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03B1 -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03B1
KR100516403B1 KR10-2003-7004966A KR20037004966A KR100516403B1 KR 100516403 B1 KR100516403 B1 KR 100516403B1 KR 20037004966 A KR20037004966 A KR 20037004966A KR 100516403 B1 KR100516403 B1 KR 100516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file
featu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225A (ko
Inventor
미와코 이요쿠
타쯔히로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에누티티 코뮤니케-숀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티티 코뮤니케-숀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티티 코뮤니케-숀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2Query formulation
    • G06F16/634Query by example, e.g. query by hu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G10H2240/141Library retrieval matching, i.e. any of the steps of matching an inputted segment or phrase with musical database contents, e.g. query by humming, singing or playing; the steps may include, e.g. musical analysis of the input, musical feature extraction, query formulation, or details of the retrieval 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8Application of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distributed, multimedia, or image

Abstract

수신한 방송 데이터로부터 방송 콘텐츠의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 리스트 작성방법이 제공된다. 그 플레이 리스트 작성방법은 미리 방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고 그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콘텐츠 정보 DB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소정 종류의 방송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와, 그 소정 종류의 방송 콘텐츠의 이름이 판명되면 그 소정 종류의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과 상기상기츠 정보 DB로부터 그 소정 종류의 방송 콘텐츠의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Description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Musical composition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storage medium where musical composition program is stored, commercial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where commercial recognition program is stored}
본 발명은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格納)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와 FM 등에서 방송된 영상, 또는 음성정보 중 방송된 악곡명을 실시간으로 인식·축적하기 위한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M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CM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V와 FM 등에서 방송된 CM을 실시간으로 인식·축적하기 위한 CM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CM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실시간으로 방송된 영상정보와 음악정보의 콘텐츠에 사용되고 있는 악곡명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기억장치에 축적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간으로 방송된 CM을 실시간으로 인식, 축적하는 장치도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소정의 길이로 구절(區切)된 CM정보만으로 CM데이터를 비교·인식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온 에어(On air)된 악곡을 모니터하기 위한 기술이 없고, 온 에어된 시각(時刻)정보와 동시에 악곡명을 기억장치 상에 축적할 수 없다.
시각정보를 어떤 악곡명에 부여하는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한 처리밖에 없고, 방송된 악곡명과 당해 악곡이 방송된 시각정보를 실시간으로 부여할 수 없다.
또한 CM에 대하여도 온 에어된 영상 또는 음성정보 중에서 방송된 CM을 실시간으로 인식·축적하는 장치는 없어 수작업으로 하는 방법밖에 없으므로 실시간성, 규모의 확대에도 한계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작동 개요를 도시하는 시퀀스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CM 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CM 인식 시스템의 작동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중의 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CM 인식 시스템의 작동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중의 2)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작성에 사용되는 각 파일과 그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의 속성(屬性)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의 속성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구체예의 CM 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CM 데이터 특징화를 위한 컷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구체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시스템의 작동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구체예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작동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9는 악곡 데이터의 축적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CM 데이터의 축적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악곡·CM 미추출 파일로부터 콘텐츠 특징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한 것으로 TV와 FM 등에서 온 에어된 영상 또는음성정보 중에서 방송된 악곡의 악곡명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축적할 수 있는 플레이 리스트 작성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 에어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예를 들면 스트리밍(streaming) 전송된 방송 데이터에 대하여도 태그(tag) 정보와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정보(스까시 정보)가 없어도 실시간으로 목적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를 비교·인식할 수 있는 플레이 리스트 작성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TV와 FM 등에서 온 에어된 영상 또는 음성정보 중에서 방송된 CM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축적할 수 있는 CM인식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콘텐츠의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 리스트 작성방법에 있어서 미리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고 그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콘텐츠 정보 DB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 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콘텐츠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특징 파일의 데이터가 일치하면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과 상기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그 콘텐츠의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 에어된 방송 데이터 등으로부터 시계열(時系列) 플레이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특징 파일이란, 예를 들면 방송특징 파일이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특징 파일에 있는 어떤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특징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 특징 파일로의 데이터 등록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람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그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등록된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그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특징 파일에 있는 어떤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람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그 콘텐츠를 그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와 같이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할 수 있고 보다 정도(精度)가 높은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방법으로서, 미리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와, 악곡명이 판명되면 그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곡에 관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악곡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악곡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가 악곡인 취지와 그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을 악곡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어떤 데이터의 악곡명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상기 악곡추출 파일과 상기 악곡명 미추출 파일로부터 악곡 미검출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곡인데도 불구하고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에 게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을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그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에 관한 악곡명과 시각을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정도가 높은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탐색결과 파일과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콘텐츠 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그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는 시각, 그 시각에 방송된 악곡명, 및 그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곡명과 그 악곡명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를 갖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지역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지역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센터 시스템에 송신하며 그 센터 장치에서 상기 악곡인식방법에 의해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지역의 방송국에서 방송된 내용에 관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방법으로서,미리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복수의 지역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각 지역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로서 센터 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그 센터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와, 악곡명이 판명되면 그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지역에서 방송특징 파일을 작성하여 센터에 송신하기 때문에 센터로의 전송량이 경감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DB 및 상기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는 CM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서의 그 CM에 관한 정보는 CM 인식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 미리 등록되며 그 CM 인식방법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하는 단계와,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 포함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단계를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정보를 포함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을 인식하고 인식된 CM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CM 인식 방법으로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하는 단계와,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단계를 갖는다.
수작업으로 행하여지던 CM 모니터링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고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작성에 적합한 CM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CM 데이터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가지고,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할 때, 검출된 상기 CM 데이터의 상기 개시점과 상기 종료점의 중심으로부터 그 개시점 및 그 종료점으로의 균등한 길이 부분을 취출한 일정 길이 부분을 특징화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CM 데이터의 입력 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비교 확인의 결과에 의해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었던 CM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그 CM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을 포함하는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의 각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갖도록 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자동적으로 등록된 CM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CM에 관한 정보를 갖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기능, 장점은 뒤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여 두고(제 1 단계),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고(제 2 단계), 콘텐츠 특징 파일과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고(제 3 단계), 악곡이 판명되면 그 악곡에 관한 정보를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고(제 4 단계),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축적한다(제 5 단계).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원리구성은 미리 콘텐츠를 작성함과 동시에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320)에 축적하는 콘텐츠 작성수단(300), 수신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140)에 축적하는 특징추출수단(105), 콘텐츠 특징 파일(320)과 방송특징 파일(140)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고 탐색결과를 탐색결과 파일(150)에 저장하는 악곡탐색수단(120), 및 탐색결과 파일(150)로부터 시계열적인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축적하는 리스트 작성수단(200)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시스템은 온에어 캡쳐(capture)/탐색장치(100), 악곡확인/등록장치(200), 콘텐츠 작성장치(300)로 구성된다. 이들의 장치는 PC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의 각 장치의 기능을 갖는 1대의 PC로도 본 시스템을 실행할 수 있지만, PC의 처리부하, 퍼포먼스 코스트(performance cost), 현행 하드웨어의 스펙 등을 감안하여 3개의 장치로 나뉘어져 있다.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는 온 에어 캡쳐부(110), 탐색부(120), 악곡추출 파일(130), 방송특징 파일(140), 탐색결과 파일(150), 악곡명 미추출 파일(160), 악곡 미추출 파일(170), 시각 데이터 제공부(180)로 구성된다.
온 에어 캡쳐부(110)는 TV,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 연속하여 방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방송 데이터가 악곡인지 비악곡인지를 판정하고, 악곡인 경우에는 악곡추출 파일(130)에 모니터링한 시간에 있어서의 방송이 악곡이라는 취지를 기록함과 동시에 당해 악곡을 7.5초 간격의 실시간으로 당해 방송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방송특징 파일(140)에 축적한다. 또한 당해 악곡을 7.5초 간격으로 도시하지 않은 파일에 악곡을 디지털 데이터로서 축적하여 둔다. 또한 온 에어 캡쳐부(110)는 시각 데이터 제공부(180)로부터의 시각정보에 의거하여 상기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캡쳐한 정보에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기록한다.
여기서 7.5초 간격으로 하는 이유는 일반의 CM에서 흐르는 악곡을 알고 싶은 경우에 CM의 방송시간이 현행 최소 15초이기 때문에 그 절반의 시간을 탐색간격으로 함으로서 악곡 데이터의 탐색을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온 에어 캡쳐부(110)에 있어서 악곡인지 비악곡인지를 판정하는 것은 미리 악곡인지 비악곡인지(악곡이 아니고, 요컨데 토크(talk) 등)의 판정이 가능한 기존기술(예를 들면, 「악람(樂覽)」 (악곡/비악곡 검출기술) : 일본국 특원평8-340293, 일본국 특원평10-68158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온 에어 캡쳐부(110)는 당해 기술을 사용하여 악곡과 판정된 취지를 악곡추출 파일(130)에 등록한다.
탐색부(120)는 콘텐츠 작성장치(300)에서 작성된 콘텐츠의 특징이 축적되어 있는 파일을 메모리 상에 읽어들이고 또한 방송특징 파일(140)도 읽어들여서 2개의 파일의 매칭(matching)을 행하고 매칭 결과를 탐색결과 파일(150)에 저장한다. 매칭에 성공하지 못한 데이터는 악곡명 미추출 파일(160)에 저장한다.
상기 매칭에 의한 탐색은 일본국 특허 제 3065314 호 「고속신호탐색방법, 장치 및 그 기록매체」 등에 기재된 학습 액티브 검색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와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와의 유사치를 계산하고 계산한 유사치와 역치와의 비교에 의해 탐색을 행한다. 또 상세히는 상기 일본국 특허 제 3065314 호를 참조함으로서 알 수 있다.
악곡추출 파일(130)은 악곡을 나타내는 취지의 정보에 타임 스탬프가 부여된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온 에어 캡쳐부(110)에서 작성되는 방송특징 파일은 TAZ 파일(바이너리 파일)이다. 한편, TAZ 파일은 학습 액티브 탐색에 있어서 고속으로 비교처리가 가능한 파일이다.
또한 방송 내용에 대하여는 도시하지 않은 WAV 파일 등에 보유시켜둔다.
방송특징 파일(140)은 온 에어 캡쳐부(110)에서 온 에어 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자동 캡쳐하고, 특징이 추출된 당해 방송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축적한다.
악곡 미검출 파일(170)에는 악곡인데도 불구하고 매칭에 성공하지 않은 데이터를 악곡추출 파일(130), 악곡명 미추출 파일(160), 방송특징 파일(140)로부터 추출하여 저장한다.
탐색결과 파일(150)에는 탐색부(120)에서의 콘텐츠 작성장치(300)에서 작성된 콘텐츠 특징 파일(후술한다)과 방송특징 파일(140)의 매칭 결과가 축적된다. 즉, 매칭 결과 일치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악곡명 등)를 탐색결과 파일에 축적하고, 콘텐츠 특징 파일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송특징 파일(140)의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후술한다)에 축적한다.
악곡확인/등록장치(200)는 악곡확인부(210), 등록부(220)로 구성되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230)를 출력한다.
악곡확인부(210)는 탐색결과 파일(150) 및 콘텐츠 정보 DB(330)를 이용하여 인식된 악곡에 대응하는 시각, 악곡명, 아티스트, 프로그램(CM)명, 클라이언트, 상품, 탤런트, CD정보 등을 추출하여 등록부(220)로 보낸다.
등록부(220)는 악곡확인부(200)에서 추출된 내용을 시각순으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파일(230)에 등록한다.
또한 악곡확인/등록장치(200)로 악곡 미검출 파일에 저장된 방송내용을 오퍼레이터가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인식하고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에 당해 데이터를 추가한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악곡 미검출 파일에 있는 시각정보를 기초로 하여 WAV 파일 등의 형식으로 온 에어 캡쳐부(110)에 의해 캡쳐된 악곡을 들음으로써 방송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작성장치(300)는 콘텐츠 작성부(310), 콘텐츠 특징 파일(320) 및 콘텐츠 정보 DB(330)로 구성된다.
콘텐츠 작성부(310)는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매체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당해 악곡 및 콘텐츠 특징 파일(320)에 유용 가능한 속성 데이터를 콘텐츠 정보 데이터 베이스(330)에 축적하며, 악곡의 특징을 추출하여 악곡명과 같이 콘텐츠 특징 파일(320)에 축적한다.
콘텐츠 특징 파일(320)은 콘텐츠 작성부(310)에서 작성되는 파일로서 악곡명 및 당해 악곡의 특징 정보가 저장된다.
콘텐츠 정보 DB(330)에는 콘텐츠 작성부(310)에 의해 악곡의 전 속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음에서 상기 악곡인식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동작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S101 단계) 콘텐츠 작성장치(300)에서 악곡 콘텐츠의 기록매체 등으로부터 악곡 및 당해 악곡의 속성 데이터를 콘텐츠 정보 DB(330)에 등록한다. 속성 데이터는 예를 들면 악곡명, 아티스트 명, 프로그램 명, 클라이언트 명, 상품명, 탤런트 명 등의 정보이다.
S102 단계) 콘텐츠 작성장치(300)에서 악곡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320)에 축적한다.
여기까지의 처리는 이하의 처리의 전제처리이다.
S103 단계)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에서 온 에어 되어 있는 영상과 음성을 캡쳐한다. 또한 「온 에어 되어 있는 영상과 음성」에는 인터넷을 개재하여 방송되는 영상과 음성을 포함한다.
S104 단계)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는 캡쳐한 내용에 대하여 악곡/비악곡을 검출하는 임의의 기술에 의해 방송 데이터가 악곡인지 또는 비악곡인지를 검출한다.
S105 단계) S103 단계에 있어서 악곡인 경우에는 악곡추출 파일(130)에 그 시간의 방송이 악곡이라는 취지를 기록한다. 악곡이라는 취지를 기록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당해 시간에 악곡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세우는 것이다.
S106 단계) 또한 상기의 S104 단계, S105 단계와 동시에 7.5초 간격으로 실시간으로 악곡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140)에 축적한다. 또한 악곡의 방송 데이터도 도시하지 않은 파일에 축적한다.
S107 단계) 다음에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에서 악곡의 탐색을 행하기 위하여 탐색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기동시킴과 동시에 전술한 S102 단계에서 콘텐츠 작성장치(300)에서 작성된 콘텐츠 특징 파일(320)의 내용을 메모리 상에 읽어들인다.
S108 단계)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의 탐색부(120)에서는 방송특징 파일(140)도 읽어들이고 2개의 파일의 매칭을 행한다. 이 때, 전술한 학습 액티브 탐색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S109 단계) 상기 매칭 결과를 탐색결과 파일(150)에 축적한다. 매칭이 될 수 없었던 특징 데이터에 대하여는 악곡명 미추출 파일(160)에 저장한다.
S110 단계) 다음에 악곡확인/등록장치(200)에서는 콘텐츠 작성장치(300)로부터 콘텐츠 정보 DB(330)의 각 내용을 읽어들인다.
S111 단계) 또한 악곡확인/등록장치(200)는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로부터 탐색결과 파일(150)을 읽어들인다.
S112 단계) 이에 의해 악곡확인/등록장치(200)는 탐색결과 파일(150)에 있는 데이터와 콘텐츠 정보 DB(330)에 있는 데이터로부터 악곡명, 아티스트 명, 캡쳐한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상품, 탤런트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시계열로 이들의 데이터를 열거하는 처리를 행하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여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DB(230)로서 축적한다.
S113 단계) 또한 악곡 미검출 플레이 리스트에 기록된 특징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곡명을 오퍼레이터가 당해 곡명을 시청하여 확인하고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한다.
[제 2의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로서 TV 및 FM/AM에서 온 에어된 영상 또는 음성정보 중에서 CM(Commercial)을 인식·축적하는 CM 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당해 CM 인식 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CM 데이터를 참조하여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인식된 악곡으로부터 CM 데이터를 포함하는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CM 인식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CM 인식 시스템은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400), CM 확인/갱신부(500) 및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으로 구성된다.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400)는 캡쳐부(410), 탐색부(420), FM/AM·CM 파일(430), 방송특징 파일(440), CM 데이터 파일(450) 및 TV·CM 파일(460), 시각 데이터 제공부(470)로 구성된다.
캡쳐부(410)는 TV, 라디오 방송국의 온 에어로부터 연속하여 방송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CM의 스타트·엔드를 판정함으로써 모니터링한 방송 데이터가 CM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CM인 경우에는 모니터링한 CM 데이터를 TV·CM 파일(460)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FM/AM·CM 파일(430)에 저장한다. 또한 캡쳐부(410)는 시각 데이터 제공부(470)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CM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부여한다.
또한 캡쳐부(410)는 캡쳐한 데이터로부터 CM의 특징 데이터를 작성하고 방송특징 파일(440)에 저장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징 파일(440)을 작성할 때 CM의 스타트·엔드에 의해 잘라 낸(切出) 데이터의 컷트 점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CM 데이터 중심으로부터 양단에 걸쳐 균등하게 컷팅한 일정길이(8.0초간)의 데이터로서 재가공한다. 그리고 재가공된 온 에어 데이터를 학습 액티브 탐색기술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화하고 TAZ 형식으로 저장한다. 또한 TAZ 파일은 탐색부(420)에서의 학습 액티브 탐색에 있어서의 고속의 비교처리를 가능케 하는 파일이다.
탐색부(420)는 방송특징 파일(440)과 마스터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에 있는 CM의 특징이 축적되어 있는 파일을 메모리 상에 읽어들여서 2개의 파일의 매칭을 행하고 매칭 결과를 CM 데이터 파일(450)에 저장한다. 또한 탐색부(420)에서는 학습 액티브 탐색(일본국 특허 제 3065314 호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매칭 결과로서 CM이 탐색될 수 없었던 것에 대하여 그 CM 데이터를 온 에어 시간을 명칭으로 하여 CM 데이터 파일(450)에 축적한다.
FM/AM·CM 파일(430)에는 캡쳐부(410)에서 캡쳐된 FM/AM으로 온 에어된 CM 데이터가 WAV 형식(음만의 형식)의 파일로서 저장된다.
방송특징 파일(440)은 캡쳐부(410)에서 캡쳐된 CM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CM의 특징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당해 방송특징 파일(440)은 TAZ 파일(바이너리 파일)이다.
TV·CM 파일(460)은 캡쳐부(410)에서 캡쳐된 TV에서 온 에어된 CM 데이터가 AVI 형식의 파일로서 저장된다.
CM 확인/갱신부(500)는 CM명 등이 판명되지 않은 CM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CM 데이터 파일(450)을 읽어들인다. 당해 CM 데이터 파일(450)의 CM은 신규의 CM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윈도우즈 미디어 플레이어 7(Windows media player 7) 등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오퍼레이터가 신규 등록된 CM을 확인하고 광고주(클라이언트), 상품명, 악곡명, 탤런트 명 등을 추출하여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의 파일에 저장한다.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은 CM 마스터(610), 상품 마스터(620), 탤런트 마스터(630), 악곡명 마스터(640), 광고주 마스터(650) 및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로 이루어진다. 상품 마스터(620), 탤런트 마스터(630), 악곡명 마스터(640), 광고주 마스터(650),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에 있는 데이터는 CM 확인/갱신부(500)에서 추출된다. 또한 이들의 마스터는 CM 마스터(610)에 저장된 CM 데이터의 속성마다에 작성되어 있는 마스터 파일이다.
다음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CM 인식 시스템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S301 단계)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400)의 캡쳐부(410)에서 온 에어된 방송 데이터를 캡쳐한다.
S302 단계) 캡쳐부(410)는 캡쳐한 방송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고 CM 데이터로부터 전술한 방법으로 방송특징을 추출한다.
S303 단계) 추출된 방송특징을 방송특징 파일(440)에 저장하고 S307 단계로 진행한다.
S304, S305 단계) 상기의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TV·CM을 TV·CM 파일(460)에 저장한다.
S306 단계) 또한 추출된 CM이 FM/AM에서의 온 에어되어 있던 CM인 경우에는 당해 CM을 FM/AM·CM 파일(430)에 저장한다.
S307 단계) S303 단계 후 탐색부(420)는 방송특징 파일(440)과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의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을 메모리 상에 읽어 들여서 2개의 파일을 비교하는 학습 액티브 탐색을 행한다.
S308 단계) 탐색에 의해 CM이 판명된 경우에는 S307 단계로 이행하고 다음의 방송특징 파일(440)의 데이터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의 탐색을 행한다. CM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S309 단계로 이행한다.
S309 단계) CM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온 에어 시간을 명칭으로 하여 CM 데이터 파일(450)에 등록한다.
S310 단계) CM 확인/갱신부(500)에서 기존의 소프트웨어 등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CM 데이터 파일(450)에 등록된 CM의 확인을 행한다.
S311 단계) 오퍼레이터에 의해 CM 마스터(610)의 메인트넌스(maintenance)를 행하고, 또한 당해 CM 마스터(610)로부터 각종 속성마다의 마스터의 메인트넌스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신규의 CM을 등록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형태]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이 인식된 악곡으로부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 2의 실시형태에서 인식한 CM으로부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의 실시형태의 CM의 예와 마찬가지로 악곡에 관한 콘텐츠 특징 파일, 콘텐츠 정보 DB를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의 실시형태와 같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면서 제 2의 실시형태와 같이 CM 또는 악곡에 관한 콘텐츠 특징 파일, 콘텐츠 정보 DB를 갱신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 도면과 같이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체예를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체예(제 1의 구체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의 구체예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각 장치에 있어서 도 3의 구성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동작의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도 8, 도 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악곡인식 시스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방송 내용을 캡쳐하는 PC(110)와 방송특징 파일(140)을 탐색하는 PC(120)를 접속한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와, 악곡 콘텐츠의 콘텐츠 특징을 보유하는 콘텐츠 특징 파일(320) 및 콘텐츠 정보 DB(330)를 관리하는 PC(310)를 갖는 콘텐츠 작성장치(300)와,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DB에 등록하는 악곡확인/등록장치(200)가 접속된 구성을 취한다.
도 9에 도시된 처리계 A에 있어서 PC(110)가 온 에어 내용을 캡쳐하고(S201 단계), 캡쳐 데이터로부터 7.5초 간격으로 방송특징 파일(140)을 출력하고(S202 단계), 다음에 PC(120)가 콘텐츠 작성장치(300)로부터 취득하여 미리 메모리 상에 전개된 악곡 콘텐츠 특징 파일(320)의 내용과 방송특징 파일(140)과를 이용하여 학습 액티브 탐색에 의해 악곡을 탐색하고(S203 단계), 탐색결과를 탐색결과 파일(150)에 출력한다(S205 단계). 또한 이 때 탐색에 의해 악곡명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특징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에 저장한다(S207 단계).
상기의 처리가 완료되면 악곡확인/등록장치(200)에서 탐색결과 파일(150)의 탐색결과와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DB(230)에 축적한다.
도 9에 도시된 처리계 B에 있어서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의 PC(110)에서는 방송 데이터가 악곡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S301 단계) 악곡인 경우에는 악곡인 취지와 타임 스탬프를 악곡추출 파일(130)에 출력한다(S302 단계). 또한 악곡 자체도 도시되지 않은 WAV 파일 등에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여 축적하여 둔다.
그래서 악곡명 미추출 파일(160)(처리계 A)과 악곡추출 파일(130)(처리계 B)을 머지(merge)함으로서 시간별의 악곡명 미추출 파일(170)을 출력할 수 있게 되고(S208, S209 단계), 오퍼레이터를 개입시켜 탐색결과 파일(150)에 피드백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퍼레이터의 작업으로서는 탐색을 행하는 PC(120)에서 악곡 미검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탐색결과 파일(150)에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보완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의 콘텐츠 특징 파일(320), 방송특징 파일(150)은 TAZ 파일(학습 액티브 탐색을 위한 바이너리 파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에 있어서는 탐색결과 파일과 CM 마스터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 DB와를 결합시킨다. 구체예에 대하여는 하기의 적용예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예에 있어서는 PC(110)가 전국 각지의 방송내용을 당해 지역으로부터 데이터 수신함으로서 캡쳐하고 방송특징 파일의 작성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PC(110)를 전국 각지에 배치하고 각 PC(110)에서 거기서의 방송 내용을 캡쳐하여 방송특징 파일을 작성하며 그 방송특징 파일을 센터에 배치된 PC(120)에 송신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구체예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콘텐츠 관리 센터는 도 8에 도시된 콘텐츠 작성장치(300)에 대응한다. 또한 데이터 센터는 도 8의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100)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콘텐츠 관리 센터에서는 레코드 회사로부터 시청용(試聽用) CD 등을 입수하고 CD 판매점 등으로부터 DVD와 신보(新譜) CD를 구입하며, 이들의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를 콘텐츠의 속성과 같이 콘텐츠 정보 DB(330)에 저장함과 동시에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320)(도 10의 예에서는, 악곡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둔다.
다음에 예를 들면 전국 각지에 배치된 안테나를 통하여 취득된 TV(VHS)와 FM 등의 방송내용 또는 위성방송 등을 파라볼라 안테나를 통하여 취득된 방송내용을 데이터 센터가 튜너를 통하여 취득한다. 데이터 센터에서는 취득한 방송 데이터를 7.5초 간격으로 디지털화 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140)에 저장함과 동시에 악곡인지 토크 등의 비악곡인지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악곡추출 파일(130)에 저장한다.
데이터 센터의 탐색용 PC에서 콘텐츠 관리 센터로부터 미리 취득하고 있던 콘텐츠 특징 파일과 방송특징 파일로부터 검색 엔진(학습 액티브 탐색기술)을 사용하여 악곡을 탐색하고 탐색결과 파일(150)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 센터 내의 악곡확인/등록장치(200)로서 이용되는 PC에서 탐색결과 파일, 콘텐츠 정보 DB(330)를 이용하여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시각(탐색결과 파일에 부여되어 있는 타임 스탬프)순으로 악곡명, 아티스트, 프로그램(CM), 클라이언트, 상품, 탤런트, CD 정보 등을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로 하여, 웹사이트 등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 또한 탐색이 될 수 없었던 악곡에 대하여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악곡의 추가가 행하여진다.
도 11에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작성에 있어서 이용되는 각 파일과 그들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특징 파일과 콘텐츠 특징 파일로부터 탐색결과 파일과 악곡명 미추출 파일이 생성된다. 그리고, 탐색결과 파일과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가 작성된다.
한편 악곡추출 파일과 악곡명 미추출 파일 등으로부터 악곡 미검출 파일이 작성되고, 당해 파일에 기록된 악곡에 대응하는 악곡명 등을 오퍼레이터가 확인함으로써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할 수 있다. 또, 악곡명 등을 확인한 악곡에 대하여는 필요에 따라 특징화함으로서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TAZ4에 상당하는 악곡을 캡쳐한 때에는 이 악곡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콘텐츠 정보 DB를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플레이 리스트에 있어서 시각 9시에 있어서의 각 항목을 결정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정보 DB에는 TAZ 데이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마스터 데이터 베이스)가 있다. 따라서, TAZ 데이터로부터 악곡명이 판명되면 음원 마스터로부터 각종 마스터를 더듬어 감으로써 시각 9시에 있어서의 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명과 시각으로부터 프로그램 명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여러 가지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시각 11시 46분에 있어서의 경우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TAZ 데이터로부터 각종 마스터를 이용하여 당해 시각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악곡인식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뮬레이션은 방송 샘플로서 7곡의 악곡이 포함된 실제의 FM 방송의 녹음(약 35분간)을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 샘플로는 CD 악곡 193곡을 사용하며 이 중에서 6곡이 상기의 방송 샘플에 포함된다.
시뮬레이션의 조건으로서는 방송 샘플은 7.5초마다 193곡 전부와 비교 확인(193곡=약 20시간)하는 것으로 하고, PC 서버기의 스펙으로서 1 CPU(Pentium Xeon 933MHZ), 2GB 메모리, Linux gcc 291을 사용한다.
상기의 조건에 의해 본 발명의 방법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검출해야할 6곡을 전부 바르게 검출하고 시간오차는 대략 7.5초 이내이고 속도는 35분(2100초)을 약 45초로 완료하였다. 이는 실시간의 약 50배속(=2100/45)으로서 실시간이라면 9000곡 정도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동작을 프로그램으로서 구축하고 데이터 센터 및 콘텐츠 관리 센터에서 이용되는 컴퓨터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와 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의 가반기억매체(可搬記憶媒體)에 저장해 두고,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데이터 센터와 컴퓨터 관리 센터에서 이용되는 PC에 인스톨(install)함으로써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체예(제 2의 구체예)]
여기서는 방송되고 있는 방송 데이터로부터 CM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당해 CM을 인식 및 축적하는 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축적된 CM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파일로서 이용함으로서 CM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CM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CM 인식 시스템에서는 방송내용을 캡쳐하는 캡쳐 PC부(410)와, 방송특징 파일(440)과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을 비교하는 학습 액티브 탐색 PC(420)로 이루어지는 온 에어 캡쳐/탐색부(400)와, 학습 액티브 탐색 PC(420)에 의해 출력된 CM 데이터(450)를 참조하여 CM의 확인 및 갱신처리를 행하는 CM 확인/갱신부(500) 및 CM의 각종 마스터 파일을 관리하는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4에 있어서의 파일 형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특징 파일(440)은 실시간으로 추출된 TV·CM 및 FM/AM·CM 쌍방의 특징이 저장되는 TAZ 형식의 파일이다.
TV·CM 파일(460)은 TV·CM이 저장되는 AVI 형식의 파일이고, 방송특징 파일(440)의 내용과 쌍으로 관리된다.
FM/AM·CM 파일(430)은 FM/AM·CM이 저장되는 WAV 형식의 파일이고, 방송특징 파일(440)의 내용과 쌍으로 관리된다.
CM 데이터 파일(450)은 신규 등록되어야할 CM이 저장되는 파일이고, TV·CM인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는 예를 들면 AVI 형식으로 저장되고, FM/AM·CM인 경우에는 당해 데이터는 WAV 형식으로 저장된다.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의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은 TAZ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하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의 동작을 전술한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캡쳐 PC(410)가 온 에어 내용을 캡쳐한다(S301 단계). 다음에 캡쳐 PC(410)는 CM 검출 모듈에 의해 CM의 스타트·엔드를 취득한다. 당해 CM 검출 모듈로서는 일본국 특원평6-312976 「영상 커트 점 검출방법 및 장치」 (타니무라·소토무라(谷村·外村)) 등이 있다.
다음에 CM 검출 모듈에서 절출된 데이터의 커트 점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라 낸 데이터를 CM 데이터 중심으로부터 양단에 걸쳐 균등하게 컷팅한 일정 길이(8.0초간)의 데이터로 하여 재가공하고, 이를 방송특징으로 추출(S302 단계)하여, 방송특징 파일(440)에 저장한다(S303 단계).
또한 캡쳐 PC(410)는 CM 검출 모듈에 의해 온 에어 데이터가 TV인 경우에는 AVI 형식, FM/AM인 경우는 WAV 형식으로 하여 온 에어 데이터를 저장한다(S304, S305, S306 단계).
다음에 학습 액티브 탐색 PC(420)는 방송특징 파일(440)과 CM 관리 데이터 베이스 군(600)의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을 메모리 상에 읽어들여 학습 액티브 탐색을 행한다(S307 단계). 여기서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M은 CM 데이터 파일(450)에 등록된다(S309 단계). 또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해 CM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에 무조건 엔트리(entry)한다.
그 다음에 CM 확인/갱신부(500)에서 CM 데이터 파일(450)에 등록된 CM을 확인한다(S310 단계). CM 확인 처리는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행한다. 또한 오퍼레이터에 의해 최종적인 여러 가지 부가정보를 추가하여 당해 CM을 CM 마스터(610)에 등록한다. 또한 당해 CM 마스터(610)에 등록된 CM의 속성에 의해, 상품 마스터(620), 탤런트 마스터(630), 악곡명 마스터(640), 광고주 마스터(650),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660)을 대응하는 데이터로 갱신한다(S311 단계).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6, 도 7에 도시된 플로우 챠트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동작을 프로그램으로 구축하고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에서 이용되는 컴퓨터에 접속되는 디스크 장치와 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의 가반기억매체에 저장하여 두고,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당해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에서 이용되는 PC(캡쳐 PC, 학습 액티브 탐색 PC)에 인스톨 함으로써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TV, FM/AM 등의 방송국으로부터 온 에어 되어 있는 방송 데이터를 캡쳐하여 인식·축적하는 처리를 나타내었으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하여도 상기와 같은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악곡에서는 7.5초 간격, CM에서는 8초 간격으로 특징화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들은 하나의 예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구체예(제 3의 구체예)]
다음에 악곡, CM을 캡쳐함으로서 제 1의 실시예와 같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함과 동시에 제 2의 실시예와 같이 콘텐츠 작성부에 있어서의 데이터를 등록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는 제 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의 구체예에 있어서의 악곡 CM 인식 시스템은 방송내용을 캡쳐하고 악곡 및 CM의 탐색을 행하는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700), 콘텐츠 정보 DB를 작성하는 콘텐츠 작성장치(800) 및 탐색결과 파일과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함과 동시에 새로이 확인된 악곡과 CM의 속성정보를 콘텐츠 작성장치(800)에 등록하는 악곡·CM 확인/등록장치(900)를 갖는다.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700)는 온 에어 캡쳐부(710), 탐색부(720), 악곡·CM 추출 파일(730), 방송특징 파일(740), 탐색결과 파일(750), 악곡·CM 미추출 파일(760), 악곡·CM 미검출 파일(770), 콘텐츠 특징 파일 작성부(780)를 갖는다. 또한 콘텐츠 작성장치는 콘텐츠 작성부(810), 콘텐츠 특징 파일(820), 콘텐츠 정보 DB(830)를 갖는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개요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동작개요를 설명한다.
먼저 콘텐츠 작성장치(800)에서 악곡, CM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로서 축적하여 둔다(S401 단계).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700)에서 온 에어 캡쳐부(710)가 악곡, CM을 포함하는 방송 콘텐츠를 캡쳐하여 AVI 파일, WAV 파일 등으로 축적함과 동시에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740)에 축적한다(S402 단계). 그 다음, 콘텐츠 특징 파일(820)과 방송특징 파일((740)을 이용하여 악곡, CM을 탐색한다(S403 단계). 그리고 악곡 또는 CM이 판명된 경우에는 악곡 또는 CM에 관한 정보를 탐색결과 파일에 축적하고(S404 단계),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한다(S405 단계). 악곡 또는 CM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악곡 또는 CM이 판명되지 않은 특징 데이터 등을 악곡·CM 미추출 파일에 축적하고(S406 단계), 당해 악곡, CM에 대응하는 콘텐츠 특징 파일을 작성하여 콘텐츠 작성장치(800)에 있는 콘텐츠 특징 파일(820)에 자동적으로 등록한다(S407 단계).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700)에 있어서의 처리 플로우 챠트를 이용하여 상기의 처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온 에어 캡쳐/탐색장치(700)에서의 처리는 악곡, CM의 탐색을 행하는 처리계 1, 악곡검출, 악곡의 판별, 축적을 행하는 처리계 2, CM의 검출, 축적을 행하는 처리계 3으로 나눌 수 있다.
처리계 2에서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송내용이 악곡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악곡추출 파일을 작성함과 동시에 악곡 데이터를 WAV 파일 등으로 축적한다(S501∼S503 단계). 도 19에 악곡 데이터의 축적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악곡으로 판정된 부분을 7.5초마다 축적한다.
처리계 3에서는 제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방송에 있어서의 커트 점을 검출함으로서 CM 추출 파일을 작성함과 동시에 CM 데이터를 AVI 파일 등으로 축적하여 둔다(S511∼S513 단계). 도 20에 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트 점 사이의 CM 부분을 축적한다.
한편 CM 추출 파일이란 악곡에 대한 악곡추출 파일의 관계와 같은 것으로 CM인 취지와 그 시간이 기록된다.
처리계 1에서는 악곡에 관하여는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또한 CM에 관하여는 제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징의 추출, 악곡 또는 CM의 탐색이 행하여진다(S521, S522 단계).
악곡 또는 CM의 이름이 판명된 경우에는 탐색결과 파일(750)을 작성한다(S523 단계). 악곡 또는 CM의 이름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악곡, CM 미추출 파일에 당해 데이터를 저장하고(S524 단계), 당해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콘텐츠 특징 파일을 작성하며(S525 단계), 콘텐츠 특징 파일(520)에 가등록한다.
도 21에 악곡·CM 미추출 파일로부터 콘텐츠 특징 파일을 작성하는 처리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악곡·CM 미추출 파일에서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곡, CM의 데이터 파일(AVI 또는 WAV)로부터 콘텐츠 특징 파일을 작성한다.
또한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악곡·CM 미추출 파일과 악곡·CM 추출 파일 등으로부터 악곡·CM 미검출 파일을 작성하고(S526 단계), 오퍼레이터가 악곡, CM을 확인하여 확인된 악곡, CM에 의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보완한다(S527 단계). 또한, 확인 결과를 이용하여 콘텐츠 작성장치에 있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고(TAZ 파일과 곡명, 아티스트 명 등과의 관련짓기(紐付)를 행함), 이에 의해 가등록된 콘텐츠 특징 파일을 정식으로 등록한다(S528 단계).
이러한 처리를 함으로써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면서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작성의 기초가 되는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 추가 및 악곡과 CM에 관한 정보의 등록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악곡을 인식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온 에어 방송 데이터(CM에 이용되는 악곡 등)를 7.5초 간격으로 디지털화하여 특징화하고 미리 준비된 악곡의 콘텐츠 특징 파일과 비교 확인하여 방송된 시각정보와 동시에 악곡명을 기억장치 상에 시계열 리스트로서 축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악곡명, 아티스트 명, 프로그램(CM), 클라이언트, 상품, 탤런트, CD 정보 등의 시각별 플레이 리스트를 취득할 수 있고 의미가 있는 정보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정보를 대상판매 타깃에 따라 마켓팅 정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7.5초 간격으로 디지털화하여 특징화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CM의 방송시간이 현행 최소 15초이기 때문에 탐색을 확실히 행하기 위하여 그 절반의 시간을 취한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디지털화 간격 시간을 7.5초가 아닌 다른 값으로 변경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수작업으로 행하여지던 CM 모니터링 작업을 실시간으로 자동 인식할 수 있게 되고, 태그 정보와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정보가 없어도 실시간으로 TV 및 FM/AM에서 온 에어된 CM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CM 데이터는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 작성의 과정에서 악곡명 등이 판명되지 않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콘텐츠 작성장치에 등록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작성장치에 있는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충실하게 할 수 있고, 보다 정도가 높은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3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방법에 있어서,
    미리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와,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악곡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악곡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가 악곡인 취지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을 악곡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어떤 데이터의 악곡명이 판명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상기 악곡추출 파일과 상기 악곡명 미추출 파일로부터 악곡 미검출 파일을 작성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을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에 관한 악곡명과 시각을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결과 파일 및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콘텐츠 정보 DB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는 시각, 상기 시각에 방송된 악곡명 및 상기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지역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지역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센터 시스템에 송신하며 상기 센터 장치에서 상기 악곡인식방법에 의해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10.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방법에 있어서,
    미리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콘텐츠 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복수의 지역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각 지역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로서 센터 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센터 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단계와,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DB 및 상기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는 CM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서의 상기 CM에 관한 정보는 CM 인식방법에 의해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 미리 등록되며,
    상기 CM 인식방법은,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하는 단계와,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상기 콘텐츠 정보 DB에 포함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방법.
  12. 삭제
  13.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을 인식하고 인식된 CM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CM 인식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하는 단계와,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CM 데이터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가지고,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할 때 검출된 상기 CM 데이터의 상기 개시점과 상기 종료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시점 및 상기 종료점으로의 균등한 길이 부분을 취출한 일정 길이 부분을 특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 인식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축적한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수단과,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악곡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과,
    악곡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가 악곡인 취지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을 악곡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악곡을 탐색하는 수단에서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어떤 데이터의 악곡명이 판명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상기 악곡추출 파일과 상기 악곡명 미추출 파일로부터 악곡 미검출 파일을 작성하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을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에 관한 악곡명과 시각을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악곡명과 관련지어진 정보를 갖는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과 콘텐츠 정보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는 시각, 상기 시각에 방송된 악곡명 및 상기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3.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를 복수의 지역에 갖추고,
    각 지역의 장치로부터 각 지역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터 시스템을 갖추고,
    상기 센터 시스템은,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축적한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수단과,
    악곡명이 판명되면 그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4.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악곡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는 장치를 복수의 지역에 갖추고,
    각 지역의 장치로부터 각 지역에서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방송특징 파일로서 수신하는 센터 시스템을 갖추고,
    상기 센터 시스템은,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축적한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수단과,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인식 시스템.
  25. 삭제
  26.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을 인식하고 인식된 CM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CM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수단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의 비교 확인을 행하는 수단과,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은 CM 데이터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검출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할 때 검출된 상기 CM 데이터의 상기 개시점과 상기 종료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시점 및 상기 종료점으로의 균등한 길이 부분을 취출한 일정 길이 부분을 특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 인식 시스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수순과,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축적한 콘텐츠 특징 파일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수순과,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의 특징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수순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악곡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순과,
    악곡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가 악곡인 취지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시각을 악곡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수순과,
    상기 악곡을 탐색하는 수순에서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어떤 데이터의 악곡명이 판명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악곡명 미추출 파일에 축적하는 수순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상기 악곡추출 파일과 상기 악곡명 미추출 파일로부터 악곡 미검출 파일을 작성하는 수순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을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순과,
    상기 악곡 미검출 파일에 기록된 악곡에 관한 악곡명과 시각을 상기 플레이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5. 제 32 항에 있어서,
    악곡명과 관련지어진 정보를 가지는 콘텐츠 정보 DB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순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과 콘텐츠 정보 DB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순을 가지며,
    상기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는 시각, 상기 시각에 방송된 악곡명 및 상기 악곡명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6.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악곡을 인식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각 지역의 장치로부터 각 지역에서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특징 데이터를 방송특징 파일로서 수신하는 수순과,
    악곡 콘텐츠의 특징을 축적한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와 상기 방송특징 파일의 데이터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악곡을 탐색하는 수순과,
    악곡명이 판명되면 상기 악곡명을 탐색결과 파일로서 축적하는 수순과,
    상기 탐색결과 파일로부터 악곡의 시계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하는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7. 삭제
  38.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을 인식하고 인식된 CM 데이터를 축적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순과,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방송특징 파일에 축적하는 수순과,
    상기 방송특징 파일과 미리 CM 콘텐츠의 특징이 저장되어 있는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의 데이터의 비교 확인을 행하는 수순과,
    방송특징 파일에 있는 데이터가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새로운 CM으로서 마스터 CM 콘텐츠 특징 파일에 등록하는 수순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CM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순은 CM 데이터의 개시점 및 종료점을 검출하는 수순을 가지며,
    상기 CM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할 때 검출된 상기 CM 데이터의 상기 개시점과 상기 종료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개시점 및 종료점으로의 균등한 길이 부분을 취출한 일정 길이 부분을 특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취 가능한 기록매체.
  39. 삭제
KR10-2003-7004966A 2000-10-23 2001-10-22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KR100516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3022 2000-10-23
JPJP-P-2000-00323022 2000-10-23
JP2000363883 2000-11-29
JPJP-P-2000-00363883 2000-11-29
PCT/JP2001/009244 WO2002035516A1 (fr) 2000-10-23 2001-10-22 Systeme et procede de reconnaissance d'une composition musicale, support de stockage de programme de composition musicale, procede et systeme de reconnaissance commerciale, et support de stockage de programme de reconnaissance commerci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225A KR20030096225A (ko) 2003-12-24
KR100516403B1 true KR100516403B1 (ko) 2005-09-23

Family

ID=2660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966A KR100516403B1 (ko) 2000-10-23 2001-10-22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77852B2 (ko)
JP (1) JPWO2002035516A1 (ko)
KR (1) KR100516403B1 (ko)
CN (2) CN100461261C (ko)
AU (1) AU2001295989A1 (ko)
GB (1) GB2384596A (ko)
HK (1) HK1059133A1 (ko)
TW (1) TW535073B (ko)
WO (1) WO2002035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304B2 (en) 2002-01-22 2006-03-28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and fingerprinting including synchronization, layering, version control, and compressed embedding
US7917557B2 (en) * 2002-09-05 2011-03-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s for creating a second playlist based on a first playlist
WO2005039080A1 (ja) * 2003-10-21 2005-04-28 Yutaka Matsushita 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50193092A1 (en) * 2003-12-19 2005-09-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vehicle CD player
CN101142591A (zh) * 2004-04-19 2008-03-12 兰德马克数字服务有限责任公司 内容采样和标识
US20050267750A1 (en) * 2004-05-27 2005-12-01 Anonymous Media, Llc Media usage monitoring and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051967A1 (en) 2004-05-27 2015-02-19 Anonymous Media Research, Llc Media usage monitoring and measurment system and method
TWI247239B (en) * 2004-06-18 2006-01-11 Via Tech Inc Advertising detection method and related system for detecting advertising according to specific beginning/ending images of advertising sections
SG119377A1 (en) * 2004-08-06 2006-02-28 Yamaha Corp Electrical music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with external device
JP5026269B2 (ja) * 2004-08-31 2012-09-12 インテグレーテッド メディア メジャーメント,インク.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アイテムへの接触の検出および計測
JP2006127367A (ja) * 2004-11-01 2006-05-18 Sony Corp 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7818350B2 (en) * 2005-02-28 2010-10-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playlist
JP4380582B2 (ja) 2005-04-22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これら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4626376B2 (ja) * 2005-04-25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6319456A (ja) * 2005-05-10 2006-11-24 Ntt Communications Kk キーワード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39781A1 (en) * 2006-04-11 2007-10-11 Christian Kraf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9124357B2 (en) * 2006-04-20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for ultra-wide band communication
WO2008095190A2 (en) 2007-02-01 2008-08-07 Museami, Inc. Music transcription
US7838755B2 (en) * 2007-02-14 2010-11-23 Museami, Inc. Music-based search engine
JP2008241850A (ja) * 2007-03-26 2008-10-09 Sanyo Electric Co Ltd 録音または再生装置
US8283546B2 (en) * 2007-03-28 2012-10-09 Van Os Jan L Melody encoding and searching system
JP4933330B2 (ja) * 2007-03-30 2012-05-1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楽曲再生制御装置および再生リスト作成方法
US8156118B2 (en) * 2007-08-20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laylists for content items
JP5087415B2 (ja) * 2008-01-22 2012-12-05 三洋電機株式会社 楽曲メタ情報配信システムにおけるクライアント側装置および音声データ出力装置
US8494257B2 (en) 2008-02-13 2013-07-23 Museami, Inc. Music score deconstruction
US8966394B2 (en) * 2008-09-08 2015-02-24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list generation based on similarity data
US20110060738A1 (en) 2009-09-08 2011-03-10 Apple Inc. Media item clustering based on similarity data
TWI411927B (zh) * 2010-04-02 2013-10-11 Primax Electronics Ltd 嵌入資訊於輸入影像的方法、自輸入影像中擷取出資訊的方法以及相關裝置
JP2012053722A (ja) * 2010-09-02 2012-03-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325853A1 (en) * 2012-05-29 2013-12-05 Jeffery David Frazier Digital media players comprising a music-speech discrimination function
US10936653B2 (en) 2017-06-02 2021-03-02 Apple Inc. Automatically predicting relevant contexts for media item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897A (en) * 1951-11-07 1956-09-04 Jones Robert Clark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ically discriminating between speech and music forms
USRE26104E (en) * 1955-12-19 1966-11-01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identify. ing an unknown signal by comparison
US3919479A (en) * 1972-09-21 1975-11-11 First National Bank Of Boston Broadcast signal identification system
US4230990C1 (en) * 1979-03-16 2002-04-09 John G Lert Jr Broadcast program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US4450531A (en) * 1982-09-10 1984-05-22 Ensco, Inc. Broadcast signal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US4677466A (en) * 1985-07-29 1987-06-30 A. C. Nielsen Company Broadcast program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4739398A (en) 1986-05-02 1988-04-19 Control Dat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gnizing broadcast segments
JPS6356091A (ja) * 1986-08-26 1988-03-10 Video Res:Kk テレビ・コマーシャル放送確認方法
US4843562A (en) * 1987-06-24 1989-06-27 Broadcast Data Systems Limited Partnership Broadcast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
AU4279893A (en) * 1992-04-10 1993-11-18 Avid Technology,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and editing multimedia compositions
US5436653A (en) * 1992-04-30 1995-07-25 The Arbitron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tion of broadcast segments
JPH0644752A (ja) 1992-07-22 1994-02-18 Ui Kiyan:Kk 曲名の選出方法および曲名の選出装置
US5437050A (en) * 1992-11-09 1995-07-25 Lamb; Robert 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broadcast information using multi-frequency magnitude detection
US5812937B1 (en) * 1993-04-08 2000-09-19 Digital Dj Inc Broadcast data system with multiple-tuner receiver
US5577266A (en) * 1993-04-08 1996-11-19 Digital D.J. Inc. Broadcast system with associated data capabilities
JP3447333B2 (ja) * 1993-06-18 2003-09-16 株式会社ビデオリサーチ Cm自動識別システム
JP2842762B2 (ja) * 1993-06-30 1999-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赤外線利用データ転送装置
JPH08149099A (ja) * 1994-11-25 1996-06-07 Niirusen Japan Kk テレビ放送におけるコマーシャル及び番組情報処理システム
JPH09214875A (ja) * 1996-02-07 1997-08-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ラジオ受信機
US5918223A (en) * 1996-07-22 1999-06-29 Muscle Fish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content-based analysis, storage, retrieval, and segmentation of audio information
JPH10308921A (ja) * 1997-05-08 1998-11-17 Fujitsu Ltd 情報収集装置
JPH11122203A (ja) 1997-10-09 1999-04-30 Video Research:Kk 放送確認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映像素材制作装置及び放送確認装置
JPH11120198A (ja) * 1997-10-20 1999-04-30 Sony Corp 楽曲検索装置
JPH11205256A (ja) 1998-01-16 1999-07-30 Tetsushi Nakamura 著作権料管理装置
JPH11238088A (ja) 1998-02-19 1999-08-31 Tetsushi Nakamura 著作権料管理装置
US6121530A (en) * 1998-03-19 2000-09-19 Sonoda; Tomonari World Wide Web-based melody retrieval system with thresholds determined by using distribution of pitch and span of notes
JP3065314B1 (ja) 1998-06-01 2000-07-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高速信号探索方法、装置およびその記録媒体
US6956593B1 (en) * 1998-09-15 2005-10-18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creating, viewing and temporally positioning annotations for media content
JP2000149434A (ja) 1998-11-12 2000-05-30 Sony Corp データ内容情報の記録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3434223B2 (ja) 1998-11-19 2003-08-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楽情報検索装置,音楽情報蓄積装置,音楽情報検索方法,音楽情報蓄積方法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31650B2 (ja) 1999-03-26 2005-03-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およ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計算機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332120B1 (en) * 1999-04-20 2001-12-18 Solana Technology Development Corporation Broadcast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keyword monitoring
JP2000347689A (ja) * 1999-06-03 2000-12-15 Nec Software Niigata Ltd 音データ検索方法,音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音データ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060099A (ja) 1999-08-24 2001-03-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媒体
DE19948974A1 (de) * 1999-10-11 2001-04-12 Nokia Mobile Phones Ltd Verfahren zum Erkennen und Auswählen einer Tonfolge, insbesondere eines Musikstücks
US6192340B1 (en) * 1999-10-19 2001-02-20 Max Abecassis Integration of music from a personal library with real-time information
JP2001326952A (ja) * 2000-05-15 2001-11-22 Nec Corp 放送確認システム、放送確認方法及び装置、放送確認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1358682A (ja) * 2000-06-09 2001-12-26 Nri & Ncc Co Ltd 放送楽曲調査装置、放送楽曲調査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7062528B2 (en) * 2000-07-14 2006-06-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time specific event
US7853664B1 (en) * 2000-07-31 2010-12-14 Landmark Digital Servic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ing pre-recorded mus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5989A1 (en) 2002-05-06
GB2384596A (en) 2003-07-30
US20040055445A1 (en) 2004-03-25
GB0309208D0 (en) 2003-05-28
JPWO2002035516A1 (ja) 2004-03-04
CN100461261C (zh) 2009-02-11
WO2002035516A1 (fr) 2002-05-02
KR20030096225A (ko) 2003-12-24
US7277852B2 (en) 2007-10-02
TW535073B (en) 2003-06-01
CN1471703A (zh) 2004-01-28
HK1059133A1 (en) 2004-06-18
CN101354716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03B1 (ko) 악곡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악곡인식 프로그램을 저장한기억매체 및 커머셜 인식방법 및 시스템 및 커머셜 인식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매체
EP1774348B1 (en) Method of characterizing the overlap of two media segments
CN1998168B (zh) 用于广播源辨识的方法与装置
JP4398242B2 (ja) 録音の多段階識別方法
US84531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cognizing broadcast data
US20050193016A1 (en) Generation of a media content database by correlating repeating media content in media streams
JP4216190B2 (ja) 番組のコマーシャル部分を識別しかつ学習するために、トランスクリプト情報を用いる方法
US7174293B2 (en) Audio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2606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ntent and manag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bjects in a signal
CA3038767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i-assisted or automatic video production
CN101142591A (zh) 内容采样和标识
CN101189658A (zh) 音频信号中重复素材的自动识别
WO2006127470A2 (en) Detecting and tracking advertisements
CN102411578A (zh) 一种多媒体播放系统和方法
CN102497400A (zh) 车载收音设备的音乐媒体信息获取方法和系统
US20100146009A1 (en) Method of DJ commentary analysis for indexing and search
WO2005017658A3 (en) Digital audio track set recognition system
KR101155465B1 (ko) 방송의 광고를 모니터링하는 방송 광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송 광고 모니터링 방법
JPH11272287A (ja) 楽曲識別方法及び楽曲識別システム
JP3737614B2 (ja) 音声信号を利用した放送確認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音声素材制作装置及び放送確認装置
EP2928094B1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received broadcast signals
JP42575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
Langer et al.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for Radio Stations with Deep Learned Audio Fingerprints
GB2531700A (en) Methods for identifying and monitoring use of audio entities
JP2002118526A (ja) 放送確認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