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630B1 -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 Google Patents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630B1
KR100517630B1 KR10-2003-0016674A KR20030016674A KR100517630B1 KR 100517630 B1 KR100517630 B1 KR 100517630B1 KR 20030016674 A KR20030016674 A KR 20030016674A KR 100517630 B1 KR100517630 B1 KR 100517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teering column
column support
support
fro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064A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6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2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ventilation channels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전방본체와, 상기 전방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후방본체와, 상기 후방본체 일측 하단에 결합되는 페달 지지브라켓과,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결합되고, 후방본체를 감싸며 타측이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써,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디프로스터 노즐과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어 부품수 절감 및 조립 공수를 단축 할 수 있고,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일측이 페달 지지브라켓에 지지되고, 후방본체를 감싸며, 타측은 전방본체에 체결되므로 써, 강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충격완화부재에는 주름을 형성하므로 써, 차량의 충돌시 무릎이 글로브 박스에 부딪힐 때,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Steering Column Support able to Modulazine Pedal}
본 발명은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써, 후방본체를 감싸며 상단이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배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지지되는 페달 지지브라켓으로 인해, 페달의 모듈화가 가능하고, 전방본체와 후방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로 인해, 디프로스터 노즐과 공기조절장치와의 연결을 단순화 하고, 무게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부품수 절감 및 조립 공수를 단축 할 수 있고,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강성을 증대한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먼저, 국내 실용신안 공보(공개번호 실2001-0002045), 국내 특허공보(등록번호 10-0197210), 국내 특허공보(등록번호 10-0191134)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 벤트 덕트의 구조에 관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벤트 덕트 설치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에어 벤트 덕트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벤트 덕트는 서리 제거용 본체 덕트(main defroster duct)(11)와, 서리 제거용 측면 덕트(side defroster duct)(12)와, 공기공급용 중앙 덕트(center air vent duct)(13a)와, 공기공급용 측면 덕트(side air vent duct)(13b)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사출 및 몰딩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 부품은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계기판, 오디오 등이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 코어(14) 내측에 형성된 보스에 체결함으로 써, 설치가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와 페달 지지브라켓의 경우, 악셀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클러치 페달을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그 조립작업에 어려움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한 문제로 브라켓과 페달의 모듈화가 불가능 하였다.
또한, 종래의 에어 벤트 덕트의 설치구조는, 상기 에어 벤트 덕트(11, 12, 13)가 여러 개의 부품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위에서의 유동손실이 발생하고,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연결부위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된다. 또한,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조립공수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들과 함께, 스티어링 컬럼서포트가 후방본체 및 전방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구조로써,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연결부위의 마찰로 인한 결합부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써, 후방본체를 감싸며 배치되고,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와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지지되는 페달 지지브라켓으로 인해, 페달의 모듈화가 가능하고, 전방본체와 후방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덕트로 인해, 상기 전방본체와 후방본체를 결합하므로 써, 디프로스터 노즐과 공기조절장치와의 연결을 단순화 하고, 무게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하며, 부품수 절감 및 조립 공수를 단축 할 수 있도록 한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전방본체와, 상기 전방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후방본체와. 상기 후방본체 일측 하단에 결합되는 페달 지지브라켓과,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결합되며, 후방본체를 감싸며 타측이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 벤트 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 덕트가 일체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 단면도이고, 도 7은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일체로 성형된 에어벤트덕트에 결합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에 관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 벤트 덕트는,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측에 배치되는 전방본체(20)와, 차량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며, 계기판 및 글로브 박스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후방본체(30)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본체(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디프로스터 노즐과 연결되는 제 1토출로(21)가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토출로(21)는, 일측이 밀폐되어 있으며, 그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토출로(2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제 1공급로(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공급로(22)는 상기 제 1토출로(21)와 마찬가지로 일측은 밀폐되며,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공급로(22)는 전방본체(20)의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공급로(22)와 연통되고, 상기 제 1토출로와(21)도 연통되며, 하측에는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도록 개구부를 갖는 공급구(23)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토출로(21)와 제 1공급로(22) 사이에는 제 1통풍로(27)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통풍로(27)는 제 1토출로(21)와 제 1공급로(22)와 연통되어 있으며, 일측은 밀폐되어 있고,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통풍로(27)는, 상기 제 1공급로(22)와 마찬가지로 전방본체(20)의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후방본체(30)는, 제 1토출로(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토출로(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공급로(22)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2공급로(3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공급로(32)는 상측으로 제 1토출로(21)와 연통된다.
상기 제 2공급로(32)는 중앙에 센터개구부(33)를 형성하고, 양측에는 사이드 개구부(34)를 형성한다.
또한, 제 1통풍로(27)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통풍로(37)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후방본체(3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충격완화부재(35)과 일체로 사출 성형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35)는, 도 4와 같이 주름(도면부호 생략)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재(35)에는 카울 크로스 멤버(36)가 결합된다.
상기 충격완화부재(35)와 대향되는 전방본체(20)에는 지지부재(24)가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터 개구부(33) 하측에는 레그 브라켓40)이 결합되고, 카울 크로스 멤버(36)와 후방본체(30) 사이에 페달 지지브라켓(60)이 결합되며,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60)에는 후술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50)가 지지되어진다.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60)은, 상단에 다수개의 체결공(6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1)에는,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50)와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60)은 하단에는, 다수개의 리브(62)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62)에는 전(20),후방본체(30)의 길이방향으로 홀(63)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와 홀(63)에는 악셀페달과, 브레이크 페달 등이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본체(20)와 후방본체(30)의 결합 후, 측면에는 측면 브라켓(70)으로 결합한다.
상기 전방본체(20)와 후방본체(30)의 진동 융착 후, 제 1공급로(22)와 제 2공급로(32)는 하나의 관을 갖으며, 상측으로는 디프로스터 노즐과 연결되어지고, 하측으로는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어진다.
한편, 첨부된 도 7의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어링 컬럼서포트(50)는, 전방본체(20)와 후방본체(30)의 진동 융착 후, 일측이 페달 지지브라켓(60)에 지지되고, 후방본체(30)를 감싸며, 타측은 전방본체(20)에 체결된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50)는, 몸체(51)와 지지부(52), 체결부(53)로 구분된다.
지지부(52)는, 페달 지지브라켓(60)에 지지되며, 체결부(53)는 다수개의 체결공(5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53')은 전방본체(20)와 결합된다.
상기 체결공(53')과 상기 지지부(52) 사이의 몸체(51)에는 강성을 증대하기 위한 요홈(54)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52)의 중심부에는 조향축이 삽입되는 삽입홀(55)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결합되어지는 본 발명인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는, 다음과 같은 작용과 효과가 있다.
먼저, 스티어링 컬럼서포트가 후방본체를 감싸며, 전방본체에 체결되고, 지지부는 페달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므로 써, 결합력과 함께, 전방본체와 후방본체의 진동융착 후 2차적인 체결력을 갖도록 하였으며, 페달과 브라켓의 모듈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몸체에 내측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그 자체의 강성을 증대하였다.
또한, 전방본체(20)와 후방본체(30)를 진동 융착하여 결합하게 되면, 제 1토출로(21)와 제 2토출로(31)가 밀착되어지므로 써, 서리 제거용 본체 덕트가 형성되고, 제 1공급로(22)와 제 2공급로(32)에 의해 서리 제거용 측면 덕트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제 2공급로(32)와 연통되도록 센터개구부(33)(공기 공급용 중앙 덕트)와 사이드 개구부(34)(공기 공급용 측면 덕트)가 형성되므로 써, 종래에 각각(디프로스터 덕트, 측면 디프로스터 덕트, 공기 공급용 중앙 덕트, 공기 공급용 측면 덕트)의 덕트를 갖는 부속품을 전방본체(20)와 후방본체(30)를 진동 융착하여 결합하므로 써,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개의 부품으로 연결되어 있던 연결부위에서의 유동 손실을 억제하고, 차량의 주행 중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연결부위에서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제거하고, 조립공수 및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전방본체와 후방본체의 진동 융착 후, 상기 후방 본체를 감싸며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지지부에 페달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며,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에 악셀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이 결합되므로 써, 본체와 함께 브라켓과 페달의 모듈화가 가능하다.
두 번째, 전방본체에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제 1공급로를 형성하고, 후방본체에는 제 1공급로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2공급로를 형성하여, 진동 융착 후 서리제거용 측면 덕트가 형성되므로 써, 디프로스터 노즐과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어 부품수 절감 및 조립 공수를 단축 할 수 있다.
세 번째,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일측이 페달 지지브라켓에 지지되고, 후방본체를 감싸며, 타측은 전방본체에 체결되므로 써, 강성을 증대하였다.
네 번째, 후방본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다수개의 충격완화부재과,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카울 크로스 멤버가 결합되고, 전방본체에 후방본체가 진동 융착되므로 써, 무게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제 1통풍로와 제 2통풍로에 의해 공기 공급용 덕트가 형성되어, 차 실내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충격완화부재에는 주름을 형성하므로 써, 차량의 충돌시 무릎이 글로브 박스에 부딪힐 때,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였다.
일곱 번째, 충격완화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본체에는 지지부재를 형성하므로 써, 충격완화부재와의 결합 및 충돌 후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덟 번째,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몸체에는 지지부와 체결공 사이에 요홈을 형성하여,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강성을 증대하였다.
도 1은 종래 에어 벤트 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에어 벤트 덕트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벤트 덕트가 일체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 확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B-B 단면도.
도 7은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전방본체 21 - 제 1토출로
22 - 제 1공급로 23 - 공급구
24 - 지지부재 27 - 제 1통풍로
30 - 후방본체 31 - 제 2토출로
32 - 제 2공급로 33 - 센터 개구부
34 - 사이드 개구부 35 - 충격완화부재
36 - 카울 크로스 멤버 37 - 제 2통풍로
40 - 레그 브라켓 50 -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51 - 몸체 52 - 지지부
53 - 체결부 53' - 체결공
54 - 요홈 55 - 삽입홀
60 - 페달 지지브라켓 62 - 리브
63 - 홀 70 - 측면 브라켓

Claims (7)

  1. 공기조절장치와 연결되는 전방본체와;
    상기 전방본체와 일체로 결합되는 후방본체와;
    상기 후방본체 일측 하단에 결합되는 페달 지지브라켓과;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결합되고, 후방본체를 감싸며 타측이 전방본체에 체결되는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는;
    상기 페달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후방본체를 감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가 전방본체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서포트의 몸체에는;
    지지부와 체결공 사이에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본체는;
    상기 공기조절장치와 연통되며, 상측으로 형성된 제 1토출로와;
    상기 제 1토출로와 중심부가 연통되고, 하측으로는 상기 공기조절장치와 연통되며, 상기 전방본체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 1통풍로와;
    상기 제 1통풍로의 중심부와 연통되고, 상기 공기조절장치와 연통되어 상기 전방본체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제 1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본체는;
    상기 제 1토출로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토출로와;
    상기 제 1통풍로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통풍로와;
    상기 제 1공급로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공급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토출로와 제 2토출로에 의해 서리제거용 본체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 1통풍로와 제 2통풍로에 의해 공기 공급용 덕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 1공급로와 제 2공급로에 의해 서리제거용 측면 덕트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본체와 일체로 사출되는 다수개의 충격완화부재와;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결합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에는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와 대향되는 전방본체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KR10-2003-0016674A 2003-03-18 2003-03-18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KR100517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74A KR100517630B1 (ko) 2003-03-18 2003-03-18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74A KR100517630B1 (ko) 2003-03-18 2003-03-18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64A KR20040082064A (ko) 2004-09-24
KR100517630B1 true KR100517630B1 (ko) 2005-09-28

Family

ID=3736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674A KR100517630B1 (ko) 2003-03-18 2003-03-18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351A (ko) * 2009-11-27 2011-06-02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64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733B1 (en) Cockpit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838874B2 (ja) 自動車のコックピット
JP3899123B2 (ja) インスツルメントパネル取付け構造体アセンブリー
US6802559B2 (en) Instrument panel assembly for vehicle
JP3357569B2 (ja) ダッシュボード
KR101766118B1 (ko) 칵핏 모듈블록 어셈블리
KR100517630B1 (ko) 페달 모듈화가 가능한 스티어링 컬럼서포트
WO2001068391A3 (en) A dashboard car duct with integrated mode doors and hvac module
CN215513878U (zh) 车辆驾驶舱模块组件
KR100461796B1 (ko) 계기판 빔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17878A (ko) 자동차의 에어덕트 일체형의 통합빔 구조
KR20010066474A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 보강구조
JP2002205529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の車両搭載構造
KR100512442B1 (ko) 에어 벤트 덕트가 일체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JP4192376B2 (ja) 車両用コクピットモジュール組付体
JP334053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612195B1 (ko)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KR20060109632A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패널 보강구조
JP4040342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329465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315060B1 (ko) 자동차의 후론트 엔드 구조
JPH11227474A (ja) エンジン補機の組付構造
JP3994334B2 (ja) リィンフォースバー
JP4031937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4218332B2 (ja) 車両空調ダク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