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427B1 -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 Google Patents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427B1
KR100523427B1 KR10-2003-0008749A KR20030008749A KR100523427B1 KR 100523427 B1 KR100523427 B1 KR 100523427B1 KR 20030008749 A KR20030008749 A KR 20030008749A KR 100523427 B1 KR100523427 B1 KR 10052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movement
clutch
movement member
kne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441A (ko
Inventor
나까무라요시히꼬
오까다마사후미
고또다쯔야
Original Assignee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filed Critical 일본국(동경대학장소관)
Publication of KR2003006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549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 Y10T403/32557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limit means for pivotal motion
    • Y10T403/32591Opposed stops on on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305Robotic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305Robotic arm
    • Y10T74/20329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자유 관절을 실현함과 동시에, 클러치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고토크를 전달하는 클러치를 제조하는 것에 있다.
(해결수단) 동일축선상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로의 반경방향 연재면 (3a, 4a) 끼리가 맞닿음으로써 서로 회전운동방향으로 걸어맞춰지는 제 1 회전운동부재 (3) 및 제 2 회전운동부재 (4)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 (3) 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4) 의 상기 반경방향 연재면 (3a, 4a) 끼리의 사이에 회전운동방향으로 간극 (d) 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BACKLASH CLUTCH, AND ARTICULAR APPARATUS FOR ROBO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고토크 전달과 자유 관절의 양자를 실현하는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 기구는 구동의 전달과 절단을 마찰을 이용한 기구에 의해 실현한다. 이 기구는 서로 마찰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운동부재와, 클러치의 온ㆍ오프를 제어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마찰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큰 구동력에서는 슬라이딩이 발생하여 이를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
이 현상은 클러치 기구를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관절에 적용한 경우에 큰 문제를 낳는다. 일반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은 신체의 각 관절이 목표의 궤도를 생성하도록 액추에이터가 제어되어 구동되고 있다. 특히 무릎관절에는 고출력을 만들어내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도 9 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자세로 정지할 경우, 고관절로부터 상부의 무게를 60[㎏],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오프셋을 10[㎝]로 하면, 중력가속도 9.81[m/s2] 하에서 무릎관절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는 58.86[Nm] 과 같은 고토크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무릎의 관절기구도 이 토크를 전달하는데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고출력 모터와 기어비가 큰 감속기를 사용하여 무릎의 관절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인간의 보행동작을 보면, 다리가 유각 (遊脚) 으로 되었을 때에 무릎관절은 자유 관절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힘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다리를 앞으로 뻗을 때에 관성력에 따라 무릎이 자유롭게 움직이며, 착지시에 발이 지면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자연스럽게 향함으로써 충격력이 완화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릎 기구에서는 반력에 따른 자유로운 관절을 실현시키는 것은 어렵고, 유각시에도 무릎이 제어된 소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면서 보행동작이 이루어진다.
자유 상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관절 구동용 감속기의 출력축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클러치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식이기 때문에, 고토크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이 발생해 고토크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은 구동용 감속기의 입력축측뿐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관절에서는 고토크의 전달과 자유 상태의 양자를 실현하는 기구로서 구동용 감속기의 출력축측에 설치할 수 있는 클러치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토크의 전달과 자유 상태 유지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기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이것을 구비한 로봇의 관절기구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관절기구로서 사용된 경우에,
(1) 큰 구동력을 전달한다.
(2) 자유 관절의 실현에 의해
(a) 힘을 낭비하지 않는다.
(b) 자유로운 움직임을 실현한다.
(c) 착지시의 충격을 흡수한다.
와 같은 보행동작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유리하게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백래시 클러치는, 동일축선상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로의 반경방향 연재면끼리가 맞닿음으로써 회전운동방향으로 서로 걸어맞춰지는 제 1 회전운동부재 및 제 2 회전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연재면끼리의 사이에 회전운동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백래시 클러치에 의하면 상기 반경방향 연재면끼리의 사이에 회전운동방향으로 형성된 간극이 없어질 때까지의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제 2 회전운동부재의 상대회전운동이 백래시로 되고, 그 백래시에 의해,
(a) 자유 관절을 실현한다.
(b) 클러치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고토크를 전달한다.
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백래시 클러치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는 로봇의 팔 또는 다리를 구성하는,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2부재 중의 어느 일방에 그 회전운동축선상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어느 일방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2부재 중의 타방에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타방이 고정된 청구항 1 에 기재된 백래시 클러치와,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상기 일방을 이것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일방의 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백래시 클러시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에 의하면,
(c) 자유 관절에 의해 반력에 따르는 종반력기구를 실현한다.
(d) 그 종반력기구의 종반력운동에 의해 충격을 흡수한다.
(e)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한다.
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도 1 은 본 발명의 백래시 클러치의 일 실시예 및 그것을 구비한 본 발명의 로봇용 관절기구의 일 실시예로서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 관절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면중 도면부호 1 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다리를 구성하는 2부재 중의 일방으로서의 무릎 상각부, 도면부호 2 는 그 무릎 상각부 (1) 에 축선 (C)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다리를 구성하는 2부재 중의 타방으로서의 무릎 하각부, 도면부호 3 은 상기 실시예의 백래시 클러치를 구성하는 제 1 회전운동부재, 도면부호 4 도 상기 실시예의 백래시 클러치를 구성하는 제 2 회전운동부재, 도면부호 5 는 감속기가 장착된 고출력 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된 풀리, 도면부호 6 은 벨트이다.
여기에서 제 1 회전운동부재 (3) 와 제 2 회전운동부재 (4) 는 동일축선 (C) 상에 상대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 1 회전운동부재 (3) 는 무릎 상각부 (1) 에 상기 축선 (C)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2 회전운동부재 (4) 는 무릎 하각부 (2) 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회전운동부재 (3) 및 제 2 회전운동부재 (4) 는 서로 맞닿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이에 회전운동방향으로 간극 (백래시) 이 형성된 반경방향 연재면 (3a, 4a) 을 갖는다.
또 상기 풀리 (5) 를 갖는 감속기가 장착된 고출력 모터 및 그 풀리 (5) 와 상기 벨트 (6) 를 사용한 벨트식 전동기구는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이들 제 1 회전운동부재 (3) 및 제 2 회전운동부재 (4) 와, 감속기가 장착된 고출력 모터 및 벨트식 전동기구는 상기 실시예의 무릎 관절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을, 감속기가 장착된 고출력 모터의 출력회전을 풀리 (5) 와 벨트 (6) 를 사용하여 제 1 회전운동부재 (3) 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로봇용 관절기구에서의 구동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백래시 클러치 및 로봇용 관절기구에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회전을 전달하거나 자유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1) 구동력의 전달
이 관절기구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 1 회전운동부재 (3) 의 반경방향 연재면 (3a) 과 제 2 회전운동부재 (4) 의 반경방향 연재면 (4a) 사이의 둘레방향의 간격 (d) 을 0 으로 하여 (도면에서는 편의상 다소 떨어뜨려 묘사했음),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토크를 전달한다. 이 때 제 1 회전운동부재 (3) 와 제 2 회전운동부재 (4) 는 힘의 방향에 수직인 반경방향 연재면 (3a, 4a) 끼리의 맞닿음에 의한 면접촉으로 되어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관절기구에서는 구동력의 전달은 한 방향이고, 회전각을 제어하는 서보 기구에서는 시간이 지연된 응답이 발생한다. 그러나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 관절과 같이 항상 일정방향의 힘 (여기에서는 중력장과 신체의 질체 (質體) 에 의해 생기는 힘) 이 작용하는 기구에서는 이 관절기구는 유효하게 기능한다. 이 관절기구는 고토크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무릎을 구부린 상태의 자세를 유지하는 데에 적합하다.
(2) 자유 상태의 실현
이와 같은 관절기구에서는, 예컨대 도 3a ∼ 도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릎 하각부 (2) 의 요동에 의한 제 2 회전운동부재 (4) 의 회전운동에 맞춰 간격 (d) 을 소정의 일정량 (d0) 으로 유지하도록 제 1 회전운동부재 (3) 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것으로도 자유로운 상태의 관절이 실현되지만, 일반적으로 고토크를 출력하도록 기어비가 큰 감속기를 설치한 액추에이터에서는 무릎 하각부 (2) 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대해서, d 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정도의 회전속도를 낼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관절기구에서는 백래시의 양만큼 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 상태를 실현하기 쉬워진다. 즉, 무릎 상각부 (1) 의 회전각을 θ, 무릎 하각부 (2) 의 회전각을 Φ, 회전방향의 간극각을 Ψ로 하면 소정 각도 (백래시) Ψ0에 대해,
θ- Φ= Ψ〈 Ψ0
가 충족되도록 θ를 제어하면 자유 관절이 실현된다.
예컨대, 도 4 에 나타낸 제어예에서는 Φ의 회전각에 대해 θ는 진폭이 작고 위상이 지연되어 추종하고 있다. 그러나 그 차 Ψ는 Ψ0 (= ±0.2 [rad]) 의 범위에 수렴되기 때문에, 자유 관절이 실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백래시 클러치에 의하면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관절에 구비되어 자유로운 관절을 실현함으로써, 이하와 같이 하여 착지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각 (도면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오른발) 이 착지상태에 들어가려고 할 때를 상정한다. 이 때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과 발바닥은 선접촉으로 된다. 무릎관절이 고출력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 목적의 회전각으로 제어되고 있는 경우, 접지선에는 큰 힘이 작용하여, 바닥이나 발바닥이 단단한 경우에는 반발력으로 다리가 떠버린다. 한편 무릎의 자유 관절이 실현되고 있는 경우애는,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릎이 바닥으로부터의 반력에 따른 운동 (종반력운동) 을 실시하여,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바닥이 면접촉에 의해 바닥과 접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바닥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음에 뒷발로 바닥을 차올린 유각 (도면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오른발) 은,
(1) 먼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유각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퇴부를 들어올리고, 그와 동시에 무릎을 구부린다.
(2) 이어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유각을 앞으로 내기 위해 무릎을 편다.
와 같은 궤도를 그린다. 일반적으로 제어된 무릎관절은 이 구부림과 폄이 지령회전각으로서 제어되어 설계자가 부여한 궤도를 그린다. 그러나 이 움직임은 본래는 중력과 관성력에 의해 생기는 자연스런 움직임이므로, 무릎관절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이것으로부터 자유 관절을 실현함으로써 불필요한 힘의 생성없이 효율적인 보행동작이 실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의 백래시 클러치에 의하면 백래시를 이용하여,
(a) 자유 관절을 실현한다.
(b) 클러치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고토크를 전달한다.
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로봇용 관절기구에 의하면,
(c) 자유 관절에 의해 반력에 따르는 종반력기구를 실현한다.
(d) 그 종반력기구의 종반력운동에 의해 충격을 흡수한다.
(e)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한다.
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도면에 나타낸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 1 회전운동부재 (3) 를 무릎 상각부 (1) 에 일체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제 2 회전운동부재 (4) 를 무릎 하각부 (2)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동수단으로 회전운동을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회전운동부재 (3) 의 내측에 제 2 회전운동부재 (4) 를 배치하여, 이들의 내외주면에 설치한 반경방향 볼록부에 반경방향 연재면을 형성하고 있으나, 제 1 회전운동부재 (3) 와 제 2 회전운동부재 (4) 를 축선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켜, 이들의 축선방향 대향면에 설치한 축선방향 볼록부에 반경방향 연재면을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백래시 클러치는 로봇의 관절기구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로봇용 관절기구는 다리 이외에 팔을 자유롭게 흔드는 것 등을 실현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백래시 클러치의 일 실시예 및 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로봇용 관절기구의 일 실시예로서의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 관절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실시예의 무릎 관절기구를 반경방향 연재면끼리 사이의 둘레방향의 간격을 0 으로 하여 토크를 전달하고 있는 상태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 은 상기 실시예의 무릎 관절기구를 자유 관절의 상태에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예의 무릎 관절기구를 자유 관절의 상태로 하는 바람직한 제어예를 나타내는 관계선도이다.
도 5a 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유각이 착지상태에 들어가려고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b 는 도 5a 의 A부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6a 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유각이 착지상태에 들어가려고 할 때의 상기 실시예의 무릎 관절기구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도 6b 는 도 6a 의 B부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7 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뒷발로 바닥을 차올린 후의 유각의 움직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 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상기 유각의 또 다른 움직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 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무릎 상각부 2 : 무릎 하각부
3 : 제 1 회전운동부재 3a : 반경방향 연재면
4 : 제 2 회전운동부재 4a : 반경방향 연재면
5 : 풀리 6 :벨트

Claims (2)

  1. 동일축선상에 각각 회전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서로의 반경방향 연재면끼리가 맞닿음으로써 회전운동방향으로 서로 걸어맞춰지는 제 1 회전운동부재 및 제 2 회전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의 상기 반경방향 연재면끼리의 사이에 회전운동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회전부재의 상각부의 회전각을 θ, 제 2 회전부재의 회전각을 Φ, 회전방향의 간극각을 Ψ로 하면
    소정 각도(백래시) Ψ0에 대해,
    |Ψ| < Ψ0 단, Ψ = θ-Φ
    가 충족되도록 θ를 제어함으로써 자유 관절이 실현되는 백래시 클러치.
  2. 로봇의 팔 또는 다리를 구성하는, 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2부재 중의 어느 일방에 그 회전운동축선상에서 회전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어느 일방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2부재 중의 타방에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타방이 고정된 제 1 항에 기재된 백래시 클러치와,
    상기 제 1 회전운동부재와 상기 제 2 회전운동부재 중의 상기 일방을 이것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일방의 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로봇용 관절 기구.
KR10-2003-0008749A 2002-02-12 2003-02-12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KR100523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4076 2002-02-12
JP2002034076A JP3726130B2 (ja) 2002-02-12 2002-02-12 バックラッシュクラッチおよびそれを具えたロボット用関節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441A KR20030068441A (ko) 2003-08-21
KR100523427B1 true KR100523427B1 (ko) 2005-10-25

Family

ID=2760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749A KR100523427B1 (ko) 2002-02-12 2003-02-12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48400B2 (ko)
EP (1) EP1334808A3 (ko)
JP (1) JP3726130B2 (ko)
KR (1) KR100523427B1 (ko)
CN (1) CN122174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4375B2 (en) * 2004-06-09 2010-06-08 Boston Dynamics Robot and robot leg mechanism
JP4501601B2 (ja) * 2004-09-03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脚式ロボットと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歩容データの作成装置と作成方法
TWM290829U (en) * 2005-11-18 2006-05-21 Life Style Metal Co Ltd Connec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steering direction for towing vehicle
JP2007210065A (ja) * 2006-02-09 2007-08-2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擬似自由関節を有する非固定式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擬似自由関節
JP5017379B2 (ja) * 2008-01-22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アーム
FR2930905B1 (fr) * 2008-05-09 2010-10-01 Bia Cheville pour robot humanoide
JP5478387B2 (ja) * 2010-07-06 2014-04-23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ロボットのリンク装置
US8475073B1 (en) 2011-03-08 2013-07-02 Structural Plastics, Inc. Pivot connector for modular platform assemblies
CN103671603A (zh) * 2012-09-07 2014-03-26 甘亚冰 间隙式联轴器、钢珠离合器及车辆防倒溜器
US9285020B2 (en) 2013-02-28 2016-03-15 Adicep Technologies, Inc Open belt clutch
CN110869175B (zh) * 2017-06-29 2023-07-28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机器人关节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547A (en) * 1902-05-05 1902-08-26 Finley S Brooke Hinge-joint for seating.
US1419791A (en) * 1919-06-16 1922-06-13 Christian Keck Hinge joint
US1883322A (en) * 1930-04-30 1932-10-18 Woodruff & Edwards Inc Combined desk and seat
US2400032A (en) * 1945-08-23 1946-05-07 George M Talbot Knee joint for artificial legs
JPS5711746Y2 (ko) 1979-10-02 1982-03-08
US4353361A (en) * 1980-08-25 1982-10-12 Foster Robert W Orthotic/prosthetic joint
JPS58116823U (ja) 1982-02-02 1983-08-09 株式会社東芝 軸継手
FR2527284A1 (fr) * 1982-05-19 1983-11-25 Neiman Sa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en rotation
US4596422A (en) * 1984-09-10 1986-06-24 Drag Specialties, Inc. Motorcycle driver backrest bar
US4544203A (en) * 1984-10-11 1985-10-01 Younger Steven K Foldable head rest
JPS62136392A (ja) * 1985-12-11 1987-06-19 フアナツク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のケ−ブル処理装置
US5044360A (en) * 1989-12-26 1991-09-03 United States Manufacturing Company Orthosis with variable motion controls
JP2598649Y2 (ja) 1992-09-11 1999-08-16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風量調節用ダンパーの駆動装置
US5427466A (en) * 1993-09-09 1995-06-27 Williams Controls, Inc. Coupling for remote control of an engine
US5655741A (en) * 1995-03-16 1997-08-12 Liebel-Flarsheim Company Pivotal instrument support apparatus
US5873847A (en) * 1996-11-14 1999-02-23 Lenjoy Engineering, Inc. Articulated splints and goniometric hinge for the same
KR100222951B1 (ko) 1997-08-26 1999-10-01 윤종용 스토퍼장치
US6146044A (en) * 1997-09-02 2000-11-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Rotary flexure
CN2382889Y (zh) 1998-11-05 2000-06-14 杨佩兰 球铰t型销式万向联轴器
JP3477406B2 (ja) * 1999-10-05 2003-12-10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変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4808A3 (en) 2006-04-26
CN1443949A (zh) 2003-09-24
US6948400B2 (en) 2005-09-27
JP2003231082A (ja) 2003-08-19
US20040016315A1 (en) 2004-01-29
CN1221743C (zh) 2005-10-05
KR20030068441A (ko) 2003-08-21
EP1334808A2 (en) 2003-08-13
JP3726130B2 (ja)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427B1 (ko) 백래시 클러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용 관절기구
US8042627B2 (en) Walking robot
US8714045B2 (en) Robot joint driving apparatus and robot having the same
US7982423B2 (en) Statically stable biped robotic mechanism and method of actuating
KR101457147B1 (ko) 인간형 로봇과 그 어깨관절 어셈블리
US5842533A (en) Multi-legged walking apparatus
US10441492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two belts
KR100639900B1 (ko) 로봇장치용 관절장치 및 레그식 보행 로봇장치
CN114286655A (zh) 接头装置
JP6872754B2 (ja) 関節構造およびその関節構造を股関節部に備える二足歩行ロボット
JP2006297553A (ja) 可動軸駆動装置
JP4175212B2 (ja) 移動ロボットの脚部構造
KR102095052B1 (ko) 로봇관절
JP5478387B2 (ja) ロボットのリンク装置
JPS61211177A (ja) 負荷軽減機構を有する多関節脚機構
JP4848828B2 (ja) 移動ロボットの脚構造
KR100355634B1 (ko) 로봇용 관절장치
JP2011056661A (ja) 3自由度を有する姿勢変更機構を備えたパラレルリンクロボット
JP2000280195A (ja) ロボット装置用の関節装置、ロボット装置用の脚式歩行装置、ロボット装置用のアーム装置、脚式歩行ロボット装置及び駆動力伝達装置
JP4692925B2 (ja) 脚車輪型移動ロボット及びその動作方法
KR102469772B1 (ko) 복합링크구조를 도입한 로봇보행시스템
WO2023132282A1 (ja) 揺動装置および揺動装置の制御方法
KR102645781B1 (ko) 보행모드와 주행모드의 전환이 가능한 이동 로봇
JPH10193286A (ja) 駆動装置及びロボツト装置
KR20160100509A (ko) 링크 구조체를 이용한 다 관절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