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834B1 -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 Google Patents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834B1
KR100525834B1 KR10-2004-0014075A KR20040014075A KR100525834B1 KR 100525834 B1 KR100525834 B1 KR 100525834B1 KR 20040014075 A KR20040014075 A KR 20040014075A KR 100525834 B1 KR100525834 B1 KR 10052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container
rod
fastening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671A (ko
Inventor
김남균
Original Assignee
김남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균 filed Critical 김남균
Priority to KR10-2004-001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8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and rotating preformed threaded caps
    • B67B3/204Linear-type capping machines
    • B67B3/2053Linear-type capping machines comprising capp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는 캡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정렬공급하여 자동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수단의 꽂이봉으로 꽂아져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어 지는 수개의 캡을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튜브용기가 꽂아져 이송되는 꽂이봉과 맞닿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꽂이봉 회전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회전력으로 캡이 체결되도록 하는 캡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용기의 캡핑장치{Capping apparatus for a tube}
본 발명은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는 캡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정렬공급하여 자동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튜브용기의 캡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치약 등과 같은 내용물이 충진되어 지는 튜브용기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에 의해 쉽게 쥐어 짤 수 있도록 제작되어 지는 데, 그 튜브용기를 제작시 내용물을 충진하기 이전에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체결하는 작업공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에 있어서는 먼저,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일일히 수작업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같은 방식은 많은 작업인력의 동원으로 인한 인건비가 상당히 상승되는 문제점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또한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에 따라 종래에도 자동화된 캡 체결장치가 안출된 바와 있으나, 이는 상기 튜브용기를 컨베이어 방식이나 다수의 꽂이봉이 형성된 턴테이블 등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그 자동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이 걸쳐져 끼워질 수 있는 장치가 안출된 바, 이는 상기 캡이 단순히 튜브용기의 헤드로 끼워지는 정도로만 체결됨으로서, 튜브용기가 다시 이송되는 과정에서 캡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끼워진 캡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재차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정렬공급하여 자동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의 이송 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슈트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 체결된 캡을 필요에 따라 보다 긴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 체결부로의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수단의 꽂이봉으로 꽂아져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어 지는 수개의 캡을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튜브용기가 꽂아져 이송되는 꽂이봉과 맞닿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꽂이봉 회전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회전력으로 캡이 체결되도록 하는 캡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수단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정렬공급기와, 그 정렬공급기의 배출구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슈트와, 상기 제1 슈트와 직교되도록 수평 상태로 연결되고 밑면에 컨베이어가 장착된 제2 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 슈트의 밑면에는 그 슈트 상에서 이송되는 캡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렬공급기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슈트는 내측 일면에 회전 손잡이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조절격판을 구비하여 그 제1,2 슈트의 이송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은 그 꽂지봉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름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슈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대로 공급된 캡을 에어홀이 형성된 흡착구로 밀어 주는 왕복부재와, 상기 흡착구는 구동원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축 상에 장착되어 그 흡착구 상의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체결수단의 하부에는 그 캡 체결수단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이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 그 체결된 캡을 튜브용기의 헤드로 보다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는 캡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 체결부는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하는 유동성을 갖는 동력전달축과, 상기 동력전달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벨트로 연결되는 한쌍의 체결롤이 장착되는 하우징이 가이드봉 상에서 승하강부재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축은 일측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휠에 끼워지는 끼움구가 핀결합되는 고정관축과, 상기 일측 체결롤에 삽입 고정되는 끼움핀이 핀결합되어 상기 고정축관으로 삽입되어 인입/인출되는 삽입핀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관축에는 양측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핀축으로 상기 장공에서 슬라이드되도록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캡 체결수단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구동원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인 이송수단(1)의 꽂이봉(2)으로 꽂아져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 등과 같은 통상의 이송부재에 의해 투입되어 지는 수개의 캡을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10)과;
상기 튜브용기가 꽂아져 이송되는 꽂이봉과 맞닿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꽂이봉 회전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회전력으로 캡이 체결되도록 하는 캡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송수단의 꽂이봉으로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에 의해 캡이 공급되어 지고,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캡은 상기 캡 체결수단으로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짐으로서, 상기 회전되고 있는 튜브용기의 회전력에 의해 그 헤드로 캡이 자동으로 체결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공급수단(10)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통상의 진동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한 진동방식으로 수용되어 지는 수개의 캡을 개방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정렬시켜 배출하는 정렬공급기(12)와, 그 정렬공급기의 배출구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슈트(14)와, 상기 제1 슈트와 직교되도록 수평 상태로 연결되고 밑면에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이송되는 방식인 공지의 컨베이어(15)가 장착된 제2 슈트(16)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정렬공급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캡은 경사지게 설치된 제1 슈트를 타고 흘러 내려와 그와 연결된 제2 슈트로 이송됨과 동시에 컨베이어를 통하여 상기 캡 체결수단 측으로 수평이송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 슈트(14)(16)의 밑면에는 그 슈트 상에서 이송되는 캡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렬공급기(12)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감지센서(S)와, 상기 컨베이어(15)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S1)를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슈트를 통하여 캡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제1 슈트의 통하여 이송되는 캡의 량에 따라 상기 정렬공급기의 구동을 멈추게 하거나 작동시킴은 물론 제2 슈트를 통하여 이송되는 캡의 량에 따라 컨베이어를 구동 및 정지시켜 캡의 전체적인 이송 량을 조절하여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20)은 그 꽂지봉의 끝단 외주면과 맞닿도록 모터 등과 같은 일반적인 구동원(22)에 의해 회전되는 구름롤(24)로 구성함으로서, 후술하는 캡 체결수단에 의해 캡이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지면 그 회전력으로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이 자동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 체결수단(30)은 상기 제2 슈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대(32)로 공급된 캡을 통상의 에어 흡입관과 연결되는 에어홀(34a)이 형성된 흡착구(34)로 밀어 주는 통상의 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부재(35)와, 상기 흡착구(34)는 통상의 정,역회전이 자유로운 스텝핑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36)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축(38) 상에 장착되어 그 흡착구 상의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주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캡이 상기 가이드대로 위치함에 따라 왕복부재에 의해 다시 흡착구로 이송됨과 동시에 그 흡착구로 위치한 캡은 에어의 흡착 압력에 의해 흡착됨과 동시에 구동원으로 인한 회전축의 회동으로 인하여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꽂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튜브용기의 회전력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진 캡이 자동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정렬하여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그 이송수단의 꽂이봉을 회전시키는 꽂이봉 회전수단 및 캡 체결수단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자동방식에 의해 원활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제1,2 슈트는 이송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캡의 크기에 따라 폭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2 슈트(14,16)는 내측 일면에 회전 손잡이(142)에 의해 그 슈트의 밑면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다수의 가이드대에서 슬라이드되는 조절격판(144)을 구비하여 그 제1,2 슈트의 이송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부(14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캡의 크기에 따라 상기 슈트의 이송로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환성이 높은 조건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캡 체결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동력전달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이 체결되어 다시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튜브용기의 헤드로 체결된 캡을 보다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캡 체결수단(20)의 하부에는 그 캡 체결수단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이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 그 체결된 캡을 튜브용기의 헤드로 보다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는 캡 체결부(4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캡 체결부(40)는 회전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42)의 동력을 전달하는 유동성을 갖는 동력전달축(44)과, 상기 동력전달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벨트로 연결되는 한쌍의 체결롤(45)이 장착되는 하우징(46)이 가이드봉 상에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튜브용기가 이송되어 지면 실린더 등과 같은 승하강부재(48)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체결롤은 이송수단의 이송시만 가이드봉 상에서 승하강부재에 의해 승강되어 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에 따라 상기 캡 체결수단을 통하여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이 체결된 상태에서 이송수단으로 이송된 튜브용기는 그 캡 체결수단의 하부로 위치한 캡 체결부에 의해 다시 긴밀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동력원과 동력전달축에 의해 회전되는 한쌍의 체결롤이 상기 이송된 튜브헤드의 헤드로 체결된 캡과 밀착되도록 맞닿면서 상기 동력원의 회전력에 따라 보다 긴밀하게 체결이 이루어 지게 된다.
따라서,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의 체결이 보다 정확하면서 기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축(44)은 일측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휠에 끼워지는 끼움구(402)가 핀결합되는 고정관축(404)과, 상기 일측 체결롤에 삽입 고정되는 끼움핀(406)이 핀결합되어 상기 고정축관으로 삽입되어 인입/인출되는 삽입핀축(408)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승하강시에도 상기 끼움구와 끼움핀이 고정관축과 삽입관축에서 유동성을 가짐과 동시에 고정관축에서 삽입관축이 슬라이드됨에 따라 구동원의 동력이 한쌍의 체결롤에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축(404)에는 양측에 장공(41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핀축(408)으로 상기 장공에서 슬라이드되도록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414)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부(410)를 구비함에 따라 동력전달 중에 상기 고정관축과 삽입핀축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을 정렬공급하여 자동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체결된 캡이 튜브용기의 헤드로부터 이탈됨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은 물론 작업의 효율성 또한 상당히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슈트에 장착되는 감지센서에 의해 캡의 이송 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항시 정량으로 캡이 공급되어져 원활한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슈트의 공급로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캡의 크기에 따라 공급되는 슈트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캡의 크기에 상관없이 활용도가 높은 효과도 갖는다.
또, 튜브용기의 헤드로 1차 체결된 캡을 필요에 따라 보다 긴밀하게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하면서 보다 긴밀한 체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유동성을 갖는 동력전달축에 의해 캡 체결부로의 동력전달이 최소한의 손실된 상태로 전달되어져 보다 긴밀한 캡의 체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캡 체결수단을 나타낸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캡 체결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동력전달축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급수단
12 : 정렬공급기 14 제1 슈트
15 : 컨베이어 16 : 제2 슈트
140 : 폭조절부 142 : 회전 손잡이
144 : 조절격판
20 : 꽂이봉 회전수단
22,42 : 구동원 24 : 구름롤
30 : 캡 체결수단
32 : 가이드대 34 : 흡착구
34a : 에어홀 35 : 왕복부재
40 : 캡 체결부
44 : 동력전달축 45 : 체결롤
46 : 하우징 402 : 끼움구
404 : 고정관축 406 : 끼움핀
408 : 삽입핀축 410 : 이탈방지부
412 : 장공 414 : 고정핀
S,S1 : 감지센서

Claims (10)

  1. 이송수단의 꽂이봉으로 꽂아져 이송되는 튜브용기의 헤드에 캡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투입되어 지는 수개의 캡을 일방향으로 정렬시켜 공급하는 공급수단(10)과;
    상기 튜브용기가 꽂아져 이송되는 꽂이봉과 맞닿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꽂이봉 회전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회전력으로 캡이 체결되도록 하는 캡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10)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정렬공급기(12)와, 그 정렬공급기의 배출구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 슈트(14)와, 상기 제1 슈트와 직교되도록 수평 상태로 연결되고 밑면에 컨베이어(15)가 장착된 제2 슈트(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슈트(14,16)의 밑면에는 그 슈트 상에서 이송되는 캡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정렬공급기(12)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감지센서(S)와, 상기 컨베이어(15)의 구동원과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S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슈트(14,16)에는 내측 일면에 회전 손잡이(142)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조절격판(144)을 구비하여 그 제1,2 슈트의 이송로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폭조절부(14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봉 회전수단(20)은 그 꽂지봉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구동원(22)에 의해 회전되는 구름롤(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수단(30)은 상기 제2 슈트의 끝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대()32로 공급된 캡을 에어홀(34a)이 형성된 흡착구(34)로 밀어 주는 왕복부재(35)와, 상기 흡착구는 구동원(36)에 의해 회동되는 회전축(38) 상에 장착되어 그 흡착구 상의 캡을 상기 튜브용기의 헤드로 꽂아 주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수단(30)의 하부에는 그 캡 체결수단에 의해 튜브용기의 헤드로 캡이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 그 체결된 캡을 튜브용기의 헤드로 보다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는 캡 체결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체결부(40)는 구동원(42)의 동력을 전달하는 유동성을 갖는 동력전달축(44)과, 상기 동력전달축과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벨트로 연결되는 한쌍의 체결롤(45)이 장착되는 하우징(46)이 가이드봉 상에서 승하강부재(48)에 의해 승하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44)은 일측에 상기 구동원의 구동휠에 끼워지는 끼움구(402)가 핀결합되는 고정관축(404)과, 상기 일측 체결롤에 삽입 고정되는 끼움핀(406)이 핀결합되어 상기 고정축관으로 삽입되어 인입/인출되는 삽입핀축(40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축(404)에는 양측에 장공(41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핀축(408)으로 상기 장공에서 슬라이드되도록 관통되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414)으로 구성되는 이탈방지부(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KR10-2004-0014075A 2004-03-02 2004-03-02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KR10052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75A KR100525834B1 (ko) 2004-03-02 2004-03-02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75A KR100525834B1 (ko) 2004-03-02 2004-03-02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71A KR20050088671A (ko) 2005-09-07
KR100525834B1 true KR100525834B1 (ko) 2005-11-03

Family

ID=3727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075A KR100525834B1 (ko) 2004-03-02 2004-03-02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17B1 (ko) * 2007-04-20 2008-04-21 김종열 스파우트 파우치형 용기의 액즙주입 및 마개죄임장치
KR102449922B1 (ko) * 2021-12-27 2022-10-06 주식회사 호성테크 튜브형 용기의 타원형 캡 자동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71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3964B2 (ja) 自動ネジ締め装置
KR101572837B1 (ko) 음료용기의 삽입 및 배출장치
JP2006517897A (ja) 空のプラスチックの容器、若しくはボトルを所定の機械へと供給、若しくは機械から送出させるための星形状のコンベヤと、この星形状のコンベヤを有する方向付け並びに位置付けの機械
KR100525834B1 (ko) 튜브용기의 캡핑장치
KR101646146B1 (ko) 컨베이어의 용기 자동 분할 및 공급장치
KR100931432B1 (ko) 세레이션 및 나사산 가공장치
EP3031773B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applying a cap to a package
KR20170120227A (ko) 캡핑기의 캡 정렬장치
KR101135978B1 (ko) 스트로우 포장장치
US20070284388A1 (en) Device for separating stacked cup-shaped containers and feeding individual cup-shaped containers
KR20200010724A (ko) 소화기용기에의 헤드유닛 조립장치
KR100720123B1 (ko) 튜브용기의 라벨링장치
CN218753314U (zh) 电路板翻板输送机构
JP2505053B2 (ja) 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機およびポンプキャップ容器用施蓋,巻締め方法
CN112191156B (zh) 基于粉体物料包装整箱的自动混合系统及控制方法
JP2004168542A (ja) 部品供給装置
KR20150017176A (ko) 튜브의 캡핑장치 및 캡핑방법
JP2830688B2 (ja) 充填機への空チューブ整列供給装置
CN215796735U (zh) 一种包装机大袋转向输送设备
KR200197106Y1 (ko) 디헤드형 못 회전장치
KR200479008Y1 (ko) 아이스크림용 튜브용기 정렬장치
KR200359207Y1 (ko) 와셔 자동체결장치
CN110104270A (zh) 食品落料装盒机构
KR20200009217A (ko) 스프레이건 캡의 캡핑기
CN211770234U (zh) 一种胶水灌装机的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