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755B1 -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755B1
KR100518755B1 KR10-2001-0064685A KR20010064685A KR100518755B1 KR 100518755 B1 KR100518755 B1 KR 100518755B1 KR 20010064685 A KR20010064685 A KR 20010064685A KR 100518755 B1 KR100518755 B1 KR 10051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crap
recess
protrusion
driv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238A (ko
Inventor
황보정만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7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박 스크랩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돌출부(10)와 오목부(11)를 가지는 구동롤(12)과; 상기 구동롤(1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구동롤(12)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12)의 돌출부(10)가 오목부(21)에 끼워지고, 구동롤(12)의 오목부(11)가 돌출부(20)에 끼워지도록 구동롤(12)과 접하는 종동롤(22)과; 상기 종동롤(22)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랩 박스(7)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0, 20)와 오목부(11, 21)는 원주상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스크랩 박스(7)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A handling device for fine foil scrap}
본 발명은 극박 스크랩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박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 내부에 균일하게 적재되도록 하는 극박 스크랩 처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공정에서는 연속 소둔공정에서 코일을 받아서 스트립으로 풀어낸 다음 스트립의 표면형상 다듬질과 곡율반경을 레벨링(leveling)한 다음, 사이드 트리머에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스트립의 폭 양단을 절단하여 텐션릴에서 스트립을 코일로 재권취하여 최종제품으로 생산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정식으로 제품화되지 못한 극박 스크랩 코일은 도1에 도시한 장치에 의해 스크랩 박스(7) 내에 수합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되풀기 릴(1)에 감겨있는 스크랩 코일(2)을 구동롤(3)에 의해 풀면서 전진시킨 후 유동나이프(4) 및 고정나이프(5)에 의해 일정 길이만큼 절단시켜서, 스크랩 박스(7)에 수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처리방법은 상기 스크랩이 극박이고 탄성이 없으므로, 쉽게 쳐지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하게 쌓이지 못하고, 도중부가 꺾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자주 스크랩 박스(7)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스크랩 박스(7)의 주위에서 직접 꺾임부가 발행하는 경우 파이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유도하여 왔으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비능률적이어서 생산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풀려나온 극박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 내에 수합되기 전에 스크랩의 표면에 접힘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극박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 내에 균일하게 수합될 수 있도록 하는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구동롤과; 상기 구동롤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구동롤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의 돌출부가 오목부에 끼워지고, 구동롤의 오목부가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구동롤과 접하는 종동롤과; 상기 종동롤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랩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는 원주상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스크랩 박스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은 종동롤과 접하고 있으므로, 구동롤이 회전하면 마찰력에 의해 종동롤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구동롤과 종동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구동롤의 오목부에 종동롤의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서로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목부와 돌출부의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지만, 다수의 오목부와 돌출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의 개수와 돌출부의 개수가 동일하여야 하며, 구동롤의 돌출부가 종동롤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롤의 원주상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오목부의 주위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돌출부가 오목부에 보다 부드럽게 끼워지도록 오목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롤 전체를 탄성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고, 오목부의 주위에만 탄성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도면에서 왼쪽에 구동롤(12)이 위치하고 그 측면에 종동롤(22)이 접하고 있다. 상기 구동롤(12)과 종동롤(22)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두개씩의 돌출부(10, 20) 및 오목부(11, 21)를 가지고 있다. 즉, 구동롤(12)의 외주부에는 원주상에서 서로 90도 간격을 두고 오목부(11)와 돌출부(10)가 교대로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돌출부(10)와 오목부(11)를 각각 3개씩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원주상에서 각각 60도의 간격을 두고 위치시켜야 한다.
상기 오목부(11)와 돌출부(10)는 구동롤(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목부(11)와 돌출부(10)간의 거리는 극박 스크랩이 접히는 길이를 결정하므로, 스크랩 박스(7)의 폭보다 크지 않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오목부(11)는 롤의 일부에 탄성재질인 고무(13)를 삽입하고, 고무의 표면에 오목부(11)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0)가 삽입되는 경우에 오목부(11)를 약간 누르면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동롤(22)의 하부에는 스크랩 박스(7)가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랩 코일로부터 풀려나온 스크랩은 상기 구동롤(12)과 종동롤(22)의 사이로 끌려들어가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구동롤(12)의 돌출부(10)와 종동롤(22)의 오목부(21)가 결합하면 상기 스크랩의 표면에는 도2에서 오른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접힘부가 형성되며, 구동롤(12)의 오목부(11)와 종동롤(22)의 돌출부(20)가 결합하면 왼쪽으로 볼록한 형상의 접힘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7) 내로 수합될 때에, 상기 접힘부의 방향에 따라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히면서 스크랩 박스(7) 내부에 수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스크랩을 파이프 등을 사용하여 유도할 필요없이 스크랩 박스 내부로 수합되면서도, 중간부가 접히는 일 없이 균일하게 수합할 수 있어, 스크랩 박스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이로 인한 제조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스크랩 박스, 10 … 돌출부,
11 … 오목부, 12 … 구동롤,
22 … 종동롤.

Claims (2)

  1. 외주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돌출부(10)와 오목부(11)를 가지는 구동롤(12)과;
    상기 구동롤(1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구동롤(12)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롤(12)의 돌출부(10)가 오목부(21)에 끼워지고, 구동롤(12)의 오목부(11)가 돌출부(20)에 끼워지도록 구동롤(12)과 접하는 종동롤(22)과;
    상기 종동롤(22)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랩 박스(7)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0, 20)와 오목부(11, 21)는 원주상에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상기 스크랩 박스(7)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1, 21)의 주위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KR10-2001-0064685A 2001-10-19 2001-10-19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KR10051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685A KR100518755B1 (ko) 2001-10-19 2001-10-19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685A KR100518755B1 (ko) 2001-10-19 2001-10-19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238A KR20030033238A (ko) 2003-05-01
KR100518755B1 true KR100518755B1 (ko) 2005-10-06

Family

ID=2956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685A KR100518755B1 (ko) 2001-10-19 2001-10-19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51B1 (ko) * 2002-04-03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쉬트형 스크랩 연속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727A (en) * 1979-10-11 1981-05-18 Hitachi Ltd Coil end treating device in cold rolling plant
KR200159516Y1 (ko) * 1995-12-06 1999-10-15 이구택 스트랩 중앙제어 기구를 갖는 스크랩 권취장치
JP2001071028A (ja) * 1999-09-08 2001-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巻取装置
KR20030039543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권취기의 스크랩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727A (en) * 1979-10-11 1981-05-18 Hitachi Ltd Coil end treating device in cold rolling plant
KR200159516Y1 (ko) * 1995-12-06 1999-10-15 이구택 스트랩 중앙제어 기구를 갖는 스크랩 권취장치
JP2001071028A (ja) * 1999-09-08 2001-03-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ラップ巻取装置
KR20030039543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권취기의 스크랩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238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52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thod
KR100518755B1 (ko) 극박 스크랩 처리장치
US5107733A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transporting a paper web in a folding apparatus of a printing press
US4959986A (en) Apparatus for cutting a wide sheet of metal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narrow strips
JPH0744466U (ja) 片面段ボール製造機用波型ローラ
US5117721A (en) Method of forming perforating rule and blades
JP3233135B2 (ja) ステータコアのコア材の巻回装置
JP2016117250A (ja) シート状部材の溝形成装置及び溝形成方法
US4903916A (en) Cassette reel spring having rolled edges
JPH11208954A (ja) 巻き取り装置
KR100371525B1 (ko) 종이제완충재제조방법및그장치
JP4611508B2 (ja) 連続帯状材の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JPH10225818A (ja) スリッターカッター部の材料押さえ方法及び材料押さえ装置
KR100223091B1 (ko) 띠강재 성형가공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가이드를 유니트 및 상기 장치에서 얻어지는 띠강재
GB2255029A (en) Lateral tear tape.
JP2001341095A (ja) 丸刃式切断装置
JPH10167528A (ja) 細幅の集合巻テープとその製造方法
JPH084779A (ja) 回転体固定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543959B2 (ja) 巻鉄心製造装置
KR20180086891A (ko) 스트립 압연 장치 및 스트립 압연 방법
WO200005177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litting strip
JP4799030B2 (ja) 狭幅金属帯のエッジラウンド加工方法
JP3203315B2 (ja) 厚紙の折り曲げ部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20030089402A (ko) 자동 테이프 디스펜서
JPH0631683A (ja) 紙状体の切断巻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