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355B1 -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355B1
KR100518355B1 KR10-2003-0016121A KR20030016121A KR100518355B1 KR 100518355 B1 KR100518355 B1 KR 100518355B1 KR 20030016121 A KR20030016121 A KR 20030016121A KR 100518355 B1 KR100518355 B1 KR 10051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electronic
guide
contact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592A (ko
Inventor
윤맹균
전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미시스
(주)포커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미시스, (주)포커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미시스
Priority to KR10-2003-001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3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모듈 등과 같은 부품을 상기 부품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 및 측정 하는 시험장비에 연결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접촉핀과, 상기 접촉핀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접촉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캠과, 상기 캠과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용 접속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모듈 등과 같은 부품을 상기 부품의 전기적 특성을 시험 및 측정하는 시험장비에 연결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모듈 등과 같은 반도체 부품,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액정표시장치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은 전기 및 전자 부품(이하 총칭하여 "전자부품"이라 함)은 제조가 완료된 후 적절한 방식으로 시험장비에 의하여 전기적 특성 등이 시험된다. 통상 이러한 전자부품은 접속장치(커넥터)를 통하여 시험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시험된다.
접속장치는 시험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핀을 가지는데,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는 상기 접촉핀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촉되어야 한다. 그러나, 확실한 접촉을 위하여 큰 접촉력을 주게 되면 전자부품을 접속장치에 착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개 제2000-81461호에서는 한 쌍의 캠을 이용한 "반도체부품 취부장치 및 커넥터"를 제안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 기술은 한 쌍의 접촉핀(60, 60a)과, 상기 접촉핀(60, 60a)을 이동시켜 주는 캠(30, 30a)과, 상기 캠(30, 30a)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핸들(50)을 주요 구성 부분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반도체부품용으로 한정된 것이므로 다른 전자부품용 커넥터로 사용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캠을 한 쌍의 핸들을 이용하여 직접 구동시키므로, 캠의 구동각도가 제약되어 접촉핀의 접촉력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안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다양한 전기 전자 부품에 적용하는 것에 제한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 한 쌍의 캠을 한 쌍의 핸들을 이용하여 각각 구동시키므로 장치가 복잡하다. 또한, 한 쌍의 캠을 각각 구동하므로 캠의 회전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개의 캠은 접촉핀의 상부를 누르고 다른 캠을 접촉핀의 하부를 누르게 된다. 접촉핀을 누르는 높이가 일측의 캠과 타측의 캠에서 각각 다르게 되어 접촉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캠의 형상이 한정되어, 전기적 단자의 두께가 다른 여러 전자부품을 한 개의 커넥터로 이용하여 접속시키기에는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넷째, 반도체 부품등의 전기적 단자와 반도체부품 취부장치의 접촉핀을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시키는 수단이 없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부품의 전기적 단자가 협피치인 경우에 사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전자부품 및 다양한 두께의 전기적 단자에 사용이 가능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과 확실하고 정확한 접촉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접촉핀과; 상기 접촉핀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접촉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캠과; 상기 캠과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실한 접촉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의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에는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가 삽입되는 삽입부(10a)가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 즉 삽입부(10a)의 양측에는 상호 대향되게 접촉핀(60, 60a)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접촉핀(60, 60a)은 시험장비(7)에 연결된 케이블(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촉핀(60, 60a)의 외측에는 각각 상기 접촉핀(60, 60a)을 선택적으로 누르는 캠(30, 30a)이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40, 40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0, 40a)의 일단에는 구동부(20) 및 종동부(20a)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20)에는 상기 구동부(20)를 회전시키는 조작부(50)가 결합된다. 즉, 조작부(50)를 회전시키면 구동부(20)가 회전하고, 또한 구동부(20)의 회전은 종동부(20a)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구동부(20) 및 종동부(20a)는 간접 전동 구조도 사용 가능하지만 정확한 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직접 전동 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구동부(20) 및 종동부(20a)는 마찰차, 기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정확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캠(30, 30a)은 절취부(32)와 원주부(34)로 구성되어, 상기 캠(30, 30a)의 회전에 따라서 원주부(34)가 접촉핀(60, 60a)을 밀게 되어, 상기 접촉핀(60, 60a)이 선택적으로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에 접속하게 된다.
상술한 본 실시예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를 하우징(10)의 삽입부(10a)에 삽입한다. 이때는 캠(30, 30a)의 절취부(32)가 접촉핀(60, 60a)에 근접한 상태이므로 접촉핀(60, 60a) 사이의 간격이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의 두께보다 크므로 전자부품(3)은 하우징(10)의 삽입부(10a)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가 하우징(10)에 삽입 완료되면, 조작부(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조작부(50)에 결합된 구동부(20)가 회전하고, 종동부(20a) 역시 구동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구동부(20) 및 종동부(20a)가 회전하면 회전축(40, 40a)에 의하여 연결된 한 쌍의 캠(30, 30a)도 회전하여, 캠(30, 30a)의 원주부(34)가 접촉핀(60, 60a)을 누르게 되어 상기 접촉핀(60, 60a)이 상기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20) 및 종동부(20a)의 회전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한 쌍의 캠(30, 30a)의 회전 방향도 다르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캠(30, 30a)은 접촉핀(60, 60a)의 동일 수평 위치를 밀게 되어 접촉 정도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정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캠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캠(30, 30a)은 원주부(34)가 1개이다. 즉, 캠(30, 30a)이 회전되어 원주부(34)가 접촉핀(60, 60a)을 누른 상태에서의 접촉핀(60, 60a) 사이의 간격(이하 "회전후 간격")이 1개로 고정된다. 따라서,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의 두께가 상기 접촉핀(60, 60a) 사이의 회전후 간격보다 적은 경우에 접촉이 되지 않으며, 큰 경우에는 접촉은 되지만 심한 경우에 전기적 단자(3a) 또는 접촉핀(60, 60a) 등의 파손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R1, R2)이 다른 2개의 원주부(34, 36)를 갖도록 캠(30, 30a)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두께가 다른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를 1개의 접속장치(1)를 이용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주부의 구성은 2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원주부(34, 36, 38)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4개 이상으로 원주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캠의 변형예에서는 원주부를 다수개 형성하여 접촉핀 사이의 회전후 간격을 조정하였다. 그러나,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원주부(34)를 이용하여 회전후 간격을 조정할 수도 있다. 캠(30, 30a)의 기하학적 중심(O) 즉 원주부(34)의 중심과 캠(30, 30a)의 회전 중심(40)을 다르게 하여 접촉핀(60, 60a)의 회전후 간격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캠(30, 30a)과 접촉핀(60, 60a)의 접촉 위치는 캠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다수개가 된다.
한편, 고정밀도 전자부품의 경우에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와 접촉핀의 접촉이 정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3a)의 위치를 상기 회전축(40, 40a)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조절수단은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동부(20)와 연동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치조절수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20)에는 매개 회전부(92)가 접촉되며, 상기 매개 회전부(92)에는 직선 운동부(94)가 접촉되며, 상기 직선 운동부(94)의 선단에는 가이드부(9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 운동부(94)와 상기 가이드부(98)는 탄성수단(96)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선 운동부(94)는 하우징(10)에 결합된 지지부재(95)에 적절히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매개 회전부(92) 및 직선 운동부(94)도 마찰차를 이용할 수 있으나, 적절한 이빨을 갖는 기어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전기적단자(3a) 부위의 길이보다 하우징(10)의 삽입부(10a)이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3)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왜냐하면, 위치조절수단(9)에 의하여 전자부품의 전기적단자(3a)가 각각의 접촉핀(60, 60a)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자부품(3)의 일단(도면상 위치조절수단의 반대편)이 하우징(10)의 일단(도면상 위치조절수단의 반대편)에 접하는 상태에서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3a)가 각각의 접촉핀(60, 60a)과 정확히 접촉하는 것으로 접속장치(1)를 설계한다. 이렇게 설계된 접속장치(1)의 삽입부(10a)에 전자부품(3)을 삽입부(10a)에 삽입하고 조작부(50)를 조작하면 구동부(20) 및 종동부(20a)가 회전하여 전기적 단자(3a)에 접촉핀(60, 60a)이 일단 접촉하게 된다. 동시에, 구동부(20)의 회전력이 매개 회전부(92)에 전달되고, 매개 회전부(92)의 회전은 직선 운동부(94)에 의하여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전자부품(3)을 삽입부(10a)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자부품(3)은 길이 방향(도면상 위치조절수단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자부품(3)이 삽입부(10a)의 일단 즉 위치조절수단(9)의 반대편에 접하게 되면 전자부품(3)은 더이상 이동하지 않으며, 추가의 힘이 가해지면 이 힘은 탄성수단(96)에 흡수된다. 접속장치(1)가 설계된 바에 따르면, 이 위치 상태가 전자부품(3)의 전기적 단자(3a)와 접촉핀(60, 60a)의 정확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3)을 하우징(10)에 정확히 삽입하지 않아도 위치조절수단(9)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치조절수단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기어(20)에 직선 운동부(94)를 직결하고, 상기 직선 운동부(94)는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삽입부(10a)로 돌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매개 기어 및 직선 운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조작부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부에 전달하는 운동전달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운동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들에 전달되어 상기 조작부들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병렬로 배치한다. 물론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접속장치(1)는 미도시된 지지판 등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접속장치(1)의 각각의 조작부(5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10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100)의 회전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100)는 모터(400)에 의하여 회전된다.
모터(400)에서 가이드(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100)는 조작부(50)가 연결되는 가로부재(111)와 상기 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112)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가로부재(111)에는 회전공(111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공(111a)에 조작부(50)의 일단이 삽입된다.
한편, 모터(400)의 회전축에는 원동 기어(410)가 결합된다. 상기 원동 기어(410)의 둘레에는 링형상의 링기어(420)이 위치하며, 상기 링기어(420)와 상기 원동 기어(410)의 사이에는 보조 기어(430)가 치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기어(430)에는 베어링(450)을 통하여 회동축(44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440)의 타단은 가이드(100)에 결합된다.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400)가 회전하면 원동 기어(410)가 회전한다. 그러면, 보조 기어(430)가 원동 기어(410)의 주위를 돌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기어(430)에 연결된 가이드(100)가 돌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작부(50)가 회전하게 되어 모터(400)의 회전력이 구동부(20)로 전달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을 다수개 병렬 연결하고, 이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을 설명하면,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병렬로 배치하고, 각각의 조작부(50)의 일측에는 가이드(100a)를 설치한다. 이때, 가이드(100a)에는 상기 조작부(50)가 삽입되는 홈(12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00a)에는 모터 또는 실린더와 같은 액튜에이터가 설치된다. 모터(4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4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가이드(100 a)의 상단에 이빨을 만들고, 상기 가이드(100a)의 이빨에 치합되는 원동 기어(410)를 상기 모터(400)의 회전축에 연결한다.
모터(400)가 회전하면 원동 기어(410)가 회전하고, 상기 원동 기어(410)가 회전하면 상기 원동 기어(410)에 물린 가이드(100a)가 좌우로 이동한다. 이때, 조작부(5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구동부(2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동시에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도 도 8과 유사한 원리이다. 다만, 도 9에서는 가이드(100b)에 홈을 형성하지 않고, 각각의 구동부(20)에 직접 매개 기어(421)를 결합시켜 상기 매개 기어(421)를 직접 회전시켜 각각의 구동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도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병렬로 배치한다. 다만, 상술한 사용예와는 달리, 1개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의 조작부(50)에만 동력을 전달하여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의 종동부(20a)에 인접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20e)를 접촉시킨다. 이렇게 구성하면, 첫번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의 구동부(20)에 연결된 조작부(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부(50)에 연결된 구동부(20)가 회전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20)에 연결된 종동부(20a)가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종동부(20a)의 회전은 인접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20e)에 전달된다. 따라서, 인접한 구동부(20e) 및 종동부(20f)도 회전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을 다수개 직렬 연결하여 동작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를 직렬로 배치한다. 이때, 각각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는 회전력을 인접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로 전달하는 전달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부(20)가 결합된 회전축(40)의 타단에는 전달부(45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450z)는 인접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20c)와 결합된다. 이때, 전달부(450z)와 인접한 구동부(20c)의 결합은 플렌지 이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첫번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1)의 구동부(20)에 연결된 조작부(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부(50)에 연결된 구동부(20)가 회전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20)에 연결된 종동부(20a)가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구동부(20)의 회전은 전달부(450a)를 통하여 인접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20c)에 전달된다. 따라서, 인접한 구동부(20c) 및 종동부(20d)도 회전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양한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메모리 모듈에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적 단자를 가질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 보드(310)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더 보드(또는 프로브 카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도 9의 변형이며, 이 경우에는 다수의 접속장치(1)를 지지판(1a) 위에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가이드(100c)를 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사용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에서는 다수의 접속장치(1)를 대략 직각으로 배치한 경우이며, 도 8의 원리를 확장 이용한 것이다. 도 8과 유사하게, 각각의 접속장치(1)의 조작부(50)는 가이드를 매개로 하여 모터(400)에 연결된다. 다만, 여기서는 가이드는 대략 직각으로 4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가이드(110a, 119, 114, 116)는 상부 즉 원동 기어(410)에 접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내면에도 이빨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의 양단 내측에는 기어(118, 113, 115, 117)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는 1개의 가이드의 직선 운동을 인접한 가이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터(400)가 회전하면 원동 기어(410)가 회전한다. 그러면, 먼저 상기 원동 기어(420)가 치합된 가이드(110a)가 직선운동하여 상기 가이드(110a)에 연결된 접속장치가 동작하게 된다. 동시에, 원동 기어(420)가 치합된 가이드(110a)의 직선운동은 인접한 기어(118)의 회전 운동을 매개로 하여 인접한 가이드(119)의 직선 운동으로 전달되어, 인접한 접속장치도 동작하게 된다. 동일한 원리로, 인접한 모든 접속장치가 동작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조의 접촉핀을 가지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도시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여러 조의 접촉핀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촉핀(60, 60a)의 내측에는 대향되게 보조 접촉핀(61, 61a)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 접촉핀(61, 61a)의 외측에는 상기 보조 접촉핀(61, 61a)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캠(31, 31a)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보조 캠(31, 31a)은 보조 회전축(41, 41a)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 회전축(41, 41a)의 일단에는 보조 구동부(21) 및 상기 보조 구동부(2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조 종동부(21a)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 구동부(21)에 별도의 조작부를 설치하여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구동부(20)에 설치된 조작부(5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 구동부(21)는 상기 구동부(20)에 접촉되어, 상기 구동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시험이 필요한 다수의 전기적 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도 1개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시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전기적 단자(330b)는 접촉핀(60, 60a)에 접촉하고, 제1전기적 단자(330a)는 보조 접촉핀(61, 61a)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를 시험장비의 케이블에 연결시키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한 쌍의 접촉핀, 캠 등을 배치함으로써 전자부품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접속장치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조의 캠을 한 개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므로 장치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조의 캠이 각각 다른 방향을 회전하므로, 상기 한 조의 캠의 접촉핀의 같은 높이 부분을 누르게 되어 접촉이 정확하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단자의 두께가 다른 여러 전자부품을 한 개의 접속장치를 이용하여 접속시키기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수단을 가지므로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와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접촉핀을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접촉의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협피치의 전기적 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부품용 취부장치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부를 개략적을 도시한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병렬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다수개 직렬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는 도 16의 종단면도
도 18는 도 16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를 전자부품에 사용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3 :전자부품
3a : 전기적 단자 7 : 시험장비
10 : 하우징 9 : 위치조절수단
20, 20a : 기어 30, 30a : 캠
40, 40a : 축 50 : 조작부
60, 60a : 접촉핀 100 : 가이드
400 : 모터

Claims (18)

  1.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접촉핀과;
    상기 접촉핀의 외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접촉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캠과;
    상기 캠 중 어느 하나의 캠과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캠 중 다른 하나의 캠과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전기적 단자의 위치를 상기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종동부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최소한 1개의 반경이 다른 원주부가 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기하학적 중심과 상기 캠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는 상기 접촉핀의 내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보조 접촉핀과; 상기 보조 접촉핀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캠과; 상기 보조 캠과 보조 회전축을 통하여 연결되는 보조 구동부와; 상기 보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보조 종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부는 상기 구동부에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구동부에 접촉되는 매개 회전부와; 상기 매개 회전부에 접촉하는 직선 운동부와; 상기 직선운동부에 결합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가 캠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다수개 직렬로 배열되며,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회전축의 타단에는 전달부가 결합되고, 상기 전달부는 인접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가 캠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 병렬로 배열되며,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종동부는 인접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전자부품용 접속장치가 캠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 병렬로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조작부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부에 전달하는 운동전달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운동전달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부들에 전달되어 상기 조작부들이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수단은 상기 조작부가 연결되는 가이드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원동 기어와, 상기 원동 기어의 둘레에 배치되는 링형상의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와 상기 원동 기어의 사이에 치합되는 보조 기어와, 일단은 상기 보조 기어에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에 각각의 조작부가 삽입되는 가이드와,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에 치합되는 원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대략 직각으로 배치되며 내측면에도 이빨이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 치합되는 기어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동 기어에 치합된 가이드의 직선 운동을 인접한 가이드의 직선 운동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수단은 다수의 구동부에 치합되는 매개 기어와, 상기 매개 기어와 치합되며 직선운동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부품용 접속장치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KR10-2003-0016121A 2003-03-14 2003-03-14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KR10051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21A KR100518355B1 (ko) 2003-03-14 2003-03-14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121A KR100518355B1 (ko) 2003-03-14 2003-03-14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92A KR20040081592A (ko) 2004-09-22
KR100518355B1 true KR100518355B1 (ko) 2005-10-10

Family

ID=3736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121A KR100518355B1 (ko) 2003-03-14 2003-03-14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10A2 (ko) * 2009-10-16 2011-04-2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7596B4 (de) * 2007-10-05 2013-02-07 Multitest Elektronische Systeme Gmbh Handhabungsvorrichtung für elektronische Bauelemente, insbesondere ICs, mit einer Mehrzahl von auf einer Umlaufbahn geführten Umlaufwagen
KR101960449B1 (ko) * 2017-05-24 2019-03-20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력 측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410A2 (ko) * 2009-10-16 2011-04-2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KR20110041886A (ko) * 2009-10-16 2011-04-2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WO2011046410A3 (ko) * 2009-10-16 2011-09-0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KR101653739B1 (ko) 2009-10-16 2016-09-02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92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851B2 (en) Connector assemblies and systems including flexible circuits
CN2417604Y (zh) 零插入力插座连接器
CN1080092A (zh) 连接组件
KR102042923B1 (ko) 비젼 정렬을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용 프로브 블록
US7004776B2 (en) ZIF connector and semiconductor-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18355B1 (ko) 전자부품용 접속장치
US8282290B2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moveable mating arrays
CN215218914U (zh) 探针
KR100751508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0767191B1 (ko)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US5321569A (en) Rotary magnetic head drum assembly
JP3720021B2 (ja) モータ・センサシステム
CN109971942B (zh) 装夹机构以及退火装置
EP2345916B1 (en)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a plurality of moveable mating arrays
US8272141B2 (en) Probe apparatus
KR20210026921A (ko) 작동 신뢰성이 개선된 굽힘 내구력 검사 장치
CN220289741U (zh) 一种测试治具
KR102354947B1 (ko)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용 지그장치
JP2006234639A (ja) 電気回路検査用プローブ装置
KR101004889B1 (ko) Lcd 검사용 프로브 블록
US9590333B1 (en) Low profile, integrated circuit test socket
JP2003249322A (ja) コネクタ及び半導体部品取付装置
CN117949885B (zh) 一种电流互感器振动测试装置
KR102456907B1 (ko) 프로브 장치
KR102239792B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지그를 포함하는 굽힘 신뢰성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