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833B1 -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833B1
KR102242833B1 KR1020190076026A KR20190076026A KR102242833B1 KR 102242833 B1 KR102242833 B1 KR 102242833B1 KR 1020190076026 A KR1020190076026 A KR 1020190076026A KR 20190076026 A KR20190076026 A KR 20190076026A KR 102242833 B1 KR102242833 B1 KR 10224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peaker module
infant
support plate
inf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825A (ko
Inventor
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착한대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착한대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착한대디
Priority to KR102019007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8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8Children's chairs convertible to a rocking chair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고,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소리를 상기 지지판을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되기 위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편에 위치하며 함몰부가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모듈은 상기 제2면의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갖는 금속판상에 위치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 의하면, 유아용 의자의 등판 등 지지판의 후면에 스피커 모듈이 부착되어 지지판을 통한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하므로 스피커 모듈의 소리 또는 전자기파가 영유아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스피커 모듈이 부착된 지지판 전체가 울려 소리가 발생되므로 아이가 느끼는 소리의 방향성이 줄어들어 아이에게 주는 안정감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SMART CHAIR SYSTEM FOR CHILDREN CAPABLE OF GENERATING WHITE NOISE THROUGH BONE CONDU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시스템에 백색 소음(white noise) 둥 소리 발생이 가능한 스피커 모듈을 부착하고 스피커 모듈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의자의 지지판을 통한 골전도 방식으로 아이에게 전달하여 아이가 안정감을 갖게 하고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영유아를 돌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바운서(bouncer)가 있다. 바운서는 의자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흔들의자와 같이 앞뒤 또는 좌우로 흔들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영유아를 재우려는 경우나 달래려는 경우에 아이에게 부드러운 진동을 가함으로써 엄마의 품과 같은 안정감 및 편안함을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흔들림에 의하여 아이를 재우거나 달래는 것에 더하여, 바운서에서 일정한 소리 또는 멜로디를 재생함으로써 아이에게 청각적인 자극과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는 제품들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을 이용하면, 과거에 부모들이 직접 영유아를 안아서 달래는 과정에서 겪을 수 밖에 없었던 손목 통증 문제를 해결하는 등 육아를 위한 부모의 육체적인 활동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아직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영유아는 울음을 통해 주로 의사를 표시할 수 밖에 없으므로, 영유아의 울음소리에 담긴 의미를 잘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바운서 제품을 이용하더라도 아이가 울음을 빨리 그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기존의 바운서 제품은 단순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영유아가 우는 원인에 대해 대응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또한, 일정한 소리 또는 멜로디가 재생되는 바운서 제품의 경우, 제품 상에 소리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가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감각 기관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의 경우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지속적으로 듣게 될 경우 고막이나 청신경의 발달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또한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7564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아용 의자에서 등이나 엉덩이 등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후면에 스피커 모듈이 부착되어 지지판을 통한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함으로써, 스피커 모듈의 소리 또는 전자기파가 영유아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영유아의 울음 소리를 통해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백색 소음(white noise) 등 적절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고,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소리를 상기 지지판을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되기 위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편에 위치하며 함몰부가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한다. 이때,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상기 제2면의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고 개구부를 갖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금속판상에 위치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상에 부착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음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상기 지지판을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는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음원 중 결정된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부는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상기 음원을 재생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피커 모듈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소리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주파수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조정부에 의해 추출된 소리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스피커 모듈이 영유아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스피커 모듈에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는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소리가 상기 지지판을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되기 위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편에 위치하며 함몰부가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제2면의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과 접촉하는 금속판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스피커 모듈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원 중 상기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원은 백색 소음(white noise)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입력받는 단계 전에, 상기 스피커 모듈이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스피커 모듈에 입력된 소리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이, 추출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유아용 의자에서 엉덩이나 등과 같은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후면에 스피커 모듈이 부착되어 지지판을 통한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를 전달하므로, 스피커 모듈의 소리 또는 전자기파가 영유아의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스피커 모듈이 부착된 지지판 전체가 울려 소리가 발생되므로 아이가 느끼는 소리의 방향성이 줄어들어 아이에게 주는 안정감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영유아의 울음 소리를 통해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백색 소음(white noise) 등 적절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입력된 소리를 주파수를 기준으로 처리함으로써 스피커 모듈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아이의 소리를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 소리의 출력 중에도 아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b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B'를 잇는 선분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31)과 상기 지지판(31)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스피커 모듈(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영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31)에 접촉하여 배치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의자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여 신체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피커 모듈(60)은 영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21)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판(21, 31)의 전면 또는 후면이란 영유아에 대한 상대적인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지지판(21, 31)의 전면은 영유아가 그 위에 앉거나 누움으로써 아이의 신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닿는 부분의 표면을 지칭하며, 지지판(21, 31)의 후면은 상기 전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표면을 지칭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 모듈(60)은, 지지판(21 또는 31)의 전면에서 직접 아이에게 소리를 전달하는 대신 지지판(21 또는 31)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지지판(21 또는 31)의 진동을 통하여 소리를 아이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금속판(61)을 매개로 지지판(31)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금속판(61)은 스피커 모듈(60)에 의한 진동이 지지판(31)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60)은 유아용 의자 시스템에 앉거나 누운 영유아의 소리를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받고, 입력된 소리에 기초하여 스피커 모듈(60)이 출력할 소리를 결정하여 결정된 소리를 지지판(31)의 진동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60)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하단이 만곡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판(41, 42)을 포함한다. 측판(41, 42)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이 앞뒤로 흔들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영유아를 달래거나 재우기 위한 바운서(bouncer)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측판(41, 42)의 만곡된 하부면을 바닥에 닿게 한 상태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앞뒤로 흔드는 것에 의하여, 아이에게 부드러운 진동을 통한 안정감을 주고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한 쌍의 측판(41, 42) 사이를 가로질러 양 측판(41, 42)에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가로판(43, 44)과, 상기 가로판(43, 44)에 연결된 몸체(10)를 포함한다. 예컨대, 몸체(10)는 양 끝 부분이 2개의 가로판(43, 44)에 각각 연결된 수직판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영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21) 및 영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31)은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엉덩이 부분의 지지판(20)과 몸체(10) 사이에는 좌석판(20)이 위치하며, 좌석판(20)은 몸체(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몸체(10)에 결합된 하나 또는 복수의 하부 받침대(11)에 의하여 몸체(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한 쌍의 측판(41, 42)을 가로질러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고정판(51, 52)을 더 포함한다. 고정판(51, 52)은 한 쌍의 측판(41, 42) 사이를 가로지르며 고정판(51, 52)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회전축(미도시)에 의하여 측판(41, 42) 사이에 연결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판(51, 52)을 회전시킬 경우 고정판(51, 52)의 돌출된 다리 부분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몸체(10)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결합된 지지대(3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대(30)는 몸체(10)에 결합되어 몸체(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판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대(30)에는 지지대(3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조절 손잡이(310)가 결합되며, 지지대(30)를 관통한 조절 손잡이(310)의 끝은 몸체(10)의 표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된다. 조절 손잡이(310)를 당긴 상태에서 지지대(30)를 당기거나 밀면 조절 손잡이(310)가 몸체(10)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대(30)를 눕히거나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조절 손잡이(310)을 밀어 지지대(3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원리에 따라, 지지대(30)의 각도를 낮추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바운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30)의 각도를 높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흔들의자 또는 목마 형태의 장난감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서 지지판(31)의 후면에는 스피커 모듈(60)이 배치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금속판(61)을 통하여 지지판(31)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31)의 후면의 일부 영역을 일정 깊이로 파낸 함몰부를 형성하고 해당 함몰부 내에 금속판(61) 및 스피커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금속판(61)에는 스피커 모듈(6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지지판(31)에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지지판(31)의 후면에서 지지대(30)를 중심으로 한쪽 측면에 치우쳐 위치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지지판(31)에 대한 스피커 모듈(60)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지지판(31) 상의 다른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상호 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스피커 모듈(60)이 하나의 지지판(31)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b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B-B'를 잇는 선분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60)은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지지판(31)의 후면에 형성된 함몰부(3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311) 내에는 금속판(61)이 지지판(31)의 후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스피커 모듈(60)은 금속판(6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판(61)은 스피커 모듈(60)의 탈착 및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스피커 모듈(60)의 진동이 지지판(3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61)은 스피커 모듈(60)의 진동이 금속판(61)의 개구부를 통해 지지판(31)에 전달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질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지지판(31)이 스피커 모듈(60)과 접촉한 면의 반대편 면(312)에 몸을 지지한 채로 앉거나 누워 있게 되므로, 스피커 모듈(60)에 의해 발생된 소리가 아이의 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판(31)의 울림을 통하여 소리가 아이에게 전달된다. 이는 소리가 지지판(31) 전체에 울려 더욱 풍부한 소리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아이에게 소리에 의한 직접적인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자극이나 고막, 청신경 등의 손상에 대한 우려가 없이 안정적으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지지판(31)의 진동은 스피커 모듈(6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에서 지지판(31)이 진동함으로써 아이에게 엄마의 품속과 같은 느낌을 주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속판(61)이 스피커 모듈(60)에 비하여 크게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금속판(61)과 스피커 모듈(60)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금속판(61) 상에 복수 개의 스피커 모듈(6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판(31)의 후면에 형성되는 함몰부(311)의 깊이(D)는 스피커 모듈(60)에 의한 진동이 잘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값으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함몰부(311)의 깊이(D)가 깊을수록 스피커 모듈(60)이 영유아가 위치하는 표면(312)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며 스피커 모듈(60)과 접하는 지지판(31) 부분의 두께가 얇아져 진동이 더 잘 전달될 수 있으나, 깊이(D)가 너무 깊으면 상대적으로 고주파에 의한 진동의 비중이 증가하며 스피커 모듈(60)에서 발생된 전자기파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함몰부(311)의 깊이(D)가 얕으면 지지판(31)이 상대적으로 저주파에 의해 잘 진동하며 스피커 모듈(60)과 접하는 지지판(31)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자기파의 차폐 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으나, 깊이(D)가 너무 얕을 경우 스피커 모듈(60)과 접하는 지지판(31) 부분이 너무 두꺼워 지지판(31) 전체의 진동의 크기가 약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함몰부(311)의 깊이(D)는 지지판(31) 전체의 두께의 1/5 내지 4/5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함몰부(311)의 깊이(D)는 지지판(31) 전체의 두께의 1/3 내지 2/3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금속판(61)의 두께(t)는 스피커 모듈(6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지지판(31)에 잘 전달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금속판(61)이 두꺼울 경우 금속판(61)의 개구부를 통하여 지지판(31)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가 너무 작을 수 있고, 반면 금속판(61)이 너무 얇을 경우에는 스피커 모듈(60)의 탈부착에 따른 금속판(61)의 내구성이 부족하고 스피커 모듈(6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대한 차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금속판(61)의 두께는 지지판(31)의 함몰부(311)의 깊이(D)의 1/3 내지 2/3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스피커 모듈(6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00) 및 사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작 버튼(60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부(600)에 표시된 동작 상태를 보면서 조작 버튼(601)을 누름으로써 스피커 모듈(60)을 온(on)/오프(off)시키거나, 스피커 모듈(60)의 동작 모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 모듈(60)의 구성이나 형상은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의 후면, 즉, 스피커 모듈이 금속판을 통하여 지지판과 접촉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602)와, 스피커 모듈을 금속판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석(60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석(603)은 스피커 모듈(60)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스피커 모듈(60)의 각 모서리 부분에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스피커 모듈(60)을 금속판(61)에 가까이 가져가면, 자석(603)에 의하여 스피커 모듈(60)이 금속판(61)에 강하게 부착되며, 이 상태에서 스피커 모듈(60)이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금속판(61)을 통하여 지지판(31) 전체에서 소리가 울려퍼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할 경우 스피커 모듈(60)을 잡아당겨 자석(603)을 금속판(61)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스피커 모듈(60)을 금속판(6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금속판(61)에는 스피커 모듈(60)의 진동을 지지판(31)에 전달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모듈(60)에서 발생한 공기의 진동은 지지판(31)의 개구부 내에서 전파되어 지지판(31)에 전달될 수 있다. 금속판(61)의 개구부는 스피커 모듈(60)에 형성된 각 스피커(602)의 위치에 정렬되어 상하부에 각각 하나씩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금속판(61)은 그물 형상의 몸체에 복수의 개구부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금속 메쉬(mesh)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60)에 형성된 스피커(602)의 위치와 개수 및 크기, 금속판(61)에 형성된 개구부의 형상과 크기, 스피커(602)에 대한 금속판(61)의 개구부의 상대적인 크기, 및 스피커(602)와 금속판(61)의 개구부 사이의 인접도 등 진동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들은 스피커 모듈(60)의 진동이 지지판(31)에 전달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 포함된 스피커 모듈의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 모듈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 모듈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스피커 모듈(60)은 입력부(610), 출력부(620), 저장부(650) 및 제어부(6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스피커 모듈(60)은 주파수 조정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스피커 모듈(60)은 출력 조절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의 각 부는 스피커 모듈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부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610)는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부분이다. 예컨대, 입력부(610)는 스피커 모듈(60)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구비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10)에 입력된 영유아의 소리는, 후술하는 제어부(660)에 의해 분석되어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출력부(620)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부분이며, 저장부(650)는 출력부(620)에 의해 출력되기 위한 소리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602)가 출력부(62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50)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음원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이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임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6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영유아의 소리(예컨대, 울음 소리)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통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660)는 디지털화된 정보에 대한 처리 및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명령을 전송하여 다른 전자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이의 울음은 아이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어부(660)는 아이의 소리가 갖는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아이의 소리에 따른 상태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660)는 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아이가 울고 있을 때의 주파수, 울음을 그치는 중의 주파수, 및 울지 않을 때의 주파수로 구분하여 아이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를 이용한 소리의 구분 방식과 이에 따른 주파수 범위는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어부(660)는 소리의 주파수를 통하여 결정된 아이의 상태에 상응하여 이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출력부(620)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소리는 저장부(650)에 저장된 음원들 중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60)는 아이가 울고 있는 상태일 경우 아이를 진정시키기 위한 백색 소음(white noise),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음원, 클래식 음악 또는 자장가 음원 등을 재생하며, 아이가 울다가 울음을 그치는 도중 음원 재생을 지속하고, 아이가 수면에 드는 등 울지 않는 상태가 되면 음원의 재생을 정지하도록 출력부(620)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조정부(63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 중에서 아이의 소리와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소리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부(620)를 통해 백색 소음 등 음원이 재생되는 상태에서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가 아이의 소리인지 또는 출력부(620)에서 재생되는 소리인지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620)는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고, 주파수 조정부(63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제외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리 또는 아이의 울음 소리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주파수 조정부(630)에 의해 출력부(620)의 주파수 대역과 분리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도 지칭한다. 이때 제어부(660)는 주파수 조정부(630)에 의해 추출된 소리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사태를 결정함으로써, 스피커 모듈(60) 자체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동작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조절부(640)는 출력부(620)에 의한 소리의 재생을 센서(미도시)의 감지 결과를 토대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때 센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60)이 금속판(61; 도 2a 및 2b)과 같은 표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출력 조절부(640)는 스피커 모듈(60)이 다른 물체의 표면에 닿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터치 센서 또는 다른 적절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자석(603; 도 3) 등을 이용하여 스피커 모듈(60)을 금속판(61)으로부터 붙였다 떼었다 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때 출력 조절부(640)는 스피커 모듈(60)이 금속판(61) 등 표면에 접촉한 것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스피커 모듈(60)이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출력부(620)에 의해 소리를 출력하고 스피커 모듈(60)이 표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리의 출력을 중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불필요한 소리의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스피커 모듈(6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이용하려는 사용자(예컨대, 부모)는 아이의 각 상태(예컨대, 울고 있는 상태, 울음을 그치는 중인 상태, 울지 않는 상태 등)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S1). 이는, 스피커 모듈(60)의 입력부(610)가 아이의 소리를 입력받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현재 아이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스피커 모듈(60)의 조작 버튼(601)을 이용하여 각 상태별로 최초 1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듈(60)의 제어부(660)는, 조작 버튼(601)을 통해 입력된 아이의 상태와 해당 입력 시점에 입력부(610)에 수신된 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상호 간에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추후 해당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입력되었을 때 아이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아이에 따라 발성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상과 같이 상태별 주파수를 사용자가 각 상태별로 최초 1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에는 아이의 각 상태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가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단계(S1)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 모듈(60)은 입력부(610)를 통하여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이용하는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을 수 있다(S2). 이때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의 주파수 조정부(63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 중 스피커 모듈(60)에 의하여 출력되는 음원의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S3). 또는, 주파수 조정부(63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 중에서 아이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추출할 수도 있다(S3). 이는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스피커 모듈(60) 자체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스피커 모듈(60)의 제어부(660)는 입력부(610)에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는 아이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S4). 주파수 조정부(630)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660)는 주파수 조정부(630)에 의해 처리된 신호로부터 아이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태의 결정은 입력된 소리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자에 의해(단계 S1) 또는 사전에 설정된 상태별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피커 모듈(60)의 제어부(660)는 결정된 아이의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이 재생되도록 스피커 모듈(60)의 출력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S5). 예를 들어, 제어부(660)는 아이가 울고 있는 상태로 확인될 경우 출력부(620)를 통하여 백색 소음, ASMR 음원, 클래식 음악 또는 자장가 음원 등 아이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소리를 재생하도록 출력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의 상태에 따라 재생할 음원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 모듈(60)의 출력 조절부(640)는 관성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관성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 값에 따라 출력부(620)에 출력되는 음원의 종류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영유아를 보호하는 부모 등이 아이를 달래기 위하여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흔드는 경우 그 상태에 맞추어 적절한 종류의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동일하게 아이가 울고 있는 상태 중에서도 가속도 값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음원 중 상대적으로 변화도가 큰 음원(예컨대, 클래식 음악, 자장가 등)을 출력하고, 가속도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아이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보아 음원 중 상대적으로 변화도가 작은 음원(예컨대, ASMR 음원, 백색 소음 등)을 출력하도록 출력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620)를 통하여 소리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제어부(660)는 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된 소리에 기초한 아이의 상태 분석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아이의 상태가 사전에 설정된 정지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S6), 제어부(660)는 출력부(620)를 통한 소리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출력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S7). 예를 들어, 아이의 상태가 울고 있는 상태에서 울음을 그치는 중인 상태를 거쳐 울지 않는 상태로 전환된다고 가정하면, 정지 조건은 아이가 울지 않는 상태에 도달한 뒤의 경과 시간(예컨대, 5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60)는 아이가 울지 않는 상태가 된 후의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여, 정지 조건에 부합할 경우 출력부(620)를 통한 소리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60)는 출력부(620)를 통한 소리 출력을 중단시키는 것을 소정의 시간 동안 점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급격한 소리의 변화로 인해 아이의 안정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제어부(660)는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일정한 시간(예컨대, 30초 등) 동안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식으로 소리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60)는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종류를 클래식 또는 자장가 등 한 종류의 음원으로부터 ASMR, 백색 소음 등 다른 종류의 음원으로 먼저 변경하고, 이후 변경된 음원이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소리의 출력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바운서 형태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지대(30)를 반쯤 눕힌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 전술한 것과 같이 지지대(30)가 눕혀진 각도는 지지대(30)에 구비된 조절 손잡이(310)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도 6은 지지대(30)를 세운 상태(즉, 지지대(30)의 각도를 높인 상태)의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변형된 상태에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은 바운서가 아니라 유아 또는 어린이가 지지판(21)에 앉을 수 있는 의자의 기능을 하며, 만곡된 양 측판(41, 42)으로 인하여 의자를 앞뒤로 흔들 수 있으므로 흔들의자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또 다른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변형된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지지대(30)를 세운 상태에서 엉덩이 부분의 지지판(21) 및 등 부분의 지지판(31)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지지대(30)에는 핸들(30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아 또는 어린이는 의자로 사용할 때와 반대의 방향으로(즉, 얼굴이 지지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앉은 상태에서 핸들(301)을 잡고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목마와 같은 형태의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30)를 말머리 형상으로 구현할 경우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좌석판(20)에서 제거된 지지판(21)을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양 측판(41, 42) 사이에 수납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가 발을 얹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21)은 양 측판(41, 42)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고정판(51, 52) 위에 놓여질 수 있으며, 유아 또는 어린이는 좌석판(20)에 앉은 상태에서 양 발을 지지판(21)위에 얹은 채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유아 또는 어린이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몸체(10)에 형성된 핸들(12) 위에 발을 올려두고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며,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되기 위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편에 위치하며 함몰부가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기 제2면의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 상에 배치되며,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고, 입력된 소리에 상응하여 결정된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소리를 상기 지지판을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판은, 상기 스피커 모듈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지지판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피커에 정렬되어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은,
    영유아의 소리를 입력받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지지판을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소리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주파수 조정부; 및
    상기 주파수 조정부에 의해 추출된 소리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상에 부착되도록 더 구성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모듈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음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음원 중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5. 삭제
  6. 영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스피커 모듈이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 모듈이 영유아가 내는 소리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스피커 모듈에 입력된 소리 중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스피커 모듈이, 추출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이용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소리가 상기 지지판을 통하여 영유아에게 전달되도록,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상기 영유아의 신체와 접촉되기 위한 제1면, 및 상기 제1면 반대편에 위치하며 함몰부가 형성된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제2면의 상기 함몰부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피커 모듈과 접촉하는 금속판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판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피커 모듈의 하나 이상의 스피커에 정렬되어 형성된,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이, 상기 스피커 모듈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음원 중 상기 결정된 영유아의 상태에 상응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원은 백색 소음을 포함하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190076026A 2019-06-26 2019-06-26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4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6A KR102242833B1 (ko) 2019-06-26 2019-06-26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6A KR102242833B1 (ko) 2019-06-26 2019-06-26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25A KR20210000825A (ko) 2021-01-06
KR102242833B1 true KR102242833B1 (ko) 2021-04-21

Family

ID=7412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26A KR102242833B1 (ko) 2019-06-26 2019-06-26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83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753B2 (ja) * 1997-12-17 2001-06-11 株式会社オーバル 回転検出器
KR200398364Y1 (ko) 2005-08-02 2005-10-12 박동현 유아달래기용 음향 기기
JP2006302173A (ja) 2005-04-25 2006-11-02 Aruze Corp 乳幼児監視装置
JP2008513138A (ja) 2004-09-16 2008-05-01 ダニエル・イー・コーヘン 音及び振動の伝達パッド及び装置
KR200464375Y1 (ko) 2012-03-07 2012-12-3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음향효과를 이용한 진동의자
KR101381641B1 (ko) 2013-09-11 2014-04-10 시벤스 주식회사 촉감감응형 의자
KR101456887B1 (ko) 2013-06-04 2014-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소음저감 시스템
KR101753102B1 (ko) 2016-12-15 2017-07-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및 미세 진동을 통한 영유아 컴포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95B1 (ko) * 2002-10-07 2005-08-05 이동도 엄마심장소리 아기요람
KR20100138213A (ko) * 2009-06-24 2010-12-31 이인복 유아용 변기가 구비된 흔들의자
KR20110009760U (ko) * 2010-04-08 2011-10-14 편준범 소리 진동 기능이 내장된 접이식 휴대용 매트
KR101290181B1 (ko) * 2011-01-12 2013-07-30 (주) 사람과나눔 영유아 음성 응대형 완구 및 그의 제어 방법
TWM433045U (en) * 2011-12-27 2012-07-01 Chief Land Electronic Co Ltd Vibration speaker with a securing device
KR101675647B1 (ko) 2014-12-05 2016-11-14 김광 휴대용 바운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753B2 (ja) * 1997-12-17 2001-06-11 株式会社オーバル 回転検出器
JP2008513138A (ja) 2004-09-16 2008-05-01 ダニエル・イー・コーヘン 音及び振動の伝達パッド及び装置
JP2006302173A (ja) 2005-04-25 2006-11-02 Aruze Corp 乳幼児監視装置
KR200398364Y1 (ko) 2005-08-02 2005-10-12 박동현 유아달래기용 음향 기기
KR200464375Y1 (ko) 2012-03-07 2012-12-3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음향효과를 이용한 진동의자
KR101456887B1 (ko) 2013-06-04 2014-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소음저감 시스템
KR101381641B1 (ko) 2013-09-11 2014-04-10 시벤스 주식회사 촉감감응형 의자
KR101753102B1 (ko) 2016-12-15 2017-07-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및 미세 진동을 통한 영유아 컴포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25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4627B (zh) 用于自主安抚婴儿的系统及方法
JP7240450B2 (ja) 乳幼児用鎮静/睡眠支援装置
US10463168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KR102137657B1 (ko) 유아용 진정/수면 보조장치 및 사용방법
EP3027085B1 (en) Device for infant calming
EP3261495B1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10258761B2 (en) Children's product with synchronized sound and non-sound output
US20170245555A1 (en) Sleep sack for infant calming/sleep aid
US20190209932A1 (en) User Interface for an Animatronic Toy
CN112437963A (zh) 与输入节奏同步以实现抚慰效果的适应性感官输出
CN109996470A (zh) 基于人工智能及微细振动的婴幼儿舒适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111853A (zh) 儿童保育支持用程序、儿童保育支持方法、儿童保育支持系统和婴幼儿用监测装置
JP2006302173A (ja) 乳幼児監視装置
KR102242833B1 (ko) 골전도를 통한 백색 소음 발생 기능을 갖는 유아용 스마트 의자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7355735B2 (ja) 乳児起動式音声再生機の利用
US20070200714A1 (en) Sound activated infant comfort device
KR200398364Y1 (ko) 유아달래기용 음향 기기
JP2017062296A (ja) 演奏技術描画評価システム
KR20000007028A (ko) 골도진동자가 내장된 인형
WO20090524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othing a baby
KR100517741B1 (ko) 유아용 침구
JPH09191984A (ja) 乳児用音響装置
WO202301886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multi-sensory tactile sound system for a children's product
JP7257828B2 (ja) 啼泣抑制装置、啼泣抑制システム、啼泣抑制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829221A (zh) 用于减轻婴儿肠绞痛症状的音频装置、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