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167B1 -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 Google Patents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167B1
KR100519167B1 KR10-2002-0084993A KR20020084993A KR100519167B1 KR 100519167 B1 KR100519167 B1 KR 100519167B1 KR 20020084993 A KR20020084993 A KR 20020084993A KR 100519167 B1 KR100519167 B1 KR 10051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
line
control unit
li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640A (ko
Inventor
이태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91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7Fault tolerance and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노드로 구성된 넌블럭킹 교환시스템에서 제어부와 스위치, 상기 제어부와 스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를 이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에 동시에 전송하고,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지정하는 선로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를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에 동시에 전송하는 신호 선택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어부, 스위치, 선로 모두에 대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며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인 이중화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Apparatus for Duplicating of ATM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멀티 노드로 구성된 넌블럭킹 교환시스템에서 제어부와 스위치, 제어부와 스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를 이중화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노드 대용량의 제어부간에 연결을 위해 ATM카드를 이용하여 ATM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 제어부간 연결을 ATM으로 할 경우에는 비교적 소형의 모듈로 대용량의 채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를 이중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위치를 이중화하는 이중화 시스템은 제어부(100, 101, 102)와 스위치(110a, 110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10a, 110b)는 제 1시스템의 A면 스위치(110a)와 제 2시스템의 B면 스위치(110b)로 이중화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A면 스위치(110a)로 동작하던 중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B면 스위치(110b)로 절체되고, 제어부(100, 101, 102)는 선로를 절체한다.
도 2는 종래의 INI카드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NI카드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은 제어부(200, 201, 202), 스위치(210), INI카드(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위치가 동작중에 이상이 발생하면, 모든 제어부(200, 201, 202)가 INI 카드(220)를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전환한다.
도 3은 종래의 교환 시스템을 이중화한 경우의 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 시스템을 이중화한 경우의 교환기는 제 1시스템인 주시스템(300A)과 제 2 시스템인 부시스템(300B)으로 이중화되어 있다. 따라서, 주 시스템(300A)의 제어부(300a), 스위치(310a), 선로중 적어도 하나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부 시스템(300B)으로 절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만의 이중화는 제어부와 선로의 이중화는 고려되어 있지 않고, 스위치 절체시 제어부간의 선로 절체 시점 동기화에 대한 문제가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회경로를 이용한 이중화는 제어부와 선로의 이중화는 고려되어 있지 않고, INI 카드를 이용한 우회 경로를 전환하는 경우, 제어부간의 우회 경로 전환 시점 동기화에 대한 문제가 고려되어 있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의 이중화는 제어부, 스위치, 선로중에서 어느 것 하나라도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 전체가 절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노드로 구성된 넌블럭킹 교환시스템에서 제어부와 스위치, 제어부와 스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를 이중화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 노드로 구성된 넌블럭킹 교환시스템에서 제어부와 스위치, 상기 제어부와 스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를 이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에 동시에 전송하고,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지정하는 선로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를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에 동시에 전송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는 A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B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제어신호이다.
상기 신호 선택부는 제 1시스템의 A면 송신 신호와 제 2 시스템의 B면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송신 신호 선택부, 제 1시스템의 A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와 제 2 시스템의 B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 이중화된 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상태값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신 신호 선택부,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송신 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A링크 선로 드라이버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에 전송하는 송신 신호 이중화부,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수신 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제 1시스템의 A면과 제 2 시스템의 B면 제어부/스위치로 전송하는 수신 신호 이중화부,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변조한 후, A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A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A링크 선로 드라이버,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변조한 후, B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B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B링크 라인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TM 스위치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TM 스위치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는 제 1시스템에 관련된 A면 제어부(400a, 401a, 402a), 제 2 시스템에 관련된 B면 제어부(400b, 401b, 402b), 상기 각 시스템에 관련된 A면 스위치(410a), B면 스위치(410b), A링크 선로, B링크 선로, 제어부 접속 신호 선택부(420, 421, 422),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접속 신호 선택부(420, 421, 422)는 제 1시스템의 A면 제어부(400a, 401a, 402a)와 제 2시스템의 B면 제어부(400b, 401b, 402b)로부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A면 제어부(400a, 401a, 402a)로부터 전송된 활성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즉, 상기 제어부 접속 신호 선택부(420, 421, 422)는 상기 활성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활성 상태인 제어부의 송신 신호를 선택한다. 그런다음 상기 제어부 접속 신호 선택부(420, 421, 422)는 상기 선택된 송신 신호를 이중화하여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를 통하여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에 전송한다.
상기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는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신호 선택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A링크와 B링크를 통하여 수신한다.
그런다음 상기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는 상기 A링크와 B링크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 중 하나를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의 출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서 선택한다. 여기서, 수신 선호 선택 신호 제어부는 제 1시스템의 A면 스위치(410a)와 제 2시스템의 B면 스위치(410b)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중 하나를 A면 스위치(410a)로부터 전송된 활성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한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는 A면 스위치(410a)와 B면 스위치(410b)중 현재 활성 상태인 스위치로부터 전송된 수신 선로 선택 신호에 의거하여 A링크와 B링크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는 상기 선택된 수신 신호를 이중화하여 A면 스위치(410a)와 B면 스위치(410b)에 모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A면 스위치(410a)와 상기 B면 스위치(410b)는 상기 전송된 신호를 스위치한 후에 수신측 제어부와 대응하는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430, 431, 432)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선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신호 선택부는 제어부에 접속되든, 스위치에 접속되는지에 상관없이 동일하 구조를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선택부는 송신 신호 선택부(500),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510), 수신 신호 선택부(520),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 수신 신호 이중화부(540),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500)는 제 1시스템 A면 송신 신호와 제 2시스템 B면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510)는 제 1시스템의 A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와 제 2시스템의 B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520)는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를 각각 입력 받아서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510)에서 출력된 신호의 상태값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520)는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선택부(510)에서 A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선택부(510)에서 B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는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500)에서 선택된 송신 신호를 두개의 똑같은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에 전송한다.
상기 수신 신호 이중화부(540)는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520)에서 선택된 수신 신호를 두개의 똑같은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A면과 B면 제어부 또는 스위치로 전송한다.
상기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는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선로를 통해 전송하기에 합당한 신호로 변조한 후, A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A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상기 B링크 라인 드라이버(560)는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선로를 통해 전송하기에 합당한 신호로 변조한 후, B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B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호 선택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신호 선택부(500)는 A면 제어부/스위치가 활성 상태이면, A면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하고, 반대로, B면 제어부/스위치가 활성 상태이면, B면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50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에 전송된다.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는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5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중화하여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에 전송한다.
상기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는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로터 전송된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에 각각 출력한다.
예를들어, A면 제어부/스위치가 활성상태라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 신호 선택부(500)는 A면 활성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된 A면 송신 신호와 B면 송신 신호중에서 A면 송신 신호를 선택한다. 그런다음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500)는 상기 선택된 A면 송신 신호를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에 전송한다.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530)는 상기 전송된 A면 송신 신호를 복제하여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는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되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신호 선택부(520)에 전송한다.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520)는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510)로부터 전송된 수신 선로 선택 신호의 상태값에 따라 상기 A링크 선로 드라이버(550)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560)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 신호 이중화부(54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는 A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B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제어신호이다.
그런데,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 각각을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동일한 신호이다. 왜냐하면,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를 통해 연결된 상대측 신호 선택부에서 A링크 선로, B링크 선로 각각에 출력하는 송신 신호가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신 신호 선택 신호는 상태가 양호한 선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 신호 이중화부(540)는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520)에서 전송된 수신 신호를 두개의 똑같은 신호로 복제한 후, A면과 B면의 제어부/스위치에 전송한다. 즉, A면과 B면 제어부/스위치부는 항상 동일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선택부는 A면과 B면의 제어부/스위치 중 현재 활성 상태인 면의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A링크 선로와 B링크 선로에 동시에 전송한다.
또한, 신호 선택부는 A면과 B면의 제어부/스위치 중 현재 활성 상태인 면의 제어부/스위치의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지정하는 선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A면과 B면의 제어부/스위치에 동시에 출력한다.
상기와 구성된 시스템에 대하여 이중화 운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임의의 노드의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활성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대편 제어부가 활성 상태가 된다. 이 동작은 해당 노드에서만 일어난다.
또한,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활성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태편 스위치가 활성 상태가 된다. 이 동작은 해당 스위치에서만 일어난다.
또한, 임의의 노드에 대하여 선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노드의 제어부와 스위치는 수신 선로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반대편 선로를 선택한다. 이 동작 역시 해당 노드에 대해서만 일어난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하면, 제어부, 스위치, 선로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인 이중화 운용이 가능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 스위치, 선로 모두에 대하여 이중화가 가능하며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인 이중화 운용이 가능한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를 이중화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INI카드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교환 시스템을 이중화한 경우의 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TM 스위치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선택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102, 200, 201, 202, 300, 400 : 제어부
110, 210, 310, 410 : 스위치 220 : INI 카드
420 : 제어부 접속 신호 선택부 430 : 스위치 접속 신호 선택부
500 : 송신 신호 선택부 510 :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
520 : 수신 신호 선택부 530 : 송신 신호 이중화부
540 : 수신 신호 이중화부 550 : A링크 라인 드라이버
560 : B링크 라인 드라이버

Claims (3)

  1. 멀티 노드로 구성된 넌블럭킹 교환시스템에서 제어부와 스위치, 상기 제어부와 스위치를 상호 연결하는 선로를 이중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송신 신호를 제 1시스템의 A링크 선로와 제 2 시스템의 B링크 선로에 동시에 전송하고,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중 현재 활성 상태인 제어부/스위치의 수신 선로 선택 신호가 지정하는 선로로부터 전송된 수신 신호를 이중화된 제어부/스위치에 동시에 전송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는 A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와, B링크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지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부는 제 1시스템에 관련된 A면 송신 신호와 제 2 시스템에 관련된 B면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송신 신호 선택부;
    제 1시스템에 관련된 A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와, 제 2시스템에 관련된 B면 수신 선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 상태 정보에 따라 두 입력 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
    이중화된 선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상기 수신 선로 선택 신호 제어부에서 출력된 신호의 상태값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수신 신호 선택부;
    상기 송신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송신 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A링크 선로 드라이버와 B링크 선로 드라이버에 전송하는 송신 신호 이중화부;
    상기 수신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수신 신호를 두개의 신호로 복제하여 각각을 제 1시스템의 A면과 제 2시스템의 B면 제어부/스위치로 전송하는 수신 신호 이중화부;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변조한 후, A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A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A링크 선로 드라이버;및
    상기 송신 신호 이중화부로부터 송신 신호를 입력받아서 변조한 후, B링크 선로로 출력하며, 역으로 B링크 선로를 통해서 입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B링크 라인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KR10-2002-0084993A 2002-12-27 2002-12-27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KR10051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93A KR100519167B1 (ko) 2002-12-27 2002-12-27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993A KR100519167B1 (ko) 2002-12-27 2002-12-27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40A KR20040058640A (ko) 2004-07-05
KR100519167B1 true KR100519167B1 (ko) 2005-10-05

Family

ID=3735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993A KR100519167B1 (ko) 2002-12-27 2002-12-27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1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640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167B1 (ko)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장치
JP2001326654A (ja) Ponのプロテクション切替方法および切替装置
JPH09247766A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30047520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 내 보드간의 이중화 구조 및 그운용 방법
JP3149047B2 (ja) 二重化データ処理装置
JPS60169255A (ja) 2重化ル−プ通信システム
US7075888B1 (en) Method for operating interface modules in an ATM communications device
JP3059002B2 (ja) ルート切替装置
JPH10276205A (ja) Atm通信ネットワークの二重化方式
JPH06164613A (ja) 光ループネットワーク
JP3175583B2 (ja) 二重化バス変換器
JPH04294660A (ja) 光加入者装置監視方式
JPH1023482A (ja) 交換システム及びその二重化方法
JPS59190755A (ja) 通信路二重化システム
CN117439628A (zh) 一种通信终端设备
KR20030026742A (ko) 송수신 이중화 장치
KR20020078165A (ko) 통신시스템의 최적화 정보 전송장치
JPH0621927A (ja) データ伝送方式
KR20030041279A (ko) 네트워크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JPH01264334A (ja) 伝送路制御装置
JPH11275063A (ja) デジタル伝送装置
JPH0653981A (ja) 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用送受信器
JPH11266275A (ja) 通信システムの冗長化方式
JPS61236296A (ja) 分散制御形時分割交換機
JPH014578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