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31Y1 - 유아용 침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31Y1
KR200270131Y1 KR2020010039318U KR20010039318U KR200270131Y1 KR 200270131 Y1 KR200270131 Y1 KR 200270131Y1 KR 2020010039318 U KR2020010039318 U KR 2020010039318U KR 20010039318 U KR20010039318 U KR 20010039318U KR 200270131 Y1 KR200270131 Y1 KR 200270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unit
signal
bedding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윤
Original Assignee
고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윤 filed Critical 고세윤
Priority to KR2020010039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31Y1/ko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침구류에 이용하여 유아의 수면을 유도하는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녹음/ 재생/ 소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녹음/ 재생/ 소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수단과;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재생부와; 상기 오디오신호 재생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한 주머니;를 포함함으로써, 유아를 돌보는 부모가 유아를 재우려고 할때마다 자장가를 불러주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침구{Bedclothes for the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침구류에 이용하여 유아의 수면을 유도하는 유아용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유아를 재우기 위해서는 유아를 안거나 업어야하며 유아가 잠이 들때까지 계속해서 자장가를 불러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유아는 부모의 따뜻한 품에서 부모의 심장 박동 소리와 부모의 음성을 들으면서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며 잠드는 것이다.
그러나 유아를 돌보는 부모는 유아를 재우기 위해서 자신의 휴식 시간과 힘을 소비하게 되므로 자기 개발의 시간이 없고, 또한 피로회복을 위한 휴식을 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아를 재우는 부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기능적인 침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고안된 침구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80425호 "유아용 침구"가 있다. 상기 유아용 침구는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부모의 품에서 잠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아용 침구는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장치만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를 재우려고 할때마다 부모가 자장가를 불러주어야하는 불편함까지 해소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자장가와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를 돌보는 부모의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부모의 음성을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녹음/ 재생/ 소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녹음/ 재생/ 소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재생부와; 상기 오디오신호 재생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한 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오디오신호 재생부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오디오신호 재생부의 외부 사시도.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침구 200:주머니
300:오디오신호 재생부
310:마이크로폰 320:키 조작부
330:제어부 340:음성처리부
350:기록수단 360:증폭부
370:스피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오디오신호 재생부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오디오신호 재생부(300)와 주머니(200)와 침구(1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침구(100)는 일반적으로 이불과 베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나 본 고안에서는 이불을 의미하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유아용 또는 어린이용 이불을 의미한다.
상기 주머니(200)는 상기 침구(100)의 일부분으로 물건을 내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200)는 개방되어 있거나 지퍼 또는 단추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가 잠을 자면서 움직여도 오디오신호 재생부(300)가 침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탁을 할 때 오디오신호 재생부(300)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오디오신호 재생부(300)는 본 고안의 핵심 부분으로서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310)과 키 조작부(320)와 제어부(330)와 음성처리부(340)와 기록수단(350)과 증폭부(360)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7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키 조작부(320)는 녹음/ 재생/ 소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와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업(UP)/다운(DOWN) 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키 조작부(320)의 조작신호에 따라 녹음/ 재생/ 소거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음성처리부(340)는 A/D 컨버터와 D/A 컨버터 및 저역필터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음성처리부(340)는 상기 마이크로폰(310)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는 파형 코딩방식을 이용하여 음을 기억시키고 재생시킨다. 상기 파형 코딩 방식으로는 PCM(Pulse Code Modulation)방식과 ADPCM(Adaptive Differential PCM)방식과ADM(Adaptive Delta Modulation)방식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음성처리부(340)는 PCM방식에 비해 비트레이트가 적은 ADPCM방식이나 ADM방식을 이용한 음성처리I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억수단(350)은 상기 음성처리부(34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억수단(350)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360)는 상기 음성처리부(3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7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아용 침구는 인간의 심장 박동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심장박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유아가 부모의 음성을 들으면서 부모의 품에서 잠드는 것과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장박동 구동부는 소정의 심장 박동수를 제어하는 발진회로와; 상기 제어된 심장 박동수를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심장박동 구동부의 작용효과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180425호 "유아용 침구"로 공지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오디오신호 재생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의 오디오신호 재생부는 녹음/ 재생/ 소거 키(321)와,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업(UP)/다운(DOWN) 키(322)와 심장박동 조절키(323)와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마이크/스피커 창(3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심장박동 조절키는 사용자가 원하는 심장박동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330)에 입력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유아용 침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유아를 위해 자장가나 음성을 녹음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녹음키를 누른 후 녹음을 시작한다. 음성은 마이크/스피커 창(311)을 통과한 후에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성처리부(340)로 입력된다. 상기 음성처리부(340)로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되어 제어부(330)에 의해 메모리부(350)로 입력되어서 저장된다. 녹음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녹음키를 다시 눌러줌으로서 녹음을 종료한다.
녹음된 내용을 재생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재생키를 눌러서 녹음을 재생한다. 재생스위치가 눌려지면 제어부에서는 이것을 감지하고 메모리부(350)에 저장되었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는 음성처리부(340)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복조된 후 증폭부(360)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370)를 통해 출력된다.
녹음을 소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소거 키를 눌러서 녹음된 내용을 소거한다. 소거 키가 눌려지면 제어부(330)에서는 이것을 감지하고 메모리부(350)에 저장되었던 내용을 모두 삭제한다.
이 때 심장박동 조절키(323)를 눌러줌으로써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이 잠자는 유아에게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유아를 돌보는 부모가 유아를 재우려고 할때마다 자장가를 불러주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침구는 심장박동에 대응하는 진동과 녹음된 부모의 음성을 유아에게 들려주므로써 유아의 정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부모의 개인적인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녹음/ 재생/ 소거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부와,
    상기 키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녹음/ 재생/ 소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수단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기록수단에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재생부와;
    상기 오디오신호 재생부를 내장하되 착탈가능한 주머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침구가:
    소정의 심장 박동수를 제어하는 발진회로와;
    상기 제어된 심장 박동수를 입력잗아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부;
    를 포함하는 심장박동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메모리나 자기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가 에이디피씨엠(ADPCM)변조방식에 의한 압축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성처리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작부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조절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침구.
KR2020010039318U 2001-12-19 2001-12-19 유아용 침구 KR200270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8U KR200270131Y1 (ko) 2001-12-19 2001-12-19 유아용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318U KR200270131Y1 (ko) 2001-12-19 2001-12-19 유아용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31Y1 true KR200270131Y1 (ko) 2002-03-28

Family

ID=73114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318U KR200270131Y1 (ko) 2001-12-19 2001-12-19 유아용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3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95B1 (ko) * 2002-10-07 2005-08-05 이동도 엄마심장소리 아기요람
KR200466439Y1 (ko) 2010-04-29 2013-04-18 이은재 아기베개
WO2018190462A1 (ko) * 2017-04-14 2018-10-18 (주)새한텅스텐 영유아 수면 유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95B1 (ko) * 2002-10-07 2005-08-05 이동도 엄마심장소리 아기요람
KR200466439Y1 (ko) 2010-04-29 2013-04-18 이은재 아기베개
WO2018190462A1 (ko) * 2017-04-14 2018-10-18 (주)새한텅스텐 영유아 수면 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10605A1 (en) Infant soothing and sleep aid
US6206821B1 (en) Device for generat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brain wave sound and fetal vital sound for a woman and her fetus
KR200270131Y1 (ko) 유아용 침구
US6940432B1 (en) Subliminal recording device
KR100517741B1 (ko) 유아용 침구
KR200398364Y1 (ko) 유아달래기용 음향 기기
CN201929535U (zh) 安心枕
JPH03195513A (ja) 揺りかご
KR100506595B1 (ko) 엄마심장소리 아기요람
Olds A sound start in life
KR101905472B1 (ko) 영유아 수면 유도 시스템
KR100358715B1 (ko) 양수소리재생방법및장치
JP2005196092A (ja) 赤ちゃん用携帯胎内音再生プレーヤー。
KR200186971Y1 (ko) 유아용 침대
KR200219884Y1 (ko) 아기용 매트리스
KR200275005Y1 (ko)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를 내는 유아용 베개
KR200355384Y1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CN212261025U (zh) 骨传导音乐枕
KR19980043143A (ko) 음성녹음기가 내장된 인형
KR200323684Y1 (ko) 보이스레코더를 구비한 알람시계
JPH11319329A (ja) 人 形
KR200291576Y1 (ko) 음향발생용 베개
KR930004617Y1 (ko) 베 개
JP3039572U (ja) 音声発生器付人形台座
JPH04250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