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984B1 -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984B1
KR100515984B1 KR10-2001-7010895A KR20017010895A KR100515984B1 KR 100515984 B1 KR100515984 B1 KR 100515984B1 KR 20017010895 A KR20017010895 A KR 20017010895A KR 100515984 B1 KR100515984 B1 KR 10051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critical fluid
pressure
cleaning
sterilization
dis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353A (ko
Inventor
간노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루 가이하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6864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788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71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097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루 가이하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루 가이하쓰
Publication of KR2001010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6Ethylene 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초임계유체장치에 있어서의 소위 내압세정기(1)에 접속관을 통해 진공실(P)을 연결하여, 피세정물의 소정시간 해당 내압세정기(1)내에 충만한 초임계유체를 침지하여 경과를 기다려, 내압세정기(1)와 해당 진공실(P)을 연통시키고, 해당 유체에 큰 압력차에 의한 급격한 버블링을 생기게 하여, 이 때의 세균, 바이러스중에 침투한 초임계 유체의 기화팽창의 힘으로써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를 순식간에 폭발파괴하여, 완벽한 소독·살균(멸균)을 달성하였다.

Description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ION /STERILIZATION OF MED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혈액, 체액 등의 함균물과 접촉하여, 재사용시에 있어서의 감염방지를 위해 소독, 멸균처리를 필요로 하는 각종 의료기기류의 초임계 유체에 의한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감염증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오염되어 있거나, 인체에서 배출된 오물로 오염되어 있는 의료폐기물에 대해서는, 일반폐기물과는 구별되어, 감염방지나 악취발생방지를 위해서 고온으로 완전연소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의료폐기물처리업자가 회수하여 소각처리하고 있었다. 즉, 의료폐기물처리업자는 의료폐기물을 모아, 스톡야드(stock yard)에 퇴적하여, 소각로에서 소각한다. 소각로에서 나오는 폐기가스는 폐기가스처리하고, 소각잔사는 재처리한 후 처분장에서 처분된다. 따라서 일반폐기물이 아닌 의료폐기물은 비용이 비싸다.
상기의 폐기물이 되는 것으로서는, 주사기, 수혈세트, 수액세트, 인공 투석 필터, 탈지면 등의 1회용으로 염가인 것이지만, 내시경, 위카메라, 수술기구, 비싼 주사바늘, 카테테르(catheter) 등 고가의 의료기기에 대해서는 그와 같이 취급할 수 없고, 소독·살균(멸균)하여 재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체내매립 인공골, 페이스메이커, 인공관절, 체내에 매설하는 인슐린미량주입장치, 의치, 의족, 콘택트렌즈 등의 인체내·외에 장착하는 것에 대해서도 재장착시의 배려는 상기의 기기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또한 환자의 피복, 침대 시트, 백의, 간호사 구두, 신변품, 수술 등에서 사용하는 장갑이나 가제류, 소모품, 헬리콥터나 구급차 등의 구급대원이나 구조대원 등의 착의 등에 대해서도, 가령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오염되더라도 완벽한 소독·살균의 비용이 적당한 것이라면, 경우에 따라서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가의 폐기물과 함께 일반폐기물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비용의 저감상, 크게 기여한다.
또 식기, 쟁반 등의 병원식기류는 당연히 재사용되는 것이지만, 감염매체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살균(멸균)의 보장이 요구된다.
한편, 의료기기중 혈액유로로서 길게 설치된 유연성을 지닌 고분자재나 고무 튜브를 구비하고 체내에 매립되어 사용되는 인공심장, 혈액여과기, 혈액투석기기, 흡착 콜럼, 체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각종 내시경 등의 혈액, 체액과 접촉하는 유연구성부에 유연성을 지닌 고분자재나 고무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재사용시에 세정되며, 감염방지를 위해 소독, 또는 멸균이 완벽하게 이루어져야만 하지만, 해당 고분자재, 고무부재의 소독, 멸균이 곤란한 점을 극복하고 소독, 멸균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처리물에 소독, 멸균에 사용된 독성가스 등이 잔류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서 세정이란, 소독과 멸균에 앞서 필요한 처치로, 미생물을 죽이는 것은 아니라,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대상물로부터 혈액이나 조직, 배설물 등의 유기물이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충분한 세정(물리적 처리)에 의해 내시경에 부착한 미생물이나 유기물은 모두 상당한 정도까지 제거된다. 소독약 중에는 혈액·체액에 의해 소독효과에 영향을 받는 것이 있으며, 소독을 하기 전에 세정을 하는 것의 의의는 크다.
소독이란, 대상으로 하는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죽여, 감염성을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펄펄 끓이는 소독·자외선조사나 약물법(소독약) 등이 있다. 소독약에 저항성이 강한 병원성이 없는 보통 존재하는 세균은 포함되지 않는다.
멸균이란, 물질중의 모든 미생물을 멸살 또는 제거하는 것을 말하며, 고압증기멸균이나 에틸렌옥시드 등의 가스멸균, 멘브란필터에 의한 여과법 등이 있다.
내시경의 현재 상황을 이하에 설명한다.
내시경은, 간단한 하드 타입의 위경에서 비롯되어, 파이버스코프로 변화하여, 전자내시경으로 개량된 것이다. 이와 같이 디자인이 변화하여 온 것은 보다 고도의 진단·치료를 하기 위해서 복잡한 장치로 할 필요가 있어 추진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들 내시경의 기술혁신은 세정이나 소독에 적합한 구조가 아니고, 의료기계로서의 기능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일본소화기내시경기사회소독위원회는, 의료장치를 환자의 감염 위험의 정도에 따라서 고도(高度), 중등도(中等度), 경도(輕度)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중에서 점막과 접촉하는 소화기내시경은 중등도로 분류되어, 세균아포를 제외하고 무균이어야만 하는 높은 레벨의 소독을 필요로 하였다. 왜냐하면, 소화관의 점막은 세균아포에 의한 감염에 저항할 수 있지만, 결핵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미생물에는 감염되기 쉽기 때문이다.
일본의 많은 시설에서는, 검사수가 많은 것과 내시경이 고가인 것을 이유로, 내시경검사전에, 감염증의 유무를 조사하여, 비감염증이라고 판단된 사람을 그 날의 앞부분에 검사하고, 감염증자는 그 날의 마지막으로 돌려 검사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이 경우, 비감염증자에게 사용한 내시경에는 그 때마다 완전한 세정·소독은 이루어지지 않고, 불완전한 세정·소독방법에 머물고 있다. 감염증자에게 사용한 내시경만이 완전히 세정·소독되고 있다.
이 방법은 단시간에 많은 사람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언뜻 보면, 합리적인 것처럼 생각되지만, 이 방법으로는 체크할 수 있는 병원미생물이 HBV, HCV, 매독파상균, HIV(일부의 시설만)정도로 한정되어 있으며, 그 밖의 감염증은 조사되고 있지 않다. 또한 검사 결과도 불완전하다. 예를 들면, AIDS의 HIV는 감염초기에는 소위 잠복기간이 있어, 감염후 6∼8주간은 항체가 음성이면서 실제로는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부터도 분명하다.
이렇게 체크후, 불충분하고 부적절한 세정·소독처리에 의해 감염증이 발생하는 위험은, H.pylori의 감염보고예가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최근 C형 간염도 출현하고 있다. 이렇게 현실적으로 사전 체크되어 있지 않은 감염증이 있다.
내시경은 검사를 위해 위장점막에 접촉한다. 만약 병원미생물이 스코프에 부착하고 있으면 감염의 위험이 있다. 더구나, 감염에 관여하는 주된 것은 HBV, HCV·HIV, 매독파상균, 결핵균, 녹농균, MRSA, H.pylori 등 다수이다. 이들 중에는, 병원성, 감염력, 소독약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 등의 여러 가지이다. 따라서 내시경의 소독에는 이미 알고 있거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교차감염의 위험을 고려하여, 높은 정도의 소독이 필요하게 된다.
1) 스코프의 오염과 세정성
스코프는 복잡한 구조이지만 세정·소독이 관여하고 있는 부분은, 가늘고 긴 고무관과 요철의 형을 한 조작으로 된 비교적 간단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오염이 많은 부분은, 제일 먼저 생체검사·흡인 채널과 송기·송수 채널 선단부 및 삽입부 바깥쪽이고, 둘째로 조작부에서 라이트 가이드나 코넥터부는 오염이 적은 부분이다. 한편, 오염물을 떨어뜨리기 어려운 부분은 우선, 생체검사·흡인 채널, 그 중에서도 접속부와 조자(組子) 등에 의해서 만들어진 갭이며, 그 다음에 조작부이다. 이렇게 세정시에 가장 문제로 되는 것이 생체검사·흡인 채널이다.
2) 스코프의 재질
내시경의 만곡부는, 유리섬유, CCD 등을 고무로 피복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시경은 열에 약하고, 대강 40℃ 또는 55℃ 이하(메이커에 따라 다르다)가 아니면 손상을 초래한다. 뜨거운 물 등에 의한 단시간소독은 무리이다.
그 때문에 내시경의 소독에는 재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병원균에 폭넓은 효과를 보이는 고수준 소독약의 글루타르알데히드가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일본소화기내시경기사회의 내시경의 세정·소독에 관한 가이드라인에서는 환자전부를 감염증으로 간주하여, 한번 사용시마다 충분히 세정후 적어도 2% 글루타르알데히드의 10분간 침지를 권유하고 있다.
글루타르알데히드는 독성, 자극성, 알레르기성이 있어, 비산에 의해 눈으로, 부착에 의해 피부로, 또한 흡입에 의해 기도로 각각 침입하여, 피부염, 결막염, 비염 외에 부비강(副鼻腔) 등의 과민증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소독시에는, 부착을 최소한으로 막기 위해서 마스크, 장갑, 플라스틱 가운, 눈의 보호를 위해 방호용의 고글을 사용한다. 소독은 밀폐된 소독장치를 사용하여 잘 환기된 구역에서 해야 한다. 또한 소독액이 비산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특별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또, 수술기계, 재료중, 열에 강한 물품은 고압증기멸균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열에 약한 것이나 정밀한 물품 등은 에틸렌옥사이드가스(EtO)멸균이 행하여지지만, EtO 멸균은, 그 유효성과 편리성으로부터 현재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지만, 염소독성 가스의 멸균물 잔류로 발암 등의 문제가 있다. 독성으로서는 조직독성, 용혈성 등이지만, 특히 염화비닐에는 장시간 잔류하고, 잔류량은 재질중에 포함되는 가소제의 양과 비례한다. 이 잔류 EtO 가스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용할 때까지 일정시간 이상 공기중에 방치하거나, 에어레이터를 사용하여 강제환기를 한다. 또한, EtO멸균에 있어서는, 작업중 환경의 공기중 EtO 농도에는 엄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수단에서는 단시간의 세균, 바이러스의 완전박멸은 기대하기 어렵고, 멸균을 달성하더라도 배수처리, 사용에 있어서의 극약부착 소거의 수고라고 하는 2차적인 어려운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시간의 살균·소독처리로서 바이러스의 완전박멸과 건조가 불필요한 고도세정 및 극약부착이 없는 마무리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내열성에 뒤떨어지는 유연구성부에 고무부재를 가지고 있어 소독, 멸균상 불리한 의료기기에 대하여, 아무런 열화를 동반하지 않게 하여 항균성 바이러스에도 유효한 간편하고 완전한 멸균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해가 되는 극약의 잔류 문제도 생기지 않고, 세정과 멸균·건조공정이 불과 30분 정도인 단시간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재사용에 있어서 감염방지를 위해 완전한 소독·멸균처리를 필요로 하는 의료기기의 소독·멸균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루에도 몇 회라도 의료기구의 완전한 소독·멸균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장치의 다른 형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장치의 주요부의 멸균, 마무리 세정부의 설명도이고, 도 4는 순물질의 상태도 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은 초임계유체 세정장치에 있어서의 소위 내압세정기에 접속관을 통해 진공실을 연결하고, 피세정물의 소정시간 해당 내압세정기내에 충만한 초임계유체를 침지시키고, 해당 내압세정기와 해당 진공실을 연이어 통과시키거나, 혹은 단숨에 외기로 방출시켜 해당 유체에 큰 압력차에 의한 급격한 버블링을 생기게 하여, 이 때의 세균, 바이러스중에 침투한 초임계유체의 기화팽창의 힘으로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를 순식간에 폭발파괴하여, 완벽한 소독·살균(멸균)을 달성함과 동시에, 초임계유체의 건조가 불필요한 세정작용으로 마무리 세정을 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서, 이하의 현상이 일어난다.
즉, 도 4의 순물질 상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계점 근방에서, 압력 및 온도의 조건이 임계점보다도 높은 고밀도유체인 것을 의미하는 초임계유체가 가진 특성 「(1) 약간의 압력, 온도변화로 큰 밀도변화를 얻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물질의 용해도는 밀도와 비례하기 때문에 압력, 온도변화로만 보다 큰 용해도차를 얻을 수 있게 된다. (2) 초임계유체의 밀도는, 액체와 유사하지만, 저점성(기체보다도 낮다), 고확산성이고, 따라서 물질이동면에서 보다 유리해진다」를 교묘하게 반도체기판 등의 세정이나 각종성분의 추출에 이용한 제안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초임계유체의 특성은 아임계(亞臨界)유체도 가진다. 아임계유체란, 압력-온도상태도에 있어서 임계점 앞근방의 영역에 있는 유체를 말하며, 압축액체와 이것과 포화(평형)에 있는 가스의 병존상태이다. 이 영역의 유체는, 초임계유체와는 구별된다.
그리고, 진공실과 돌연 연통된 초임계영역에 있는 내압세정기의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중에 침투(상기의 고확산성에 의한)한 초임계유체는, 단숨에 그 압력이 경계치까지 저하되어 포화증기(가스)에 의한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 팽창(평형에 가까움)한다.
이 순식간의 팽창으로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는 파열하여 버리기 때문에, 완벽한 멸균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CO2 인 경우에 있어서는, 초임계(31℃, 70M)에 가깝고, 단숨에 저압화와 저온화하여 액체 가스가 되고, 이 때의 순식간의 팽창으로 세포파열을 초래한다.
이것은, 고온에 약하고 고온살균을 사용할 수 없는 의료기기류를 저온하에서 완벽한 멸균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용해력으로 고도의 세정작용을 받는다.
이 세정은 주지한 바와 같이 건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초임계유체의 특성을 이용한 상술의 처리는 단시간에 완수하여 버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작용은 유체의 팽창에 의한 것으로, 조금도 살균력을 가진 극약의 약효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리 유체로 인체에 무해한 가스(예를 들어 탄산가스)를 선택하면 재사용에 있어서 어떤 안전 화처리도 불필요하다.
사용 가스로서는 상기의 탄산가스 외에, 살균가스로서 사용하고 있는 에틸렌가스, 또한 살균력이 있는 알콜이나 에탄올과, 산화질소, 에탄, 프로판 등이 있다.
상기 CO2가스에 대하여 열화하여 버리는 고무재사용의 의료기기류의 경우, 예를 들면 내시경 등의 유연성에 동작하기 위해 고무재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초임계유체가 CO2일 때에는, 고무재 표면에 테프론이나 알루미늄층을 피복시켜 2중으로 하여 유연성을 잃지 않고 고무재에 CO2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처리물을 수납하는 세정바구니를 용기내 공중에 지지하여 해당 처리물에 압축액체를 직사분무함으로써 마무리세정 전처리를 목적으로 한 복수의 노즐과, 용기 상부에 접속한 거의 동일 용적의 진공실을 구비하며, 용기 바닥에 회전날개와 용기 측벽에 해당 회전날개로 지향한 음파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교반장치를 설치한 내압세정기와,
해당 내압세정기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착탈이 자유로운 조립 드레인 봄베를 수직 아래에 설치한 세정처리후의 세정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내압회수용기와,
해당 내압세정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내압용기 상부 가스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내압회수용기 사이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해당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내압세정기 사이에는, 중간에 엔트레이너 용기를 접속한 송액관으로 연결하여 닫혀진 재순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것 등의 각 압축액체송수용기의 상부 사이를 서로의 상부 가스가 연통할 수 있도록 연결한 것이다.
상기의 내압세정기에 있어서는, 진공실을 부설하는 것을 생략하고 천정부에 순식간에 외기로 해방하기 위한 개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용매원료 봄베를 내압세정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내압세정기와의 상부 사이를 서로의 상부 가스가 연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면 좋다.
본 발명장치는, 또한 처리물을 수납하는 세정바구니를 용기내 공중에 지지하여 해당 처리물에 압축액체를 직사분무함으로써 마무리세정 전처리를 목적으로 한 복수의 노즐과, 용기상부에 접속한 거의 동일용적의 진공실을 구비하고, 용기 바닥에 회전날개와 용기측벽에 해당 회전날개로 지향한 음파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교반장치를 설치한 내압세정기와, 해당 내압세정기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착탈이 자유롭게 조립된 드레인 봄베를 수직아래에 설치한 세정처리후의 세정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내압회수용기와,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해당 내압용기 상부 가스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내압회수용기 사이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해당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내압세정기의 사이에는 중간에 액체압송용의 가압 펌프와 엔트레이너용기를 접속한 송액관으로 연결하여 닫혀진 재순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원료봄베로부터의 취출을 압축기를 통해 고밀도 액화가스 실린더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회전날개와 이에 지향한 음파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교반장치 대신에, 내압세정기 바닥에 원료봄베로부터의 초임계영역의 유체주입용 관을 접속하여, 액상체내로의 기상체의 투입으로 마무리 세정에 바람직한 버블링을 발생시킨다고 해도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내압세정기(1)는 처리물을 수납하는 세정바구니(2)를 복수(효과적인 마무리세정에 필요)의 노즐(3) 바로 아래의 공중에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하면 멸균후 노즐(3)로부터 압축액체(5)의 제트분류가 세정바구니(4)내의 처리물에 투사되어 세정되고, 제트분류의 투사의 충격에너지는 멸균후의 마무리 세정시에, 부착물질을 강제박리하는 데 효과적이다.
해당 내압세정기(1)에 고압배관(4), 해당 노즐(3)을 통해 압축액체(5)를 보내주는 고밀도액화가스를 충전한 용매원료 봄베(6)는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온도제어가 가능하도록 온도조절기(7)를 장비의 박스(8)내에 수용하고, 해당 내압세정기(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레벨차 낙하작용으로 압축액체(5)를 보내주는 것으로 하고 있다[온도조절기(7)에 의한 봄베(6)가 내압세정기(1)보다도 고온설정됨으로 인한 증기압차로 이송은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양 용기 상부 사이에 연결된 고압배관(9)의 기상연통에 의해 백업된다).
내압세정기(1) 상부에 접속하여 효과적으로 순식간의 기화팽창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거의 동일용적의 진공실(10,···)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진공실(10)과 내압세정기(1)와의 연통에 의해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중에 침투한 초임계유체는 큰 압력차에 의해 순식간에 기화팽창을 하여 세포를 파괴한다. 이 때, 내압세정기 (1)중에 충만한 초임계유체 또는 압축액체(5)는 팽창에 의한 버블링을 발생시킨다.
또, 진공실(10)과 내압세정기(1)는 상, 하의 관계에 있는 것을 이용하여, 다음 살균시에 진공실(10)중의 액을 재이용하기 위해 내압세정기(1)로 되돌릴 수도 있다.
또한, 세정바구니(2) 바로 아래의 내압세정기(1) 바닥에는 회전날개(11)를 설치함과 동시에 내압세정기(1) 측벽에는 해당 회전날개(11)를 지향한 음파발생장치(12)를 배치하여 두기 때문에, 초음파 에너지와 그 투사로 회전하는 회전날개 (11)와의 캐비네이션, 강제교반동작의 상승작용으로 한층 더 강력교반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충만한 후술의 엔트레이너를 포함한 압축액체(5)중에 침지하여 이루어지는 처리물의 마무리세정은 강렬한 교반을 기초로 이루어진다.
또, 의료기기에 있어서의 튜브 등의 고무부재는 초임계 CO2 유체와 접촉하여 열화(우레탄고무의 원리)하여 버리기 때문에, 이것 등의 부재는 바깥표면을 테프론이나 알루미늄의 코팅가공을 실시하여 초임계 CO2 유체화 해두지 않으면 안된다.
내압세정기(1)보다도 낮은 위치에 세정액(5')을 받아들이는 내압회수용기 (14)가 배치된다. 받아들임은 레벨차낙하, 증기압차, 기상연통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속한 마무리 세정의 용매 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용기(14)는 온도조절기(15)를 내장하고, 또한 용기바닥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로운 조립 드레인 봄베(16)를 바로 아래에 둔다. 따라서 재순환계의 연결을 중단해 두고 충분히 오염된 성분을 수용한 드레인 봄베(16)를 떼어내어 소정장소에서 비운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압세정기(1)와 내압회수용기(14)와의 사이에는 기상연통용의 배관(17)이 연결되어 있다. 내압회수용기(14)의 기상은 더욱 내압세정용기(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닫혀진 재순환 시스템의 저장수단으로서의 고밀도액화 가스공급 실린더 (18) 상부와 배관(19)을 통해 연락하고 있어, 내압회수용기(14)의 온도조절기(15)로 가온 기화된 용매는 증기압차를 가지고 상위의 실린더(18)로 반송되게 되어 있다.
실린더(18)는 온도조절기(20)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것으로 상기 기화용매를 냉각액화 한다. 실린더(18) 하부의 배관(21)은 내압세정기(1)의 노즐(3)에 연결하기 위해 해당 배관(4)에 접속하고 있다. 해당 배관에는 상기의 엔트레이너 용기 (23)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벨차 낙하반송을 보완하기 위해 기상간연결관(22)이 가설되어 있다. 또, 이 때 해당 온도조절기(20)의 가온에 의한 온도차설정으로 낙하를 보완한다.
도 2에는 재순환계를 실린더(18)와 내압세정기(1) 사이의 배관(21)에 압송순환용의 가압 펌프(KP)를 개재하여 배치하고, 또한 봄베(24)로부터의 용매투입을 도중에 압축기(25)를 개재하여 배치된 실린더(18)에 접속하는 배관(26)으로 된 타입의 소독, 멸균장치의 예를 든다.
도 3은 내압세정기(1)에 있어서의 마무리 세정용 교반을 합리적으로 달성한 것을 나타낸다.
즉, 해당 봄베(24)로부터 배관(26)의 압축기(25) 앞쪽에 내압세정기(1) 바닥에 접속된 분지 관(27)을 설치함과 동시에, 해당 관(27)에는 가열기(28)를 배치하여 「초임계영역」의 가스공급을 담당하게 한다.
그렇게 하면, 회전날개(11), 음파발생장치(12)의 용기(1) 내를 복잡화하고 있는 장치가 없어도, 「액체」중「기체」가 투입됨에 의한 마무리 세정에 적합한 버블링을 생기게 할 수 있다.
한편, 이 버블링은 즉 내압세정기(1)의 유체보다 투입유체쪽이 상대적으로「초임계영역」의 정도가 높으면 좋기 때문에, 내압세정기(1) 내의 유체가「액체」가 아닌 초임계유체인 경우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의료품을 완벽하게 소독, 멸균하여 재사용을 실용적으로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처음으로 인체장착에 공급되는 물품의 안전을 위한 소독·살균(멸균)에도 효과적이다.
설비적으로는 병원의 1실에서 본 발명의 초임계 가스액으로서 복수의 장치로 건조를 동반하지 않는 대량의 소독·살균세정을 단시간에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엄중한 차단을 배려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는 내성균의 완전멸균이 가능해진 점은, 이 점에서 한시라도 빠른 대책을 요구하는 관계자에게 희소식이다.
활용법으로서, 재사용은 하지 않아도 염가인 일반폐기물화처리에 이용하는 법도 있다.
또한 내압세정기를 대형 침대의 처리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에 직접 매설하는 인공골·인공혈관 등의 각종재료의 살균소독세정, 인체외부 피부면에 장착하는 투석이나 페이스 메이커 등 의료기기의 살균소독세정, 내시경 등의 표면처리뿐만 아니라, 피부 등을 깨끗이 닦는 가제나 면이나 스폰지 소모품 등의 다공질재로 구성되는 것은 내부의 소독, 멸균이 매우 곤란하지만, 본 발명은 완전히 내부침투를 이루어 처리하기 때문에, 재사용을 100% 보장한다.

Claims (14)

  1. 초임계유체 세정장치에 있어서의 소위 내압세정기에 접속관을 통해 진공실을 연결하고, 피세정물의 소정시간 해당 내압세정기내에 충만한 초임계유체침지 경과를 기다려, 내압세정기와 해당 진공실을 연통시키고, 해당 유체에 큰 압력차에 의한 급격한 버블링을 생기게 하여, 이 때의 세균, 바이러스중에 침투한 초임계유체의 기화팽창의 힘으로써 세균, 바이러스의 세포를 순식간에 폭발파괴하여, 완벽한 소독, 살균(멸균)을 달성하는 동시에, 초임계유체의 건조가 불필요한 세정작용으로 마무리세정을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작용을 초임계유체의 기화팽창후 액화 가스의 강제교반으로 이루는 것으로 한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작용을 내압세정기 바닥으로부터 용기내유체보다도 초임계정도가 높은 유체를 투입하여 생기는 버블링을 사용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처리물이 가제, 면, 스폰지 소모품 등의 다공질재로 이루어지는 것인 초임계유체에 의한 멸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재를 사용한 의료기기류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초임계 유체가 CO2인 경우, 해당 고무부 표면은 테프론이나 알루미늄코팅 2중구조의 내초임계 CO2 유체성으로 이루어지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멸균방법.
  6. 처리물을 수납하는 세정바구니를 용기내 공중에 지지하여 상기 처리물에 압축액체를 직사분무함으로써 마무리세정 전처리를 목적으로 한 복수의 노즐과, 용기상부에 접속한 거의 동일용적의 진공실을 구비하고, 용기 바닥에 회전날개와 용기측벽에 상기 회전날개로 지향한 음파발생장치로 이루어지는 교반장치를 설치한 내압세정기와, 상기 내압세정기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착탈이 자유롭게 조립된 드레인봄베를 수직아래에 설치한 세정처리후의 세정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내압회수용기와, 상기 내압세정기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된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내압용기 상부 가스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내압회수용기 사이의 상부사이를 연결하는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상기 고밀도 액화가스 공급실린더와 내압세정기의 사이에는, 중간에 엔트레이너 용기를 접속하는 송액관으로 연결하여 닫혀진 재순환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것 등의 각 압축액체송수용기의 상부사이를 서로의 상부 가스가 연통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내압세정기를, 처리물을 수납하는 세정바구니를 용기내 공중에 지지하여 해당 처리물에 압축액체를 직사분무함으로써 마무리세정 전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복수의 노즐과, 용기 상부에 접속한 거의 동일용적의 진공실을 구비하고, 용기 바닥에 교반용의 보다 초임계 정도가 높은 유체투입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원료 봄베로부터의 취출을 압축기를 통해 고밀도 액화가스 실린더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원료 봄베로부터의 취출을 압축기를 통해 고밀도 액화가스 실린더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에 의한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용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1-7010895A 1999-12-27 2000-05-29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 KR100515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68643 1999-12-27
JP36864399A JP2001178801A (ja) 1999-12-27 1999-12-27 超臨界流体による医療機器、医療関係着衣類、病院食器類等の消毒、殺菌洗浄方式
JP2000071644A JP3460977B2 (ja) 2000-03-15 2000-03-15 ゴム部材を有する医療機器の消毒、滅菌方法と装置
JPJP-P-2000-00071644 2000-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53A KR20010104353A (ko) 2001-11-24
KR100515984B1 true KR100515984B1 (ko) 2005-09-20

Family

ID=2658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95A KR100515984B1 (ko) 1999-12-27 2000-05-29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0251B1 (ko)
EP (1) EP1170022A4 (ko)
KR (1) KR100515984B1 (ko)
AU (1) AU752509B2 (ko)
CA (1) CA2363271C (ko)
WO (1) WO2001047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9350B2 (en) * 1999-12-27 2007-03-13 Kabushiki Kaisha Sr Kaihatsu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instruments
US6457480B1 (en) * 2001-06-27 2002-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s
WO2003063124A1 (fr) * 2002-01-17 2003-07-31 Nec Corporation Dispositif a semi-conducteur comprenant des circuits d'attaque a charge de courant de type reseau et procede d'attaque
KR100910026B1 (ko) 2007-09-13 2009-07-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생물막의 불활성화 방법
US20110060313A1 (en) 2009-09-09 2011-03-10 Jian-Lin Liu Substrate surface modification utilizing a densified fluid and a surface modifier
CN106620769A (zh) * 2012-04-19 2017-05-10 艾那株式会社 气体氮氧化物产生法和气体氮氧化物产生装置
US10648730B1 (en) * 2017-05-08 2020-05-12 Cenorin, Llc Medical implement drying apparatus
CN107753972B (zh) * 2017-11-25 2023-09-05 温州医科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医疗用具收纳清洁装置
US10882084B2 (en) 2018-11-15 2021-01-05 Joes Holdings Llc Shielded containment cabinet and method of use
CN109628497B (zh) * 2018-12-10 2022-05-03 河北科技大学 一种抗生素菌渣资源化处理方法
CN109757938B (zh) * 2018-12-27 2020-10-23 江阴市欣乐寝饰有限公司 床品除螨系统及其除螨方法
CN113509574B (zh) * 2021-07-13 2022-09-30 牡丹江医学院 一种手术室手术消毒护理设备
CN115154621B (zh) * 2022-08-02 2024-03-22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泌尿外科手术器械的消毒装置
CN115607701B (zh) * 2022-11-10 2024-03-22 江门华大生物科技有限公司 多孔椎间融合器的辐照灭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4396A1 (de) * 1992-04-01 1993-10-06 SULZER Medizinaltechni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Keimverminderung von textilen medizinischen Implantaten
JPH11127827A (ja) * 1997-08-01 1999-05-18 Coca Cola Co:The 高圧力滅菌の方法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385A (ko) 1973-07-14 1975-03-20
US5013366A (en) 1988-12-07 1991-05-07 Hughes Aircraft Company Cleaning process using phase shifting of dense phase gases
DE3904513A1 (de) * 1989-02-15 1990-08-16 Oeffentliche Pruefstelle Und T Verfahren zum desinfizieren und/oder sterilisieren
JP2699748B2 (ja) 1992-01-27 1998-01-19 日本炭酸株式会社 液状食品の脱臭法
EP0629135B1 (en) * 1992-03-02 2000-07-26 Bioeng, Inc. Viral inactivation method
DE4306645A1 (de) 1993-03-03 1994-09-08 David Jackson Verfahren zum Reinigen, Sterilisieren und Implantieren von Substraten mittels eines Hochenergetischen verdichteten Fluids
JP2736605B2 (ja) 1994-04-25 1998-04-02 花王株式会社 液状物の殺菌方法
JPH0889560A (ja) 1994-09-21 1996-04-09 H K M Co:Kk 滅菌方法及び滅菌装置
JP2832190B2 (ja) * 1995-04-20 1998-12-02 シューズリフレッシャー開発協同組合 超臨界および亜臨界流体を用いた洗浄方法
JP3042830B2 (ja) * 1996-01-29 2000-05-22 日本炭酸株式会社 超臨界流体による連続処理装置
JP3784464B2 (ja) 1996-07-10 2006-06-14 三菱化工機株式会社 超臨界流体を洗浄流体とする洗浄方法
JPH10258019A (ja) 1997-03-17 1998-09-29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洗浄装置
JPH11276425A (ja) * 1998-01-27 1999-10-12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H11276405A (ja) 1998-03-26 1999-10-1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WO1999056892A1 (en) * 1998-05-06 1999-11-11 Steris Corporation Sub-critical fluid cleaning and antimicrobial decontamination sysstem and pro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4396A1 (de) * 1992-04-01 1993-10-06 SULZER Medizinaltechnik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Keimverminderung von textilen medizinischen Implantaten
JPH11127827A (ja) * 1997-08-01 1999-05-18 Coca Cola Co:The 高圧力滅菌の方法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10251B1 (en) 2003-08-26
EP1170022A4 (en) 2003-02-05
CA2363271C (en) 2004-07-06
AU4950500A (en) 2001-07-09
EP1170022A1 (en) 2002-01-09
CA2363271A1 (en) 2001-07-05
KR20010104353A (ko) 2001-11-24
AU752509B2 (en) 2002-09-19
WO2001047566A1 (fr)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6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sterilization of endoscopes
KR100515984B1 (ko) 의료기기류의 소독, 멸균방법 및 장치
JP5805041B2 (ja) 改善されたエアゾール
JP2023139240A (ja) 滅菌、消毒、衛生化、除染および治療の装置、システム、ならびに方法
US5996155A (en) Process for cleaning, disinfecting, and sterilizing materials using the combination of dense phase gas and ultraviolet radiation
US7108832B2 (en) Sterial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which employ additive-contain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terilant
US6558622B1 (en) Sub-critical fluid cleaning and antimicrobial decontamination system and process
US850690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CN208031551U (zh) 一种消毒供应中心用多功能医疗器械消毒杀菌箱
US5178828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medical waste materials
US20180154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or Deimmunizing an Object
US7189350B2 (en) Method of sterilizing medical instruments
WO1999056892A1 (en) Sub-critical fluid cleaning and antimicrobial decontamination sysstem and process
JP3460977B2 (ja) ゴム部材を有する医療機器の消毒、滅菌方法と装置
KR102346073B1 (ko) 연성 내시경 저온 플라즈마 멸균시스템
KR20160036276A (ko) 수술용 세척장치
JP2001187118A (ja) 医療用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1178801A (ja) 超臨界流体による医療機器、医療関係着衣類、病院食器類等の消毒、殺菌洗浄方式
JPH0531164A (ja)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
Geiss Reprocessing of anaesthetic and ventilatory equipment
Steer Decontamination
TW200302113A (en) Cleaning and sterilizing treatment of used medical appliance
WO2014183805A1 (en) A method for the decontamination of medical instruments
Hasson Sterilizing surgical instruments requires time, optimal conditions.
JPH05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