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69B1 -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69B1
KR100515169B1 KR10-2001-0067497A KR20010067497A KR100515169B1 KR 100515169 B1 KR100515169 B1 KR 100515169B1 KR 20010067497 A KR20010067497 A KR 20010067497A KR 100515169 B1 KR100515169 B1 KR 10051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roduct
moving
hearth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943A (ko
Inventor
이시와타나투오
오자와다츠야
사와요시타카
야마모토데츠야
다케다간지
기쿠이데츠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09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206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0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77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39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771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90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7506B2/ja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46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making metallised agglomerates or iro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1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hearth-type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1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in hearth-type furnaces
    • C21B13/105Rotary hearth-typ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1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circular or arcuate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8Screw feeders; Screw dis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27B2009/124Cooling
    • F27B2009/126Cooling involving the circulation of cooling gase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3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magnetic means
    • F27D2003/004Magnetic lif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1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means to pick up the charge and put it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3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 F27D2009/001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 F27D2009/0013Cooling of furnaces the cooling medium being a fluid other than a gas the fluid being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1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 Y02P10/134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by avoiding CO2, e.g. using hydro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Tunnel Furnace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노상 노의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배출 장치는 상기 노상으로부터 환원 생성물을 제거하는 장치와, 고체 환원제로부터 환원 생성물을 분리하는 장치와, 환원 생성물 이외의 물질을 고체 환원제층에 잔류시키거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장치 및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외측으로 환원 생성물을 배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DISCHARGING REDUCED PRODUCT FROM A MOVABLE-HEARTH FURNACE AND A DIS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생성물의 배출 기술, 특히 금속을 함유하는 광석이나 제철소 발생 먼지, 슬러지, 산업 폐기물 등의 금속 함유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고체 환원제와 함께 이동 노상 위에 퇴적시킨 후, 상기 이동 노상의 이동 중에 상기 퇴적 원료를 가열 환원하여 얻어지는 이동형 노상 노 내의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력(磁力)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환원 금속을 포함하는 생성물의 배출 방법과, 그것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히 입경이 큰 환원 금속 등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기술에 관해 개시한다. 또한, 특히 환원 생성물과 노 내에 잔류시켜야 할 환원제를 선별하여 배출하는 데 유리한 구성에 관해 개시한다.
환원 금속의 전형적인 예인 강철은 전로(converter)나 전기로(electric furnace)에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전기로법은 스크랩이나 환원철을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열 용융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정련함으로써 강철로 하고 있다. 단, 최근 스크랩의 수급이 어렵다는 것 및 보다 고품질인 강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에 따라 환원철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환원철 등의 제조 공정중 하나로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상 위에 철광석과 고체 환원제를 장입하여 퇴적시키고, 그 노상의 윗쪽으로부터 버너 연소에 따른 복사전열(radiation heat transfer)에 의해 철광석을 가열하고 환원하여 환원철을 제조하는 소위 이동형 노상 노법(movable-hearth-furnace method)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 1988-108188 호 공보 참조). 상기 방법으로 사용되는 이동형 노상 노는 노상(hearth)이 가열대 내를 수평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입 퇴적 원료를 가열하는 형식의 것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 노상이 환형(선회)으로 이동하는 형식(회전 노상 노)을 취하는 것이 통상이다.
이 회전 노상 노에서는 노상 위에 철광석과 고체 환원제로 이루어지는 펠릿(pellets)을 탑재하여 가열함으로써 철광석(iron ore)의 환원을 실행하고, 환원 펠릿을 생성시킨다. 이 노에 있어서, 노상은 가열로(heated furnace) 내를 이동하는 것으로, 표면에는 내화물이 도포되고, 또한 입자 형상 내화물을 적층시켜 내화물 표면을 보호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72312 호에는 이동형 노상 노로서 회전 노상 노를 이용하는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노는 원료의 공급측에서 배출측을 향해, 예열대(10a), 환원대(10b), 용융대(10c) 및 냉각대(10d)로 구획된 환형의 노 본체(10)를 가지며, 상기 노 본체(10) 내에 환형의 이동 노상(11)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노상(11) 위에는, 예를 들면 철광석 등의 원료와 석탄, 목탄, 코크스 등의 고체 환원제의 혼합물(12)을 장입 퇴적시킨다. 또한, 이 노의 노상 표면은 내화물로 도포되어 있지만, 노상과 혼합물(12) 사이에 고체 환원제층을 퇴적시켜 고체 환원제에 의해 노상 보호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 노의 경우, 노 본체(10) 내의 상부 영역에 버너(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버너(13)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이동 노상(11) 위에 퇴적된 철광석 등의 금속 함유 산화물 원료를 가열 환원하여 환원철 등의 환원물로 하고, 또한 가열 승온함으로써 그 환원물을 용융하여 슬래그가 부착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16)을 얻는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14)는 원료를 노상 위로 장입하는 장입 장치이다. 또한, 참조부호(15)는 환원 생성물을 배출하는 배출 장치이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72312 호에 개시된 상기 공정은 노상 위에 분말 형상의 고체 환원제를 적재하여 일정한 층 두께의 고체 환원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고체 환원제층 표층에 분말 형상의 금속 함유물을 적재함으로써 일정한 층 두께의 금속 함유물층을 형성하며, 또한 금속 함유물층의 표층으로부터 고체 환원제층까지 이르는 깊이의 복수개의 홈(concavity)을 마련함으로써, 표층으로부터 가열된 금속 함유물은 환원·용융하여 금속과 슬래그로 분리되면서, 용융물의 표면 장력 및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고체 환원제층에 잔존하고 있는 홈에 모이고, 이 용융물을 냉각함으로써 홈 부분에 복수개의 금속·슬래그의 큰 입자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동 노상 노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16) 등은 배출 장치(15)를 거쳐 이동 노상 위에서 노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노상 위에서 환원 생성물(16) 등을 배출하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7-172312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크류 피더형의 배출 장치 등이 있다. 이 배출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rod)(15a)의 주면에 나선 형상의 스크류(15b)를 설치한 것으로, 상기 로드(15a)의 축선을 노상(11)의 이동 방향과 거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노상(11) 위에서 로드(15a)를 회전시킴으로써 노상 위의 환원 펠릿이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16)을 노상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 방향으로 긁어내어 노상 위로부터 배출하는 형식의 것이다.
상기 기술의 특징은 맥석분(gangue portion)을 포함하지 않는 금속으로서의 환원철을 배출하는 경우에, 스크류 피더의 스크류(15b)를 노상(11) 상면에 접촉할 정도까지 강하시킨 상태로 이것을 구동함으로써,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16)을 거의 완전히 횡방향으로 배출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고체 환원제층형 환원 용융 공정에 있어서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 피더에 의해 환원 생성물을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이 공정으로는 환원 생성물인 금속·슬래그 입자(16)와 고체 환원제(65)의 거의 전량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된 상기 금속·슬래그 입자와 고체 환원제(65)는 스크린에 공급하여 분급하되, 금속·슬래그 입자에 관해서는 제품으로 하는 한편, 체 아래의 고체 환원제(65)에 관해서는 노 내로 리사이클한다.
또한, 상기 기술은 분말 철광석과 고체 환원제(65)를 혼합한 혼합 원료를 미리 노상 위에 탑재한 고체 환원제층(1b) 위에 적층하여 퇴적시켜 소정 온도로 환원시킨 후, 더욱 승온하여 슬래그와 금속으로 용융 분리함으로써 맥석분을 포함하지 않는 환원철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스크류 피더 방식의 배출 장치는 생성한 상기 환원철을 스크류 피더의 스크류로 긁어내는 방식이므로, 특히 펠릿 형상의 환원 생성물을 배출하는 경우에, 이들 스크류와 노상 사이에 끼어 구동 기계를 정지시킨다. 또한, 이것이 노상 방향을 향한 가압력으로 되기 때문에, 노상에 접해서 그 표면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 배출 수단은 이동 노상 위의 퇴적물을 전량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수단으로는 적절하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은 이동 노상 위의 금속이나 슬래그 등의 환원 생성물을 포함해서 퇴적물의 전량을 배출하는 데에는 편리하지만, 제품인 환원 생성물(16)(금속)만을 고체 환원제로 선별하여, 이것을 분별 회수(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출 방법을 이용하여, 한번 전량을 배출하고, 노 외측에서 분급하며, 노 내로 리사이클하는 방법에서는 분급 후에 고체 환원제의 온도가 현저히 저하하여 열적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열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고체 환원제를 고온인 상태로 리사이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배출 장치에서는 피하기 어렵던 노상의 손상을 피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와 더불어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서 환원철 등의 환원 생성물만을 선별 제거하고, 한편 고체 환원제를 노상 위에 그대로 잔류시키기 위한 유리한 방법을 제안하여 열적 손실을 회피하는 것이다.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 결과, 이하의 요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서 적어도 4개의 공정,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그 이외의 입자와 분리하는 공정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공정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공정이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흡인 분리한 후에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상기 배출 방법에 있어서,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흡인 분리하기 전에 상기 환원 생성물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방법에 있어서, 1종류 이상의 환원철 또는 환원 펠릿을 포함하는 2종류 이상의 입경이 다른 입자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공정이 상기 이동 노상 위에서 입경이 다른 환원 생성물을 체로 쳐서 분리하여 작은 직경의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한편, 큰 직경의 것만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방법에 있어서,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체로 쳐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방법이, 회전드럼을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노상 폭방향에 걸쳐 마련하여, 상기 드럼 본체의 주면에서 반경 방향을 향해 복수개의 망 형상 또는 빗살 형상의 체판을 장착한 회전드럼에 의해 상기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방법에 있어서,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체로 쳐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방법이 스크류 피더를 상기 이동 노의 폭방향에 걸쳐 상기 이동 노상으로부터 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지지하고, 이동 노상에 대한 스크류 피더의 축선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고체 환원제층의 일부를 그대로 잔류시켜,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의해 고체 환원층으로부터 박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상기 스크류 피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는 케이싱에 의해 상기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상기 고체 환원층 위에 잔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상기 개구를 갖는 케이싱이 2중 통 형상의 체통(cylindrical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의해 노상 외측으로 배출된 입경이 큰 상기 환원 생성물과 입경이 작은 것을 선별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고체 환원제층 또는 혼합 원료층으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장치가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하기의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 노상과 대향하여 그 위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노 외측을 향하여 연장시키고,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에는 적어도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부분 및 상기 대향 부분에 인접하는 노 외측 부분에 상기 이동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을 흡인하여 분리하기 위한 자석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이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자석을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끼우는 이동 노상 위의 대향 상변부에 설치하는 것, 그리고 상기 자석을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배면측에 고착하는 것이 각각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 노상과 대향하여 그 위에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상기 배출부에서 노 외측을 향해 연장시키고,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하측 벨트를 끼우는 이동 노상 위의 대향 상변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기 회전하는 내장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내장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배면측에 자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이다.
상기 각각의 장치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의 자력 발생 영역의 노 외측 부분에 벨트 외측 표면상에 부착된 환원 생성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수단이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이동 노상의 폭방향에 걸쳐 설치된 회전드럼을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중 적어도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 노상 위의 생성물을 흡착하기 위한 자석을 설치한 회전드럼이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상기 회전드럼에 병설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흡인된 환원 생성물을 받아 노 외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장치에 관해서는, 회전드럼은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 내에 있고, 표면에 자석이 고정되어 있는 내측 롤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은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상기 내측 롤 하면측으로부터 드럼 회전 방향의 반출 수단에 도달하기까지의 상기 롤 주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출 수단은 회전드럼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위치에 환원 생성물의 낙하 위치에 도달하여 드럼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또한 이동 노상 노로부터 노 외측에 이르도록 설치된 노 외측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해서는,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를 마련함로써, 이동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의 금속면을 자석측에 전향시킬 수 있게 되어 금속의 흡착 분리가 보다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흡착한 금속의 회전드럼으로부터의 분리도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해서는, 회전드럼은 축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상으로 함으로써, 이동 노상의 양측 단부에서의 고체 환원제층 등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는, 자력에 의해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인 분리하기 전에 상기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금속을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함으로써 자석에 의한 금속의 흡착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의 냉각 온도는 퀴리점(Curie point) 이하로 하는 것은 물론, 가령 그 이상이더라도 회전드럼을 냉각한 경우에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노상 폭방향에 걸쳐 설치된 드럼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럼 본체의 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서 망 형상 또는 빗살 형상의 체판을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선별기이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상기 선별기로 노상 위로부터 퍼올린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선별 드럼에 인접하는 외부에 퍼올린 환원 생성물의 낙하 위치에 도달하여 드럼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 것, 또는 선별 드럼 내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것으로, 상기 선별 드럼의 체판을 따라 그 근방의 주면에 개구된 회수구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 노상위의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부에 퇴적물의 붕괴 방지용 측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체판의 선단부(자유단부)에 굴곡 부분을 마련하는 것도 또한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상기 환원 생성물의 배출부에 상기 이동 노상 위를 폭방향에 걸쳐 상기 이동 노상으로부터 노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지지된 스크류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의 상기 이동 노상 진행 방향 하류측에 스크류 피더의 축선 방향을 따라 측면에 설치된 벽판과, 상기 벽판 하단부에 상기 이동 노상과 거의 평행하게 연이어 설치된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에는 상기 케이싱이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체 환원제층 위에 생성되 슬래그, 금속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고체 환원제의 입경보다도 크게 체로 쳐서 분리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고체 환원제는 통과하지만, 이것보다도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금속, 슬래그는 통과하지 않는 정도 크기의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것은 이러한 개구부가 있으면, 스크류 피더와 케이싱 사이에 들어 간 것 중에 고체 환원제의 대부분은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선별되어, 배출 장치의 하류측의 노상 위로 나가게 된다. 이러한 개구부의 구조로는 케이싱의 벽판 또는 상판(床板)에 슬릿 형상의 개구를 설치해도 좋고, 개구 직경이 고체 환원제를 통과시키는 정도의 틈새를 갖는 철망 등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그 이외의 원료와 분리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이동 노상의 노상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 가설 지지된 스크류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의 노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 부분에는 노 본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설치된 환원제 배출 슈트와 환원 생성부 배출 슈트와, 상기 환원제 배출 슈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이것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2중 통 형상으로 설치된 체통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부에 상기 체통 개구 단부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이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마련된 퇴적층의 폭 축소 안내판, 상기 폭 축소 안내판의 단부에 이동 노상의 노상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 가설 지지된 스크류 피더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피더는 이동 노상 위의 배출단 근처의 부분에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연장부상에는 축경부를 마련한 구조로 하며, 그리고 상기 스크류 피더의 테이퍼부에는 선단이 가는 원통 형상인 포집 슈트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포집 슈트의 배출단 근처의 상기 축경부 부분에는 노상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그물코 형상 스크린(net-shaped screen)을 장착하여 구성되는 배출통을 연이어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배출통의 노 외측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에는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이동형 노상 노의 구성과 그것의 작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방법을 나타낸다.
이동형 노상 노의 작업에 있어서,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상(11) 위에는 고체 환원제층(1b)을 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금속 함유물과 고체 환원제(내장 고체 환원제)를 주로 하는 혼합원료(12)(도 1 참조)를 퇴적시켜, 이 원료층(1a)을 노내의 상부에 배치한 버너(13)(도 1 참조)에 의해 연소 가열하면, 상기 혼합원료(12)중의 금속 함유물은 내장 혼합한 고체 환원제의 작용에 의해 환원되어, 맥석 등을 포함하는 환원 생성물(16)(도 2 참조)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고체 환원제중의 회분이 분리 생성된다. 이 때, 원료의 배합 방법 및 성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원료중에 포함되는 고체 환원제가 반응에 의해 소비되기 때문에, 상기 환원 생성물(16)의 부피는 원료의 부피에 비하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상기 원료중에는 환원 생성물(16)이나 회분을 용융시킬 때에, 그 용융을 돕기 위한 부원료가 부가된다. 이 원료는, 환원후 용융될 때까지는, 결정수(crystal water)의 증발, 일부의 분해반응(예를 들면, 석회석의 주성분인 CaCO3는 CaO로 열분해됨)을 일으키고 있는 것의 고체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더 가열하면, 철 함유물, 회분 또는 부원료가 용융되어, 금속 및 슬래그를 분리 생성한다. 이 때, 철 함유물과 고체 환원제와의 혼합원료, 또는 철 함유물, 고체 환원제 및 부원료의 혼합 원료층(1a)은 고체 환원제층(1b)의 위에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2) 및 슬래그(3)는 도 19a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환원제층(1b)의 위에 생성된다. 이 고체 환원제층(1b)은 환원제의 퇴적층이지만, 금속 함유물을 전혀 혼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환원제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고, 작업중에는 휘발분을 상실하는 것 외에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보통, 고체 환원제에는 회분이 10% 정도 포함되어 있지만, 잔부의 대부분은 탄소질이며, 1000 내지 1500℃ 정도의 고온에 노출되어도 고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고체 환원제층(1b) 자체가 이동 노상(11)의 상면의 내화물에 용착하는 일은 없으며, 그 때문에 고체 환원제층(1b)을 내화물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상 내화물 위에 고체 환원제를 깔고, 도 18a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체 환원제층(1b) 상면에 다수의 요부(46)을 형성하여, 그 위로부터 철 함유 원료를 적층한다. 그리고 환원 처리후의 원료(12)를 더 가열하여 용융시킬 때에, 고체 환원제층(1b)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요부(46)의 존재로 인해, 용융된 슬래그 및 금속은 용융물의 표면 장력 및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고체 환원제층(1b)의 요부(46)내에 응집하여, 그 요부 단위마다 분할된 상태로 금속(2) 및 슬래그(3)가 생성된다(도 19a 및 도 19b 참조).
이 경우에 있어서, 용융 금속 및 용융 슬래그를 합친 부피는 혼합원료(12)에 대하여 체적비로 10 내지 60%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요부(46)내에 모인 용융 금속 및 용융 슬래그끼리가 서로 접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가 있다. 보통, 용융 금속 및 용융 슬래그의 비중은 고체 환원제의 층보다 크기 때문에, 용융 금속, 용융 슬래그가 고체 환원제층(1b)의 아래로 잠입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함유물과 고체 환원제의 혼합물(또는 금속 함유물 및 부원료와 고체 환원제의 혼합물)을 요부(46)가 형성된 고체 환원제층(1b) 위에 쌓아 올린 뒤, 환원하여 용융시키면, 표면 장력의 작용에 의해서 용융 슬래그(3)와 용융 금속(2)이 고체 환원제층(1b) 위의 상기 요부(46)중에 유지된 채로 응집한다.
이 상태로 이동 노상(11)상의 냉각대(10d)에서 용융 금속, 용융 슬래그를 냉각시키면, 맥석, 회분을 분리한 금속(2)과 슬래그(3)가 고체 환원제층(1b) 위에 있고, 또한 고체 환원제층(1b)의 표면에 설치된 요부(46)를 형성한 경우에는, 이 요부단위 마다 덩어리가 된다. 따라서, 응고된 금속(2) 및 슬래그(3)는 고체 환원제층(1b)의 존재에 의해서 이동 노상(11)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되어, 한 개 한 개를 작은 덩어리로서 응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환원제층(1b)은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용융된 금속이나 슬래그가 침투하여서, 노상의 내화물까지 도달하는 경우가 있어서, 노상 보호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입경은 8㎜ 이하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한편, 노상 위에 잔류한 고체 환원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원 반응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산화나 침탄을 받기 어렵고, 리사이클이 가능하다. 물론, 이 고체 환원제의 전량을 배출하여 노 외측에서 분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노 외측으로 배출된 직후의 고체 환원제는 고온이며, 대기중에서 체 분리 작업 등을 행하면 발화할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하여, 고체 환원제를 고온인 상태로 재장입하든지, 고체 환원제를 노내에 잔존시킬 수 있으면, 고체 환원제의 현열(顯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16)만을 노내의 노상 위에서 선별하여 회수할 수 있으면, 입경이 작은 고체 환원제쪽을 노내에 남겨 그대로 고체 환원제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 방법과 장치는 이동형 노상 노의 작업에 의해서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철 펠릿, 또는 금속 및 슬래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16)을 자석을 이용하여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인 분리하여, 이것을 노 외측으로 반출하여 회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노내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상기 환원 생성물(16)을 자석에 의해 흡인하여 이동 노상 위에서 흡인하여 분리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생성물에 의해서 이동 노상 표면의 내화물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원활한 배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72312 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금속 및 슬래그를 생성시킨 경우에도, 자석에 흡인된 금속 및 슬래그만이 선택적으로 배출되어, 자석의 자기의 영향을 받지않는 고체 환원제, 즉 고체 환원제는, 슬래그 및 금속에 부착되어 있는 정도의 극히 소량의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완전히 노상 위에 남겨질 수 있으며, 그대로 다시 새로운 원료를 추가 퇴적시켜 재이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발명자들은, 이러한 배출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를 했기 때문에, 그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고온에 있어서 철은 자화율이 열화하는 성질이 있다. 특히 퀴리점보다도 고온에서는 자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실제로 제조된 환원 생성물(16)을 전기로로 가열하여, 각 온도에 있어서 자석에 흡인시키는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0.1T의 자석을 2초간 접촉시키는 시행을 10회 하여, 그 중 흡착할 수 있었던 회수를 도 3에 도시했다. 이 때, 사용된 환원 생성물(16)의 형상을 도 4에 도시했지만, 슬래그(3)와 금속(2)으로 이루어지는 이 환원 생성물(16)은 이동형 노상 노의 작업에 의해서 생성하는 최대 입경의 것과 같은 정도의 것을 사용했다. 그 이유는 이 입경보다도 작은 입경의 환원 생성물이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내 온도가 900℃이더라도 흡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실온의 자석을 노내로 장입하여 흡착시키기 때문에, 환원철의 표면 온도가 저하하여, 환원철의 표면 부근이 자화한 것으로, 노내 온도가 철의 퀴리점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흡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어쨋든, 자석측을 냉각시켜 퀴리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함으로써 환원철은 보다 좋은 흡착이 가능하고, 이런 의미에서 환원 생성물(16)은 적어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환원 생성물(16)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으로서는 자계를 가하기 전에 상기 환원 생성물(16)을 적정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상(11)의 상부에 냉각 파이프(17a)가 내장된 냉각반(17)을 설치하여, 이 냉각반(17)으로의 복사전열에 의해 냉각하는 방법,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상(11) 위에서 살수 또는 불활성 가스 등의 냉매 살포기(18)를 통해 냉각하는 방법,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드럼(19)을 설치하여 환원철을 직접적으로 냉각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이들은 높은 열전도도의 환원철만을 선택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다. 단, 회수를 위해 환원철의 온도를 내리는 것은 자력에 의해 흡인 분리하여, 회수하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불필요한 열손실을 증대시켜 노의 열효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원 생성물(16)의 흡착은 퀴리점(약 800℃) 이상 900℃ 이하의 범위이더라도 자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환원 생성물(16)을 형성하는 금속(2) 및 슬래그(3)중, 금속(2)에 부착된 슬래그의 영향을 검토하는 실험을 했다. 이 실험은 환원 생성물(16)중의 금속(2)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경우의 자착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 결과, 금속(2)의 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함으로써(도 13 참조), 환원 생성물(16)의 높은 회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금속(2)이 자석(5)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흡착력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의미에서, 자석(5)과 환원 생성물(16) 사이의 거리는 가능하면 작게 하여 흡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거리가 조정가능해지도록, 자석을 승강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방법 및 배출 장치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8은 먼저 도 1에 있어서 도시된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배출 장치(15)로서, 본 발명에 적합한 배출 장치의 일 실시예이고, 고체 환원제층(1b) 위에 생성된 금속(2) 및 슬래그(3)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16)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사례중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배출 장치는 이동 노상(11)의 상방에 있고, 반송 방향이 이동 노상(1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의 노 외측으로 연장되는 벨트 컨베이어(4)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4)는 그것의 적어도 이동 노상(11)과 대향하는 부분(4a) 및 해당 대향 부분(4a)에 인접하는 노 외측 부분(4b)에, 상기 이동 노상(11)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16), 즉 금속(2) 및 슬래그(3)를 흡인하기 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5)을 구비한다. 이 자석(5)은 벨트 컨베이어(4)의 벨트(40)를 끼어 이동 노상(11)과 대면하고 있는 상변부의 위치에 고정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 컨베이어(4)는 그 벨트(40)를 도 8에 화살표(R)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고체 환원제층(1b) 위에 생성된 금속(2) 및 슬래그(3)로 이루어지는 환원 생성물(16)이 자석(5)의 자력에 의해 벨트측에 끌어 당겨지고 흡인 분리되어 이동 노상(11) 위에서 떨어지고, 벨트(40)의 표면에 부착되어, 벨트(40)와 함께 그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금속(2) 및 슬래그(3)의 흡착, 그리고 벨트(40)로의 부착은, 상기 자석(5)의 설치 영역인 적어도 노상 대향 부분(4a)으로부터 노 외측 부분(4b)에 걸쳐 실시된다.
그 후, 벨트의 회전에 따라 노 외측의 자석(5)의 설치 영역 밖에까지 운반된 금속(2) 및 슬래그(3)는 여기서 자석(5)에 의한 흡인력이 소실하기 때문에, 자체 하중에 의해 노 외측의 하방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이동 노상(11) 위의 금속(2) 및 슬래그(3)는 이동 노상(11) 위에서 자석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어서 이송되어 노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벨트 컨베이어(4)는 보통 고무 벨트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등을 포함하는 자력을 통과시키는 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제 벨트를 사용하면, 환원 생성물(16)을 실온 근방에까지 온도 강하하지 않더라도, 해당 환원 생성물(16)중의 철이 강자성을 갖는 퀴리점 이하 정도까지 온도 강하하면 자력에 의한 노상으로부터 박리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의 환원철의 제조에 있어서는, 500 내지 600℃ 정도에서 생성물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노 외측에서의 생성물로부터의 현열 회수나, 이러한 생성물을 다음 공정에서 용융하는 경우에, 에너지 비용의 저감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치 구성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4)의 이송방향의 자석 설치 위치의 하류측에 스크레이퍼(6)를 설치하는 것이 벨트(40)에 부착된 금속(2) 및 슬래그(3)를 배출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자석(5)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좋다. 자석의 자력 강도는 생성되는 금속 및 슬래그의 성상(性狀)이나, 벨트 컨베이어(4)와 이동 노상(11)의 거리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벨트 컨베이어(4)의 표면에서 0.1 내지 0.2T 정도의 자속밀도가 되도록 자석의 자화 강도 또는 벨트 컨베이어(4)의 높이를 설비마다 조정하고, 또한 생성물의 배출상황을 보면서 결정하면 좋다. 또한, 자석(5)에 전자석을 쓰면, 전자석으로의 통전량을 조정함으로써 알맞은 배출조건을 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배출 장치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4)에 있어서, 그 벨트(40) 배면의 전체 표면에 자석(5)을 설치한 예이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는, 벨트(40)의 표면에 흡착한 금속(2) 및 슬래그(3)를 노 외측에서 스크레이퍼(6)에 의해 긁어모을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밖의 벨트나 자석의 사양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배출 장치는 먼저 도 8에 도시한 벨트 컨베이어(4)의 하측 벨트측에 인접하여 자석(5)을 고정 배치한 타입의 것을 대신하는 것이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4)의 상하 벨트 사이의 위치에 있는 동시에, 상기 이동 노상(11)에 대향하는 폭방향으로 이송되는 내장 벨트 컨베이어(47)를 배치하고, 또한 그 벨트의 내면측에 자석(5)을 직접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내장 벨트 컨베이어(47)는 그 외측에 있고 이것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4)와 동기 구동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순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장 벨트 컨베이어(47)를 설치함으로써, 이동 노상(11) 위의 금속(2) 및 슬래그(3)는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내장 벨트 컨베이어(47)의 내면에 설치한 자석(5)에 바싹 당겨지고 벨트 컨베이어(4)의 벨트(40)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노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장치예에서는, 환원 생성물(16)의 온도가 고온일 때에도, 벨트(40)를 스테인레스 강제로 할 필요가 없고, 보통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스틸 벨트처럼, 스스로가 자석에 끌리는 것을 사용한 경우,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스틸 벨트 자신이 자석(5)에 끌리기 때문에, 상기 스틸 벨트와 자석 사이에 강한 마찰이 발생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구동에 지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석(5)과 스틸 벨트의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속도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4)의 매끄러운 회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노상으로부터 배출되는 환원 생성물(16) 등으로서, 금속(2) 및 슬래그(3)의 혼성물을 상정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그 환원 생성물(16)로서 환원철 펠릿을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이하에 나타낸 사례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배출 장치는 벨트 컨베이어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본 발명에서는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석부착 회전드럼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자석부착 회전드럼을 사용하는 배출 장치는 이동 노상(11)의 폭방향으로 횡단 가설되는 회전드럼(7)을 주체로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회전드럼(7)은 드럼의 적어도 이동 노상(11)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드럼(7)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원호 영역의 외측 표면에 자석(5)을 고착한 내측 롤(7a)과, 이 내측 롤(7a)을 내장하는 형태로 베어링(7c)을 통해 해당 롤(7a)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측 드럼(7b)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 외측 드럼(7b)은 이동 노상(11)의 진행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참조부호(7d)는 외측 드럼(7b)을 회전시키는 구동 체인이다.
상기 자석(5)의 작용에 의해 이동 노상(11)으로부터 흡인되어 분리된 금속 등의 환원 생성물(16)은 노 외측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8)를 통해 노 외측에 회수된다. 또한, 이 자석(5)은 상기 내측 롤(7a)의 표면, 특히 드럼(7)의 이동 노상(11)과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고정 범위는 드럼 하측 영역에서 회전방향을 따라서 드럼의 중간부까지이다. 그리고, 그 반출 컨베이어(8)는 회전드럼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위치에서, 환원 생성물의 낙하 위치에 도달하여 드럼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이동 노상(11)으로부터 노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노 외측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노상(1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반대 회전시키는 경우, 전체 원주의 약 3/4에 걸친 원호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착후, 드럼을 따라 원운동한 환원 생성물(16)은 반출 컨베이어(8)까지 이동한 다음 바로 자력을 잃어, 노 외측으로 반출하기 위한 해당 컨베이어(8)의 위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적절한 온도 및 자석의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회전드럼(7)이 필요로 하는 자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초전도 자석 등의 비싼 자석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 제작 비용이 저하된다.
드럼(7)의 회전방향은 노상(1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상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드럼 표면에 일단 흡착된 금속이 이탈하여 노상 위로 낙하한 경우에도, 다시 드럼(7)과 접촉하여 회수되기 때문에, 회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외측 드럼(7b)은 내측 롤(7a)에 고정된 자석(5)과 접촉하지 않도록, 클리어런스(t)(t:10 내지 20㎜ 정도)를 형성하여, 동기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동 노상(11) 위에 생성된 금속(2) 및 슬래그(3)는 이동 노상(11) 위로부터 박리되어 외측 드럼(7b)의 표면에 자력에 의해 자착(磁着)하고, 외측 드럼(7b)의 회전에 의해 드럼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석(5)이 없는 부분에 도달하면, 자체 하중에 의해 외측 드럼 표면에서 박리하여 반출 컨베이어(8)상에 낙하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노 외측 반출용 컨베이어(8)는, 노상의 이동 방향과는 거의 직교하는 외측 드럼(7b)의 축선방향을 따라 순환하면서 환원 생성물(16)을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것이고, 보통의 고무 벨트라도 좋지만, 환원 생성물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내열성이 있는 금속제의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롤(7a)에 관해서는, 그 표면에 자석(5)을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가 있으면 좋고,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외측 드럼(7b)은 자력을 투과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등의 비자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에 내마모성 라이너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자석(5)은, 영구자석 및 전자석 중 어느 것도 좋고, 외측 드럼(7b)의 표면에서 0.2T 정도의 자속 밀도를 얻을 수 있으면 좋다. 따라서, 자석의 강도나 외측 드럼의 표면과 노상 퇴적물의 거리 등은 실제의 설비마다 조정해서 환원 생성물의 배출상황을 보면서 결정하면 좋다.
외측 드럼(7b) 외측 표면에 자착한 환원 생성물(16)은 자석(5)의 대응 위치에 부착되어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도 14,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드럼(7b) 외주면상에 복수의 돌기(20, 23)를 마련하여, 자착한 금속(2) 등을 외측 드럼(7b) 표면에서 낙하하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돌기(20, 23)의 작용에 의해, 노상(11) 위에 있는 환원 생성물(16)은 전도되어 금속(2) 면이 상방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20, 23)를 설치하면, 도 3의 실험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그(3) 면이 상방이 되어 자착의 작용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수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자석부착 회전드럼은 이것을 냉각하지만, 충분히 냉각한 후에 금속 등을 회수하는 것이면, 해당 회전드럼(7)을 고체 환원제층(1b)에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돌기(20, 23)도 없이 반경이 균일한 회전드럼(7)을 원료층 중에 가압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7)의 저항에 의해 배출될 수 없는 고체 환원제(65)가 드럼 상류측에 축적되어 작업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드럼을 테이퍼형 드럼(21)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이동 노상(11)상에 고체 환원제층(1b)이 통과하는 데 필요한 간극만 확보되어 있으면 퇴적층[고체 환원제층(1b)]을 위에서 가압함으로써 고체 환원제층(1b)이 롤 직경이 작은 측의 간극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하여 기우는 현상이 발생하여, 고체 환원제층(1b)의 붕괴를 초래하는 일 없이, 다음 원료의 장입에 대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노상(11) 위의 고체 환원제(65)는 순환 재사용되는 데, 환원철(금속) 등의 환원 생성물(16) 회수시에 순환 사용하는 하층의 고체 환원제층(1b)의 퇴적 형상이 무너지고, 나아가서는 원료층(1a)의 형상이 무너져, 고체 환원제(65)가 노상으로부터 흘러 넘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퍼형 드럼(21)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상의 롤(22)을 사용함으로써, 고체 환원제를 노상 폭방향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고체 환원제층(1b)의 붕괴를 확실히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한 돌기(23)는 상기 도 14에 도시한 회전드럼의 돌기(20)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특징은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서, 환원 생성물을 체로 분리하고, 즉 입경 선별을 행하여, 그 중 큰 입경의 것만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여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2)(환원철)+ 슬래그(3)는 고체 환원제층(1b)의 각 고체 환원제의 입경 보다 커져서, 입자 사이즈(입도)의 차이에 따른 분별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생성된 금속(2)(환원철)이나 슬래그(3)는 고체 환원제(65)와의 선별이 가능하도록, 10㎜ 이상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래, 이동형 노상 노의 작업에 있어서는, 슬래그, 금속은 응집할 때에 각각의 표면 장력으로 10㎜ 정도 이상으로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단순히 원료를 적층하여 용융시키는 것 만으로는 10㎜ 이상의 금속, 슬래그가 되기 어려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고체 환원제층(1b)에 10㎜ 이상의 오목부(46)를 마련하여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다만, 생성된 슬래그나 금속 중, 본 발명의 체판으로 떠낼 수 없는 작은 입경의 것은 노상 위에 남아, 다시 그 위에 원료를 장입하여 가열, 용융하게 되는 데, 이 때에 새로운 원료와 함께 용융되어 보다 큰 입경의 환원 생성물(16)로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배출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유효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별기(S)와 반출 컨베이어(8)로 구성되어 있다. 도 20a, 도 20b 및 도 20c는 선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노 내의 냉각대(10d)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출부의 이동 노상(11)의 폭방향에 걸쳐 옆으로 걸쳐진 회전드럼(7)을 주체로 하여, 이 회전드럼(7)의 주면의 복수 개소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망상 체판(41) 또는 빗살 모양(쟁기 모양)의 체판(42)을 마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 회전드럼(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판(41, 42)이 이동 노상(11) 위의 고체 환원제층(1b)과 그 표면에 분산되어 있는 환원 생성물(16) 속으로 찔러넣어, 입경이 큰(예를 들면, 입경 5㎜ 이상) 환원 생성물(금속, 슬래그, 환원 펠릿)만을 퍼 올리고, 동시에 입경이 작은 고체 환원제(65)에 대해서는 체로 걸러 떨어뜨려 노상(11) 위에 그대로 잔류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체판(41 또는 42)의 선단(자유단)에는 이를 회전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걸기부(42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a 및 도 21b는 상술한 선별기(S)에 의한 환원 생성물(16)의 선별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 선별기(S)에는 이와 인접하여 환원 생성물(16)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반출 컨베이어(8)가 설치된다. 도 21a는 수평 방향으로 후퇴가능하게 설치된 반출 컨베이어(8)이며, 도 21b는 자석 컨베이어(8)의 실시예이다.
도 21a의 반출 컨베이어(8)는 도면중 화살표와 같이 진퇴하는 기능을 가지며, 회전드럼(7)의 회전에 의해 체판(42)의 움직임에 동기하여 간섭을 피하는 것이다. 즉, 반출 컨베이어(C)는 도 21a와 같이 체판(42)부에서 환원 생성물(16)이 미끄러 떨어질 때에는, 드럼(7)의 근방에 위치하여 환원 생성물(16)을 받고, 그 후 체판(42)이 드럼의 회전에 따라 도면중에 기재된 반출 컨베이어(8)와 간섭하는 위치에 이를 때에는 도면중 화살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어 체판(42)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기재된 반출 컨베이어(8)는 컨베이어의 배면에 자석을 마련한 것으로, 회전드럼(7)의 체판에 걸러진 환원 생성물(16)이 회전드럼(7)의 상부에 도달했을 때에, 이 컨베이어 배면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컨베이어 표면에 환원 생성물(16)이 당겨진다. 그 후, 환원 생성물(16)은 반출 컨베이어(8)의 회전에 따라 노 외측으로 반출된다. 이 경우, 회전드럼(7)은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등의 상자성(常磁性) 재료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선별기(S)와 반출 컨베이어(8)의 조합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것을 제안한다. 이들 도시예의 것은 상기 회전드럼(7)의 통 내에 반출 컨베이어(8)를 그 축 방향으로 내장 배치함과 동시에, 떠 올려진 환원 생성물(16)을 체판(41 또는 42)으로부터 이 드럼내 반출 컨베이어(8) 위에 떨어뜨리기 위한 회수구(43)를 개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반출 컨베이어(8)는 회전드럼(7)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노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회전드럼(7)의 회전에 동기하여 도 23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노상 위에서 선별된 환원철이나 슬래그를 잔류시키는 고체 환원제와 분별하여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드럼(7)과 환원 생성물(16)의 움직임을 도 24에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처음에, 회전드럼(7)의 회전에 따라 빗살 모양 체판(42)이 고체 환원제층(1b) 중에 침입하여, 환원 생성된 금속(2) 등의 환원 생성물(16)을 떠 올린다. 떠 올려진 환원 생성물(16)은 회전드럼(7) 상부까지 들어 올려진 곳에서, 이 드럼에 마련한 상기 회수구(43)로부터 드럼(7)내로 낙하하고, 이 드럼(7)내에 설치되어 있는 반출 컨베이어(8)에 의해 노 반경 방향으로 이송되어, 노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드럼(7)을 사용하는 경우, 체판(41, 42)과 환원 생성물(16)의 저항에 의해 고체 환원제층(1b)이 무너질 수 있다. 도 25a, 도 25b, 도 25c 및 도 25d는 이동 노상(11) 위의 퇴적물[이 경우는 고체 환원제층(1b)]의 퇴적 상황을 도시하는 데, 회전드럼(7)에 의해 떠 올려지기 전에는 고체 환원제층(1b) 상에 환원 생성물(16)이 놓여져 있고(도 25b), 그 상부가 평면이고 안식각(安息角)의 사면을 지닌 형상이다. 그러나, 이 회전드럼(7)의 체판(41, 42)이 환원 생성물(16)을 떠 올리기 위해 고체 환원제층(1b) 중에 침입하면 고체 환원제층(1b)은 이 체판(41, 42)의 저항으로 솟아 올라, 일부가 양단부(노 폭방향)로 무너진다(도 25c). 이 때문에, 환원 생성물(16)을 회수한 후의 고체 환원제층(1b)은 폭이 넓어져 높이가 저하된다(도 25d). 또한, 그 무너진 일부는 이동 노상(11)의 양단부까지 도달하여 낙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이동 노상(11)의 측부 테두리는 노 본체와 근접하는 부분으로, 만일 낙하가 있으면, 노상의 이동 저항으로 되고, 이 이동 노상(11)에 큰 하중이 걸려, 최악의 경우, 작업 정지에 이르게 된다.
이 점에 대해, 체판(41, 42)의 인접 위치에 도 26에 도시한 붕괴 방지용 측판(44)을 노상(1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이 붕괴는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체 환원제층(1b)의 붕괴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노상 단부로 고체 환원제 등이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 고체 환원제층(1b)의 노 폭방향으로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해도, 실제 회수에 따라 퇴적 폭은 확대되기 때문에,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적물의 진행 방향에 안내판(45)을 마련하여, 퇴적 폭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이동 노상 내의 최고 온도는 1500℃ 이상이 되고, 환원철 회수 위치에서도 평균 1000℃ 정도의 온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드럼(7)에 고정한 체판(41, 42)은 항상 고온에 노출되어 마모가 심하다. 따라서, 설비 수명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치의 냉각이 중요해서, 예를 들면 회전드럼(7)과 체판(41, 42)에 냉각 미스트를 살포하거나, 드럼 본체나 체판(41, 42)을 2중 구조로 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것 같은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설비 수명이 연장되고, 동시에 작업 정지 시간의 감소를 도모하여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발명의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생성물의 배출 장치에 대해 도 28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은 배출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출 장치(15)는 스크류 피더(53)와 케이싱(56)으로 주로 이루어지며, 그 스크류 피더(53)는 이동 노상(11)의 폭방향, 즉 이동 노상(11)의 진행 방향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노상(11)상에 있어 그 전체 폭을 넘도록, 또한 일부가 노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56)은 스크류 피더(53)를 중심으로 하여,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피더(53)의 이동 노상(11)의 진행 방향 하류측에서, 스크류 피더(53)의 축선 방향을 따른 적어도 그 측면 부분을 구성하도록 설치된 벽판(54)과, 상기 스크류 피더(53)의 아래쪽에 있어서, 상기 벽판(54) 하단과 연속하여 상기 이동 노상(11)과 거의 평행한 저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저판(55)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스크류 피더(53)는 로드(53a)의 주면에 나선상의 스크류(53b)를 가지며, 로드(53a)를 모터(53c)로 구동하여 스크류(53b)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스크류(53b) 사이에 있는 생성물(2)을 로드(53a)를 따라 순차적으로 노 외측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스크류 피더(53)의 문제점은 환원 생성물(16)을 스크류(53b)로 긁어 모으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입상의 환원 생성물이 스크류와 고체 환원제층(1b) 사이에 끼워지기 쉽고, 그 생성물이 이동 노상 위의 고체 환원제(65) 등의 퇴적층 중에 매몰된 상태가 되는 것이 문제인 것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스크류 피더(53)의 이동 노상(11) 진행 방향 하류측에 적어도 측면, 도시예에서는 측면에서 상면까지를 소정 간극을 두고 덮는 벽판(54)과, 스크류 피더(53)의 아래쪽에서 이동 노상(11)과 거의 평행하면서 소정 간극을 두고 배치한 저판(55)으로 이루어진 케이싱(56)을 설치하고, 스크류 피더(53)의 이동 노상(11)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해당하는 부분이 개구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금속 및 슬래그에 의한 환원 생성물(16)이 고체 환원제층(1b)상에 형성되는 경우, 스크류 피더(53)를 포함하는 케이싱(56)을 상하 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고체 환원제층(1b)의 환원 생성물(16)이 묻혀 있는 하단 레벨에, 상기 저판(55)의 위치를 조정하고 나서, 스크류 피더(53)를 운전하면, 환원 생성물(16)은 저판(55)에 의해 포착되어 밀어 올려지고, 종래와 같이, 스크류(53b)에 아래쪽으로 밀어 넣어지는 일 없이 각 스크류(53b) 사이에 확실히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싱(56)의 가동 기구로서는, 스크류 잭에 의한 상하 이동 또는, 유압, 전기, 압축 공기 등의 구동력을 사용한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도 29에 도시한, 벽판(54), 저판(55) 및 스크류(53b)에서 구획되는 공간(A)에는, 스크류 피더(53)의 운전 초기에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체 환원제(1b)가 충전되어, 스크류(53b)의 회전에 대해서도 이동하는 일 없이, 채워 넣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그 후의 스크류 피더(53)의 운전 중에는 이 공간(A)의 고체 환원제의 존재에 의해 스크류(53b)에 감겨 들어간 환원 생성물(16)은 스크류(53b)의 선회에 의한 노 외측으로의 흐름에 실려 이송되며, 저판(55)의 노 외측 단부에 마련한 배출구(55a)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케이싱(56)의 특히 저판(55)의 작용에 의해, 고체 환원제층(1b)의 표층 중의 환원 생성물(16)을 고체 환원제층(1b) 중에 매립하는 일없이 확실히 스크류 피더(53)의 스크류(53b) 사이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거의 전량의 생성물(16)의 회수 및 배출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저판(55)의 폭은 그 스크류(53b)의 축심으로부터 저판(55)에 내린 수선으로부터 이동 노상(11) 진행 방향 상류측의 측부 테두리까지의 길이(L)가 스크류(53b) 지름(R)의 0.2 내지 0.3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길이(L)가 너무 짧으면, 환원 생성물(16)이 저판(55)의 아래를 통과해 버린다. 반대로 길이(L)가 너무 길면, 스크류(53b) 앞에서 고체 환원제 및 환원 생성물(16)이 크게 솟아 올라, 이동 노상(11)의 양편으로부터 흘러넘쳐 버린다.
또한, 저판(55)과 이동 노상(11) 표면과의 간격(t)은 이동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16)의 퇴적 위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환원 생성물(16)을 거의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작업 중에 환원 생성물(16)의 배출 상황을 확인하면서 간격(t)을 변경하면 좋다. 고체 환원제층(1b)의 두께(T)는 최저라도 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T)가 너무 작으면 저판(55)에 의해 층 전체를 움직여버려, 고체 환원제층을 필요 이상으로 배출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환원 생성물(16)을 제거한 후의, 저판(55)과 이동 노상(11) 사이의 고체 환원제층(1b)은 그대로 이동 노상(11)상에 남겨진 채로 진행하여, 고체 환원제와 원료를 다시 추가시켜 승온, 환원, 그리고 용융이라는 조작을 반복하여 받게 된다. 즉, 이동 노상(11)상에 남겨진 고체 환원제는 리사이클되어, 열적 및 자원으로서 유효하게 재이용된다.
또한, 이상의 사례에서는, 이동 노상으로부터 배출되는 생성물로서, 금속 및 슬래그를 상정하여 설명했지만, 환원철의 펠릿을 생성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환원철 펠릿을 이동 노상 위에 직접 배치하여 환원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싱(56)의 저판(55)은 이동 노상의 노상면과 거의 접하는 정도까지 내려둠으로써[즉, 상기 간격(t)을 거의 0으로 함] 환원철 펠릿을 거의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 공간(A)에 스크류 피더(53)의 운전 초기에 환원철 펠릿이 충전된 후에는, 거의 전량의 배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1대의 스크류 피더로 배출이 가능하다.
다음에, 케이싱(56)에 개구를 갖는 배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1 및 도 32에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1 및 도 32는 케이싱(56)의 측부 벽판(54)부에 복수의 슬릿 형상 개구를 벽판부의 높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한 실시예이다. 상기 슬릿 형상 개구(51)의 폭은 생성된 금속, 슬래그의 입경 보다도 작게 해 둠으로써 환원철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환원 생성물인 금속, 슬래그는 5 내지 50㎜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제어한 경우는 슬릿 형상 개구(51)도 또한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슬릿 형상 개구(51)의 역할은 고체 환원제와 금속, 슬래그를 완전히 분리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체 환원제의 적어도 일부를 노내에 잔류시키고, 이 잔류물을 노상 보호를 위해 재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고체 환원제 중 비교적 입경이 큰 것은 금속이나 슬래그와 동시에 스크류 피더를 통해 노 외측으로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단, 슬릿의 개구 직경이 상술한 것보다 작은 슬릿으로 하면, 고체 환원제의 입자가 슬릿에 물려 개구(51)를 폐쇄해 버려, 슬릿 형상 개구(51)를 마련하는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개구부(51)의 크기는 가능하면 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1 및 도 32에서는 케이싱의 벽판에 슬릿을 개구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벽판(54)만이 아니라, 저판에도 개구(51)를 마련하여 작은 입경의 고체 환원제가 케이싱(56)내부에서 노상 위로 배출되기 쉽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슬릿 형상 개구(51)는 작은 입경의 고체 환원제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노상 위로 리턴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기 때문에,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개구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펀칭 금속이나 망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케이싱(56)은 열이나 마찰에 의해 손상을 받기 쉽기 때문에, 수냉 구조 등을 추가하여 냉각하여도 좋다. 냉각을 함으로써 내용기간(耐用期間)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고, 설비 갱신은 보수 등의 유지 비용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의 장치는 도 33에 도시한 형태를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 장치는 이동형 노상 노(10)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동 노상(11)을 넘어 그 노상의 이동 방향과는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옆으로 걸쳐진 스크류 피더(53)와, 그것의 노 외측 연장 부분에 설치된 환원제 배출 슈트(61) 및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6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피더(53)는 롤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돌출 설치된 스크류(53b)를 가지며, 이 스크류(53b)의 작용에 의해, 이동 노상(11) 위의 퇴적물, 즉 환원 생성물(16)과 바닥 깔개로 사용되는 고체 환원제(65)를 상기 각 슈트(61, 62)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노 외측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긁어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스크류 피더(53)의 노상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 부분에는 이 스크류 피더(53)와 함께 동기하여 회전하는 망 형상 체통(66)을 동심의 2중 통이 되도록 조합하여 설치하고, 또한 이 체통(66)의 바로 아래에 상기 환원제 배출 슈트(61)를 배치함과 동시에, 이 체통(66)의 개구 단부(자유 단부)를 상기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61)의 바로 위에 도달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크류 피더(53)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53b)에 의해 순차적으로 노 외측을 향해 이송하면서 긁어내어지는 금속, 슬래그 등의 환원 생성물(16) 및 환원제(65)는 노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체통(66)부에 있어서 분말상의 작은 입경의 고체 환원제(65)만이 환원제 배출 슈트(61)상에서 체로 분리되어 노 외측으로 배출된다. 체통(66)에 의해 체로 분리된 고체 환원제(65)는 보통, 이동형 노상 노의 장입 장치(14)로 보내어져, 다시 이동 노상(11) 위에 바닥 깔개재로서 깔려져 고체 환원제층(1b)을 형성하여 재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스크류 피더(53)에 의한 배출과 동시에 환원 생성물(16)과 고체 환원제(65)를 체로 분리하도록 한 것에 있다. 더욱이, 체로 분리한 후에는 배출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장입 장치(14)를 통해 이동 노상(11) 위로 리턴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동형 노상 노와는 독립적으로 환원 생성물(16)과 고체 환원제(65)의 혼합물의 수송 장치, 환원 생성물(16)과 고체 환원제(65) 전용의 체 분류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필요한 장치의 규모를 작고,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고체 환원제(65)의 이송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그 만큼 고체 환원제의 온도 강하도 저감할 수 있어, 에너지 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구조의 것은 상기 스크류 피더(53)가, 상술한 것과는 달리, 이동 노상(11) 위의 배출단 근처 부분에, 끝이 가는 테이퍼에 관련된 테이퍼부(68)가 마련되어 있고, 더욱이 노 외측을 향한 그 연장부상에는 축경부(71)가 연결 설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크류 피더(53)의 상기 테이퍼부(68)에는 선단이 가는 원통상의 포집 슈트(69)가 동심의 2중 통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그리고 이 포집 슈트(69)의 배출단 근처의 상기 축경부(71)의 부분에는, 노상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그물코 형상 스크린(70a)을 장착하여 이루어진 배출통(70)이 연결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이 배출통(70)은 스크류 피더(53)의 회전에 따라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통(70)의 노 외측으로 돌출하는 자유단부, 즉 개구 단부에는 그 개구에 면하여 설치되는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62)가 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그물코 형상 스크린(70a)의 메쉬(mesh) 치수는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16)을 상기 배출통(70) 내에 남기고, 입경이 작은 고체 환원제(65)를 체 아래로 떨어뜨려 체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 한다.
이 도시예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는, 도 34의 이동 노상(11) 위에서 스크류(53b)에 순차적으로 긁어내어지는 환원 생성물(16)과 고체 환원제(65)가 포집 슈트(69)부에서 노상(11) 위로부터 포집되고, 이어서 상기 배출통(70) 내로 보내어진다. 이 배출통(70)에서는, 상기 제 1 발명과 같이, 고체 환원제(65)가 그물코 형상 스크린(70a)의 개구로부터 체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환원 생성물(16)인 금속-슬래그 입자만이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62)를 통해 노 외측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체 환원제(65)는 배출통(70)의 그물코 형상 스크린(70a)의 개구로부터 체 아래로 떨어지는 데, 이 개구는 노상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체 아래로 떨어진 고체 환원제(65)는 다시 이동 노상(11) 위에 깔려져 바닥 깔개재가 된다.
즉, 이러한 구조의 장치에서는, 고체 환원제(65)는 이동형 노상 노의 노내로부터 노 외측으로 배출되는 일 없이, 그대로 노상 위에 다시 퇴적되어 사용에 제공되기 때문에, 노 외측에서의 고체 환원제(65)의 핸들링이 불필요해질 뿐더러, 외기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열 에너지 면에서도 낭비가 없다.
또한, 이 배출 장치에 대해서는 노상 위의 배출부에, 고체 환원제(65)나 환원 생성물(16)이 테이퍼 형상의 포집 슈트(69)나 배출통(7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축소 안내판(72)을 마련하여 환원 생성물(16)이나 고체 환원제(65)를 미리, 스크류 피더(53)의 직통부측(반대 배출측)으로 편중시켜 송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출부의 위치만으로 퇴적물을 폭 축소시키고 정류시키기 때문에, 노상 위의 유효한 면적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생성물의 배출 장치에서는 피할 수 없었던 노상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상 위의 선별 작업에 의해 환원철과 같은 환원 생성물의 회수율(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노 외측에서의 분급시에 발생했던 먼지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환경의 향상에도 공헌할 수 있다.
또한, 환원 생성물(16)만을 선별 회수하는 한편, 고체 환원제에 대해서는 그대로 노상 위에 체 아래 분말로 하여 잔류시켜서 순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체 환원제를 재이용할 때의 수송이나 체 분류 등의 수고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로서, 고체 환원제가 가지는 열 에너지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것 외에, 노 작업이 안정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동형 노상 노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자착성(磁着性)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환원철의 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환원철 냉각 방법의 일 실시예(냉각판)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환원철 냉각 방법의 일 실시예(살수 냉각)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환원철 냉각 방법의 일 실시예(직접 냉각)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드럼을 베드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자석 설치 위치를 전체 원주의 3/4으로 설정한 경우의 도면,
도 14는 스크레이핑용 돌기를 설치한 드럼의 개략도,
도 15는 고체 환원제의 배출 불량의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테이퍼형 드럼의 사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a는 장구 형상 드럼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드럼의 단면도,
도 18a는 이동형 노상 노, 이동형 노상 노 위에 적재된 고체 환원제층, 및 고체 환원제층 위에 적재된 원료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에 도시하는 이동형 노상 노, 고체 환원제층, 및 원료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a는 이동형 노상 노, 이동형 노상 노 위의 고체 환원제층, 및 고체 환원제층 위에 환원 생성물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에 도시하는 이동형 노상 노, 고체 환원제층, 및 환원 생성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의 선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0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 장치의 다른 선별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0c는 도 20b에 도시된 선별기의 단면도,
도 21a는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b는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배출 장치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회전드럼 내의 반출 컨베이어상에의 선별 후 환원 생성물을 배출하는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5a, 도 25b, 도 25c, 도 25d는 체판(screen)이 통과할 때의 퇴적물의 붕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6은 고체 환원제층의 붕괴 방지용 측판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고체 환원제층의 퇴적 폭의 수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9는 도 28에 도시한 배출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한 배출 장치를 도시한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배출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5는 환원 생성물과 고체 환원제를 포함하는 층의 폭을 축소시키기 위한 안내판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벨트 컨베이어 5 : 자석
6 : 스크레이퍼 7 : 드럼
8 : 반출 컨베이어 11 : 이동 노상
16 : 환원 생성물 19 : 냉각 드럼

Claims (35)

  1. 삭제
  2. 이동형 노상 노(hearth furnace)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공정,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공정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 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공정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공정을 실행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흡인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자력에 의해 흡인 분리하기 전에 상기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4.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공정,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공정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 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공정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공정을 실행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이동 노상 위에 있어서 입경이 다른 환원 생성물이나 원료를 체(screen)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체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상기 방법은 회전드럼을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노상 폭방향에 걸쳐 설치하고, 상기 드럼 본체의 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복수의 망 형상 또는 빗살 형상의 체판을 장착한 회전드럼에 의해 상기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6.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공정,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공정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 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공정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공정을 실행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하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이동 노상 위에 있어서 입경이 다른 환원 생성물이나 원료를 체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며,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체로 분리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노상 위에 잔류시키는 상기 방법은 스크류 피더(screw feeder)를 상기 이동 노의 폭방향에 걸쳐 상기 이동 노상으로부터 노 외측에까지 돌출하도록 지지하고, 이동 노상에 대한 스크류 피더의 축선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고체 환원제층의 일부를 그대로 잔류시키며, 입경이 큰 환원 생성물을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의해 고체 환원층으로부터 박리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상기 스크류 피더의 축선 방향을 따라 개구를 갖는 케이싱에 의해 상기 입경이 작은 것을 그대로 상기 고체 환원층상에 잔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갖는 케이싱이 스크류 피더를 피복하는 체통(cylindrical scree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의해 노상 외측으로 배출된 입경이 큰 상기 환원 생성물과 입경이 작은 것을 선별하여, 입경이 작은 것을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고체 환원제층 또는 혼합 원료층으로 리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10. 삭제
  11.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 노상과 대향하여 그 위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노 외측을 향해 연장시키고,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에는 적어도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부분 및 상기 대향 부분에 인접하는 노 외측 부분에, 상기 이동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을 흡인하여 분리하기 위한 자석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삽입하는 이동 노상 위의 대향하는 윗변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을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배면측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4.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그 이외의 원료와 분리하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들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동 노상과 대향하여 그 위에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를 상기 배출부로부터 노 외측을 향해 연장시키고,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 내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하측 벨트를 삽입하는 이동 노상 위의 대향하는 윗변부에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동기 회전하는 내장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내장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배면측에 자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자력 발생 영역 이외의 노 외측 부분에 벨트 외측 표면상에 부착한 생성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6.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상기 수단들은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이동 노상의 폭방향에 걸쳐 설치된 회전드럼을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드럼중 적어도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상기 이동 노상 위의 환원 생성물을 흡착하기 위한 자석을 설치한 회전드럼이며, 또한 그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회전드럼에 병설하여 상기 회전드럼에 흡인된 생성물을 받아 노 외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반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외측 드럼과, 상기 외측 드럼 내에서 표면에 자석이 고정되어 있는 내측 롤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은 이동 노상과 대향하는 상기 내측 롤 하면측으로부터 드럼 회전 방향의 반출 수단에 이르기까지의 상기 롤의 주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수단은 회전드럼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위치에서 환원 생성물의 낙하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드럼의 드럼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하며, 또한 이동 노상으로부터 노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노 외측 배출용 컨베이어 벨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축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환원 생성물을 자력에 의해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착 회수하기 전의 위치에, 그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2.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는 상기 수단들은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노상 폭방향에 걸쳐 설치된 드럼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럼 본체의 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망 형상 또는 빗살 형상의 체판을 돌출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선별기이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이 상기 선별기에 의해 노상 위로부터 퍼올린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선별 드럼에 인접하는 외부에, 퍼올린 환원 생성물의 낙하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선별 드럼의 드럼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선별 드럼 내의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것으로, 상기 선별 드럼의 체판을 따라 그 근방의 주면에 개구된 회수구와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위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부에 퇴적물의 붕괴 방지용 측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6.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들은 상기 이동형 노상 노의 상기 환원 생성물의 배출부에 상기 이동 노상 위를 그 폭방향에 걸쳐 상기 이동 노상으로부터 노 외측까지 돌출하도록 지지된 스크류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의 상기 이동 노상 진행 방향 하류측에 스크류 피더의 축선 방향을 따라 측면에 설치된 벽판과, 상기 벽판 하단부에 상기 이동 노상과 거의 평행하게 연결되어 설치된 바닥판으로 구성된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8.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들은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이동 노상의 노상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 가설 지지된 스크류 피더와, 상기 스크류 피더의 노상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 부분에는 노 본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설치된 환원제 배출 슈트 및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와, 상기 환원제 배출 슈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스크류 피더에 이것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2중 통 형상으로 설치된 체통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부에 상기 체통의 개구 단부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29. 이동형 노상 노의 이동 노상 위에 생성된 환원 생성물을 노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상 노 내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수단, 즉
    ①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수단과,
    ② 상기 환원 생성물을 고체 환원제와 분리시키는 수단과,
    ③ 환원 생성물 이외의 입자를 고체 환원제층상에 그대로 잔류 또는 고체 환원제층으로 리턴시키는 수단과,
    ④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로부터 박리시키고 고체 환원제와 분리하며 또한 상기 환원 생성물을 이동 노상 노의 노 외측으로 반출하는 상기 수단들은 이동형 노상 노의 배출부에 설치된 퇴적층의 폭 축소 안내판, 상기 폭 축소 안내판의 단부에 이동 노상의 노상 이동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 가설 지지된 스크류 피더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피더는 이동 노상 위의 배출단 근처의 부분에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또한 그 연장부상에는 축경부를 설치한 구조이며, 그리고 상기 스크류 피더의 테이퍼부에는 선단이 가는 원통 형상인 포집 슈트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포집 슈트의 배출단 근처의 상기 축경부의 부분에는 노상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그물코 형상의 스크린을 장착하여 구성되는 배출통을 연이어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배출통의 노 외측에 위치하는 개구 단부에는 환원 생성물 배출 슈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축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축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한 장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3. 제 18 항에 있어서,
    환원 생성물을 자력에 의해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착 회수하기 전의 위치에, 그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4. 제 19 항에 있어서,
    환원 생성물을 자력에 의해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착 회수하기 전의 위치에, 그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35. 제 20 항에 있어서,
    환원 생성물을 자력에 의해 이동 노상으로부터 흡착 회수하기 전의 위치에, 그 환원 생성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장치.
KR10-2001-0067497A 2000-10-31 2001-10-31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그 장치 KR100515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1832 2000-10-31
JPJP-P-2000-00331832 2000-10-31
JPJP-P-2000-00356680 2000-11-22
JP2000356680 2000-11-22
JP2000356679 2000-11-22
JPJP-P-2000-00356679 2000-11-22
JPJP-P-2001-00080929 2001-03-21
JPJP-P-2001-00080198 2001-03-21
JP2001080929A JP2002220612A (ja) 2000-10-31 2001-03-21 移動型炉床炉における生成物の排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080198A JP3937737B2 (ja) 2000-11-22 2001-03-21 移動型炉床炉における生成物の排出装置
JP2001083927A JP2002277168A (ja) 2001-03-23 2001-03-23 移動型炉床炉からの反応生成物の排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JP-P-2001-00083927 2001-03-23
JPJP-P-2001-00090330 2001-03-27
JP2001090330A JP3867506B2 (ja) 2001-03-27 2001-03-27 移動型炉床炉の生成物排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943A KR20020034943A (ko) 2002-05-09
KR100515169B1 true KR100515169B1 (ko) 2005-09-16

Family

ID=2756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497A KR100515169B1 (ko) 2000-10-31 2001-10-31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20020053307A1 (ko)
EP (1) EP1201772A1 (ko)
KR (1) KR100515169B1 (ko)
CN (1) CN100476333C (ko)
BR (1) BRPI0104932B8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66B1 (ko) * 2008-05-21 2011-01-14 주식회사 포스코 연원료 소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3307A1 (en) * 2000-10-31 2002-05-09 Natsuo Ishiwata Method for discharging reduced product from a moveable-hearth furnace and a discharging device
JP4266284B2 (ja) * 2001-07-12 2009-05-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鉄の製法
JP2003034813A (ja) * 2001-07-24 2003-02-07 Kobe Steel Ltd 粒状金属鉄とスラグの分離促進方法
US7618476B2 (en) * 2001-09-19 2009-11-17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reduced-iron agglomerate
JP4153281B2 (ja) * 2002-10-08 2008-09-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酸化チタン含有スラグの製造方法
JP4212873B2 (ja) * 2002-11-22 2009-01-21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炉床炉用原料供給装置
TWI282818B (en) * 2003-01-16 2007-06-21 Kobe Steel Ltd A rotary hearth furnace and iron production method thereby
WO2006061787A1 (en) 2004-12-07 2006-06-15 Nu-Iron Technolog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metallic iron nuggets
JP4866899B2 (ja) * 2006-04-06 2012-02-01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炉床式還元炉の還元鉄排出用スクリューコンベヤ
KR100775026B1 (ko) * 2006-05-24 2007-11-09 주식회사 오병 수평 이동 로보트용 더스트커버 밀착장치
WO2008089060A1 (en) * 2007-01-12 2008-07-24 Nu-Iron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nd removing iron from a hearth
US8518146B2 (en) 2009-06-29 2013-08-27 Gb Group Holdings Limited Metal reduction processes, metallurgical processes and products and apparatus
JP5406803B2 (ja) * 2010-08-09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粒状金属鉄の製造装置、および粒状金属鉄の製造方法
JP2014039921A (ja) * 2012-07-23 2014-03-06 Ricoh Co Ltd 乾式クリーニング筐体、乾式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乾式クリーニング方法
US9017596B2 (en) * 2013-01-31 2015-04-28 Siemens Energy, Inc. Slag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CN104132535B (zh) * 2014-08-09 2016-01-27 广西北流市智诚陶瓷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窑流动作业卸料装置
CN113416845B (zh) * 2021-04-29 2023-04-07 广元市林丰铝电有限公司 一种废铝料回收制造铝铸件的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6840A1 (en) * 1997-09-30 2000-02-02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rotary hearth furnace for reducing oxides
EP1026265A1 (en) * 1999-02-03 2000-08-09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reduced metal, and traveling hearth furnace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8857A (en) * 1966-10-24 1969-06-10 Eriez Magnetics Electrodynamic separator
SE346070B (ko) * 1968-01-23 1972-06-26 Canada Steel Co
CA1011955A (en) * 1973-11-05 1977-06-14 Inco Limited Process for treatment of lateritic ores
JPS568883B2 (ko) * 1975-02-06 1981-02-26
US4123850A (en) * 1977-05-23 1978-11-07 Niems Lee H Apparatus for pyroprocessing and cooling particles
JPS5946671B2 (ja) * 1977-06-14 1984-11-14 工業技術院長 固形廃棄物資源化装置
DE2750274C3 (de) * 1977-11-10 1982-03-18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Fahrbares Aufnahmegerät für Eisenschwamm
US4451360A (en) * 1982-01-25 1984-05-29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Device for removal of magnetic particles from a magnetic separator
DE3205366C2 (de) * 1982-02-16 1984-06-07 Deutsche Kommunal-Anlagen Miete GmbH, 8000 München Austragsvorrichtung für einen Drehrohrofen
DE3416504A1 (de) * 1984-05-04 1985-11-07 Wagner Kg, Fabrik Elektromagnetischer Apparate, 8941 Heimertin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ennen von gemengen von stoffen mit unterschiedlichen elektrischen leitfaehigkeiten
US4834870A (en) * 1987-09-04 1989-05-30 Huron Valley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non-ferrous metal pieces
FR2691718A1 (fr) * 1992-05-29 1993-12-03 Lorraine Laminage Procédé de séparation de matières ferreuses et carbonées à la sortie d'une installation de réduction du minerai de fer,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Óoeuvre.
DE69717609T2 (de) * 1996-03-15 2003-05-22 Kobe Steel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reduzierter eisenhaltiger Kompaktkörper und solche Körper
DE69838246T2 (de) 1997-09-30 2008-01-10 Jfe Steel Corp. Verfahren zur bedienung eines beweglichherdofens zum reduzieren von oxiden
JP4159634B2 (ja) * 1997-10-23 2008-10-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鉄の製法および装置
ZA995438B (en) * 1998-08-27 2000-03-20 Kobe Steel Ltd Method for operating moving hearth reducing furnace.
JP3404309B2 (ja) * 1999-01-18 2003-05-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還元鉄塊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020053307A1 (en) * 2000-10-31 2002-05-09 Natsuo Ishiwata Method for discharging reduced product from a moveable-hearth furnace and a dis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6840A1 (en) * 1997-09-30 2000-02-02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rotary hearth furnace for reducing oxides
EP1026265A1 (en) * 1999-02-03 2000-08-09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a reduced metal, and traveling hearth furnace for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66B1 (ko) * 2008-05-21 2011-01-14 주식회사 포스코 연원료 소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4932A (pt) 2002-06-25
CN100476333C (zh) 2009-04-08
US6872074B2 (en) 2005-03-29
US7141205B2 (en) 2006-11-28
US20070051203A1 (en) 2007-03-08
CN1358979A (zh) 2002-07-17
US20020053307A1 (en) 2002-05-09
BRPI0104932B8 (pt) 2015-12-22
KR20020034943A (ko) 2002-05-09
EP1201772A1 (en) 2002-05-02
US20050103160A1 (en) 2005-05-19
US7473393B2 (en) 2009-01-06
BR0104932B1 (pt) 2013-12-31
US20040202979A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169B1 (ko) 이동형 노상 노에 있어서의 환원 생성물의 배출 방법 및그 장치
CA2061548C (en) Direct reduction process in rotary hearth furnace
CN104245144B (zh) 用于加工炉渣材料的方法和系统
JP2008505253A (ja) 冶金処理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254281B1 (ko) 자력을 이용한 소결원료의 장입방법
KR20130105654A (ko) 처리된 dri 재료
CN201046415Y (zh) 水渣渣铁分离及回收利用装置
JP2012144788A (ja) ホットブリケットアイア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3049305A (en) Process for recovering substantially clean magnetic metal pieces and magnetic oxides from steel plant debris
JP3732429B2 (ja) 灰溶融炉の前処理設備および前処理方法
JP3201726B2 (ja) 磁力を用いた焼結原料の装入方法
WO2016187860A1 (zh) 一种无水式矿物选别设备
AU781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raw and carbonaceous materials into a moving hearth furnace
CN202356148U (zh) 立磨排铁结构
JP2869853B2 (ja) 誘導加熱式脱亜鉛装置
JP4893347B2 (ja) 移動型炉床炉の操業方法
CN102380443A (zh) 立磨排铁结构
AU780672B2 (en) A method for discharging reduced product from a movable-hearth furnace and a discharging device
JP3937737B2 (ja) 移動型炉床炉における生成物の排出装置
KR101373112B1 (ko) 원료의 장입장치
KR100893269B1 (ko) 소결광 제조 시스템
JPH0739857B2 (ja) 焼却灰溶融処理炉の出滓方法および装置
JP2002130957A (ja) 焼結原料の装入装置
JP2002277168A (ja) 移動型炉床炉からの反応生成物の排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6194380A (ja) 焼結機の原料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