 스위치단락수단(230)인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브래킷(200)과 일체로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단락브래킷(231)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100)에 마련된 스위치수단(120)의 승강로드(122) 상단이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수단(122a)이 탄성적으로 신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승강로드(122)가 승강하게 되며, 상기 승강로드(122)의 하단에 고정된 승강단(123)이 상기 가이드(100)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단(121)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지시수단(300)인 확인램프(310) 및 경고등(320)은 전원장치(400)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하게 된다.
즉, 탑승객 혹은 운전자는 탈착식 시트가 차체에 정확하게 잠금 고정되지 않았거나 혹은, 차체로부터 분리되었다는 것을 상기 가이드(100) 인근에 마련된 확인램프(310)나 계기판에 마련된 경고등(320)의 점등 상태를 보고 손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는 시트브래킷(200)이 가이드(100)의 스트라이커(110, 110')에 정확하게 잠금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지시수단(300)을 통하여 탑승객 및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명확히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탈착식 시트가 차체에 정확히 잠금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 사고가 발생하게 되어 탈착식 시트가 전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탑승객의 편의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탈착식 시트의 고정여부를 시트 인근에 마련된 확인램프와 계기판에 마련된 경고등을 통하여 탑승객 및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킬 수 있어, 차량의 각종 사고 발생시 탈착식 시트의 불완전한 고정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차적인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탑승객의 편의성과 차량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에 대한 작동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미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에 대한
미고정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이드 110, 110' : 스트라이커
120 : 스위치수단 121 : 고정단
122 : 승강로드 122a : 탄성수단
123 : 승강단 200 : 시트브래킷
210 : 로크캠 220 : 로크플레이트
230 : 스위치단락수단 231 : 스위치단락브래킷
300 : 지시수단 310 : 확인램프
320 : 경고등 400 : 전원장치
500 : 체결수단

Claims (4)

  1. 스트라이커를 구비하여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탄성적으로 '온'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치수단이 마련된 가이드와;
    로크캠 및 로크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하며, 그 고정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수단을 '오프'상태로 단락시키는 스위치단락수단이 마련된 시트브래킷과;
    전원장치 및 상기 스위치수단이 연결된 지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스위치수단은,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계단형으로 다단 절곡 되어 도선의 일측이 연결된 고정단과, 부도체로 이루어져 탄성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탄지되는 승강로드와, 도선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고정단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승강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브래킷의 스위치단락수단은,
    상기 시트브래킷의 저면에 돌출 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상단과 접촉 가능한 스위치단락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상기 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설된 확인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차량의 계기판에 배설된 경고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KR10-2003-0086628A 2003-12-02 2003-12-02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KR100526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628A KR100526979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628A KR100526979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55A KR20050053055A (ko) 2005-06-08
KR100526979B1 true KR100526979B1 (ko) 2005-11-09

Family

ID=3724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628A KR100526979B1 (ko) 2003-12-02 2003-12-02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5387A1 (en) * 2021-03-31 2022-10-06 Hcl Technologies Limited Staircase mobilit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0805A (zh) * 2019-05-13 2019-08-30 深圳创动科技有限公司 清洁机器人及其快拆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15387A1 (en) * 2021-03-31 2022-10-06 Hcl Technologies Limited Staircase mobility system
US11753277B2 (en) * 2021-03-31 2023-09-12 Hcl Technologies Limited Staircase mobili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55A (ko)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3517B2 (en) Multiple switch device
US6982632B2 (en) Vehicle engine starting apparatus
US7289035B2 (en) Seat folding apparatus with a passive radio frequency link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US5383532A (en) Foot pedal locking device for cargo-handling vehicle
EP2875990A1 (en) Vehicle seat
KR100526979B1 (ko) 차량용 탈착식 시트의 잠금여부 지시장치
DE10335861B4 (de)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Motorschalter eines Fahrzeugs
EP1671839B1 (en) Child seat base
JP6137685B2 (ja) 照明機器制御装置
JP2604685Y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2008280008A (ja) 車両用ハザード装置
CN110962711A (zh) 具有警示功能的锁定装置及包含其的儿童安全座椅
DE102004007787A1 (de) Kindersich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2005161904A (ja) 方向指示装置
KR200206284Y1 (ko) 램프 장치가 부설된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
JP4074125B2 (ja) 車両用始動スイッチ表示制御装置
KR20110071633A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976863B1 (ko) 자동차용 시동키를 이용한 아이엠에스 구동 장치
KR100439913B1 (ko)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KR100280681B1 (ko) 자동차용 비상등 자동 점등 장치
KR0120056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
JP201909902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3312316A (ja) エンジン始動スイッチ装置
CN117087522A (zh) 控制方法、控制装置、车辆以及存储介质
KR20050105689A (ko) 차량용 비상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