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527B1 -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527B1
KR100519527B1 KR10-2004-0007857A KR20040007857A KR100519527B1 KR 100519527 B1 KR100519527 B1 KR 100519527B1 KR 20040007857 A KR20040007857 A KR 20040007857A KR 100519527 B1 KR100519527 B1 KR 10051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utton
hinge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64A (ko
Inventor
네즈미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10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단일 성형품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의 편리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용기(5)의 주출구측에 장착되는 본체(1)와, 본체(1)에 볼록부(25) 및 오목부(15a)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2)와, 본체(1)과 덮개부(2)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본체의 외주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버튼부(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본체(1)의 외주 하측에 제 1 힌지(42)를 통해서 결합되며, 또한, 버튼부(3)의 기단측에 제 2 힌지(43)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응력흡수용 연결편(4)을 가지고 있다. 연결편(4)은, 버튼부(3)를 누름조작하여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버튼부(3)가 연결편(4)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에 동반하여 본체 외주에 접근하도록 작용한다.

Description

용기용 캡{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캡 중, 특히 용기에 장착되는 본체가 덮개부 및 이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누름조작용 버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용 캡에는, 도 7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측에 장착되고 덮개부를 누름조작용 버튼부에 의해서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있다. 즉, 도 7(a)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이 구조에서는, 용기측의 주출구측 외주에 장착되는 본체(50)와, 본체(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부(55)와, 본체(50)와 덮개부(55)의 사이에 개재되며 본체 외주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55)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버튼부(스프링 작용편)(5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본체(50)는 하측(51)이 용기 장착부이고, 그 상측이 내경을 좁게 한 작은 통형 개구(52) 및 외주측의 홈형상부(지지 기립판)(53)로 이루어진다. 홈형상부(53)에는 대향 내면에 오목부(54)가 형성되며 또 버튼부(57)가 하측 힌지(58)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버튼부(57)는 홈형상부(53)에 대응하는 판폭이며 중간 힌지(59)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55)는 버튼부(57)의 자유단측에 연결되며 기단 양측에 상기 오목부(54)에 대응한 볼록부(5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버튼부(57) 및 덮개부(55)는, 도면 좌측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성형형상으로부터 본체(50)측으로 접근된 후, 볼록부(56)를 오목부(54)에 끼워맞춤으로써 실선의 조립상태가 된다. 이 조립상태에 있어서, 버튼부(57)는 볼록부(56) 및 오목부(54)의 끼워맞춤부(회전지지부)와 하측 힌지(58)에 의해서 위치규제되고, 전체가 중간 힌지(59)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대략 〈형상을 이루면서 덮개부(55)는 개구(52)를 폐쇄한다. 버튼부(57)는 본체(50)측으로 눌리면 가상선과 같이 중간 힌지(59)에 의해서 반전되어 전체가 〉형상이 되고 홈형상부(53)내에 들어간다. 동시에, 덮개부(55)는, 볼록부(56) 및 오목부(54)의 걸어맞춤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측으로 비스듬하게 회동되어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도 7(b)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다. 이 구조에서도, 용기(70)의 주출구(71) 외주에 장착되는 본체(60)와, 본체(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부(65)와,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65)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버튼부(중간체)(6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본체(60)는, 상면(61)에 용기내로 연이어 통하는 개구(62)를 형성하고, 또 외주에 양 입벽에 의해서 구획된 홈형상부(63)를 형성하고 있다. 홈형상부(63)에는, 대향 내면에 오목부(64)가 형성되며 또한 버튼부(67)가 하측 힌지(68)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버튼부(67)는 홈형상부(63)에 대응하는 판폭이며 중간 힌지(69)를 형성하고 있다. 덮개부(65)는, 버튼부(67)의 자유단측에 연결되며, 기단측에 상기 오목부(64)에 대응한 볼록부(축핀)(66)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 65a는 덮개부 내면에 형성된 돌기이다. 그리고, 버튼부(67) 및 덮개부(65)는 상기의 예와 같이 볼록부(66)를 오목부(64)에 끼워맞춰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실선의 조립상태가 된다. 이 조립상태에 있어서, 버튼부(67)는 볼록부(66) 및 오목부(64)의 끼워맞춤부(회전지지부)와, 하측 힌지(68)에 의해서 위치규제되며 전체가 중간 힌지(69)를 통해서 대략 〈형상이 되고, 덮개부(65)는 상단면(61)에 겹쳐지며 돌기(65a)에 의해서 개구(62)를 폐쇄한다. 버튼부(67)는 본체(50)측으로 눌리면, 가상선과 같이 중간 힌지(69)에 의해서 반전되어 전체가 〉형상이 되어 홈형상부(63)내로 들어간다. 동시에, 덮개부(65)는, 볼록부(66) 및 오목부(64)를 지점으로 하여 상측으로 비스듬히 회동되어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고공보 소51-53952호 (제 1 도와 제 2 도)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1-172044호 (제 1 도∼제 3 도)
상기한 종래의 캡은, 모두 단일 성형품이기 때문에 양산화 하는 데 있어서 제조비를 억제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 구조에서는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버튼부를 누르는 힘이 필요이상으로 커져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나쁘다. 이것은, 버튼부를 본체측으로 누름으로써 덮개부를 회전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회동하는 구조에 있어서, 도 7(a)의 예로 설명하면, 버튼부(57)가 회전지지부(56,54)와 하측 힌지(58)에 의해서 위치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 힌지(59)를 통해서 실선 위치로부터 본체측의 가상선 위치로 반전하는 도중에 과잉의 부하가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개방조작에서는, 버튼부(57)가 회전지지부(56,54)와 하측 힌지(58)를 잇는 반전라인을 통과할 때의 과대한 힘을 받아서, 반전라인에서 최종 위치까지 급속하게 변위하기 때문에, 덮개부(55)가 개방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서부터 기세좋게 열려 위화감을 준다. 따라서, 품질상으로는, 버튼부를 가능한 한 일정한 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면 한다. 또 이상의 과잉의 부하는, 각 힌지 및 그 주변부에 변형이나 결함을 일으켜 파손요인이 된다.
둘째로, 상기 부하를 작게 하려면, 예를 들면, 도 7(a)의 경우는 덮개부의 회전지지부(56,54 등)를 우측에, 도 7(b)의 경우는 덮개부의 회전지지부(66,64 등)를 좌측으로 변경하면 나름대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덮개부가 개방각도가 작아져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손상하는 요인이 된다. 또 종래 구조에서는, 덮개부의 최대 개방각도가 기껏해야 90도 전후이기 때문에 용도적인 제약을 받기도 한다. 이 개방각도는, 캡이 본체·덮개부·버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관계에서 나오는 것으로, 개방각도를 크게 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덮개부·버튼부가 단일 성형품이라는 이점을 유지하면서 이상과 같은 과제를 전부 해소하고, 쓰기에 편리 함 및 품질을 향상하거나, 덮개부가 개방각도를 보다 크게 설정 용이로 용도 확대를 꾀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면의 예로 특정하면, 용기(5)의 주출구측에 장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볼록부(25) 및 오목부(15a)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2)와, 상기 본체(1)와 상기 덮개부(2)의 사이에 개재되며 본체 외주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버튼부(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외주의 하측에 제 1 힌지(42)를 통해서 결합되고, 또한, 상기 버튼부(3)의 기단측에 제 2 힌지(43)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응력흡수용 연결편(4)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버튼부(3)를 누름조작하여 상기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버튼부(3)가 상기 연결편(4)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을 동반하여 상기 본체 외주에 접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요부설명) 본 발명에서 고심한 점은 특히 과잉 또는 과대한 부하를 응력흡수용 연결편에 의해서 완화한 것에 있다. 즉, 이 구조에서는, 버튼부를 본체에 연결편을 통해서 결합하는 동시에, 본체와 연결편의 사이 및 연결편과 버튼부의 사이를 제 1 힌지, 제 2 힌지(얇은 힌지)를 통해서 각각 접속함으로써 누름조작에 의해서 버튼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연결편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으로 완화흡수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누르는 힘을 작게 하거나, 종래와 같은 덮개부의 급격한 회전을 없애거나 하여, 최초부터 최후까지 거의 일정한 힘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버튼부가 과잉한 부하를 받지 않기 때문에 힌지 및 그 주변부의 파손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와 같이 전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청구항 2는, 상기 본체가 상기 버튼부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홈부를 외주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연결편이 상기 홈부내에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힌지를 통해서 상기 본체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대략 수평형상의 기단부 및 이 기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힌지를 통해서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있는 대략 경사형상의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본체측의 홈부구성 및 연결편의 배치구성에 의해서 외관의 특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형상고안에 의해서 연결편의 요동에 의한 부하흡수작용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3은,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끼워맞춤개소에 대응접근하여 형성된 제 3 힌지와, 상기 제 3 힌지보다 약간 하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의 상측 외면을 누름용 만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하여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 3 힌지에 의해서 덮개부의 개방각도를 크게 하거나, 돌출부 및 만곡면의 존재에 의해서 작은 힘으로 누름조작하기 쉽게 한다.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5는, 상기 본체는 상기 오목부를 부설한 쌍을 이루는 돌편과 단차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상단면에 가짐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해제되는 내측의 패임부와, 상기 돌편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를 공간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슬릿을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덮개부의 배치 및 회전지지구성으로 인하여 회동각이 규제되기 어렵게 하여, 종래에 비해서 외관특성, 덮개장착성 등을 향상시키고, 덮개부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데 있어서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호적한 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a),(b)는 용기용 캡을 덮개부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로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이다. 도 2는 덮개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며, 2(a)는 상면도, 2(b)는 정면도, 2(c)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작동도로서, 3(a)는 덮개부의 폐쇄상태에서의 단면도, 3(b)는 덮개부가 반전라인 부근까지 회전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3(c)는 덮개부가 최대까지 회전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용기용 캡의 성형상태를 나타내는 전개도로서, 도 4(a)는 상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는 하면도, 도 5(a)는 하측의 일부를 파단한 좌측면도, 도 5(b)는 우측면도, 도 5(c)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6(a)는 도 5의 B부 확대도, 도 6(b)는 도 5의 C부 확대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 후,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서 유용성을 명확히 한다.
(구조) 형태의 용기용 캡은, 수지의 사출성형품이며, 용기(5)의 주출구(5a)측에 장착되는 본체(1)와,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2)와, 본체(1)과 덮개부(2)의 사이에 개재되며 본체 외주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조작용 버튼부(3) 및 응력흡수용 연결편(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 용기(5)는, 식품, 약품, 화장품 등의 액체, 분체(粉體)나 입상의 물질을 넣는 것이면 되고, 용도 및 재질적인 제약은 특별히 없다. 또 주출구(5a)는 본체(1)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본체(1)는, 통형상 외주(10)의 내측에 한둘레 작은 내측통(11)을 가지며, 외주(10)의 상측 전체 및 내측통(11)의 상측의 일부가 상단면(12)에 의해서 닫혀져 있고, 또 상단면(12)으로부터 외주(10)의 일부를 결여시킨 상태로 세로형의 홈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내측통(11)은, 외주(10)보다 짧고, 하단 내주에 돌출한 걸림돌조(11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돌조(11a)는, 도 3과 같이 내측통(11)에 끼워 넣어지는 용기 주입구(5a)를 형성하고 있는 통부분의 대응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본체(1)를 용기(5)에 장착가능하게 한다. 상단면(12)에는, 하면에 돌출형성된 링형상의 소통부(13)와,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소통부(13)내로 통하고 있는 소통부(14)와, 편측에 위치하며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세워져 형성된 쌍을 이루는 돌편(15,15)과, 돌편(15)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편부(16)와, 외주 상측을 1단 낮게 한 걸어맞춤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소통부(13)는, 용기 주출구(5a)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를 용기(5)에 대해서 위치규제 가능하게 한다. 소통부(14)는,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장물을 주출구(5a)로부터 외부로 유출시키는 개구(14a)를 형성하고 있다. 양 돌편(15)은, 상단면(12) 중, 홈부(18)의 양측에 위치하며, 소통부(14)보다 약간 높게 되어 있다. 각 돌편(15)에는, 동축 선상으로 관통된 축구멍용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7)는, 상단면(12)의 외주측, 즉 양 돌편(15) 사이의 부분을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홈부(18)는, 돌편(15)과 돌편(15)간의 상단면(12)을 결여시키고, 결여폭으로 외주(10)의 대응부를 잘라낸 것이며, 또한 깊이가 상기 내측통(11)의 외면부근에 도달해 있다. 이 홈형상은, 도 5와 같이 양측벽이 외주(10)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형성된 측면에 의해서 구획되고, 저벽이 내측통(11)의 일부에 접속된 평탄면에 의해서 구획되며,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단면이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부호 19는, 외주(10)의 상단부분을 약간 잘라낸 안내부로서, 덮개부(2)를 걸어맞춤해제할 때 조작하기 쉽도록 하는 개소이다. 단, 이 안내부(19)는 생략해도 된다.
상기 덮개부(2)는, 본체(1)의 상측과 거의 같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형의 캡형상을 이루며, 본체(1)의 상측 전체를 덮어서 폐쇄상태가 되고, 이 폐쇄상태에서 내측의 패임부(20)(패임부의 내경)가 걸어맞춤부(17)와 걸어맞춤된다. 덮개부(2)의 외면에는, 상기 돌편(15)에 대응한 쌍을 이루는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24)은, 돌편(15)을 헐겁게 끼우는 홈폭이며, 내측공간으로 볼록부(25)를 돌출시키고 있다. 덮개부(2)의 내면측에 있어서, 패임부(20)는, 원호상의 주위벽(21)과, 주위벽(21)에 양측을 접속하고 또한 슬릿(24)에 대응하여 형성된 대략 ㄷ자형상의 내벽(리브)(22)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슬릿(24)은 내벽(22)의 양변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25)는, 덮개부 내면에 돌출되며 내벽(22)보다 낮은 리브(23)의 외면(ㄷ자형 리브(23)의 양변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부호 26은 패임부(20) 내에 형성된 돌출부이고, 부호 27은 주위벽(21)에 있어서 안내부(19)에 대응한 가장자리부에 돌출형성된 걸어맞춤해제용 돌부이다. 돌출부(26)는 덮개부(2)의 폐쇄상태에서, 소통부(14) 내에 삽입되어 개구(14a)를 봉할 수 있게 한다. 돌부(27)는, 손가락 등을 대고 덮개부(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걸어맞춤부(17)와 패임부(20)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 이용된다.
상기 버튼부(3)는, 상기 홈부(18)에 대략 수납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외면(30)이 양측벽을 가지며, 내면(31)이 상기 양측벽의 존재에 의해서 상측부분에 구획된 대략 오목형상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된 리브(32)를 가지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버튼부(3)의 길이는, 상기 돌편(15)의 오목부(15a)와 내측통(11)의 하단 과의 사이의 칫수와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외면(30)은, 도 2와 같이 외측으로 팽출된 돌출부(33)를 상측에 형성하고, 돌출부(33)에서부터 기단 또는 하단측인 하측외면(33b)이 매끄러운 경사면이고, 돌출부(33)에서부터 선단 또는 상단측인 상측외면(33a)이 손을 대고 누르기 위한 누름용 만곡면 또는 예각인 경사면이 되어 있다. 상측외면(33a)에는 소 리브(3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 소리브(34)는, 손가락을 댔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이지만, 기능적으로 생략해도 상관없다. 그리고, 버튼부(3)는, 상단측이 덮개부(2)에 있어서의 ㄷ자형 리브(23)의 중간 윗가장자리에 대해서 얇은 힌지(35)를 통해서 굴곡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얇은 힌지(35)는, 덮개부(2)를 본체(1)에 조립한 상태에서, 볼록부(25)에 대해서 접근(1.5∼3.Omm내로 접근하도록)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연결편(4)은, 본체(1)와 버튼부(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도 6(a)와 같이 본체(1)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대략 수평형상의 기단부(40)와, 이 기단부(40)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경사형상의 선단부(41)로 이루어지며, 전체가 홈부(18)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기단부(40)는, 본체(1)의 내측통(11) 하단측 내지는 홈부(18)의 저벽 하단측에 대해서 얇은 힌지(42)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선단부(41)는, 기단부(40)와 아울러 대략 へ형상을 형성하고 있고, 버튼부(3)의 기단에 대해서 얇은 힌지(43)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편(4)은, 버튼부(3)를 누름조작해서 덮개부(2)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버튼부(3)가 연결편(4)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을 따라서 본체(1)의 외주를 형성하고 있는 홈부(18)의 저벽에 접근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설계상으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기단부(40) 및 선단부(41)에는, 버튼부(3)와 같이 소정의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얇은 힌지(42)에는, 연결편(4)의 전체를 소정각만큼 굴곡가능하게 하는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다. 환언하면, 이 얇은 힌지(42)는, 예를 들면, 연결편(4)을 본체(1)측으로 굴곡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에 대해서, 얇은 힌지(43)는, 굴곡성 또는 탄성력이 얇은 힌지(42)보다 크게 부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얇은 힌지(43)는, 도 3(a) 및 (c)로부터 추찰되는 바와 같이, 연결편(4)의 선단부(41)와 버튼부(3)의 기단측과의 사이의 각도를 가변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조립 및 작동) 이상의 용기용 캡은, 도 4 및 도 5의 전개상태에서 틀성형되며, 성형후에 사용상태로 조립된다. 조립요령은, 덮개부(2)를 본체(1)의 상측에 접근시킨 후, 본체(1)측의 각 돌편(15)을 대응하는 덮개부측 슬릿(24)에 각각 삽입한다. 그 삽입조작에서는, 예를 들면, 각 슬릿(24)에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25)를 돌편(15)의 배면에 위치시키고, 볼록부(25)가 오목부(15a)에 들어가도록 강제적으로 덮개부(2)를 양 돌편(15)사이로 누른다. 그러면, 각 볼록부(25)는, 돌편(15)과 돌편(15) 사이를 탄성적으로 넓히고, 대응하는 오목부(15a)와 일치하였을 때 오목부(15a)와 끼워맞춤된다. 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덮개부(2)는, 본체(1)에 대해서 볼록부(25)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상의 조립상태에 있어서, 덮개부(2)는, 본체 상단면(12)측으로 눌리면, 도 1(a) 및 도 3(a)와 같이 패임부(20)의 내경이 상단면(12)의 걸어맞춤부(17)에 걸어맞춤된 덮개폐쇄상태 또는 덮개걸림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돌출부(26)가 소통부(14)내에 삽입되어 개구(14a)를 막고 있다. 버튼부(3)는, 본체 외주(10)의 홈부(18)내로부터 돌출부(33) 및 그 상하부분이 돌출하고 있다. 덮개부(2)는, 돌기(27)를 위로 밀어서 걸어맞춤부(17)에 대한 패임부(20)의 걸림을 해제하고, 그 후, 버튼부(3)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볼록부(25)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되어 도 1(b)및 도 3(c)의 덮개개방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용기(5)에 장착된 사용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덮개부(2)를 본체(1)에 대해서 비걸림상태, 즉 상단면(12)을 덮개부(2)에 의해서 거의 덮은 상태로 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패임부(20)를 걸어맞춤부(17)에 걸림 내지는 걸어맞춤시키기도 한다. 또, 덮개부(2)를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하는 경우는, 종래와 같이, 덮개부(2)를 본체 상단면(12) 측으로 눌러서, 볼록부(25)를 지점으로서 회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형태에서는, 버튼부(3)가 걸어맞춤부(17) 및 패임부(20)의 걸림해제상태에서 본체(1)의 홈부(18)내로 누름조작되면, 덮개부(2)가 볼록부(25)를 지점으로 하여 개방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개방작동에서는, 우선, 버튼부(3)가 홈부(18) 내로 눌려서 도 3(b)의 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 있어서, 연결편(4)의 하측으로의 요동을 동반하여 수 미리 하측으로 이동한 후, 도 3(c)의 최종 압입에 도달하는 사이에 본래의 위치까지 되돌아온다. 이 최종 압입위치에서는, 버튼부(3)가 홈부(18)의 저면에 닿아서 그 이상의 압입이 규제된다. 덮개부(2)는, 버튼부(3)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볼록부(25)를 지점으로 하여, 또한, 얇은 힌지(35)를 굴곡하면서 개방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구조에서는, 이상의 덮개개방작동에 있어서, 버튼부(3)가 연결편(4)의 요동에 동반하는 하측이동에 의해서 비교적 약한 힘으로 최종위치까지 변위된다. 그 이유는, 예를 들면, 상기한 종래품(반전라인이 고정된 구성)에 반해서, 반전 라인이 연결편(4)의 요동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며, 반전라인을 약한 부하에 의해서 통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다.
따라서, 이 용기용 캡에서는, 종래품보다 약한 힘으로 덮개개방조작을 할 수 있고(최초에서부터 최후까지 거의 일정한 힘으로 덮개개방조작을 할 수 있는 것과 같음), 또한, 덮개개방상태에서 덮개부(2)가 폐쇄방향으로 부주의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소정의 유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최대로 누르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버튼부를 큰 힘으로 누르는 것에 기인한 덮개부의 급속 회동, 그에 기인한 위화감을 해소하거나, 각 얇은 힌지(35나 43) 등에 가해지는 부하, 그에 기인한 파손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도 3(c)의 덮개부(2)의 최대 개방각도가 약 125도로서, 종래품보다 크게 열 수 있다. 이 개방각도는, 종래에도 덮개부의 회전지지부 즉 볼록부와 오목부의 설정개소에 의해서 다소 변경가능하지만,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본체(1)의 평탄형상의 상단면(12)에 오목부(15a)를 가지는 돌편(15)을 설정하고, 덮개부(2)에 그 돌편(15)을 받아들이는 볼록부(25)를 가지는 슬릿(24)을 설정, 즉 덮개부(2)의 회전지지구성 및 버튼부(3)의 배치구성에 의해서 덮개부(2)의 회동각이 최대한 규제되지 않도록 연구하며, 동시에, 덮개부(2)와 버튼부(3)간의 얇은 힌지(35)를 볼록부(25) 및 오목부(15a)에 접근시킴과 아울러 버튼부(3)가 상기한 연결편(4)의 요동을 동반하여 하측이동되도록 연구하였기 때문에, 종래품에 비해, 외관특성, 덮개장착성, 본체측 개구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면서, 덮개부의 개방각을 훨씬 크게 하여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특정한 요건을 제외하고 여러가지 변형가능한 것이다. 일례로서, 본체의 내부구성을 변경하거나 용기에의 장착구조를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 볼록부를 본체측에 형성하고 오목부를 덮개부측에 형성하는 것 등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발명에 관한 용기용 캡은, 본체·덮개부·버튼부가 단일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누름조작에 의해서 버튼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연결편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해서 완화흡수한다. 이 결과, 종래품에 비해,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의 누르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고, 최초에서부터 최후까지 거의 일정한 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과제로 들었던 바와 같은 과잉의 부하를 잘 받지 않게 하였기 때문에 힌지 및 그 주변부의 파손의 우려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와 같이 구성하면, 종래품에 비해, 외관특성 등을 향상시키면서, 덮개부의 개방각을 크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적용상의 제약을 없애 용도도 확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형태의 캡을 덮개부를 개폐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상기 캡의 세부를 덮개폐쇄상태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상기 캡의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단면도
도 4는 상기 캡을 성형상태에서 나타내는 전개도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캡의 전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요부 구성도
도 7은 종래 캡의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10:외주, 11:내측통, 12:상단면, 14a:개구)
2 - 덮개부(20:패임부, 21,22:주위벽, 26:돌출부)
3 - 버튼부(30:외면, 32:리브, 33:돌출부, 33a:상측 외면)
4 - 연결편(40:대략 수평형상의 기단부, 41:대략 경사형상의 선단부)
15 - 돌편(15a:오목부)
24 - 슬릿(25:볼록부)
35 - 얇은 힌지(제 3 힌지)
42 - 얇은 힌지(제 1 힌지)
43 - 얇은 힌지(제 2 힌지)

Claims (5)

  1. 용기의 주출구측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볼록부 및 오목부의 끼워맞춤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본체 외주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버튼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용기용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 하측에 제 1 힌지를 통해서 결합되고, 또한, 상기 버튼부의 기단측에 제 2 힌지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는 응력흡수용 연결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버튼부를 누름조작하여 상기 덮개부를 개방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버튼부가 상기 연결편의 하측방향으로의 요동을 동반하여 상기 본체 외주에 접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버튼부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는 홈부를 외주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연결편이, 상기 홈부내에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힌지를 통해서 상기 본체측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하는 대략 수평형상의 기단부 및 이 기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힌지를 통해서 상기 버튼부에 결합되어 있는 대략 경사형상의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용기용 캡.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의 걸어맞춤개소에 대응접근하여 형성된 제 3 힌지와, 상기 제 3 힌지보다 약간 하측에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의 상측 외면을 손을 대고 누르기 위한 누름용 만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하여 형성하고 있는 용기용 캡.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오목부를 부설한 쌍을 이루는 돌편과, 단차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상단면에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되는 내측의 패임부와, 상기 돌편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를 공간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슬릿을 가지고 있는 용기용 캡.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오목부를 부설한 쌍을 이루는 돌편과, 단차형상의 걸어맞춤부를 상단면에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및 걸어맞춤 해제되는 내측의 패임부와, 상기 돌편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볼록부를 공간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슬릿을 가지고 있는 용기용 캡.
KR10-2004-0007857A 2003-05-19 2004-02-06 용기용 캡 KR100519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9720 2003-05-19
JP2003139720A JP4309696B2 (ja) 2003-05-19 2003-05-19 容器用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64A KR20040100864A (ko) 2004-12-02
KR100519527B1 true KR100519527B1 (ko) 2005-10-05

Family

ID=335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857A KR100519527B1 (ko) 2003-05-19 2004-02-06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309696B2 (ko)
KR (1) KR100519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4986B2 (ja) * 2006-05-31 2011-10-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自動開蓋する蓋板付きキャップ
KR200476920Y1 (ko) * 2013-03-27 2015-04-16 허성범 포장용 용기 뚜껑
KR101839611B1 (ko) * 2015-03-27 2018-03-16 (주)연우 원터치캡
CN108483047B (zh) * 2018-03-22 2023-08-29 厦门积硕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挡片开合的气动传输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09696B2 (ja) 2009-08-05
JP2004338780A (ja) 2004-12-02
KR20040100864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0792B2 (en) Self-opening cap mechanism
JP4159235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03312699A (ja) 容 器
WO2003018422A1 (fr) Capsule de surete et recipient a capsule de surete
JP2002306234A (ja) 気密容器
WO2006020781B1 (en) Container with lid prop and/or lid latch
CN102803089A (zh) 盖和具有盖的容器
EP3453429A1 (en) Folder-type cosmetic container
KR100519527B1 (ko) 용기용 캡
JP2001511098A (ja) 係合解除圧縮部材をもつスナップ作動閉鎖部材
JP4680452B2 (ja) 扉用シャッター
KR102420814B1 (ko) 리드 탄지 구조
JP5856369B2 (ja) ヒンジキャップのヒンジ構造
KR100486945B1 (ko) 화장용기밀콤팩트용기
KR200497613Y1 (ko) 화장품 용기
JP3609253B2 (ja) スプリングヒンジキャップ
CN220512387U (zh) 化妆品容器
KR20210006668A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CN218840368U (zh) 一种收纳罐
KR200270553Y1 (ko) 샤프심 수납케이스
JP4191474B2 (ja) 気密コンパクト
CN212291384U (zh) 垃圾桶
CN212771568U (zh) 一种洗衣机
KR200456656Y1 (ko) 회전식 콤팩트용기
JP4700199B2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