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020B1 -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020B1
KR100526020B1 KR10-2003-0089153A KR20030089153A KR100526020B1 KR 100526020 B1 KR100526020 B1 KR 100526020B1 KR 20030089153 A KR20030089153 A KR 20030089153A KR 100526020 B1 KR100526020 B1 KR 10052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haft
metal
coupling structure
metal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064A (ko
Inventor
이대길
김학성
박동창
서정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3-008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0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5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 F16D1/07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involving p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 F16D1/06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non-disconnectable involving gluing, weld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상호 축결합되는 경우에 그 반경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종래에 비해 가벼운 구조물로 보다 신뢰성있게 동력전달하도록, 금속링 또는 인서트링이 사용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런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20)과; 동력전달축(20)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금속요크(10); 및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 사이에 상호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외면에 다수개의 돌기(31, 32)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링(30)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0)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금속링(3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금속요크(10)에 결합된 금속링(30)의 내부에 동력전달축(2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종래의 강철재질로 된 축결합구조에 비해 중량이 감소되면서도, 짧은 결합길이로 높은 토크 용량을 신뢰성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에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인서트링이 설치됨으로써, 압입 결합과정에서 동력전달축이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Shaft Coupling Structure of Drive Shaft and Yoke}
본 발명은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복합재료와 알루미늄이 적층된 소재)로 제작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상호 축결합되는 경우에 그 반경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종래에 비해 가벼운 구조물로 보다 신뢰성있게 동력전달하도록, 금속링 또는 인서트링이 사용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력전달축은 후륜구동 자동차에서와 같이 엔진에서 발생하는 토크 회전력을 후륜 구동축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강철, 알루미늄, 하이브리드 복합재료 등의 소재를 이용해 튜브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동력전달축은 상기 후륜 구동축과 같이 다른 구성요소에 토크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금속요크가 그 끝단부에 결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0)의 내부에 동력전달축(20)이 삽입된 후에, 접착제, 볼트 또는 리벳, 용접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접착제를 이용한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축의 중심이 어긋나기 쉽기 때문에, 축의 토크전달능력이 저하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접합부위에서 주위 온도, 충격 등에 의해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이 상호 이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 또는 리벳을 이용한 축결합구조는 볼트 또는 리벳이 삽입되는 구멍이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에 각각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축의 토크전달과정에서 구멍이 형성된 부위에 응력집중으로 인한 피로하중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볼트 또는 리벳을 이용한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의 원주방향 일측에 볼트 또는 리벳이 결합됨으로써, 무게의 불균형으로 인해 회전체의 밸런싱(balancing)이 악화되어, 축의 토크전달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이용한 축결합구조는 강철재질 구성요소간의 접합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복합재료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된 동력전달축의 결합구조에서는 용접열로 인해 강도 및 강성이 약화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735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의 끝단 내면 및 금속요크의 외면에 각각 정밀하게 서레이션을 가공하여,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를 상호 결합시키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7355호에 기술된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를 상호 맞물리기 위해 서레이션이 상호 대응하면서도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서레이션 결합에 의한 축결합구조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결합인 경우에 반경방향의 강성이 강철에 비해 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서레이션 가공에 의해 접합부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중량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축결합부위가 다소 취약할지라도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하면서도 그 접합부위가 변형되지 않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각각 제작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를 축결합시키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 사이에 요철 또는 돌기가 내·외면에 각각 형성된 금속링 또는 인서트링을 압입 결합시킴으로써,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상호 접합되는 과정에서 그 접합부위가 변형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도, 짧은 결합길이로도 큰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금속요크; 및 상기 동력전달축과 상기 금속요크 사이에 상호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외면에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링을 포함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금속링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상기 금속요크에 결합된 상기 금속링의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축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상기 금속링의 내부에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부가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금속링이 상기 동력전달축의 내측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내·외면에 다양한 형상을 갖는 돌기와 요철이 형성된 금속링이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 사이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거나, 상기 금속링의 결합으로 인해 동력전달축이 반경방향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축의 내면 또는 외면에 인서트링이 일체로 접합 설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복합재료와 알루미늄이 적층된 소재)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각각 제작되더라도,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가 금속링 또는 인서트링에 의해 축결합됨으로써 짧은 결합길이로 큰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할 수 있다.
< 제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결합구조에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를 연결시키는 금속링의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알루미늄 요크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0)의 내부에 동력전달축(20)의 끝단이 수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런 금속요크(10)의 삽입홈에 강철재질로 된 제1 금속링(3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 금속링(30)은 도 3과 같이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직경이 동력전달축(20)의 외부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며, 그 외부직경이 금속요크(10)의 삽입홈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1 금속링(30)은 그 내면과 외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31, 32)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된다.
이런 제1 금속링(30)은 그 외측 돌기(31) 또는 요철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금속요크(10)의 내부에 새겨지면서 결합되고, 제1 금속링(30)이 결합된 금속요크(10)에는 도 2의 (b)와 같이 동력전달축(2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삽입되면서, 제1 금속링(30)의 내측 돌기(32)가 동력전달축(20)에 새겨지면서 결합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이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도 2의 (c)와 같이 금속요크(10)와 동력전달축(20)이 상호 축결합된 상태에서 제1 금속링(30)에 의해 접합부위가 짧은 결합길이로도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에 다른 형태의 금속요크가 축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1)의 일단부가 제2 금속링(33)의 내부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상기 금속요크(11)와 결합된 제2 금속링(33)이 동력전달축(20)의 내부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됨으로써, 도 2의 축결합구조와 동일하게 그 접합부위가 짧은 결합길이로도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과정에서 그 반경방향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변형이 발생되기 전에 비해 제1, 제2 금속링(30, 33)의 돌기 또는 요철에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동력전달축(20)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토크 전달 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동력전달축(20)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아래의 제2,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가 형성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로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2)의 일단면에 동력전달축(2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띠와 같은 홈이 일면에서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금속요크(12)는 그 일면에 형성된 홈으로 인해 단면 중심에 제1 접합부(13)가 위치하고, 제1 접합부(13)의 외측에 제2 접합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요크(12)에는 제1 접합부(13)의 둘레 외측에 제2 금속링(33)의 돌기 또는 요철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새겨지면서, 제2 금속링(33)이 상기 홈에 결합된다. 또한, 금속요크(12)에는 제2 금속링(33)의 결합과정과 동일하게 제2 접합부(14)의 내면에 제1 금속링(3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된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도 5의 (c), (d)와 같이 제1, 제2 금속링(30, 33)이 설치된 금속요크(12)의 홈에 동력전달축(2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제1 금속링(30)의 내측 및 제2 금속링(33)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 또는 요철이 동력전달축(20)의 외면과 내면을 각각 파고 들면서, 금속요크(12)와 동력전달축(20)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제2 금속링(30, 33)에 의해 금속요크(12)와 동력전달축(20)이 짧은 결합길이로도 토크 회전력을 신뢰성있게 전달하면서도, 동력전달축(20)의 내외면에서 금속요크(12)의 제1, 제2 접합부(13, 14)가 지지하게 된다. 즉, 도 5의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제1, 제2 금속링(30, 33)의 돌기 또는 요철이 금속요크(12) 및 동력전달축(20)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과정에서도, 금속요크(12)의 제1, 제2 접합부(13, 14)가 지지하면서 그 접합부위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요크가 개선된 다른 형태의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그 내면에만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된 제3 금속링(34)이 동력전달축(20)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축결합구조와 유사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금속요크(15)의 일단부(16) 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단턱부(17)가 일단부(16)로부터 단턱지게 연결되고, 이런 단턱부(17)의 외측에 제3 금속링(34)이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금속요크(15)의 일단부(16)에는 제2 금속링(33)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며, 제2, 제3 금속링(33, 34) 사이의 공간에는 동력전달축(2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끼워져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과 금속요크(15)의 접합부위에서 금속요크(15)의 일단부(16)와 제3 금속링(34)이 동력전달축(20)의 내외측을 지지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축결합구조와 같이 압입과정시 발생될 수도 있는 동력전달축(20)의 반경방향 변형을 사전에 방지한다.
<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로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링과 인서트링이 사용된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의 끝단 내측에 제1 인서트링(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금속요크(18)의 삽입홈에 제1 금속링(30)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된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이 금속요크(18)의 제1 금속링(30)의 내측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도 5 및 도 6의 축결합구조와 같이 금속요크(18)와 동력전달축(20)이 짧은 결합길이로도 토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축(20)이 압입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제1 인서트링(40)이 지지하게 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요크가 개선된 다른 형태의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도 7의 축결합구조와 달리 동력전달축(20)의 끝단 외측에 제2 인서트링(41)이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제2 금속링(33)의 내측에 금속요크(19)의 일단부가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20)의 내측에 제2 금속링(33)이 결합된 금속요크(19)가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도 5 내지 도 7에서의 축결합구조와 같이 금속요크(19)와 동력전달축(20)이 짧은 결합길이로도 토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축(20)이 압입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제2 인서트링(41)이 지지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는 동력전달축 또는 금속요크가 복합재료, 알루미늄 또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더라도, 강철재질로 된 금속링에 의해 그 접합부위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종래의 강철재질로 된 축결합구조에 비해 중량이 감소되면서도, 짧은 결합길이로 높은 토크 용량을 신뢰성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결합구조는 압입 결합과정에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이 사전에 방지되도록, 금속요크에 접합부가 형성되거나, 인서트링이 설치됨으로써,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접합부위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신뢰성있게 토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결합구조에서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를 연결시키는 금속링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에 다른 형태의 금속요크가 축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로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요크가 개선된 다른 형태의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로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링과 인서트링이 사용된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동력전달축의 반경방향 변형을 방지하도록 금속요크가 개선된 다른 형태의 축결합구조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 12, 15, 18, 19 : 금속요크
20 : 동력전달축
30, 33, 34 : 금속링
40, 41 : 인서트링

Claims (12)

  1.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금속요크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과 상기 금속요크 사이에 상호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외면에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링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금속링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상기 금속요크에 결합된 상기 금속링의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축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요크의 삽입홈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금속링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른 금속링이 그 외측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에는 그 내부직경과 동일한 외부직경을 갖는 인서트링이 그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링은 상기 동력전달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 또는 상기 금속요크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복합재료와 알루미늄이 적층된 하이브리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은 상기 동력전달축 또는 상기 금속요크 보다 강성이 큰 강철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7.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금속요크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과 상기 금속요크의 사이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그 내·외면에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링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링의 내부에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부가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고, 상기 금속요크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금속링이 상기 동력전달축의 내측에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요크에는 그 일단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단턱부가 상기 일단부로부터 단턱지게 연결되고, 상기 금속요크의 단턱부에는 상기 금속링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내면에만 다수개의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된 다른 금속링이 압입결합 또는 열박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에는 그 외부직경과 동일한 내부직경을 갖는 인서트링이 그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링은 상기 동력전달축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 또는 상기 금속요크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복합재료와 알루미늄이 적층된 하이브리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링은 상기 동력전달축 또는 상기 금속요크 보다 강성이 큰 강철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KR10-2003-0089153A 2003-12-09 2003-12-09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KR10052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153A KR100526020B1 (ko) 2003-12-09 2003-12-09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153A KR100526020B1 (ko) 2003-12-09 2003-12-09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064A KR20050056064A (ko) 2005-06-14
KR100526020B1 true KR100526020B1 (ko) 2005-11-08

Family

ID=372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153A KR100526020B1 (ko) 2003-12-09 2003-12-09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0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0564T5 (de) 2007-04-10 2010-01-07 Ryu, Choong O., Gimhae Verbindungsstück und dieses aufweisende Verbundantriebswellenbaugruppe
DE112008000697T5 (de) 2007-04-10 2010-02-11 Ryu, Choong O., Gimhae Form zum Herstellen einer Verbundantriebswelle und unter Verwendung der Form hergestellte Verbundantriebswel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877B1 (ko) * 2009-02-16 2013-04-1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8000564T5 (de) 2007-04-10 2010-01-07 Ryu, Choong O., Gimhae Verbindungsstück und dieses aufweisende Verbundantriebswellenbaugruppe
DE112008000697T5 (de) 2007-04-10 2010-02-11 Ryu, Choong O., Gimhae Form zum Herstellen einer Verbundantriebswelle und unter Verwendung der Form hergestellte Verbundantriebswelle
US8459978B2 (en) 2007-04-10 2013-06-11 Choong O Ryu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drive shaft manufactured using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064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1245A (en) Coupling connection for a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pipe
US5632685A (en) End fitting for drive shaf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607241A (en) Wheel bearing asembly
US6855061B2 (en) Vehicular driveshaft assembly
US8168285B2 (en) Joined component, in particular a pilot boss for a force transfer device, method for manufacture of a continuous material connection and a force transfer device
JP2003120712A (ja) 弾性継手
KR100526020B1 (ko) 동력전달축과 금속요크의 축결합구조
CN110541883A (zh) 传动轴总成
JP3115740B2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製造方法
JP5544941B2 (ja) 軸連結装置およびトルクリミッタ
JPH04140514A (ja) 動力伝達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41815B2 (en) Connection device for a drive train
JP3305481B2 (ja) 繊維強化樹脂製円筒管と金属製端末部材との接続構造
JPH05215121A (ja) 複合材料チューブ製の伝動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67126B1 (ko) 자동차용 cfrp 프로펠러샤프트
KR100432991B1 (ko) 복합재료 드라이브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4084763A (ja) 駆動車輪用軸受
JPH01153808A (ja) 動力伝達軸
KR19980070426A (ko) 토크 컨버터를 위한 펌프 휠
KR101073093B1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US5759127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pulley for conveyor belts
KR100831643B1 (ko) 연결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복합재료 드라이브 샤프트어셈블리
KR20220043345A (ko) 차량용 샤프트
JP2003028150A (ja) 軸受装置
KR100241851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