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347B1 - Carrying system - Google Patents

Carry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347B1
KR100523347B1 KR10-2002-0053425A KR20020053425A KR100523347B1 KR 100523347 B1 KR100523347 B1 KR 100523347B1 KR 20020053425 A KR20020053425 A KR 20020053425A KR 100523347 B1 KR100523347 B1 KR 100523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ain body
stacker
whee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21848A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10-2002-005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347B1/en
Publication of KR2004002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3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이 하차되어 이송되는 고정된 레일의 일 측 또는 양측으로 뻗어있는 이송레일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며 상부에 리프터와 스태커가 장착되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화물을 고정된 레일의 양측으로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system, and in particular, a transport rail extending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fixed rail to which cargo is unloaded and moved is mov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fixed rail, and a lifter and a stacker are mount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system composed of an unmanned system so that cargo carried along a rail can be transported and loaded on both sides of a fixed rail.

Description

적재시스템{CARRYING SYSTEM}Loading system {CARRYING SYSTEM}

본 발명은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이 하차되어 이송되는 고정된 레일의 일 측 또는 양측으로 뻗어있는 이송레일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며 상부에 리프터와 스태커가 장착되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화물을 고정된 레일의 양측으로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system, and in particular, a transport rail extending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fixed rail to which cargo is unloaded and moved is mov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fixed rail, and a lifter and a stacker are mount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system composed of an unmanned system so that cargo carried along a rail can be transported and loaded on both sides of a fixed rail.

일반적으로 화물 적재시스템은 생산 공정을 거쳐 완성된 물품을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밖으로 배출한 후 사람이 수작업으로 물품을 운반하여 화물 운반을 위하여 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보관을 위하여 창고에 적재하고 있다. In general, the cargo loading system discharges the finished goods out through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after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n a person manually transports the goods and loads them in a vehicle for cargo transportation or in a warehouse for storage. have.

즉, 완성된 물품이 컨베이어에 의해 생산라인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품은 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다시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화물은 다른 적재 장소 또는 물건을 다른 장소로 배송하기 위해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 의해 운송기 전까지 물류 창고 등의 보관 장소에 보관되도록 적재 되는데, 이때 대부분의 경우는 화물 차량에 의해 운송된 화물은 이송 컨베이어 등에 의해 적재 장소로 운반된 후에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차량에 직접 날라 차량에 적재를 하고 있다. That is, the finished article is discharged out of the production line by the conveyor, and the discharged article is packaged in a packing unit and transferred back to the loading place by the conveyor. The cargo thus transported is stored to be stored in a storage place, such as a warehouse, until it is transported by a freight vehicle such as a truck to deliver another load or object to another place. After the cargo is transported to a loading place by a transport conveyor or the like, the worker carries the cargo directly to the cargo vehicle and loads the cargo onto the vehicle.

또한, 이와 같은 적재작업에 있어서 다른 방식으로는 이송장치에 의해 배출된 화물을 작업자들이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지게차 등의 운반 차량을 이용하여 적재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도 있다. In addition, in such a loading operation, the worker may transfer the cargo discharged by the transfer device to a loading position by using a transport vehicle such as a forklift truck by hand.

이와 같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화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여러 단계에 거쳐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작업자의 인력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As such, in a system for transferring cargo to transport cargo, many workers have to carry the cargo directly through several steps, which exposes them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There is a problem that arises.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지게차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적재 장소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물을 직접 운반하여 적재해야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 And, even when using the forklif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operator has to carry and load the cargo directly in order to load the cargo in the loading plac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이 하차되어 이송되는 고정된 레일의 일 측 또는 양측으로 뻗어있는 이송레일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며 상부에 리프터와 스태커가 장착되어 고정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화물을 고정된 레일의 양측으로 운반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무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적재시스템을 제공하여 운반의 편이성을 도모하며,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화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port rail extending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a fixed rail to which cargo is transported unloaded moves along a fixed rail at regular intervals Lifter and stacker are equipped with a loading system consisting of an unmanned system so that cargo carried along the fixed rails can be transported and loa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rail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t is also possible to load cargo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수단인 스태커를 갖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스태커는 두 개의 사각 프레임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 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육면체 형상의 본체에 양 측면으로 가로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한 쌍의 고정구로 구성되며,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어 본체와 지지프레임의 세로로 세워진 일 측 프레임에 장착되는 이송장치; 본체 및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구에 의해 장착되는 다수개의 롤러; 본체의 일 측 세로로 세워진 프레임 부분에 장착되는 로드의 단부에 롤러를 갖는 실린더; 일 단부가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각 롤러에 감겨 이송장치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 일 단부에는 이송장치의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연결되고, 다른 일 단부에는 포크가 장착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집게장치; 및 이송장치의 전면과 플레이트의 상부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cking system having a stacker which is a means for loading the cargo, the stacker for loading the cargo is composed of two rectangular frame is orthogonally coupled; A support frame coupled at regular intervals in parallel with one frame of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a pair of guide rollers and a pair of fasten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a hexahedron shape, and consists of a pair of guide rollers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frame. A feeder mounted on the side frame; A plurality of rollers mounted on the body and the support frame by a plurality of fasteners; A cylinder having a roller at an end of the rod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vertically framed portion; A pair of wir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wound around the rollers and connected to a transfer device; 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ture of the transfer device, the other end of the forceps device is coupled to the fork-mounted plate; And it consists of a cylind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transfer device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plate.

여기서 상기 집게장치는 포크의 작동이 제어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상부에 한 쌍의 모터가 장착되고, 각 모터의 축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각각 기어와 결합되며, 포크는 측면에 랙기어와 같은 기어치가 형성되어 기어와 각각 맞물려 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도 있다. Here, the tongs device is equipped with a pair of motors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rk, the shaft of each motor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plate and is coupled to the gear, respectively, the fork is a rack gear on the side Gear teeth may be formed and engaged with the gear, respectively,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late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그리고, 이송장치의 전면과 집게장치의 플레이트의 상부에 연결된 상기 실린더는 플레이트에 연결된 지지대의 정점과 실린더의 정점을 서로 대각으로(사선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ylinder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ransfer device and the top of the plate of the clamping device is preferably mounted diagonally (vertically) to the top of the support and the top of the cylinder connected to the plate.

상기 스태커는 레일에 장착되는 경우 화물의 하중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스태커의 본체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고, 각 바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대가 장착되며, 각 연결대의 단부에 각각의 보조바퀴가 장착될 수도 있다.When the stacker is mounted on a rail, a plurality of wheels ar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stacker so as not to fall due to the load of the cargo. Each auxiliary wheel may be mount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 이송 수단인 이동레일은 상부에 이송롤러와 이탈 방지구가 장착되며, 양 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다수개의 바퀴; 및 양 단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일 측면에는 모터를 갖고, 맞은편 면에는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과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종동휠을 갖는 장착대; 및 양 단부가 이동 거리의 양 측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대에 결합된 각 휠에 엇갈리게 감겨진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system having a means for transferring a cargo, the transfer means of the moving rail is equipped with a transfer roller and a separation prevention on the top, the body is formed with guides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motor mounted at one end thereof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nd having a driving wheel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a pair of driven wheels engaged with the driving wheel at opposite sides thereof. versus; And both ends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moving distance, and are composed of wires wound alternately on each wheel coupled to the mount.

상기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레일이 컨베이어의 측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각 바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대가 장착되며, 상기 각 연결대의 단부에 각각의 보조바퀴가 장착되게 구성될 수 도 있다.A plurality of wheels are mounted at one end of the movable rail so that the movable rail is not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and a connecting rod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wheels, and each auxiliary wheel is provided at the end of each connecting rod.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화물을 컨베이어에서 이동레일로 옮겨싣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모터가 장착되는 본체; 본체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두 축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풀리와 벨트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구동되는 종동휠; 상기 두 축에 본체의 외측면으로 장착되는 1차 기어; 본체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다른 두 축에 결합되어 1차 기어에 맞물리게 결합되며, 일 측면에 편심축을 갖는 2차 기어; 편심축에 결합되며, 전방 상부에 종동휠이 장착되는 휠 장착부가 형성되고, 후방 상부는 돌출되어 구동휠과 종동휠을 갖는 구동축이 장착되며, 중앙 상부에는 암이 결합된 선형 베어링이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에 장착된 각 종동휠에 감겨 연결구에 의해 상기 암과 연결되는 벨트로 구성되어 컨베이어와 인접한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것에 있다.And,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mounted with a motor therein as a means for transporting the cargo from the conveyor to the moving rail; Driven wheels coupled to two shafts mount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and driven by a pulley and a belt of the motor, respectively; A primary gear mounted on the two shafts as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ary gear coupled to two other shafts mount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engaged with the primary gear, the secondary gear having an eccentric shaft on one side; It is coupled to the eccentric shaft, the wheel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is driven, the rear upper portion is protruded is equipped with a drive shaft having a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the support in which the linear bearing combined with the arm is mounted on the upper center frame; And a belt wound around each driven wheel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and connected to the arm by a connector, which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moving rail adjacent to the conveyor.

그리고, 상기 베어링은 지지프레임의 상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장착되는 가이드와 상부에 암이 결합되며, 하나 이상으로 상기 가이드 길이의 일부만을 차지하여 가이드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홀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aring is coupled to the guide and the upper portion mounted over the entire upp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it may be composed of a holder coupled to slide on the guide occupies only a portion of the guide length at least one.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각 특징을 이루는 요소들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적재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elements constituting each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one loading system.

이와 같은 적재시스템의 일 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이동레일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베이어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리프터가 컨베이어와 인접한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스태커가 이동레일의 상부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컨베이어의 일 측 또는 양측에서 화물이 적재되는 간격만큼 이동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An example of such a loading system is a moving rail which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loc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convey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is movably coupled, and the lifter which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djacent to the conveyor. It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moving rail, the stacker which can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of the moving rail so that the moving rail is moved by the interval of loading the cargo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veyor to load the cargo can do.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시스템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1,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o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시스템(100)은 스태커(200)와 리프터(400)가 장착되는 이동레일(300)이 화물차량(미도시)으로부터 화물(600)이 이송되는 컨베이어(500)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어 일정한 간격만큼 이동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cking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of the conveyor 500 in which the stacker 200 and the lifter 400 are equipped with a moving rail 300 to which cargo 600 is transported from a freight vehicle (not shown). Or mounted on both sides and mov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configured to load cargo.

우선, 상기 스태커(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태커(200)는 이동레일(3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300)의 상부에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스태커(200)의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이동레일(300)의 본체(310)의 양 측면을 따라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316)가 설치되어야 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stacker 2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stacker 2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300 to move along the movable rail 300. In order to move the stacker 200 as described above, guides 316 may be installed as described below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310 of the moving rail 300.

상기 스태커(200)는 두 개의 사각 프레임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ㄱ"자 형상으로 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 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1)으로 구성된다.The stacker 200 is a support frame 211 is coupled to the two rectangular frame is orthogon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of the "b" shape and at regular intervals in parallel with one frame of the main body 210 It is composed.

상기 본체(210) 및 지지프레임(211)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롤러(214a,214b,214c)가 다수개의 고정구(215a,215b,215c)에 의해 장착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직교되어 세로로 세워진 프레임 부분에는 로드의 단부에 롤러(213)를 갖는 실린더(212)가 장착된다.A plurality of rollers 214a, 214b and 214c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by a plurality of fasteners 215a, 215b and 215c. And the cylinder part 212 which has the roller 213 at the edge part of the rod is attached to the orthogonal and perpendicularly-shaped frame part of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

상기 각 롤러(212,214a,214b,214c)에는 한 쌍의 와이어(216a,216b)가 감기게 된다. 상기 와이어(216a,216b)의 일 단부는 상기 실린더(212)가 장착된 스태커(200)의 본체(210) 상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216a,216b)는 상기 첫 번째 고정구(215a)에 장착된 롤러(214a)에 감긴 후, 다시 상기 와이어(216a,216b)는 각각 한 가닥씩 두 번째 및 세 번째 롤러(214b,214c)에 감겨 본체(210)의 하부로 늘어져 이송장치(220)에 연결된다.A pair of wires 216a and 216b are wound around the rollers 212, 214a, 214b and 214c. One end of the wires 216a and 216b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of the stacker 200 on which the cylinder 212 is mounted. Then, the pair of wires 216a and 216b are wound on the roller 214a mounted on the first fastener 215a, and then the wires 216a and 216b are each stranded by the second and third rollers. Wound a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device 220.

상기 이송장치(220)는 상기 실린더(212)의 작동에 의해 종동되는 와이어(216a,216b)에 의해서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의 세로로 세워진 일 측 프레임에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transfer device 220 is movable up and down on one side fram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vertically by wires 216a and 216b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12. Is mounted.

상기 이송장치는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의 세로로 세워진 일 측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221)로 구성되며, 상기 이송장치 본체(221)의 양 측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롤러(222a)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 본체(221)의 양 측면에는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태커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에 삽입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 롤러(222b)가 장착된다. The convey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hexahedral-shaped main body 221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vertical fram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the of the conveying apparatus main body 221 On both sides, a pair of guide rollers 222a are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a pair of guide rollers 222b are mounted at both sides of the transfer apparatus main body 221 at positions inserted into the stacker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222a,222b)는 상기 이송장치(220)가 스태커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을 따라 상기 와이어(216a,216b)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될 때,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Each of the guide rollers 222a and 222b is horizontal when the transfer device 22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wires 216a and 216b along the stacker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To do so.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220)의 양 측면에는 한 쌍의 고정구(223a,223b)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223a,223b)에는 회전축(232)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32)의 다른 일 측 단부에는 집게장치(230)가 장착된다. A pair of fasteners 223a and 223b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ransfer device 220, and a rotation shaft 23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asteners 223a and 223b,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232. At the side end, the forceps device 230 is mounted.

상기 집게장치(230)는 상기 회전축(232)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대(231)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231)의 다른 단부에는 포크(237)가 장착된 플레이트(233)가 결합된다. 상기 포크(237)는 상기 플레이트(233)의 양측 단부에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데, 일 측면(서로 마주하는 측면)에는 랙기어와 같이 형성된 기어치(미도시)를 갖는다. The tongs device 230 has a pair of supports 231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32, the plate 233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231 is mounted with a fork 237. The fork 237 is insert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late 233 so a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has a gear tooth (not shown) formed as a rack gear on one side (facing sides).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33)의 상부에는 한 쌍의 모터(235)가 장착되는데, 상기 각 모터(235)의 축은 상기 플레이트(2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서 각각 기어(236)와 결합된다. 상기 각 기어(236)는 각 포크(237)의 일 측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상기 모터(2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포크(237)가 전,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터(235)는 각각 별개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포크(237)의 작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air of motors 235 ar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233, and shafts of the respective motors 235 extend downward through the plate 233 to be coupled to the gears 236. Each gear 236 is engaged with a gear tooth formed on one side of each fork 237 so that the fork 237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5. At this time, the motor 235 is configured to operate separately,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rk 237, respectively.

이와 같이 포크(237)의 작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은 이하 설명되는 것과 같이 집게장치(230)가 실린더(2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포크(237)가 이송장치(220)가 장착된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ng device 2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34, the fork 237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rk 237 as described below. This is to prevent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from being mounted.

상기 실린더(234)는 몸체가 상기 이송장치(22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실린더(234)의 로드는 상기 플레이트(233)의 상부 일 측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34)는 몸체가 이송장치(220)의 전면 중앙부에서 일 측으로 대각으로(사선으로) 결합되며, 로드 역시 플레이트(233)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일 측으로 대각으로(사선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실린더(234)는 이송장치(220)와 플레이트(233)에 사선과 같이 기울어지게 결합된다. The cylinder 234 has a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ransfer device 220, the rod of the cylinder 234 is also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plate 233. At this time, the cylinder 234 is coupled to the body diagonally (diagonally) to one side from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transfer device 220, the rod is also coupled diagonally (diagonally)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233 do. That is, the cylinder 234 is coupled to the transfer device 220 and the plate 233 inclined in an oblique line.

이와 같이 실린더(234)를 기울어지게 결합하는 이유는 플레이트(233)에 연결된 지지대(231)의 정점과 상기 실린더(234)의 정점을 서로 대각으로(사선으로) 구성하므로 인하여 집게장치(2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플레이트(233)에 연결된 지지대(231)의 정점과 상기 실린더(234)의 정점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상기 집게장치(230)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cylinder 234 is inclined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the vertex of the support 231 connected to the plate 233 and the vertex of the cylinder 234 are configured diagonally to each other (diagonally). It is intended to facilitate rotation. That is, when the apex of the support 231 connected to the plate 233 and the apex of the cylinder 234 coincide with each other, a cas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tong device 230 is stopped is prevented. .

그리고, 상기 스태커(200)의 본체(210)와 지지프레임(211)의 하부에는 일 측면(서로 마주하는 측면)으로 다수개의 바퀴(217)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217)의 하부 위치에는 안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 다수개의 연결대(218)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대(218)의 단부에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각각 보조바퀴(219)가 장착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wheels 217 are mounted at one side (side facing each othe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of the stacker 200, and the inner side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wheel 217.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18 extending longer are mounted, and the auxiliary wheels 219 are mounted to end portions of the connecting rods 218 so as to face upwards.

이와 같은 바퀴의 구성은 놀이기구와 같은 장치에서 차량이 레일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스태커(200)의 하부에 바퀴를 구성하는 이유는 화물(600)의 하중에 의해 스태커(20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Such a configuration of the wheel is made of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separated on the rail in a device such as a play equipment. And the reason for configuring the whee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acker 200 in order to prevent the stacker 200 falls by the load of the cargo 600.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태커(200)는 이하 설명되는 이동레일(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동레일(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화물(600)을 운반하여 적재하게 된다.The stacker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300 to be described below,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300, and carries and loads the cargo 600.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면, 팔레트에 실린 화물(600)이 상기 스태커(200)의 중앙 위치로 이송되어 오면, 상기 포크(237)가 모터(235)의 구동에 의해 팔레트의 구멍으로 삽입되고, 스태커(200)의 본체(210)에 장착된 실린더(212)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216a,216b)가 당겨져 상기 이송장치(220)가 위로 움직여지게 되어 화물(600)을 들어 올리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cargo 600 loaded on the pallet is transferred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tacker 200, the fork 237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pallet by driving the motor 235, and the stacker The wires 216a and 216b are pulled by the driving of the cylinder 212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of the 200 so that the transfer device 220 is moved upward to lift the cargo 600.

그 후, 상기 스태커(200)는 적재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송장치(220)에 장착된 실린더(23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집게장치(230)가 회전되어 화물(600)을 적재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210)에 장착된 실린더(212)의 구동에 의해 이송장치(220)의 움직임도 병행하게 된다. 그 후, 상기 포크(237)가 뒤로 후퇴하고, 다시 집게장치(230)는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원되는데, 이때, 후퇴된 각각의 포크(237)는 지지프레임(211)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레트의 측면을 벗어나자마자 포크(237)가 각각 작동되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tacker 200 moves to the loading position, and the tongs 230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cylinder 234 mounted on the transfer device 220 to load the cargo 600. . At this time, if necessary,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apparatus 220 is also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cylinder 212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Thereafter, the fork 237 is retracted back, and the tong device 230 is rotat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 each retracted fork 237 is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support frame 211. As soon as they exit the side of the pallet, the forks 237 are each activated to move forward.

이와 같은 작동은 실린더(234)의 구동속도 보다 모터(235)의 회전 속도가 충분히 빠르기 때문에 실린더(234)의 멈춤 없이도 상기 모터(235)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This operation can be configur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235 without stopping the cylinder 234 becau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235 is sufficiently faster than the driving speed of the cylinder 234.

다음으로, 상기 스태커(200)가 화물(60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600)을 이송하는 수단인 이동레일(300)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stack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rail 300 which is a means for transporting the cargo 600 so as to load the cargo 600 as follows.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레일(300)은 컨베이어(500)의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일반적인 컨베이어의 구성과 같이 중간부분에는 화물(600)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이송롤러(311)가 장착되고, 양 단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이탈 방지구(312)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ure 3a to 3d the moving rail 3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conveyor 500 is configured to be moved along the conveyor 500, such as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conveyor in the cargo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311 are mounted to transport the 600, and a plurality of escape prevention holes 312 are mounted along the upper edges of both ends.

상기 이송롤러(311)와 이탈 방지구(312)가 장착되는 이동레일(300)의 본체(310)는 양 측면에 상기 설명된 스태커(200)의 바퀴(217)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가이드(316)가 형성되어 상기 스태커(200)의 바퀴(217)가 상기 가이드(316)를 따라 이동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된다.The main body 310 of the moving rail 300 to which the feed roller 311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312 are mounted is provided with guides 316 to which the wheels 217 of the stacker 200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and supported at both sides. ) Is formed so that the wheel 217 of the stacker 20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300 along the guide 316.

그리고, 이동레일(30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바퀴(330)가 장착되고, 또한 컨베이어(500)와 연결되는 길이 방향의 단부 측면에는 상기 스태커(200)의 하부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바퀴(313) 및 연결대(314)에 의해 장착되는 보조바퀴(315)가 장착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heels 330 are moun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conveyor 500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stacker 200. The auxiliary wheel 315 mounted by the wheel 313 and the connecting rod 314 is mounted.

상기 이동레일(300)은 하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바퀴(330)에 의해 컨베이어(5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베이어(500)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레일(3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316)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가이드(510)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3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장착된 바퀴(313)와 보조바퀴(315)가 상기 가이드(510)에 결합되어 이동레일(300)이 컨베이어(500)의 측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도 3d 참조).The moving rail 30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00 by a plurality of wheels 330 mounted on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guide formed on the side of the moving rail 300 on the side of the conveyor 500 A guide 510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316 is formed, and the wheel 313 and the auxiliary wheel 315 mount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mobile rail 300 are coupled to the guide 510 to move the rail. 300 will not be disengaged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500 (see FIG. 3D).

상기 이동레일(300)은 양 단부에 장착대(320)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장착대(320)의 일 측면에는 모터(321)의 축이 상기 장착대(320)를 관통하도록 모터(321)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대(320)의 맞은편 면에는 상기 모터(32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휠(322)이 장착되며, 또한 상기 구동휠(322)과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 한 쌍의 종동휠(323)이 상기 구동휠(322) 보다 하부에 위치되게 장착된다.The movable rail 300 is mounted on both 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 320, one side of the mount 320 is the shaft of the motor 321 is the mount 320 A motor 321 is mounted to penetrate the driving wheel, and a driving wheel 322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321 is mount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320,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wheel 322. A pair of driven wheels 323 to be rotated is mounted to be located below the drive wheels 322.

이와 같이 장착된 각 휠(322,323)에는 와이어(340)가 엇갈리게 감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340)의 양 단부는 상기 이동레일(300)이 이동되는 전체 거리의 끝부분에 고정된다.Each of the wheels 322 and 323 mounted as described above is wound with wires 340 staggered, and both ends of the wires 340 are fixed to ends of the entire distance to which the moving rail 300 is moved.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동레일(300)이 컨베이어(500)의 측면을 따라 컨베이어(5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모터(321)의 회전에 의해 구동휠(322)과 각 종동휠(323)이 회전을 하여 상기 구동휠(322)과 각 종동휠(323)에 감겨진 와이어(340)가 일 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이동레일(300)이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serves to move the moving rail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00 along the side of the conveyor (500). That is, the driving wheel 322 and each driven wheel 32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321, the wire 340 wound around the driving wheel 322 and each driven wheel 323 is one side It is pulled in the direction, whereby the moving rail 300 is to move.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300) 본체(310)의 일 측 또는 양측 일 단부에는 모터(341)가 장착되고, 맞은편 단부에는 종동휠(342)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모터(341)의 풀리와 종동휠(342)에는 와이어(미도시)가 감겨지는데, 상기 모터(341)의 풀리와 종동휠(342)에 감겨지는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스태커(200)가 이동레일(300)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태커(200)의 하부 전, 후 측면에 연결된다.In addition, a motor 341 is mounted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main body 310 of the moving rail 300, and a driven wheel 342 is mounted at an opposite end thereof. A wire (not shown) is wound around the pulley and the driven wheel 342 of the motor 341 mounted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wire wound around the pulley and the driven wheel 342 of the motor 341 is the stacker 200. ) Is connected to the side before and after the bottom of the stacker 200 in a state where i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300.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스태커(200)는 상기 이동레일(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모터(341)의 구동에 의해 스태커(200)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와이어의 당겨지는 방향으로 스태커(200)가 움직이게 된다.That is, the stacker 20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300 through this configuration. In other words, the wire connected to the stacker 200 is pull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341, and the stacker 200 moves i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wire.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300)의 일측 단부,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500)와 인전한 단부에는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동되는 화물(600)을 이동레일(300)로 옮겨 싣기 위하여 리프터(400)가 장착된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moving rail 300, more specifically, at the end of the moving rail 300, the lifter 600 moves the cargo 600 moving along the conveyor 500 to the moving rail 300. 400) is mounted.

상기 이동레일(300)의 일 단부에 장착되는 리프터(400)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상기 리프터(400)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동수단을 갖는 리프터 본체(410)와 상기 리프터 본체(410)의 양 측면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도록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20) 및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암(424)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lifter 400 mounted on one end of the movable rail 300, the lifter 400 is a lifter main body 410 having a driving means and the lifter as shown in Figures 4a to 4d It is composed of a support frame 420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and an arm 424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420.

좀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일반적인 컨베이어와 같이 상부에 다수개의 롤러(430)를 갖는 상기 리프터(400)는 본체(410)의 내부에 구동수단을 갖는데, 다수개의 기어와 종동휠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성을 이룬다. 즉, 본체(410) 내부에는 모터(41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410)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네 개의 축(418a,418b,419a,419b)이 삽입 장착된다.In more detail, the lifter 400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430 at the top like a general conveyor has a driving means inside the main body 410, where a plurality of gears and driven wheels are driven by a motor. To achieve the desired configuration. That is, the motor 411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410, and four shafts 418a, 418b, 419a, and 419b are inserted and mount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상기 두 축(418a,418b)에는 각각 종동휠(412a,412b)과 기어(418a,418b)가 장착되는데, 상기 종동휠(412a,412b)은 본체(410)의 내부 일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411)의 풀리와 벨트(415a,415b)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구동되게 된다.The two shafts 418a and 418b are respectively equipped with driven wheels 412a and 412b and gears 418a and 418b, and the driven wheels 412a and 412b ar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410 and the motor The pulleys 411 and belts 415a and 415b of 411 are connected and drive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종동휠(412a,412b)이 장착된 두 축(418a,418b)에는 본체(410)의 양측 외측면으로 각각 1차 기어(413a,413b)가 장착되고, 다른 두 축(419a,419b)에는 본체(410)의 양측 외측면으로 편심축(416a,416b)을 갖는 2차 기어(414a,414b)가 장착되어 상기 각각의 1차 기어(413a,413b)와 2차 기어(414a,414b)는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In addition, two shafts 418a and 418b on which the driven wheels 412a and 412b are mounted are provided with primary gears 413a and 413b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respectively, and the other two shafts 419a and 419b. ) Are equipped with secondary gears 414a and 414b having eccentric shafts 416a and 416b on both outer sides of the main body 410, and the respective primary gears 413a and 413b and secondary gears 414a and 414b. ) Are configured to be rotated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상기 2차 기어(414a,414b)의 편심축(416a,416b)에는 지지프레임(420)이 본체(410)의 양측으로 각각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지지프레임(420)은 상기 모터(411)의 구동에 의해 2차 기어(414a,414b)가 회전을 하게 되면, 수평 상태에서 일정한 원을 그리는 작동을 하게 된다.Support frames 420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on the eccentric shafts 416a and 416b of the secondary gears 414a and 414b, respectively. When the support frame 420 mount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by the secondary gears 414a and 414b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11, the supporting frame 420 is operated to draw a constant circle in a horizontal state.

그리고, 상기 각 지지프레임(420)의 앞 쪽 상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안쪽으로 연장되어 다시 상부로 연장되는 휠 장착부(421)가 형성되고, 뒤 쪽 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연장된 부분을 가진다. 상기 앞쪽 단부에 형성된 휠 장착부(421)에는 종동휠(427b)이 장착되고, 상기 뒤쪽 단부에 형성된 연장부분에는 구동축(428)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 frame 420 is formed with a wheel mounting portion 421 extending inward to face each other and extends upward again, the rear end has a portion protruding upward. A driven wheel 427b is mounted on the wheel mounting portion 421 formed at the front end, and a drive shaft 428 is mounted on the extension formed at the rear end.

상기 구동축(428)에는 각각 본체(410)와 지지프레임(420) 사이 위치에 종동휠(427a,427b)이 장착되고, 구동축(428)의 일 측 단부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휠(429)이 장착된다. 상기 본체(410)와 지지프레임(420)의 사이에 위치되는 각 종동휠(427a,427b)에는 타이밍 벨트(425)가 각각 감기고, 상기 타이밍 벨트(425)의 각 일 측에는 연결구(426)에 의해 이하 설명되는 암(424)이 결합된다.Follower wheels 427a and 427b are mounted to the drive shaft 428 at positions between the main body 410 and the support frame 420,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e shaft 428 by a motor (not shown). The driving wheel 429 is mounted. Each of the driven wheels 427a and 427b positioned between the main body 410 and the support frame 420 is wound with a timing belt 425, and each side of the timing belt 425 is connected by a connector 426. Arms 424 described below are coupled.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 베어링이 장착되는데, 상기 베어링은 가이드(422)와 홀더(42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422)는 지지프레임(420)의 상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장착되고, 상기 홀더(423)는 하나 이상으로 상기 가이드(422) 길이의 일부만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420 is mounted a linear bear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earing is composed of a guide 422 and the holder 423. The guide 422 is mounted over the entire upp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420, the holder 423 is configured to occupy only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guide 422 at least one.

그리고, 상기 홀더(423)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422)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 암(424)이 장착된다. 상기 암(424)은 구동축(428)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벨트(425)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연결구(426)에 의해 상기 타이밍 벨트(425)와 연결된 암(424)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선운동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n arm 424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guide 422 is mounted on the holder 423. The arm 424 causes the timing belt 425 to rotat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28, whereby the arm 424 connected to the timing belt 425 by the connector 426. ) Will move forward or backwar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리프터(400)는 구동축(428)과 연결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암(424)이 전방으로 움직여 상기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600)의 밑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상기 본체(410)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411)의 구동에 의해 지지프레임(420)이 컨베이어(500)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인정한 반경으로 원운동을 하여 상방로 올라가 화물(600)을 들어올리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ifter 400 moves underneath the cargo 600 transported by the conveyor 500 by the arm 424 moving forward by a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28. At this time,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11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410, the support frame 420 in a circular motion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mounted on the conveyor 500 Ascend upwards to lift the cargo (600).

그 후, 상기 암(424)이 후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420)이 원운동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어 화물(600)을 리프터(400) 상부에 장착된 롤러(430)에 안착되어 상기 설명된 스테커(200)의 전방 위치로 이송된다. Thereafter, the arm 424 is moved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frame 420 is lowered downward by the circular motion to seat the cargo 600 on the roller 430 mounted on the lifter 400 upper portion To the front position of the stacker 200 described above.

상기 리프터(400)의 작동과 이동레일(300)의 작동을 위하여 컨베이어(5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The conveyor 500 is configured as follows for the operation of the lifter 400 and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rail 300.

상기 컨베이어(500)는 일반적인 컨베이어와 같이 몸체가 다리(540)에 의해 고정되게 세워지며, 상부에는 다수개의 롤러(520)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520)의 양측으로는 화물(600)이 컨베이어(5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이탈 방지구(53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컨베이어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 다른 구성은 상기 리프터(400)의 암(4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550)과 상기 이동레일(300)이 장착되어 컨베이어(500)의 측면을 따라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가이드(510)이다. The conveyor 500, the body is built to be fixed by the legs 540 as a general conveyor, a plurality of rollers 520 is mounted on the top, the cargo 600 on both sides of the roller 520 conveyor A plurality of departure prevention tools 530 are install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500. Since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conveyor will be omitted further description, and the other configuration mod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arm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arm 424 of the lifter 400 An insertion groove 550 and the movable rail 300 are mounted to be guides 510 configured to move without being separated along the side of the conveyor 500.

상기 삽입홈(550)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탈 방지구(530)가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는데, 상기 암(424)의 간격과 상응하는 간격으로 일정한 거리(즉, 화물이 적재되는 간격)로 컨베이어(5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insertion groove 550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departure prevention opening 530 is mounted, as shown in Figure 3a, a constant distance (that is, the interval to load the cargo)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arm 424 A plurality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00).

이와 같이 형성되는 삽입홈(550)은 상기 리프터(400)의 암(424)이 화물(600)의 하부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여 화물(600)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sertion groove 55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for allowing the arm 424 of the lifter 400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rgo 600 to lift the cargo 600.

그리고, 상기 가이드(510)는 위에서 설명한 이동레일(300)의 길이방향 일 측 단부에 장착된 바퀴(313)가 삽입되어 이동레일(300)이 컨베이어(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일종의 레일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uide 5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heel 313 mounted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300 described above is inserted to move the movable rail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500. It will act as a kind of rail.

상기 가이드(510)의 구성은 이동레일(300)의 길이방향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316)와 동일한 구조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510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guide 316 formed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moving rail 300 will be omitted further descrip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재시스템(100)은 화물차량으로부터 부려지는 화물이 컨베이어(500)를 따라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화물(600)은 스태커(200)에 의하여 화물(600)이 적재되어야 할 적절한 위치에 있는 이동레일(300)로 옮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태커(200)가 화물(600)을 들어올리기 편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5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컨베이어(500)의 구동을 일정 시간동안 정지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loading system 100 is transported cargo along the conveyor 500, the cargo 600 is a suitable position to be loaded cargo 600 by the stacker 200 at this time It will be moved to the moving rail 300 in. At this time, a limit switch (not shown)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conveyor 50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tacker 200 lifts the cargo 600 so that the driving of the conveyor 500 can be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configured.

상기 리프터(400)에 의해 이동레일(300)로 옮겨진 화물(600)은 다시 스태커(200)에 의해 올려져 적재위치에 적재되게 된다. The cargo 600 moved to the moving rail 300 by the lifter 400 is again lifted by the stacker 200 to be loaded at the loading position.

상기와 같은 작업을 상기 이동레일(30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면서 반복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while the moving rail 300 is mov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able to load the cargo.

또한, 상기 작업을 반대로 수행하게 되면, 적재된 화물(600)을 외부로 내보낼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is reversed, it can be seen that the loaded cargo 600 can be export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을 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적재시스템은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데, 이와 같은 자동제어의 구성은 이미 종래에 알려져 있는 자동제어기술로 충분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loading system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not shown), and the configuration of such automatic control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by an automatic control technique already known in the ar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시스템은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하거나 적재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로봇 등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인원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o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work because the operator does not directly carry or load the cargo, and also does not use expensive equipment such as robots. Since the number of people can be reduced, th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일정하게 작동되도록 설정된 장치에 의해 화물을 적재하기 때문에 대량의 화물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하게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때 보다 차지하는 작업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ecause the cargo is loaded by a device set to operate constantly, it has the advantage of loading a large amount of cargo more quickly and reliably, and less work space than when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truck, more cargo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load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시스템의 전체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이동레일의 상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태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acker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moving rail and configured to load cargo while moving along the rail,

도 2b은 도 2에 도시된 스태커의 정면도이고, 2B is a front view of the stacker shown in FIG. 2,

도 2c는 도 2에 도시된 스태커의 일 측면도이고, FIG. 2C is a side view of the stacker shown in FIG. 2;

도 3a는 컨베이어에 이동레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3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rail is mounted on a conveyor;

도 3b는 컨베이어에 이동레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3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rail is mounted on a conveyor;

도 3c는 이동레일의 일 측면도이고, 3c is a side view of the moving rail,

도 3d는 이동레일이 컨베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3b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FIG. 3d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3b to show a state in which the moving rail is coupled to the conveyor, FIG.

도 4a는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리프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부분 절개된 평면도이고, Figure 4a is a plan view partially cut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lifter mounted on one end of the moving rail,

도 4b는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리프터의 측면도이고, Figure 4b is a side view of the lifter mounted on one end of the moving rail,

도 4c는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리프터의 정면도이고, Figure 4c is a front view of the lifter mounted on one side end of the moving rail,

도 4d는 이동레일의 일 구성요소인 본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4D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ain body that is one component of a moving rai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적재시스템 200 ... 스태커100 ... Stacking system 200 ... Stacker

210 ... 스태커 본체 211 ... 지지프레임210 ... stacker body 211 ... support frame

212 ... 실린더 213,214a,214b,214c ... 롤러212 ... Cylinder 213,214a, 214b, 214c ... Roller

215a,215b,215c ... 고정구 216a,216b ... 와이어215a, 215b, 215c ... Fixture 216a, 216b ... Wire

217 ... 바퀴 218 ... 연결대217 ... wheels 218 ... connecting rod

219 ... 보조바퀴 220 .. 이송장치219 ... Auxiliary wheels 220 .. Feeder

221 ... 이송장치 본체 222a,222b ... 가이드 롤러221 ... Feeder body 222a, 222b ... Guide roller

223a,223b ... 고정구 230 ... 집게장치223a, 223b ... Fixture 230 ... Grippers

231 ... 지지대 232 ... 회전축231 ... support 232 ... rotation axis

233 ... 플레이트 234 ... 실린더233 ... Plate 234 ... Cylinder

235 ... 모터 236 ... 기어235 ... motor 236 ... gear

237 ... 포크 300 ... 이동레일237 ... Fork 300 ... Rail

310 ... 이동레일 본체 311 ... 이송롤러310 ... moving rail body 311 ... feed roller

312 ... 이탈방지구 313,330 ... 바퀴312 ... Breakaway protection 313,330 ... Wheels

314 ... 연결대 315 ... 보조바퀴314 ... connecting rod 315 ... auxiliary wheel

316 ... 가이드 320 ... 장착대316 ... Guide 320 ... Mounting

321,341 ... 모터 322 ... 구동휠321,341 ... motor 322 ... drive wheel

323,342 ... 종동휠 340 ... 와이어323,342 ... driven wheel 340 ... wire

400 ... 리프터 410 ... 리프터 본테400 ... lifter 410 ... lifter Bonte

411 ... 모터 412a,412b ... 종동휠411 ... motor 412a, 412b ... driven wheel

413a,413b ... 1차 기어 414a,414b ... 2차 기어413a, 413b ... Primary Gear 414a, 414b ... Secondary Gear

415a,415b ... 벨트 416a,416b ... 편심축415a, 415b ... belt 416a, 416b ... eccentric shaft

417 ... 축 삽입구멍 418a,418b,419a,419b ... 축417 ... Shaft insertion hole 418a, 418b, 419a, 419b ... shaft

420 ... 지지프레임 421 ... 휠 장착부420 ... support frame 421 ... wheel mounting

422 ... 가이드 423 ... 홀더422 ... guide 423 ... holder

424 ... 암 425 ... 타이밍 벨트424 ... arm 425 ... timing belt

426 ... 연결구 427a,427b ... 종동휠426 ... end connections 427a, 427b ... driven wheels

428 ... 구동축 429 ... 구동휠428 ... drive shaft 429 ... drive wheel

500 ... 컨베이러 510 ... 가이드500 ... Conveyor 510 ... Guide

520 ... 이송롤러 530 ... 이탈방지구520 ... feed roller 530 ... release guard

540 ... 다리 550 ... 삽입홈540 ... legs 550 ... insertion groove

600 ... 화물600 ... Freight

Claims (9)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스태커를 구비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In a loading system having a stacker for loading a cargo, 상기 스태커는,The stacker, 두 개의 사각 프레임이 직교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본체(210)와; A main body 210 having two rectangular frames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상기 본체(210)의 일 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1)과;A support frame 211 coup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parallel with one frame of the main body 210; 상기 지지프레임(211)의 종축에 삽입되도록 상하면이 내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일측면에 한쌍의 가이드롤러(222a) 및 한쌍의 고정구(223a,223b)가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지지프레임(211)과 결합되는 가이드롤러(222b)가 형성된 이송장치(220)와; A pair of guide rollers 222a and a pair of fasteners 223a and 223b are formed on one side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n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inserted in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pport frame 211,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11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 conveying device 220 having a guide roller 222b formed therein; 상기 본체(210) 및 지지프레임(211)의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구(215a,215b,215c)에 의해 장착되는 다수개의 롤러(214a,214b,214c)와;A plurality of rollers 214a, 214b, 214c mounted on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by a plurality of fasteners 215a, 215b, 215c; 상기 본체(210) 일측의 종축 프레임에 하방으로 장착되고 하방 말단에 롤러(213)가 구비된 실린더(212)와;A cylinder 212 mounted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fram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provided with a roller 213 at a lower end thereof; 상기 본체(210)의 상기 각 롤러(213,214a,214b,214c)에 감겨 이송장치(2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216a,216b)와;A pair of wires (216a, 216b) wound around the rollers (213, 214a, 214b, 214c) of the main body (210) and connected to the transfer device (220); 상기 이송장치(220)의 고정구(223a,223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32) 및 상기 회전축(232)에 하방으로 결합되고 하방 말단의 플레이트(233)에 포크(237)가 결합된 집게장치(230); 및Forcep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232 rotatably coupled to the fasteners (223a, 223b) of the transfer device 220 and the rotary shaft 232 and the fork 237 is coupled to the plate 233 of the lower end Device 230; And 상기 이송장치(220)의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233)의 상부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실린더(2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ylinder 234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transfer device 220 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plate (2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장치(230)는 상기 포크(237)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33)의 상부에 한 쌍의 모터(235)가 장착되고, 상기 각 모터(235)의 축은 상기 플레이트(233)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되어 각각 기어(236)와 결합되며, 포크(237)는 측면에 랙기어와 같은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236)와 각각 맞물려 상기 플레이트(233)의 양측 단부에 전,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tongs device 230 is a pair of motor 235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233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rk 237, the axis of each motor 235 is The plate 233 extends downward and is coupled to the gear 236, respectively, and the fork 237 has a gear tooth such as a rack gear formed at a side thereof, and meshes with the gear 236 to engage the plate 233. 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inserted into both ends to move forward, back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4)는 상기 이송장치(220)의 전면과 상기 플레이트(233) 사이에 대각(사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The load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linder (234) is connected diagonally (diagonally)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fer device (220) and the plate (23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레일에 장착되는 경우 화물의 하중에 의해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스태커(200)의 본체(210)와 지지 프레임(21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바퀴(217)가 장착되고, 상기 각 바퀴(217)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대(218)가 장착되며, 상기 각 연결대(218)의 단부에 각각의 보조바퀴(219)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 The stac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acke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support frame 211 of the stacker 200 so that the stacker does not fall by the load of the cargo. Wheels 217 are mounted, and the connecting rod 218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wheel 217, and each auxiliary wheel 219 is mounted at the end of each connecting rod 218. Loading system. 화물을 이송하기 이동레일을 구비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In a loading system having a moving rail for transporting cargo, 상기 이동레일은, The moving rail, 상부에 이송롤러(311)와 이탈 방지구(312)가 장착되며, 양 측면에 가이드(316)가 형성된 본체(310)와;A feed roller 311 and a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312 moun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ody 310 having guides 316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다수개의 바퀴(330)와; 및 A plurality of wheels 330 moun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양 단부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일 측면에는 모터(321)를 갖고, 맞은편 면에는 상기 모터(32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휠(322)과 상기 구동휠(322)과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종동휠(323)을 갖는 장착대(320)와; 를 포함하고, 양 단부가 이동거리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대(320)에 결합된 각 휠(322,323)에 엇갈리게 감겨진 와이어(340)로 구성된 컨베이어(500)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And a driving wheel 322 and the driving wheel 322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321 on one side thereof, having a motor 321 on one side, and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A mount 320 having a pair of driven wheels 323 engaged and rotated; It comprises a, both ends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movement distance is loc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veyor 500 consisting of wires 340, which are wound around each wheel 322,323 coupled to the mounting 320 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이동레일이 컨베이어(500)의 측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수개의 바퀴(313)가 장착되고, 상기 각 바퀴(313)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대(314)가 장착되며, 상기 각 연결대(314)의 단부에 각각의 보조바퀴(315)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According to claim 5, A plurality of wheels 313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moving rail so that the moving rail is not separated from the side of the conveyor 500,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wheel 313 Connecting rod (314) is mounted, characterized in that each auxiliary wheel (315) is mounted to the end of each connecting rod (314). 내부에 모터(411)가 장착되는 본체(410); A main body 410 in which the motor 411 is mounted; 상기 본체(410)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두 축(418a,418b)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411)의 풀리와 벨트(415a,415b)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구동되는 종동휠(412a,412b); A driven wheel 412a coupled to two shafts 418a and 418b mount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and connected and driven by pulleys and belts 415a and 415b of the motor 411, respectively. , 412b); 상기 두 축(418a,418b)에 본체(410)의 외측면으로 장착되는 1차 기어(413a,413b); Primary gears (413a, 413b) moun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main body (410) on the two shafts (418a, 418b); 상기 본체(410)의 양 측면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다른 두 축(419a,419b)에 결합되어 상기 1차 기어(413a,413b)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일 측면에 편심축(416a,416b)을 갖는 2차 기어(414a,414b); It is coupled to two other shafts 419a and 419b mounted in a direction crossing both sides of the main body 410 and engaged with the primary gears 413a and 413b, and eccentric shafts 416a and 416b on one side. Secondary gears (414a, 414b) having; 상기 편심축(416a,416b)에 결합되며, 전방 상부에 종동휠(427b)이 장착되는 휠 장착부(421)가 형성되고, 후방 상부는 돌출되어 구동휠(429)과 종동휠(427a)이 각각 장착되는 구동축(428)이 장착되며, 중앙 상부에는 암(424)이 결합된 선형 베어링이 장착되는 지지프레임(420); 및 The wheel mounting portion 421 is coupled to the eccentric shafts 416a and 416b and is mount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to which the driven wheel 427b is mounted. A support frame 420 on which a drive shaft 428 to be mounted is mounted, and a linear bearing to which an arm 424 is coupled is mounted at a center upper portion thereof; And 상기 지지프레임(420)에 장착된 종동휠(427a,427b) 사이에 감겨 연결구(426)에 의해 상기 암(424)과 연결되는 벨트(425)로 구성되어 컨베이어(500)와 인접한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It is composed of a belt 425 which is wound between the driven wheels 427a and 427b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420 and connected to the arm 424 by a connector 426, and is one of the moving rails adjacent to the conveyor 500. A lifter, mounted to the side en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지지프레임(420)의 상부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장착되는 가이드(422)와 상부에 암(424)이 결합되며, 하나 이상으로 상기 가이드(422) 길이의 일부만을 차지하여 상기 가이드(422) 상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홀더(4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earing is coupled to the guide 422 is mounted over the entire upp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420 and the upper arm 424, at least one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guide 422 Lift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lder 423 is coupled to slide on the guide (422). 적재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loading system, 일 측 단부에 다수개의 바퀴(313)가 장착되고, 상기 각 바퀴(313)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대(314)가 장착되며, 상기 각 연결대(314)의 단부에 각각의 보조바퀴(315)가 장착된 상기 제 5 항의 구성을 갖는 이동레일(300)이 측면을 따라 가이드(510)가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삽입홈(550)이 형성된 컨베이어(500)의 일 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A plurality of wheels 313 are mounted at one side end, and a connecting rod 314 is mou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each wheel 313, and each auxiliary wheel 315 at an end of each connecting rod 314. The movable rail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of claim 5 is equipped with a guide 510 is formed along the side,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550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veyor 500 Movably coupled, 상기 제 7 항의 구성을 갖는 리프터가 상기 컨베이어와 인접한 상기 이동레일의 일 측 단부에 장착되며,The lifter having the configuration of claim 7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moving rail adjacent to the conveyor, 제 1 항의 구성을 갖는 스태커가 상기 이동레일의 상부에 장착되어 구성되어 스태커(200)와 리프터(400)가 장착되는 이동레일(300)이 컨베이어(500)의 일 측 또는 양측에서 화물이 적재되는 간격만큼 이동되면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시스템.The stacker having the configuration of claim 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so that the stacker 200 and the movable rail 300 on which the lifter 400 is mounted are loa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veyor 500. 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go can be loaded by moving the interval.
KR10-2002-0053425A 2002-09-05 2002-09-05 Carrying system KR100523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25A KR100523347B1 (en) 2002-09-05 2002-09-05 Carry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425A KR100523347B1 (en) 2002-09-05 2002-09-05 Carry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599U Division KR200296869Y1 (en) 2002-09-05 2002-09-05 Carrying device for a carrying system
KR2020020026601U Division KR200296870Y1 (en) 2002-09-05 2002-09-05 Stacker for a carry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48A KR20040021848A (en) 2004-03-11
KR100523347B1 true KR100523347B1 (en) 2005-10-24

Family

ID=3732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25A KR100523347B1 (en) 2002-09-05 2002-09-05 Carry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3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8571A (en) * 2017-08-04 2017-12-22 芜湖市泰能电热器具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automatic arranging conveying rob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242A1 (en) * 2006-05-30 2007-12-06 Jae Hyung Jeon Automatic convey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CN111392299A (en) * 2019-09-19 2020-07-10 上海合益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Stacker and power arm mechanism thereof
CN113942854B (en) * 2021-11-02 2023-08-18 山东福尔有限公司 Safety device for unloading toxic, inflammable and explosive substan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8571A (en) * 2017-08-04 2017-12-22 芜湖市泰能电热器具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automatic arranging convey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848A (en)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55B2 (en) Board material loading / unloading shelf equipment
KR20210100081A (en)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and packag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s
JP4267742B2 (en) Ceiling transfer device and distribution line system using the same
EP0807482B1 (en) Combination tool changer and storage device for die cutter
JP5643804B2 (en) Board storage shelf
CN112124981A (en) Feeding device and feeding method thereof
CN111099376B (en) Bulk material four-gripper robot loa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523347B1 (en) Carrying system
CN213801957U (en) Feeding device
CN218200777U (en) Automatic logistics conveying line
JP3903796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WO2018207710A1 (en) Plate material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nd plate material processing machine using this manufacturing method
KR200296869Y1 (en) Carrying device for a carrying system
KR200296870Y1 (en) Stacker for a carrying system
JP4013556B2 (en) Article posture changing device
WO2014182168A1 (en) Crate stacker
KR100713251B1 (en) Automatic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CN114074852A (en) Cage car dress cage device and cage car dress cage system
KR102570672B1 (en) Transfer apparatus for polyethylene film fabric roll
KR100554971B1 (en) Automatic Device for Transportation and Loading of Strip
JP3864786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JP7340855B2 (en) Workpiece moving trolley
JP7128583B2 (en) Pallet carrier
KR910000497Y1 (en) Loading of unloading device for block
KR100979777B1 (en) Transporting apparatus for coil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