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741B1 - 유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741B1
KR100517741B1 KR10-2002-0009135A KR20020009135A KR100517741B1 KR 100517741 B1 KR100517741 B1 KR 100517741B1 KR 20020009135 A KR20020009135 A KR 20020009135A KR 100517741 B1 KR100517741 B1 KR 100517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udio signal
unit
voic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490A (ko
Inventor
고세윤
Original Assignee
고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윤 filed Critical 고세윤
Priority to KR10-2002-000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74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4Beds with sound emit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15Beds with vib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나 어린아이가 잠을 자는동안 외부 충격이나 몸을 뒤척이는 행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아용 침구에 따르면, 외부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심장박동수와 음향재생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설정치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설정시간에 따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와;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침구{Bedclothes for the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유아를 재우기 위해서는 유아를 안거나 업어야하며 유아가 잠이 들때까지 계속해서 자장가를 불러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유아는 부모의 따뜻한 품에서 부모의 심장 박동 소리와 부모의 음성을 들으면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며 잠드는 것이다.
그러나 유아를 돌보는 부모는 유아를 재우기 위해 자신의 휴식 시간과 힘을 소비하게 되므로 자기 개발의 시간이 없고, 또한 피로회복을 위한 휴식을 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재우는 부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적인 침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고안된 침구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80425호 "유아용 침구"가 있다. 상기 유아용 침구는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부모의 품에서 잠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 20-2001-039318호 "유아용 침구"가 있다. 상기 유아용 침구는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을 유아에게 들려주므로써 유아의 수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의 정서안정에 도움이 되고 부모에게는 개인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아용 침구는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을 유아에게 들려주기 위해서는 키조작부의 버튼을 눌러주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잠자는 유아나 어린아이는 잠을 자는 동안 외부 충격이나 몸을 뒤척이는 행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잠에서 깨어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를 재우고도 아이가 깨어나지 않을까 항상 마음이 불안하고 아이가 깨어나면 아이를 다시 재우기 위해 키조작부의 버튼을 눌러주어야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유아나 어린아이가 잠을 자는동안 외부 충격이나 몸을 뒤척이는 행동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의 재생시간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유아용 침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아용 침구에 따르면,
외부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심장박동수와 음향재생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조작부의 설정치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설정시간에 따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와;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머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유아용 침구에 따르면,
스위치 조작부가 심장박동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음향재생시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와 주머니(200)와 침구(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구(100)는 일반적으로 이불과 베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불을 의미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아용 또는 어린이용 이불을 의미한다.
상기 주머니(200)는 상기 침구(100)의 일부분으로 물건을 내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200)는 개방되어 있거나 지퍼 또는 단추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머니(200)는 상기 침구(100)에 붙혔다 떼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잠을 자는동안 몸을 움직여도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가 침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탁을 할 때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부(310)와 스위치조작부(320)와 제어부(330)와 진동부(340)와 기록수단(350)과 음성처리부(360)와 증폭부(370)와 마이크로폰(380)과 발진회로(3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센서부(310)는 외부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330)로 전기적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310)는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330)로 상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충격센서를 사용할 수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센서는 스프링의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에 자석을 붙여 놓아 충격이 가해지면 스프링에 붙어 있는 자석의 움직임을 코일로 감지하는 스프링 방식의 충격센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부(310)는 잠자는 유아가 몸을 뒤척이는 행동으로 인해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30)로 상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10)는 잠을 자던 유아가 깨어났을 때 유아의 울음소리 또는 부모의 음성을 감지하여 제어부(330)로 상기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센서는 음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다이내믹 마이크로폰이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음향센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조작부(320)는 심장박동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음향재생시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로터리 스위치 및 진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진동스위치와 음향재생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음향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여 원하는 심장박동수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여 음향재생시간을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진동스위치와 음향스위치를 온(ON)/오프(OFF)하여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가 진동만 하도록 하거나 음향만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진동과 음향을 모두 출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센서부(310)의 전기적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조작부(320)의 제1 로터리 스위치에 설정된 심장박동수를 리드하여 설정된 심장박동수만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제2 로터리 스위치에 설정된 시간을 리드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 등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진동부(340)는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에 자장이 형성되어 자석이 진동함으로써 잠을 자는 유아에게 부모의 심장박동과 같은 진동을 전달하는 역활을 한다.
상기 기록수단(350)은 부모의 음성 또는 자장가 등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록수단(350)은 메모리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기록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성처리부(360)는 A/D 컨버터와 D/A 컨버터 및 저역필터가 내장되어 마이크로폰(38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기록수단(350)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수단 (350)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원하여 재생한다. 이하, 상기 상기 음성처리부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동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증폭부(370)는 상기 음성처리부(36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SPK)를 구동시킨다.
상기 발진회로(390)는 지속진동을 일으키는 회로를 말하며, RC 발진기, LC 발진기, 수정 발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흐름에 따라 상기 유아용 침구의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침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제2 로터리 스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심장박동수와 음향재생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진동스위치와 음향스위치 각각에 대하여 온(ON)/오프(OFF)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3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잠을 자던 유아가 뒤척이는 행동을 하여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가 기울어지거나 혹은 유아가 깨어나서 우는 소리가 센서에 감지되어 그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330)로 입력되면(S410) 상기 제어부(330)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31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30)는 스위치 조작부(320)의 진동스위치가 온(ON)인가를 판단한다(S420). 상기 진동스위치가 온(ON)이면 제어부는 제1 로터리 스위치에 설정된 심장박동수를 리드(S430)하여 진동부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440), 음향스위치가 온(ON)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50)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진동스위치가 오프(OFF)이면 제어부는 음향스위치가 온(ON)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50)를 수행한다. 상기 음향스위치가 온(ON)이면 제어부는 제2 로터리 스위치에 설정된 음향출력시간을 리드(S460)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음향재생신호를 출력하고(S470) 시스템을 종료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80). 상기 시스템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시스템을 종료하고 시스템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루틴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참조한 도면에 따라 서술한 제어부의 제어흐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진동을 먼저 시작하고 음향을 뒤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당업자라면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음향을 먼저 출력하고 진동을 뒤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유아용 침구는 다양한 외부요인를 감지하여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 등의 오디오신호를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잠을 자는 유아나 어린아이가 몸을 뒤척이는 행동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 자동으로 재생하는 장치가 소정각도이상 기울어졌을때 그 기울기를 감지하여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을 자동으로 재생함으로써 유아의 수면 유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유아나 어린아이가 잠에서 깨어나 울 때에 그 음성을 감지하여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을 자동으로 재생함으로써 유아로 하여금 부모가 항상 자기 곁에 있다는 편안함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의 재생시간을 사용자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흐름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침구 200:주머니
300: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
310:충격센서 320:스위치조작부
330:제어부 340:진동부
350:기록수단 360:음성처리부
370:증폭부 380:마이크로폰

Claims (7)

  1. 삭제
  2.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심장박동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음향재생시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 조작부의 설정치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설정시간에 따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와;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머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3. 장치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와;
    심장박동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음향재생시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기울기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 조작부의 설정치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설정시간에 따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와;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머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4. 유아의 울음소리나 부모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향센서와;
    심장박동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로터리 스위치와 음향재생시간를 설정하기 위한 제2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상기 음향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 조작부의 설정치에 따라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설정시간에 따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이나 자장가를 재생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와;
    상기 진동/오디오신호 출력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주머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5. 삭제
  6.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가 진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7.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조작부가 음향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KR10-2002-0009135A 2002-02-20 2002-02-20 유아용 침구 KR10051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35A KR100517741B1 (ko) 2002-02-20 2002-02-20 유아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135A KR100517741B1 (ko) 2002-02-20 2002-02-20 유아용 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490A KR20030069490A (ko) 2003-08-27
KR100517741B1 true KR100517741B1 (ko) 2005-09-29

Family

ID=3222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135A KR100517741B1 (ko) 2002-02-20 2002-02-20 유아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508B1 (ko) * 2015-12-18 2018-06-20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자장가 제공 장치
KR102308866B1 (ko) * 2019-12-09 2021-10-01 서정현 반려동물 분리 불안 개선 장치
KR102487362B1 (ko) * 2020-07-28 2023-01-12 이옥현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반의 아기 상태 진단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1984A (ja) * 1996-01-19 1997-07-29 Body Sonic Eng Kk 乳児用音響装置
KR200186971Y1 (ko) * 2000-02-03 2000-06-15 황명우 유아용 침대
KR20010068130A (ko) * 2001-04-26 2001-07-13 이병교 다목적 유아돌보기용품
KR200229601Y1 (ko) * 2000-03-09 2001-07-19 고태윤 유아용 침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1984A (ja) * 1996-01-19 1997-07-29 Body Sonic Eng Kk 乳児用音響装置
KR200186971Y1 (ko) * 2000-02-03 2000-06-15 황명우 유아용 침대
KR200229601Y1 (ko) * 2000-03-09 2001-07-19 고태윤 유아용 침구
KR20010068130A (ko) * 2001-04-26 2001-07-13 이병교 다목적 유아돌보기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490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657B1 (ko) 유아용 진정/수면 보조장치 및 사용방법
US20090211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safety of a sleeping arrangement for a child on a bed
US6004259A (en) Baby calmer kit using mother&#39;s heartbeat sound
US7510521B2 (en) Sound and heartbeat playback system
KR100978090B1 (ko) 외부 음향 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 기능이 구비된 전동침대요람
KR100517741B1 (ko) 유아용 침구
JP4866136B2 (ja) 音響装置
KR200270131Y1 (ko) 유아용 침구
JPH03195513A (ja) 揺りかご
KR200398364Y1 (ko) 유아달래기용 음향 기기
KR100506595B1 (ko) 엄마심장소리 아기요람
JP3138917U (ja) 人または動物の情緒の音声制御式慰撫装置
JP2005196092A (ja) 赤ちゃん用携帯胎内音再生プレーヤー。
KR101905472B1 (ko) 영유아 수면 유도 시스템
KR100358715B1 (ko) 양수소리재생방법및장치
KR102242833B1 (ko)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4299170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ヘッドフォン及び椅子
KR200275005Y1 (ko)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를 내는 유아용 베개
KR200416917Y1 (ko) 음성인식에 따른 자동 구동의 기능을 갖는 전동 침대요람
CN215991127U (zh) 音频播放装置
KR102518929B1 (ko) 스마트 아기 침대
JPH09191984A (ja) 乳児用音響装置
KR200219884Y1 (ko) 아기용 매트리스
CN211068135U (zh) 声学安抚奶嘴
JPH03272710A (ja) 子守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