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715B1 -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 Google Patents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715B1
KR100525715B1 KR10-2003-0011589A KR20030011589A KR100525715B1 KR 100525715 B1 KR100525715 B1 KR 100525715B1 KR 20030011589 A KR20030011589 A KR 20030011589A KR 100525715 B1 KR100525715 B1 KR 100525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housing
starter motor
overrunning clutch
magne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305A (ko
Inventor
이대섭
김영일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7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03D47/276Details or arrangement of sprocket whe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03D47/272Rapier ba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타터모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타터모터의 프론트 브라켓과 리어브라켓과 이들 사이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모든 부품을 조립완성하는 장봉 보울트의 체결위치를 그 중심에 더 가까이 두어 브라켓들의 외경과 전체적인 치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스타터모터를 새로운 엔진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상측으로 돌설되어 있는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의 위치를 가변시켜 조립 호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프론트 브라켓(1a)과, 하우징(1)과, 리어 브라켓(1b)의 내부에서 샤프트(2)에 축착된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그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와, 상기 아마츄어 어셈브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 어셈브리(5)와, 상기 샤프트(2)의 선단에 연결된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에 연결된 피니언(9),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프론트 브라켓(1a)과 체결 고정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와,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출몰 플런저(11)에 의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를 조작하게 되는 레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은 그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복수개의 보울트 자리홈(101)을 형성하여 장봉 보울트(13)의 위치가 하우징의 중심점에 더 가까이 있도록 하는 한편, 서로 마주하는 2개씩의 보울트 자리홈(101)이 서로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4개를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엔진과의 장착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타터모터 {STARTER MOTOR}
본 발명은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타터모터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타터모터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마그네트 스위치부분이 엔진 본체의 일부분에 간섭이 발생할 경우, 마그네트 스위치부분을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로 체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행 타입의 스타터 모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브라켓(1a)과, 하우징(1)과, 리어 브라켓(1b)의 내부에서 샤프트(2)에 축착된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그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와, 상기 아마츄어 어셈브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 어셈브리(5)와, 상기 샤프트(2)의 선단에 연결된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에 연결된 피니언(9),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프론트 브라켓(1a)과 체결 고정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와,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출몰 플런저(11)에 의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를 조작하게 되는 레버(12)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모든 부속물을 조립완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하우징(1)의 외주면을 지나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장봉 보울트(13)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타터모터를 엔진 본체에 장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상측으로 돌출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가 엔진 본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임의의 엔진에 맞는 스타터모터를 설계할 때는 이러한 점도 감안을 하여 설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타터모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장봉 보울트(13)가 하우징(1)의 외경으로부터 임의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장봉 보울트(13)를 포함한 브라켓들의 외경이 커지게 되고, 더 나가서 스타터모터 전체의 외관치수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 한, 스타터모터를 엔진 본체와 조립하는데 있어서, 이미 설계된 특정 스타터모터를 새로운 차량의 엔진 본체에 조립하고자 할 때는 하우징(1)의 상측으로 돌출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가 간섭을 일으켜 호환성을 떨어트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 설계된 스타터모터를 새로이 설계되는 엔진 본체와 조립하고자 할 때, 대부분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 부분에서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간섭 문제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 있어서 재설계할 필요가 없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스타터모터 자체를 새로 설계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타터모터의 프론트 브라켓과 리어브라켓과 이들 사이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모든 부품을 조립완성하는 장봉 보울트의 체결위치를 그 중심에 더 가까이 두어 브라켓들의 외경과 전체적인 치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스타터모터를 새로운 엔진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상측으로 돌설되어 있는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의 위치를 가변시켜 조립 호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프론트 브라켓과, 하우징과, 리어 브라켓의 내부에서 샤프트에 축착된 아마츄어 어셈브리와, 그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와, 상기 아마츄어 어셈브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 어셈브리와,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연결된 인터날기어 어셈브리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에 연결된 피니언,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프론트 브라켓과 체결 고정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와,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의 출몰 플런저에 의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를 조작하게 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은 그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복수개의 보울트 자리홈을 형성하여 장봉 보울트의 위치가 하우징의 중심점에 더 가까이 있도록 하는 한편, 서로 마주하는 2개씩의 자리홈이 서로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4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타터모터가 가지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먼저, 스타터모터는 도 1에서 보듯이 프론트 브라켓(1a)과, 하우징(1)과, 리어 브라켓(1b)의 내부에서 샤프트(2)에 축착된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그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와, 상기 아마츄어 어셈브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 어셈브리(5)와, 상기 샤프트(2)의 선단에 연결된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에 연결된 피니언(9),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프론트 브라켓(1a)과 체결 고정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와,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출몰 플런저(11)에 의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를 조작하게 되는 레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바, 이는 종래와 대동소이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하우징(1)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둘레에서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복수개의 보울트 자리홈(101)을 형성하여 장봉 보울트(13)의 위치가 하우징의 중심점에 더 가까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한 하우징(1)의 외주면에서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한 보울트 자리홈(101)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2개씩의 자리홈(101)이 서로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되,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타터모터는 하우징(1) 내부의 모든 부품을 조립하고, 그 선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을 장봉 보울트(13)로써 체결하되, 이 장봉 보울트(13)가 상기한 보울트 자리홈(101) 속으로 함몰되어 그 내경에 더 가까이 갈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스타터모터의 설계시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의 직경을 줄일 수 있고, 더 나가서 스타터모터 전체의 외장 치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한 쌍의 장봉 보울트(13)로써 조립을 완성하되, 그 장봉 보울트(13)의 위치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대향지게 할 수도 있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대향지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우징(1)에 대비되는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고, 프론트 브라켓(1a)과 리어 브라켓(1b)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만큼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차종에 기존의 스타터모터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돌출방향이 갖는 간섭 때문에 스타터모터를 새로 설계하는 일이 배제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주면에 보울트 자리홈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스타터모터의 프론트 브라켓과 리어브라켓과 하우징을 조립완성하는 장봉 보울트의 체결위치가 그 중심방향으로 더 가까이 위치할 수 있게 되었고, 따라서 전체적인 외경치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보울트 자리홈은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을 각각 다른 위치에 마련하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프론트 브라켓 및 리어 브라켓의 위치를 약간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 본체의 돌출부분이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에 닿지 않는 상태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터모터의 호환성이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타터모터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타터모터가 가지는 하우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타터모터가 가지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타터모터가 가지는 하우징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하우징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하우징 1a : 프론트 브라켓
1b : 리어 브라켓 2 : 샤프트
3 : 아마츄어 어셈브리 4 : 스테이터
5 : 브러시 어셈브리 6 : 인터날기어 어셈브리
7 : 오버런닝 클러치 9 : 피니언
10 :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 11 : 플런저
12 : 레버 13 : 장봉 보울트
101 : 보울트 자리홈

Claims (2)

  1. 프론트 브라켓(1a)과, 하우징(1)과, 리어 브라켓(1b)의 내부에서 샤프트(2)에 축착된 아마츄어 어셈브리(3)와, 그 둘레에서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와, 상기 아마츄어 어셈브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 어셈브리(5)와, 상기 샤프트(2)의 선단에 연결된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와, 상기 인터날기어 어셈브리(6)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런닝 클러치(7)와,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에 축착된 피니언(9),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일측에서 상기 프론트 브라켓(1a)과 체결 고정한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와,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 어셈브리(10)의 출몰 플런저(11)에 의해 상기 오버런닝 클러치(7)를 조작하게 되는 레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은 그 외주면에 둘레에서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복수개의 보울트 자리홈(101)을 형성하여 장봉 보울트(13)의 위치가 하우징의 중심점에 더 가까이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과의 장착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타터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의 외주면에서 2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한 보울트 자리홈(101)은 서로 마주하는 2개씩의 자리홈(101)이 서로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4개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과의 장착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스타터모터.
KR10-2003-0011589A 2003-02-25 2003-02-25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KR10052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89A KR100525715B1 (ko) 2003-02-25 2003-02-25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589A KR100525715B1 (ko) 2003-02-25 2003-02-25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305A KR20040076305A (ko) 2004-09-01
KR100525715B1 true KR100525715B1 (ko) 2005-11-03

Family

ID=3736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589A KR100525715B1 (ko) 2003-02-25 2003-02-25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528B1 (ko) * 2016-10-05 2018-08-1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트모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305A (ko)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410B1 (ko) 직류 모터
US8084908B2 (en) Generator/motor mounted as an auxiliary power unit of an engine
JP2004187378A (ja) 減速機付き電動機
KR20010101482A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CN104638820A (zh) 壳体及具有所述壳体的驱动器
US7469879B2 (en) Throttle device and motor therefor
KR100525715B1 (ko) 엔진과의 장착방향을 가변시킬수 있는 스타터모터
JPH0567168U (ja) モータのケーシング構造
JPH1047520A (ja) スロットルボデー
JP2011259567A (ja) 減速機構付モータ
US6731037B1 (en) Housing assembly structure of starter motor for vehicle
KR100455885B1 (ko) 회전전기의 브러시홀더장치
EP1568882A2 (en) Starter motor for vehicle
KR100677713B1 (ko) 스타트모터의 조립구조
ITMI972678A1 (it) Motorino di avviamento particolarmente per avviare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CN104179615A (zh) 电机以及用于制造和/或运行该电机的方法
KR100421097B1 (ko) 차량발전기의 프론트 브라켓구조
JP3658864B2 (ja) スタータ
KR101067740B1 (ko) 스텝 모터 액츄에이터
JP3397240B2 (ja) スタータ
KR100473976B1 (ko) 조립이 용이한 스타터용 브러시 어셈브리
KR100525717B1 (ko)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JP3690385B2 (ja) 直流電動機
KR19980061927U (ko) 자동차시동모터의 정류자프레임
JPH06245413A (ja) 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