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141B1 -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 Google Patents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141B1
KR100518141B1 KR10-2002-0021937A KR20020021937A KR100518141B1 KR 100518141 B1 KR100518141 B1 KR 100518141B1 KR 20020021937 A KR20020021937 A KR 20020021937A KR 100518141 B1 KR100518141 B1 KR 10051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ignal
bits
flip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768A (ko
Inventor
다까하시미끼
다까하시히라꾸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14Conversion to or from non-weighted codes
    • H03M7/20Conversion to or from n-out-of-m codes

Abstract

(과제) 회로규모를 축소시키는 부호변환회로 및 방법의 제공.
(해결수단) 기본이 되는 N 비트 신호와,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고, 1 비트만을 반전시킴으로써 2N 비트 중, 하나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DECODE CIRCUIT, CODE CONVERSION CIRCUIT AND CODE CONVERSION METHOD}
본 발명은 디코드회로와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력된 소정 비트길이 (폭) 의 디지털코드 (부호) 를 다른 디지털코드로 변환하는 부호변환회로의 일례로서, 예컨대 6 개의 다른 값 (0, 1, 2, 3, 4, 5) 을 취하는 입력신호 (이 신호는 2 진표시로 3 비트로 나타낼 수 있음) 를 입력하여, 디코드결과신호를 이루는 6 비트의 출력신호 중, 논리 1 이 되는 서로 인접하는 2 비트의 쌍이 이 입력신호에 따라 확정되는 디코드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디코드회로는, 예컨대 6 개의 신호 (피선택신호) 를 입력하여, 이 중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2 개의 신호를 출력하는 실렉터에 대해, 선택신호를 공급하는 회로 등에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 참조되는 도 6 을 사용하여 디코드회로의 개략을 설명해 둔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 디코드회로 (80) 는 3 비트ㆍ바이너리 카운터 (110) 의 카운트값 (0∼5) 에 따라, 클록 실렉터 (70) 로 6 상 클록 (CK0, CK1, CK2, CK3, CK4, CK5) 중, 예컨대 (CK0, CK1), (CK1, CK2), (CK2, CK3), (CK3, CK4), (CK4, CK5), (CK5, CK0) 의 쌍을 각각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선택신호 (S0, S1, S2, S3, S4, S5) 를 생성한다.
선택신호의 값이 논리 1 이면 이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피선택신호를 선택하고, 선택신호의 값이 논리 0 이면 비선택인 것으로 했을 경우, 3 비트의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6 비트의 선택신호 (S0, S1, S2, S3, S4, S5) 를 생성하는 규칙은, 아래와 같다. 또한, 하기의 입력신호는 바이너리 카운터 (도 6 의 110) 의 출력 (카운트값) 으로부터 얻는다.
입력신호 →(S0, S1, S2, S3, S4, S5)
000 →110000,
001 →011000,
010 →001100,
011 →000110,
100 →000011,
101 →100001
그런데,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N 비트 신호를 입력하여 2N 비트의 디코드결과신호를 출력한다는 구성의 디코드회로 (조합회로) 는, N 이 증가함과 동시에 그 회로규모도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로규모를 축소시키는 디코드회로 및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일측면에서,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고, 이 중 1 비트만을 반전시킴으로써 2N 비트 중,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가 제 2 값이 되는 2N 가지 신호를 출력한다는 것이다. 이 N 비트 신호와 이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과 반전출력으로부터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2N 비트 신호가,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서로 인접하는 N 개의 비트가 연속하여 제 1 값을 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가,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단자와 반전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 카운터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과,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각에 대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립플롭의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N 개의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논리회로는 업, 다운 및, 유지를 각각 지시하는 업신호, 다운신호 및, 유지신호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의 경우, 최종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초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초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동작시, 상기 각 논리회로를 통하여 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링 카운터의 다운카운트의 경우, 초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최종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최종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 동작시, 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링 카운터의 유지상태의 경우,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입력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업신호와 상기 다운신호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치검출회로의 출력이 상기 유지신호로서 상기 각 논리회로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정외 패턴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상정외 패턴을 검출시, 이 패턴을 출현이 확인되어 있는 다른 패턴으로 치환한 다음에, 상기 디코드회로로의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수단을 갖는 상정외 구제회로 (想定外 救濟回路)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호변환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갖는다.
단계 1: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신호에 대해 부호생성수단에서 상기 N 비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 2: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는 부호변환수단에서, 상기 2N 가지의 2N 비트 신호의 각각에 대해 1 비트만을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인 경우)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인 경우)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해결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부호변환기술의 기본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는 2 진표시로 3 비트로 표시되는 6 가지의 신호로부터 6 가지의 6 비트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이 진리값표로서 나타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본 3 비트 (bit) 신호와, 이 기본 3 비트 신호의 반전신호의 합계 6 비트의 패턴으로부터 6 비트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 부호변환은 기본 3 비트와 그 반전신호의 6 비트 중 1 비트만을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디코드결과신호를 얻을 수 있어 회로규모를 효율화시킬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본 3 비트 신호와, 기본 3 비트 신호의 반전신호의 6 비트 입력패턴 "000 111" 에 대해 디코드결과신호 "000110"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우단의 1 비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2 번째의 "100 011"→"000011" 의 경우 (화살표는 디코드결과를 나타냄), 6 비트 입력패턴의 좌단의 1 비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3 번째의 "110 001"→"100001"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왼쪽에서 2 비트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4 번째의 "111 000"→"110000"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왼쪽에서 3 비트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5 번째의 "011 100"→"011000"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왼쪽에서 4 비트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6 번째의 "001 110"→"001100"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왼쪽에서 5 비트째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7 번째의 "000 111"→"000110" 의 경우, 6 비트 입력패턴의 왼쪽에서 6 비트째 (우단) 를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제 7 행은 제 1 행과 동일하며, 6 가지의 패턴 중 원래의 패턴으로 순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3 비트 →6 비트의 부호변환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물론 3 비트 →6 비트의 부호변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으로 N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비트 →2N 비트 신호의 부호변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는 공정과, 이 중 1 비트만을 반전시킴으로써, 2N 비트 중 하나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N 비트 신호와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가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단자와 반전출력단으로부터 공급된다.
또는,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상정외 패턴을 검출하고, 상정외 패턴을 허용하고 있는 다른 패턴 (출현패턴) 으로 치환하여 상기 디코드회로의 상기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상정외 구제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디코드회로는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2N 개의 논리곱게이트 등의 논리회로로 구성된다.
(실시예)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 3 비트 신호는 3 비트의 링 카운터의 출력신호로서 얻을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링 카운터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m 단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것으로 구성되고, 초기값으로 논리 「1」 을 설정함으로써 논리 「1」 이 존재하는 비트위치에 따라 시프트 클록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m 단의 출력을 반전시켜 초단으로 복귀시킨 것은 일반적으로 「존슨 카운터」라고 불리며, 처음에 리세트해 둠으로써 2m 의 카운트를 행한다. 예컨대, 3 단 구성의 존슨 카운터의 경우, 리세트 기능이 있는 D 형 플립플롭을 3 단 나열하여, 3 단째의 D 형 플립플롭의 반전출력 (QB) 을 초단의 D 형 플립플롭의 데이터입력단자로 귀환입력하고, 전단의 D 형 플립플롭의 정전출력 (Q) 을 다음 단의 D 형 플립플롭의 데이터입력단자 (D) 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3 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은 입력클록에 따라, "000", "100", "110", "111", "011", "001", "000" 으로 변화된다.
도 2 는 도 1 에 진리값표를 나타낸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서 FF01, FF02, FF03 은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3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단자 (Q) 의 출력신호이며, FF01B, FF02B, FF03B 는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3 단의 플립플롭의 반전출력단자 (QB) 의 출력신호이다.
디코드결과신호를 이루는 6 비트 신호 (S0, S1, S2, S3, S4, S5) 에 대해,
예컨대,
S0=AND (FF01, FF02)
S1=AND (FF02, FF03)
S2=AND (FF03, FF01B)
S3=AND (FF01B, FF02B)
S4=AND (FF02B, FF03B)
S5=AND (FF03B, FF01)
와 같이, 병렬배치된 6 개의 2 입력 AND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집적회로에 실장되는 회로구성으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입력 AND 회로는 기본셀을 이루는 2 입력 NAND 회로와, 인버터 (INV) 로 구성된다. I 번째 (단, I 는 1, 2, ∼N) 의 2 입력 NAND 회로는 기본 3 비트 신호 (FF01, FF02, FF03) 와 그 반전신호 (FF01B, FF02B, FF03B) 로 이루어지는 6 비트 신호 (FF01, FF02, FF03, FF01B, FF02B, FF03B)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2 에 나타낸 디코드회로의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기본 3 비트와, 기본 3 비트의 반전신호를 생성하는 링 카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이 3 비트의 링 카운터는 업신호 (F_UP) 와, 다운신호 (F_DN) 를 제어신호로 입력하고, 클록 (F_CLK) 에 의한 카운트방향은 업 또는 다운방향으로의 전환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또한 업신호 (F_UP) 와 다운신호 (F_DN) 가 모두 액티브 (또는 모두 인액티브) 일 때, 유지상태로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카운터는 D 형 플립플롭 (10, 20, 30) 을 구비하고 있고, 각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반전출력단자 (QB) 의 출력신호가 도 2 에 나타낸 디코드회로로 입력신호 (FF01, FF02, FF03, FF01B, FF02B, FF03B) 로서 공급된다.
플립플롭 (10) 에 대응하여, 3 개의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신호, 카운터의 업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UP), 카운터의 다운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DN), 신호 (F_UP) 와 신호 (F_DN) 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다운카운트, 홀드 (유지) 의 동작상태를 규정하는 제 1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논리회로는 F_UP 와 플립플롭 (30) 의 출력 (Q) 의 반전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11) 와,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과 플립플롭 (10)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12) 와, 플립플롭 (20) 의 출력과 F_DN 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13) 와, NAND 회로 (11)∼(13)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14) 를 구비하고 있고, NAND 회로 (14) 의 출력단자가 플립플롭 (10) 의 데이터입력단자 (D) 에 접속되어 있다.
플립플롭 (20) 에 대응하여, 3 개의 플립플롭 (10, 20, 30) 의 출력신호, 카운터의 업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UP), 카운터의 다운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DN), 신호 (F_UP) 와 신호 (F_DN) 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다운카운트, 홀드의 동작상태를 규정하는 제 2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논리회로는 F_UP 와 플립플롭 (10) 의 출력 (Q) 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21) 와,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과 플립플롭 (20)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22) 와, 플립플롭 (30) 의 출력과 F_DN 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23) 와, NAND 회로 (21 ∼ 23)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24) 를 구비하고, NAND 회로 (24) 의 출력단자가 플립플롭 (20) 의 데이터입력단자 (D) 에 접속되어 있다.
플립플롭 (30) 에 대응하여, 3 개의 플립플롭 (10, 20, 30) 의 출력신호, 카운터의 업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UP), 카운터의 다운동작을 규정하는 신호 (F_DN), 신호 (F_UP) 와 신호 (F_DN) 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다운카운트, 홀드의 동작상태를 규정하는 제 3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3 논리회로는 F_UP 와 플립플롭 (20) 의 출력 (Q) 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31) 와,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과 플립플롭 (30)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32) 와, 플립플롭 (10) 의 출력과 F_DN 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33) 와, NAND 회로 (31 ∼ 33)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34) 를 구비하고, NAND 회로 (34) 의 출력단자가 플립플롭 (30) 의 데이터입력단자 (D) 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에 나타낸 링 카운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각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값이 논리 0 이며 (예컨대, 각 플립플롭 (10, 20, 30) 은 초기상태 등에서 리세트됨), 업신호 (F_UP) 가 논리 1 일 때, NAND 회로 (11) 의 출력은 논리 0 이 되고, 이것을 받아 NAND 회로 (14) 의 출력은 논리 1 이 되고, 클록 (F_CLK) 의 상승 천이로 플립플롭 (10) 은 그 정전출력단자 (Q) 에 논리 1 을 출력한다. 이 때, 플립플롭 (20, 30) 의 데이터입력단자 (D) 는 논리 0 이 되고, 플립플롭 (20, 30) 은 논리 0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출력신호 (FF01) 가 논리 1 로 변환된 결과, NAND 회로 (21) 의 출력은 논리 0 이 되고, NAND 회로 (24) 는 논리 1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 천이로 플립플롭 (20) 은 정전출력단자 (Q) 에 논리 1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110" 이 된다.
플립플롭 (20) 의 출력신호 (FF02) 가 논리 1 로 된 결과, NAND 회로 (31) 의 출력은 논리 0 로 되고, NAND 회로 (34) 는 논리 1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 천이로 플립플롭 (30) 은 정전출력단자 (Q) 에 논리 1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111" 이 된다.
플립플롭 (30) 의 출력신호 (FF03) 가 논리 1 로 된 결과, NAND 회로 (11) 의 정전출력단자 (Q) 는 논리 1 로 되고, NAND 회로 (14) 는 논리 0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 천이로 플립플롭 (10) 은 논리 0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011" 이 된다.
플립플롭 (10) 의 출력신호 (FF01) 가 논리 0 으로 된 결과, NAND 회로 (21) 의 출력은 논리 1 로 되고, NAND 회로 (24) 는 논리 0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 천이로 플립플롭 (20) 은 논리 0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001" 이 된다.
플립플롭 (20) 의 출력신호 (FF02) 가 논리 0 으로 된 결과, NAND 회로 (31) 의 출력은 논리 1 로 되고, NAND 회로 (34) 는 논리 0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30) 은 논리 0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000" 이 된다.
F_DN 신호가 논리 1 (F_UP 가 논리 0) 일 때, 패턴의 시프트방향은 F_UP 가 논리 1 일 때와 반대가 된다. NAND 회로 (33) 의 출력은 논리 0 으로 되고, NAND 회로 (34) 가 논리 1 로 된다.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30) 은 논리 1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001" 이 된다.
플립플롭 (30) 의 출력신호 (FF03) 가 논리 1 로 된 결과, NAND 회로 (23) 의 출력은 논리 0 으로 되고, NAND 회로 (24) 는 논리 1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20) 은 논리 1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011" 이 된다.
플립플롭 (20) 의 출력신호 (FF02) 가 논리 1 로 된 결과, NAND 회로 (13) 의 출력은 논리 0 으로 되고, NAND 회로 (14) 는 논리 1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10) 은 논리 1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111" 이 된다.
플립플롭 (10) 의 출력신호 (FF01) 가 논리 1 로 된 결과, NAND 회로 (33) 의 출력은 논리 1 로 되고, NAND 회로 (34) 는 논리 0 을 출력한다.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30) 은 논리 0 을 출력한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는 "110" 이 된다. 이하 클록이 입력될 때마다 "100", "000" 으로 변화된다.
한편, F_DN 신호와 F_UP 신호의 논리값이 일치할 때, XNOR (eXclusive NOR) 회로로 이루어지는 일치검출회로 (40) 의 출력이 논리 1 이 되고, NAND 회로 (12, 22, 32) 를 통하여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값이 플립플롭 (10, 20, 30) 의 데이터입력단자 (D) 로 각각 귀환되고, 클록 (F_CLK) 의 상승으로 플립플롭 (10, 20, 30) 은 데이터입력단자 (D) 의 신호를 샘플출력하기 때문에, 플립플롭 (10, 20, 30) 은 상태를 유지한다.
3 단의 플립플롭을 구비한 링 카운터는 일련의 6 개의 패턴을 순회적으로 생성한다. 그런데, 3 비트 신호는 23 = 8 가지의 조합을 취할 수 있다. 3 비트 링 카운터의 기본 3 비트 중 두개의 비트 패턴 (0,1,0), (1,0,1) 은 상정외 패턴이다. 노이즈 등에 의해 상정외 패턴이 발생된 경우, 디코드회로는 초기의 회로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정외 패턴이 발생된 경우, 이것을 다른 패턴으로 변환하여 구제하는 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는 링 카운터의 출력과, 디코드회로의 입력단자 사이에 삽입되는 상정외 구제회로 (5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3 에 나타낸 링 카운터의 3 비트 출력패턴 (FF01, FF02, FF03) 에는 패턴 "010", "101" 이 존재하지 않는다. 노이즈 등에 의해 상정외 패턴 "010", "101" 이 발생된 경우, 이 패턴을 출현패턴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함으로써 구제를 행하고 있다.
이 상정외 구제회로 (50) 는 상정외 패턴의 3 비트 신호 "010" 을, "000" 으로 변환하고, 상정외 패턴의 3 비트 신호 "101" 을 "111" 로 변환한다.
상정외 구제회로 (50) 는 플립플롭 (1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신호를 인버터 (INV1) 로 반전시킨 신호와, 플립플롭 (2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신호와, 플립플롭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신호를 인버터 (INV3) 로 반전시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들이 모두 논리 1 일 때, 논리 0 을 출력하는 NAND 회로 (51) 와, 플립플롭 (10) 의 반전출력단자 (QB) 의 신호를 인버터 (INV2) 로 반전시킨 신호와, 플립플롭 (20) 의 반전출력단자 (QB) 의 신호와, 플립플롭 (30) 의 반전출력단자 (QB) 의 신호를 인버터 (INV4) 로 반전시킨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들이 모두 논리 1 일 때, 논리 0 을 출력하는 NAND 회로 (52) 와, 플립플롭 (20) 의 출력과 NAND 회로 (51)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NAND 회로 (53) 와, NAND 회로 (53) 의 출력과 NAND 회로 (52) 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신호 FF02DC 를 출력하는 NAND 회로 (54) 를 구비하고 있다.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가 "010" 일 때, NAND 회로 (51) 는 논리 0 을 출력하고, NAND 회로 (53) 는 논리 1 을 출력하고, NAND 회로 (54) 의 출력단자로부터는 NAND 회로 (52) 의 출력인 논리 1 을 반전시킨 논리 0 이 FF02DC 로서 출력된다. 한편, 플립플롭 (10, 20, 30) 의 정전출력단자 (Q) 의 3 비트 신호가 "101" 일 때, NAND 회로 (52) 의 출력은 논리 0 이 되고, 이 때 NAND 회로 (54) 의 출력단자로부터 FF02DC 로 논리 1 이 출력된다.
상정외 구제회로 (50) 를 구비한 경우, 도 3 에 나타낸 링 카운터에서, NAND 회로 (13), NAND 회로 (22), NAND 회로 (31) 에 입력되는 신호는 FF02 대신에 상정외 구제회로 (50) 의 출력신호 (FF02DC) 가 사용된다.
도 4b 는 상정외 구제회로 (50) 의 출력신호 (FF02DC) 와, 링 카운터의 플립플롭 (10, 30) 의 정전출력 (Q) 과, 반전출력 (QB) 을 각각 인버터로 반전시킨 신호 (FF01I, FF01BI, FF03I, FF03BI) 를 입력으로 하는 디코드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를 참조하면, 이 디코드회로는 도 2 에 나타낸 회로구성과는 FF02DC 를 입력으로 하는 NAND3, NAND4 의 입력단자가 반전 (부논리) 인 점이 상이하다. 또한,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의 출력이 인버터로 반전되고 있는 점에서, 도 4b 의 디코드회로의 입력단자의 신호접속형태의 순번은, 도 2 에 나타낸 것과 상이하다. 단, 그 논리는 도 2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다.
S0=AND (FF01BI, FF02DC)
S1=AND (FF02DC, FF03BI)
S2=AND (FF03BI, FF01I)
S3=AND (FF01I, 반전 (FF02DC))
S4=AND (반전 (FF02DC), FF03I)
S5=AND (FF03I, FF01BI)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부호변환회로를 디코드회로에 적용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6 상 클록 중 위상이 인접하는 2 상의 클록쌍을 실렉터 (70) 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 (S0 ∼ S5) 를 생성하는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비트 (bit)ㆍ링 카운터 (100) 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UP, DOWN) 를 받아 업카운트, 다운카운트하는 3 비트의 링 카운터로 이루어지고, 도 3 에 나타낸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신호 (UP, DOWN) 는 기준신호 (도시되지 않음) 와, 클록 실렉터 (70) 로 선택된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인터폴레이터 등으로 위상조정한 신호와의 위상을 비교하는 위상비교회로 (도시하지 않음) 의 위상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출력되고, 위상을 더욱 진행시키거나, 더욱 지연시키는 경우에 클록 실렉터 (70) 로 선택되는 클록쌍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정외 구제회로 (50) 는 도 4a 에 나타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디코드회로 (60) 는 도 4b 에 나타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클록 실렉터 (70) 는 선택신호로 출력이네이블, 디스에이블로 되는 6 개의 트라이스테이트 버퍼 (71 ∼ 76) 를 구비하고, 각 트라이스테이트 버퍼 (71 ∼ 76) 는 1 클록주기 (360 도) 를 등간격으로 6 분할한 6 상 클록 (CK0 ∼ CK5) 을 각각 입력으로 하고, 디코드회로 (60) 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드신호 (S0 ∼ S5) 에 기초하여 위상이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클록신호를 선택하여, 두개의 출력단자로부터 클록신호쌍 (CK01, CK02) 을 출력한다. 클록 실렉터 (70) 는 클록 선택신호 (S0 ∼ S5) 중 값이 논리 1 인 클록을 선택하여 두개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한다. 6 상 클록을 CK0 ∼ CK5 에 대해, 제 1 출력단자에는 짝수 위상 (CK0, CK2, CK4) 의 클록을 입력으로 하는 세개의 트라이스테이트 버퍼의 출력이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 2 출력단자에는 홀수 위상 (CK1, CK3, CK5) 의 클록을 입력으로 하는 세개의 트라이스테이트 버퍼의 출력이 공통으로 접속된다.
짝수 위상의 클록 (CK0, CK2, CK4) 을 입력으로 하는 트라이스테이트 버퍼 중, 선택신호로 출력이네이블로 된 하나의 트라이스테이트 버퍼의 출력이 CK01 로서 출력되고, 홀수 위상의 클록 (CK1, CK3, CK5) 을 입력으로 하는 트라이스테이트 버퍼 중, 선택신호로 출력이네이블로 된 하나의 트라이스테이트 버퍼의 출력이 CK02 로서 출력된다. 위상이 인접하는 클록쌍 (CK01, CK02) 으로서,
(CK0, CK1),
(CK2, CK1),
(CK2, CK3),
(CK4, CK3),
(CK4, CK5),
(CK0, CK5)
중 어느 하나의 쌍이 선택 출력된다.
또한, 디코드회로 (60) 의 출력신호 (S0∼S5) 에 대해서는 S0, S1, S2, S3, S4, S5 를, 각각 클록신호 (CK3, CK4, CK5, CK0, CK1, CK2) 를 입력으로 하는 트라이스테이트 버퍼의 출력제어신호로서 공급하도록 해도 되고, S0∼S5 사이에서 순서만 유지되면 이 이외의 접속형태로 해도 된다.
도 6 은 비교예로서, 카운터를 링 카운터가 아니라 바이너리 카운터를 사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이너리 카운터로 0∼5 까지를 카운트하면, "000", "001", "010", "011", "100", "101" 로 카운트업/다운시, 2 비트가 동시에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디코드회로에서 2 비트가 동시 변화시에 지연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노이즈 대책을 위해, 디코드회로 (80) 의 출력 (S0 ∼ S5) 을 래치회로 (80) 로 리타이밍하여 클록 실렉터 (70) 에 선택신호로서 공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 디코드회로에 입력되는 6 비트 신호의 변화시에는 1 비트 밖에 변화되지 않아,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래치회로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 바이너리 카운터의 3 비트출력을 디코드하여 6 비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회로는 링 카운터를 사용한 회로보다 회로규모가 증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N 가지의 디코드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의 회로규모를 축소시켜 집적화에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N 가지의 패턴을 생성하는 링 카운터를 갖고, 링 카운터의 출력과 그 상보신호의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카운터 출력의 변화시에 하나의 비트 밖에 변화되지 않아 노이즈 등의 대책이 불필요하게 되고, 고신뢰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회로규모를 축소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코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진리값표.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코드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코드회로에 입력신호를 부여하는 링 카운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링 카운터에 상정외 구제회로를 구비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 는 디코드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구체적인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D 형 플립플롭
11∼14, 21∼24, 31∼34, 51∼54 : 부정논리곱 (NAND) 회로
40 : 일치검출회로 (배타적 부정논리합회로)
50 : 상정외 구제회로
60, 80 : 디코드회로
70 : 클록 실렉터
100 : 3 비트ㆍ링 카운터
110 : 3 비트ㆍ바이너리 카운터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가 입력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이 되는 2N 가지의 디코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가,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단자와 반전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카운터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 및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각에 대해 형성되고 상기 각 플립플롭의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N 개의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논리회로는, 업, 다운, 및 유지를 각각 지시하는 업신호, 다운신호, 및 유지신호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의 경우, 최종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초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초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 동작시, 상기 각 논리회로를 통하여 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상기 링 카운터의 다운카운트의 경우, 초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최종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최종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 동작시, 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상기 링 카운터의 유지상태의 경우,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입력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업신호와 상기 다운신호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치검출회로의 출력이 상기 유지신호로서 상기 각 논리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정외 패턴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상정외 패턴을 검출시, 이 패턴을 출현이 확인되어 있는 다른 패턴으로 치환한 다음에, 상기 디코드회로로의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수단을 갖는 상정외 구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7.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가 입력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이 되는 2N 가지의 디코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8. 삭제
  9.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로부터,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회로수단; 및
    상기 제 1 회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폭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로수단이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2N 비트 신호에 대해,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서로 인접하는 N 개의 비트가 연속하여 제 1 값을 취하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0.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로부터,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회로수단; 및
    상기 제 1 회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폭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로수단이 링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단자와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카운터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 및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각에 대해 설치되고 상기 각 플립플롭의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N 개의 논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논리회로는 업, 다운, 및 유지를 각각 지시하는 업신호, 다운신호, 및 유지신호와, 상기 N 단의 플립플롭의 각 출력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링 카운터의 업카운트의 경우, 최종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초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초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 동작시, 상기 각 논리회로를 통하여 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상기 링 카운터의 다운카운트의 경우, 초단의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신호가 최종단의 플립플롭에 대응하는 논리회로를 통하여 상기 최종단의 플립플롭으로 귀환입력되고, 클록에 의한 시프트 동작시, 후단의 플립플롭의 출력 상태가 전단의 플립플롭의 입력에 전송되고,
    상기 링 카운터의 유지상태의 경우,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각 논리회로에 대응하는 플립플롭의 입력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업신호와 상기 다운신호의 일치를 검출하는 일치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일치검출회로의 출력이 상기 유지신호로서 상기 각 논리회로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3.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로부터,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회로수단; 및
    상기 제 1 회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폭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로수단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정외 패턴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상정외 패턴을 검출시, 이 패턴을 출현이 확인되어 있는 다른 패턴으로 치환한 다음에, 상기 제 2 회로수단으로의 입력신호로서 공급하는 수단을 갖는 상정외 구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4.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로부터,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회로수단; 및
    상기 제 1 회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폭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회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회로수단이,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고, 2 개의 입력신호의 논리곱 연산결과를 각각 출력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15.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에 대해, 부호생성수단에서 상기 N 비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는 부호변환수단에서, 상기 2N 가지의 2N 비트 신호의 각각에 대해 1 비트만을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의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으로 되는 2N 가지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부호생성수단은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2N 비트 신호에 대해,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서로 인접하는 N 개의 비트가 연속하여 제 1 값을 취하는 2N 비트폭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가, 상기 부호생성수단을 이루는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과 그 반전출력으로부터 공급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방법.
  18. 링 카운터를 구성하는 N 단의 플립플롭의 정전출력과 반전출력으로부터 공급되는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제 1, 제 2 입력단자로부터 각각 입력으로 하고, 입력된 두개 신호의 논리곱 연산결과를 출력단자로부터 출력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19. 다상 클록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이 중 서로 인접하는 2 개 이상의 클록신호를 선택하는 클록 실렉터; 및
    상기 클록 실렉터에 대해 서로 인접하는 2 개 이상의 클록신호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공급하는 디코드회로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디코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록제어회로.
  20. N 비트 (단, N 은 2 이상의 정수) 의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 신호가 입력되고 이 중 1 비트를 반전시킴으로써, 상기 2N 비트 신호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2N 비트 중 1 비트 (N=2 일 때) 또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N-1) 비트 (N>2 일 때) 가 제 1 값으로 되고, 나머지 비트가 제 2 값이 되는 2N 가지의 디코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2N 비트 신호가 양단의 2N 비트째와 1 비트째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하면, 서로 인접하는 N 개의 비트가 연속하여 제 1 값을 취하며,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드회로.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수단은, 상기 N 비트 신호와 상기 N 비트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신호로 이루어지는 2N 비트폭의 신호 중, 제 I 비트와 제 (I + 1) 비트 (단, I 는 1, 2, ∼N, 또한 I 가 2N 인 경우, 2N + 1 은 1 이 됨) 신호를 각각 입력으로 하고, 2 개의 입력신호의 논리곱 연산결과를 각각 출력하는 2N 개의 논리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변환회로.
KR10-2002-0021937A 2001-04-25 2002-04-22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KR100518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27090A JP2002325041A (ja) 2001-04-25 2001-04-25 デコード回路及び符号変換回路と方法
JPJP-P-2001-00127090 2001-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768A KR20020082768A (ko) 2002-10-31
KR100518141B1 true KR100518141B1 (ko) 2005-09-30

Family

ID=1897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937A KR100518141B1 (ko) 2001-04-25 2002-04-22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93569B2 (ko)
JP (1) JP2002325041A (ko)
KR (1) KR100518141B1 (ko)
TW (1) TW543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9317B2 (en) * 2013-01-31 2016-11-2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Rotational synchronizer circuit for metastablity resolution
KR20150144132A (ko) * 2014-06-16 2015-12-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 회로 및 프리차지/액티브 플래그 생성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029A (en) * 1970-12-01 1975-09-09 Gen Motor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digital data
JPS5875950A (ja) * 1981-10-31 1983-05-07 Sony Corp 2値データの伝送方法
JPS59135690A (ja) * 1982-12-27 1984-08-03 Fujitsu Ltd デコ−ダ回路
US4661801A (en) * 1985-04-01 1987-04-28 General Electric Company Decoder for three level coded data
US5485490A (en) * 1992-05-28 1996-01-16 Rambus, Inc. Method and circuitry for clock synchronization
SE517770C2 (sv) * 1997-01-17 2002-07-16 Ericsson Telefon Ab L M Seriell-parallellomvandlare
US5862180A (en) * 1997-02-01 1999-01-19 Heinz; Gary L. Differential encoding of self-clocking data streams
US6002279A (en) * 1997-10-24 1999-12-14 G2 Networks, Inc. Clock recovery circuit
JP4544780B2 (ja) * 2001-05-24 2010-09-1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93569B2 (en) 2004-02-17
KR20020082768A (ko) 2002-10-31
US20020158782A1 (en) 2002-10-31
TW543302B (en) 2003-07-21
JP2002325041A (ja) 200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548B2 (ja) データ形式変換回路
US6961402B1 (en) High-speed synchronous counters with reduced logic complexity
US5060243A (en) Ripple counter with reverse-propagated zero detection
JP2000236260A (ja) 信号符号化回路及び信号符号化方法
EP0740420A2 (en) N+1 Frequency divider counter and method therefor
US6546048B1 (en) Pulse width modulation waveform generating circuit
US6501816B1 (en) Fully programmable multimodulus prescaler
US6404839B1 (en) Selectable clock divider circuit with a 50% duty cycle clock
JP3501732B2 (ja) パラレルシリアル変換回路
KR100518141B1 (ko) 디코드회로, 부호변환회로 및 부호변환방법
US6556647B1 (en) Phase locked loop clock divider utilizing a high speed programmable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with a two stage pipeline feedback path
CN108777575B (zh) 分频器
US8165263B2 (en) Counting circuit and address counter using the same
US6735270B1 (en) Asynchronous up-down coun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5313509A (en) Pulse counter with arbitrary output characteristic
JP4945800B2 (ja) デマルチプレクサ回路
JP3145988B2 (ja) データs/p変換回路
KR100353533B1 (ko) 딜레이 락 루프 회로
JPH08212794A (ja) シフトレジスタ
KR0121104B1 (ko) 가변길이 코드화기
JP2794950B2 (ja) 積分回路
JP2004072364A (ja) Ais検出回路
JPH06120842A (ja) 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
JPS63151223A (ja) デコ−ド回路
JPH04299614A (ja) カウ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