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519B1 - 곤포 장치 - Google Patents

곤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519B1
KR100512519B1 KR10-2003-0075302A KR20030075302A KR100512519B1 KR 100512519 B1 KR100512519 B1 KR 100512519B1 KR 20030075302 A KR20030075302 A KR 20030075302A KR 100512519 B1 KR100512519 B1 KR 10051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ceiling
outdoor unit
shaped exterior
exteri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00A (ko
Inventor
가네꼬요시아끼
나까지마겐이찌
구사마요시미
사또오스스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air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곤포 강도의 향상에 의한 실외기의 천정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곤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곤포 부재(3)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각각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5, 7)를 배치하고, 이들 상자형 외장체 사이를 복수의 밴드(8)로 피곤포 부재마다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곤포 장치에 있어서,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5)가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13)와, 이 상자형 외장체(13)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완충 부재(15)를 구비하고, 이 완충 부재(15)가 피곤포 부재(3)의 천정면의 중앙부 부근에서, 그 외측보다 낮아지는 바닥부(15D)를 갖고, 이 바닥부 부분끼리를 걸치는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17)를 배치하였다.

Description

곤포 장치{PACK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곤포하기 위한 곤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 팬, 열교환기 등을 수납한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 이 실외기의 곤포 장치로서 실외기 본체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각각 내부에 완충 부재를 갖는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를 배치하고, 이들 상자형 외장체 사이를 복수의 밴드로 실외기끼리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곤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제1 특허 문헌 참조).
[제1 특허 문헌] 특허 공개 평10-20356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의 내부에 배치된 발포 스티롤제의 완충 부재가 실외기의 천정부의 대략 중앙을 제거하여 받침대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기의 천정판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는,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에 의해 보호되어 있을 뿐이며,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의 대략 중앙에 하중이 걸린 경우에는 곤포 강도가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실외기의 천정판은 동판제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내측은 중공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기의 천정판에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나, 작업원이 곤포된 실외기의 위에 올라 타는 경우에는 실외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여기서,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의 내부 전체에 발포 스치렌제의 완충 부재를 배치하면, 곤포 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그 경우, 완충 부재가 대형으로 되어 가공비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구성에서는,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에 의기의 천정판이 덮혀져 있기 때문에, 작업원은, 곤포되어 있으면 강도가 충분하다고 오해하여, 곤포된 실외기의 위에 올라 타서 작업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곤포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외기의 천정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곤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피곤포 부재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각각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를 배치하고, 이들 상자형 외장체 사이를 복수의 밴드로 피곤포 부재마다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곤포 부재의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가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와, 이 상자형 외장체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완충 부재는 피곤포 부재의 천정면의 중앙부 부근에서, 그 외의 부분보다 낮아지는 바닥부를 갖고, 이 바닥부 부분끼리를 걸치도록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가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기재의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바닥부의 낮은 정도는 상기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 기재의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는 상기 피곤포 부재의 가로 폭에 대응하여, 그 폭을 변경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곤포 장치에 있어서는, 피곤포 부재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각각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를 배치하고, 이들 상자형 외장체 사이를 복수의 밴드로 피곤포 부재마다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곤포 부재의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가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와, 이 상자형 외장체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완충 부재는 피 곤포 부재의 천정면의 중앙부 근접에서, 그 외의 부분보다 낮아지는 바닥부를 갖고, 이 바닥부 부분끼리를 걸치도록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가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곤포 부재의 상면을 충분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곤포 부재의 상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하면,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곤포 장치이며, 이 곤포 장치(1)는 피곤포 부재로서, 예를 들면,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3)를 곤포하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실외기(3)의 바닥부 및 천정부를 덮는 상하의 상자형 외장체(5, 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곤포 장치(1)는 짧은 변 방향으로 2개의 밴드(8, 8)를, 긴 변 방향으로 1개의 밴드(8)를 권취함으로써 결속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상기 실외기(3)는 곤포할 때 폴리에틸렌 포장에 넣어져,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3)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판제의 바닥부(103)의 위에, 동일하게 동판제의 구획판(105)이 세워져 설치되고, 이 구획판(105)의 양측에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B)은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압축기(107), 어큐물레이터(109), 냉매 배관(111), 또는 전장 상자(113) 등이 배치되고, 열교환실(A)에는 실외 열교환기(115), 실외 송풍기(117)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실(A) 및 기계실(B)은 양 사이드가 한 쌍의 동판제의 측판(121)으로 덮혀지고, 바닥부가 바닥판(103)으로 덮혀지고, 상부가 동판제의 천정판(123)으로 덮혀지고, 전방부가 동일하게 동판제의 전방판(125)으로 덮혀져 있다. 이 전방판(125)과 천정판(123)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실(A)에는 바닥판(103)과 천정판(123)의 사이에 위치되어 실외 송풍기(117)가 배치되어 있지만, 그 외의 부분은 공간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열교환실(A)의 천정부는 동판제의 천정판(123)만으로 덮혀져 있으므로, 실외기(3)는 상방향으로부터의 내하중에는 약하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3)의 하부측에 배치된 바닥부의 상자형 외장체(5)는 실외기(3)의 바닥판(103) 및 이것에 인접하는 측면(104A 내지 104D)을 보호하는 것이며, 그리고 이 상자형 외장체(5)는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9)와, 발포 스티롤제의 한 쌍의 완충 부재(11, 11)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7)는 상기 실외기(3)의 천정판(123) 및 그것에 인접하는 측면(106A 내지 106D)을 보호하는 것이며,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13)와 발포 스틸렌제의 한 쌍의 완충 부재(15, 15)와 골판지(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자형 외장체(9)는 골판지를 절곡하는 등으로 해서 트레이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완충 부재(11, 11)를 아래에 배치한 실외기(3)의 바닥부를, 한 쌍의 완충 부재(11, 11)마다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11, 11)는 실외기(3)의 바닥부에 있어서, 실외기(3)의 측판(121)의 하부 모서리를 보호하는 짧은 부분(11A)과, 그 하부 모서리(19)에 인접한 바닥판(103)의 양 모서리(21)를 보호하는 측부(11B, 11B)를 구비하고, 대략 역 ㄷ자형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자형 외장체(13)는 골판지를 절곡하는 등으로 해서 트레이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한 쌍의 완충 부재(15, 15)와 그들에 걸치도록 골판지(17)를 배치한 상태의 실외기(3)의 천정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완충 부재(15)는, 실외기(3)의 천정부에 있어서, 실외기(3)의 측판(121)의 상부 모서리(23)를 보호하는 짧은 부분(15A)과 이 상부 모서리(23)에 인접하는 천정판(123)의 양 모서리(25)를 보호하는 측부(15B, 15B)와, 또한 측부(15B)의 내부 단부(15C)로부터 양 모서리(25)를 따라 돌출된 바닥부(15D, 15D)를 구비하고, 대략 역 ㄷ자형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 부재(15)의 바닥부(15D)는 골판지(17)를 배치하기 위해 설치되므로, 측부(15B)의 상면(15E)으로부터 골판지(17)의 두께만큼 한 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15, 15)에 있어서의 바닥부(15D)의 낮은 정도는 상기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17)의 두께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골판지(17)는 바닥부(15D)에 배치되도록 대략 역 ㄷ자형으로 절곡 성형되어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실외기(3)를 상자형 외장체(5, 7)로 곤포함으로써, 곤포 장치(1)의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한 곤포 강도는 종래의 것보다 향상되고, 실외기(3)의 천정판(123)의 손상은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15, 15)의 바닥부(15D)에 대략 역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골판지(17)가 배치됨으로써, 완충 부재(15)와 골판지(17)가 대략 일면으로 되는 동시에, 완충 부재(15)와 상자형 외장체(13)로 골판지(17)를 협지하므로 골판지(17)가 어긋날 우려가 없다.
또한, 상기 실외기(2)의 천정판(123)의 긴 변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골판지(17)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완충 부재(15)를 공통 부재로 하여, 여러 가지 가로 폭을 갖는 실외기의 곤포를 가능하게 한다.
[제2 실시예]
또한, 도5 및 도6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 부호 31은 곤포 장치이다. 이 곤포 장치(31)는 상기 실외기(3)를 곤포하는 것이며, 실외기(3)의 바닥부 및 천정부를 덮는 상자형 외장체(33, 33)로 구성되어 있다. 곤포 장치(31)는 짧은 변 방향으로 2개, 긴 변 방향으로 1개의 밴드(32)에 의해 결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곤포할 때, 실외기(3)는 폴리에틸렌 포장에 들어가서,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바닥부의 상자형 외장체(33)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3)의 바닥판(103) 및 이것에 인접하는 측면(108A 내지 108D)을 보호하는 것이며,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37)와 발포 스티롤제의 한 쌍의 완충 부재(39)로 구성되어 있다.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35)는 실외기(3)의 천정판(123) 및 이것에 인접하는 측면(110A 내지 110D)을 보호하는 것이며,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41)와 발포 스티롤제의 한 쌍의 완충 부재(43)로 구성되어 있다.
상자형 외장체(37)는 골판지를 절곡하는 등으로 해서 트레이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완충 부재(39)를 배치한 실외기(3)의 바닥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 한 쌍의 완충 부재(39)는 실외기의 바닥부에 있어서, 실외기(3)의 측판(121)의 하부 모서리(47)를 보호하는 짧은 부분(39A)과, 이 양 모서리(47)에 인접한 바닥판(103)의 양 모서리(49)를 보호하는 측부(39B)를 구비하고, 대략 역 ㄷ자형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자형 외장체(41)는 골판지를 절곡하는 등으로 해서 트레이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완충 부재(43)를 배치한 실외기(3)의 천정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 상자형 외장체(41)는 실외기(3)의 천정판(123)이 면하도록, 상자형 외장체(41)의 상면(41A)의 대략 중앙에 개구(4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완충 부재(43)는, 실외기(3)의 천정부에 있어서, 실외기(3)의 측판(121)의 상부 모서리(51)를 보호하는 짧은 부분(43A)과, 이 상부 모서리(51)에 인접하는 천정판(123)의 양 모서리(53)를 보호하는 측부(43B)를 구비하고, 역 ㄷ자형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곤포 장치(31)는 상자형 외장체(35)에 의해 곤포 후에도 실외기(3)의 천정판(123)이 면하게 된다. 한편, 실외기(3)는 상방향으로부터의 내하중에 약하다는 사실을, 실외기(3)를 취급하는 작업원이 인식하고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곤포 후에 있어서 상자형 외장체(41)의 개구(45)에 천정판(123)이 면하는 경우에는, 작업원에 대해 곤포되어 있어도 실외기(3)의 위에 타면 천정판(123)이 손상된다는 주의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원이 잘못하여 곤포된 실외기(3)의 위에 올라 타는 것이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실외기(3)의 천정판(123)의 손상은 방지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곤포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외기의 천정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곤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실외기를 곤포한 상태의 곤포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피곤포 부재로서의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곤포 장치를 실외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한 쌍의 완충 부재와 골판지를 실외기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실외기를 곤포한 상태의 곤포 장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곤포 장치를 실외기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곤포 장치
3 : 실외기
5 : 상부 상자형 외장체
7 : 하부 상자형 외장체
8 : 밴드
9 : 하부 상자형 외장체
11 : 하부 완충 부재
13 : 상부 상자형 외장체
15 : 상부 상자형 외장체
15D : 바닥부
17 : 골판지
103 : 바닥판
121 : 측판
123 : 천정판

Claims (3)

  1. 피곤포 부재의 바닥부 및 천정부에 각각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를 배치하고, 이들 상자형 외장체 사이를 복수의 밴드로 피곤포 부재마다 결속하여 이루어지는 곤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곤포 부재의 천정부의 상자형 외장체가 골판지의 상자형 외장체와, 이 상자형 외장체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고,
    이들 한 쌍의 완충 부재는 피곤포 부재의 천정면의 중앙부 부근에서, 그 외의 부분보다 낮아지는 부분을 갖고, 이 바닥부 부분끼리를 걸치도록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가 상기 한 쌍의 완충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바닥부의 낮은 정도는 상기 대략 역 ㄷ자형의 골판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판지는 상기 피곤포 부재의 가로 폭에 대응하여, 그 폭을 변경하여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 장치.
KR10-2003-0075302A 2002-12-25 2003-10-28 곤포 장치 KR100512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4637 2002-12-25
JP2002374637 2002-12-25
JPJP-P-2003-00340223 2003-09-30
JP2003340223A JP2004217307A (ja) 2002-12-25 2003-09-30 梱包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00A KR20040057900A (ko) 2004-07-02
KR100512519B1 true KR100512519B1 (ko) 2005-09-06

Family

ID=3291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02A KR100512519B1 (ko) 2002-12-25 2003-10-28 곤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17307A (ko)
KR (1) KR100512519B1 (ko)
CN (1) CN12489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608B2 (ja) * 2004-12-14 2009-06-17 リンナイ株式会社 包装材
CN103086081B (zh) * 2011-11-02 2014-09-1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室外机下包装垫
CN103359411B (zh) * 2012-03-31 2015-07-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支撑结构及空调产品
CN103359393B (zh) * 2012-04-01 2015-08-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撞支撑结构及包含该支撑结构的压缩机包装
CN103625794B (zh) * 2012-08-24 2016-04-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落地式空调器内机的包装结构
CN104085608A (zh) * 2014-07-14 2014-10-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包装方法
CN106429015A (zh) * 2016-10-14 2017-02-22 美盈森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仪器的全纸质缓冲包装箱
CN107934218B (zh) * 2017-11-30 2023-06-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带包装结构的空调室外机
WO2021059432A1 (ja) * 2019-09-26 2021-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外機の梱包装置
CN110844249B (zh) * 2019-11-01 2021-04-09 苏州市永乐纸业包装有限公司 一种用于吸尘器的包装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00A (ko) 2004-07-02
CN1248926C (zh) 2006-04-05
JP2004217307A (ja) 2004-08-05
CN1509963A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519B1 (ko) 곤포 장치
JPH085496B2 (ja) 運搬用コンテナ
JP4957154B2 (ja) 空調機用梱包部材
EP2743595B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JP4946483B2 (ja) 空気調和機用梱包装置
JP2006240702A (ja) クッション材
JP2006232365A (ja) 梱包装置
JP2006103729A (ja) 梱包装置
US5984101A (en) Shipping protector
JP7080396B2 (ja) 包装体
JP5423753B2 (ja) 包装用緩衝パッド
JP4677965B2 (ja) 梱包装置
JP2586073Y2 (ja) 包装装置
JP3668749B2 (ja) 空気調和機の梱包部材集合体及び空気調和機の積載方法
JP2000327037A (ja) 空気調和機の梱包装置
JP4158644B2 (ja) 包装装置
JPH10211927A (ja) 段ボール製緩衝体
JPH038633Y2 (ko)
JP2007137464A (ja) 空気調和機の梱包装置
JP2007022540A (ja) 梱包装置
JP2002104529A (ja) 掃除機の梱包装置
JP2000185792A (ja) 梱包装置
JP4003716B2 (ja) 梱包装置
WO2020178934A1 (ja) 梱包部材
JPH08337271A (ja) 梱包用台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