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849B1 -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849B1
KR100511849B1 KR10-2001-7006996A KR20017006996A KR100511849B1 KR 100511849 B1 KR100511849 B1 KR 100511849B1 KR 20017006996 A KR20017006996 A KR 20017006996A KR 100511849 B1 KR100511849 B1 KR 10051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or
payment
information
amou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546A (ko
Inventor
다카유키 도키
Original Assignee
다카유키 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유키 도키 filed Critical 다카유키 도키
Publication of KR2001008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68Payment of value-added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2Cards defining paid or billed services or qua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07F7/025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by means, e.g. cards, providing bill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e.g. identification of seller or purchaser, quantity of goods delivered or to be deliv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02Coin-freed or check-freed systems, e.g. mobile- or card-operated phones, public telephones or booths
    • H04M17/026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6Payment of value-added services, mainly when their charges are added on the telephone bill, e.g. payment of non-telecom services, e-commerce, on-line ba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결제시스템은 매체(10), 결제용 단말장치(20), 결제 인증장치(30) 및 노무 제공장치(35)를 구비한다. 매체(10)에는 ID번호가 기록되고, 사용자가 소정 금액을 지불했을 때는 결제용 단말장치(20)는 이 ID번호를 판독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제 인증장치(30)에 통지한다. 이 통지에 응답하여 결제 인증장치(30)는 ID번호의 사용을 유효화 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매체(10)는 그 출하시점 또는 입수시점에서는 전혀 상품 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갖지 않는다. 결제 인증장치(30)는 ID번호와 납입금액을 저장하며,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ID번호의 입력을 수반하는 조작이 수행되면 노무 제공장치(3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단말장치(40)에 노무(서비스)를 제공하고, 결제 인증장치(30)는 제공한 노무 ID량에 상당하는 요금을 납입금액으로부터 감액하여 잔액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SERVICE RECEIVING ID NUMBER SETTLING SYSTEM}
본 발명은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별(ID)번호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장치를 통하여 노무 제공장치로부터 노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의 하나로서 ID번호를 사용자마다 부여하고, 사용자는 이 ID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전화통신 서비스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점포 또는 자동 벤딩장치에서 ID번호가 기재된 카드를 구입한다. 이 카드에는 ID번호가 기재되어 있지만 카드구입 시에는 이 ID번호는 보이지 않도록 봉인되어 있다. 그래서 카드를 구입한 사용자는 ID번호 위에 접착되어 있는 봉인 또는 코팅을 벗겨 ID번호를 인식한다.
사용자는 우선 공중전화기 등의 정보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전화한다. 그러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ID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가 전송되어 오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것에 응답하여 카드에 기재된 자기의 ID번호를 입력한다. 그렇게 하면, 노무(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회사(오퍼레이터)는 이 ID번호를 확인하여, 미리 인증장치에 등록해 둔 ID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통화를 허가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제공받은 통화서비스에 대한 요금은 인증장치의 ID번호에 대응하여 제공된 납입금액(사용자가 카드구입 시에 점포 또는 벤딩장치에 지불한 금액)부터 감액된다. 이와 같이 통화서비스 요금의 지불 처리 및 잔액관리는 오퍼레이터에 설치된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의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서는 봉인된 ID번호가 기재된 카드 등의 매체를 사용자가 구입하는 결제시점 이전이라도 그 자체가 상품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고 있다. 즉, 이러한 매체가 출하된 시점에서 상품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품이 사용자에 의해 구입하시기 전에 점포에서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 경우에는 손실을 입는 결점이 있다.
또한, 각종 노무를 제공하기 위해 팜플렛 등을 발행하고, 이것에 ID번호를 기재한 매체를 접어 넣어 광고선전을 하려고 해도, 전술한 바와 같이 매체 그 자체가 상품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고선전으로 이것을 미리 배포할 수 없다는 결점도 있다.
게다가,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매체는 점포에 진열되어 판매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경우, 점포에서는 미리 필요량을 사들여야 하고 또한 재고관리를 엄중히 하여야 하는 결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매체에 대하여는 하나의 노무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복수의 노무를 한번의 매체 구입으로 제공받거나, 매체 구입 후에 자유롭게 노무의 내용을 바꾸거나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노무 이용 가능한 ID번호를 이용한 노무 결제시스템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ID번호의 입수시점, 즉, 출하시점에서는 전혀 상품 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지 않고, 대금을 지불(결제),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ID번호가 판독된 경우에 비로소 노무 제공을 받을 수 있는 ID번호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결제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결제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1에 있어서의 결제시스템의 다른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제시스템의 거래 상관도이다.
도 7은 상기 거래 상관도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4의 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의 결제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노무를 특정 매체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전표형태의 매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는 전표형태의 다른 매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전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된 결제 인증장치와 결제용 단말장치를 적어도 포함하며, ID번호를 기록한 매체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1)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2) ID번호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잔액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ID번호 및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인증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1)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 및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입력시키고, ID번호, 잔액정보 및 노무 지정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2)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와 함께 송신된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노무에 대응되어 있는 결제 인증장치로 상기 ID번호와 잔액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관리장치와,
3) 결제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ID번호에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1)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2)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 및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를 유효화하여 상기 잔액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소정의 결제 인증장치로부터 특정 ID번호가 유효화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회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가 유효화 여부를 판정하여 대응하는 잔액정보와 함께 그 결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관리장치와,
3) 서브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ID번호와 함께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 ID번호가 서브 ID번호 또는 결제관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ID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노무를 제공 가능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특정 ID번호가 서브 ID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때에 새로운 서브 ID번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를 구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이하의 경우도 있다. 즉, 결제용 단말장치는 매체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하나 이상의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와, 납입금액 중에 지정된 각 노무에 할당하는 금액에 상당하는 개별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와 노무 지정정보와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결제관리장치로 송신한다.
결제관리장치는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와 함께 송신된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하나 이상의 노무에 대응되어 있는 결제 인증장치 각각에 노무 지정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잔액정보와 상기 ID번호를 송신한다.
각 결제 인증장치는 결제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ID번호에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1)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결제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2)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 제시와 동시에 노무를 지정 받고, 상기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상기 노무에 할당된 개별 잔액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노무선택장치와,
3)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가 송신되고, 추가로 노무선택장치로부터 노무 지정정보 및 개별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하나 이상의 노무에 대응되어 있는 결제 인증장치 각각에 노무에 대응하는 개별 잔액정보와 상기 ID번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관리장치와,
4) 결제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ID번호에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무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개별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를 제공 가능 여부를 판정하고,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별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매체와 노무와의 관계를 미리 정해 두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소정의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으로서,
1) 소정 노무에 대응한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결제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2) 상기 ID번호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상기 잔액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노무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인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ID번호가 유효화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이 현재의 잔액보다 많을 때에, 상기 노무의 제공을 금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ID번호에 대응시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새로운 ID번호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 상기 새로운 ID번호와 함께 송신되어 온 사용자 특정정보를 참조하여,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새로운 ID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이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과 새로운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의 합계액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노무 제공을 금지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결제 인증장치는, ID번호에 대응시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새로운 ID번호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 상기 새로운 ID번호와 함께 송신되어 온 사용자 특정정보를 참조하여,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잔액을 새로운 ID번호를 대응되어 있는 잔액에 가산하고,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말소한다.
또한 상기 매체는, 상이한 ID번호를 부여한 매체가 분리 가능한 복수 매 묶음의 형태로 공급되어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노무 제공장치는, 상기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현재의 잔액으로부터 감액한 값이 기준금액보다 적을 때에, 상기 정보 단말장치로 경고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매체는 상기 ID번호와 기타 정보가 기록되고 사용자가 지불해야 되는 금액이 지정된 전표이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는 이 전표에 기록된 ID번호와 기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입력된 ID번호와 기타 정보 및 사용자가 상기 금액을 지불한 것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표는, 1매의 시트에 상이한 ID번호를 부여한 복수의 전표가 떼어 낼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로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D번호는 상기 매체마다 상이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입금정보를 송신 가능하고, 결제 인증장치는 ID번호와 함께 상기 입금정보를 수신한 때에 잔액정보에 상기 입금정보를 가산한 금액을 새로운 잔액정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인증장치로 송신되는 ID번호는, 각 노무에 대응하여 생성된 서브 ID번호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ID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매체이다. 여기서 매체란, 어떤 수단에 의해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POS 단말 등의 정보판독장치에 의해 ID번호와 기타 정보를 읽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정보에 대응한 바코드가 기재된 용지, 정보가 자기 기록된 자기카드, 정보가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된 IC 카드 등과 같은 것 외에, 종합된 정보를 기록 가능한 플로피 디스크(FD, floppy disk) 등을 포함한다. 또,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송신되는 ID번호를 상기 결제 인증장치 또는 상기 결제관리장치 내에서 상이한 ID번호에 대응시켜, 저장 또는 송신하고,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서 노무를 요구할 때에, 대응된 ID번호만으로 요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송신되는 ID번호와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서 이용되는 ID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서 이용되는 ID번호를 봉인(seal) 등으로 숨기거나, 또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의 이용자에만 송부하는 등, 그 이용자만 알게 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송신되는 ID번호가 타인에게 알려지더라도 안전하다. 또, ID번호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결제용 단말장치로 결제하는 경우, 또는 노무 인증장치나 노무 관리장치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암호(password)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결제 인증장치로는 사용자로부터 문의가 있는 경우에, ID번호가 유효화되어 있는 외에 암호도 일치한 경우에만 노무 제공을 허가하도록 설정된다. 암호에 의한 인증기술에 관해서는 종래 기술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결제 후에 ID번호가 타인에게 알려지더라도 안전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결제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의 실시예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시스템은, 매체(10), 결제용 단말장치(20), 결제 인증장치(30) 및 노무 제공장치(3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결제시스템에 이용되는 매체는 그 출하시점 또는 입수시점에서는 전혀 상품 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서, 이 매체를 이용하여 각종 노무(서비스)제공을 하고자 하는 노무 제공회사나 이 정보제공회사를 지원하는 각종 노무 관리회사가 광고지, 팜플렛, 카탈로그 등과 함께 사용자 대상에 배포한다. 또는, 온라인 전표 등의 매체를 전화회선, 무선 등을 통하여 전송한다. 이 매체에는 적어도 ID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노무상품명이나, 노무 제공회사명 및 노무 관리회사명 등도 기재되어 있다. 납입금액에 관해서는 미리 매체마다 정하여 기록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결제 시에 정해진 금액을 사용자가 지불하게 된다. 또한 결제 시에 사용자가 임의의 금액을 납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매체에는 납입금액을 기록해 두지 않는다. 통상 이러한 종류의 정보는 바코드에 의해서 데이터화되고 기재되어 있다. 어떠한 정보를 데이터화 할 것인가는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면, IC 카드나 자기카드 등을 임의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매체는 통상 광고지, 팜플렛, 카탈로그, 전표 등으로서 작성된다. 그러나, 매체와 동일한 정보를 결제용 단말장치와 접속된 장치 내에 가지는 것에 의해, ID번호만을 결제용 단말장치로 입력함으로써 매체 그 자체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매체의 일부를 떼어 낼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고지, 팜플렛, 카탈로그 등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매체(10)는, 후술하는 결제용 단말장치로 판독하기 위해 바코드가 기재된 부분(10b)과 적어도 ID번호가 바코드를 이용하지 않고 인식할 수 있도록 기재된 메모에 상당하는 부분(10a)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제 인증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매체(10)에 기록된 ID번호 또는 상기 ID번호를 특정 가능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판독 부분(10b)에는 ID번호 이외에 노무상품명, 노무 제공회사명 및 노무 관리회사명, 필요한 경우에는 그 납입금액 등이 바코드 등으로 표시되어 기록되어 있다. 메모에 상당하는 부분(10a)은 부분(10b)에서 떼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여기에는 적어도 ID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광고지, 팜플렛, 카탈로그 등과 일체가 된 매체(10)는 이것이 배포된 시점, 또는 이것을 입수한 시점에서는 ID번호가 기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ID번호를 이용하여 유료 노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는 없고, 따라서 상품 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결제용 단말장치(20)는 통상, 편의점, 키오스크, 서점, 비디오 대여점 및 기타 소매점 등, 전국각지에 존재하여, 사용자가 결제하는 데 편리한 점포 등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결제용 단말장치(20)는 매체(10)에 기록한 ID번호를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ID번호 이외에 결제금액 및 기타 정보가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판독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 이 결제용 단말장치로는 편의점 등의 점포 앞에 설치된 POS 단말장치(판매정보 관리시스템)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점포에 설치된 POS 단말장치는 점포 내의 상품 판매뿐 아니라 전화요금이나 수도, 가스요금 등의 공공요금의 지불에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결합되어 공공요금 등의 지불 결제에 이용되는 POS 단말장치를 이용한다. POS 단말장치(22, 24, 26)를 결제용 단말장치(20)로 이용한 경우, 매체(10)의 판독 부분(10b)에 인쇄된 바코드를 광학식 판독 방식의 금전등록기(register) 등으로 판독하게 된다.
결제 인증장치(30)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하며, ID번호와 잔액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정보(성명이나 회원코드 등)를 ID번호에 대응시켜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통신은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된다. 네트워크는 공중회선으로 구성되어도 전용회선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결제 인증장치는 노무 제공회사에 노무 제공장치(35)와 함께 설치된다. 다만 결제 인증장치를 노무 제공회사에 설치하지 않고 원격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결제 인증장치와 노무 제공장치가 동일한 컴퓨터장치 상에서 실현될 수도 있다. 또,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 결제 인증장치(30)에 정보를 제공하여 결제 인증장치가 ID번호의 사용을 유효화하는 처리를 실행하기까지의 시간은 공중회선이나 전용회선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실행된다.
노무 제공장치(3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액세스된 경우에, 정보 단말장치(40)에 대하여 노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무 제공장치(35)가 제공 가능한 노무(서비스)의 종류, 즉, 결제대상 상품으로는 여러 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판매의 판매대금,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 컨텐츠판매의 판매대금, 인터넷접속 제공자의 접속료, 음성정보 서비스의 정보료, 예능·이벤트·콘서트 등의 티켓값, 항공권·호텔 등의 티켓값,각종 연예인 팬클럽의 회비징수 등등의 결제를 고려할 수 있다. 또, 국제전화, 휴대전화 등의 통신 서비스료의 결제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40)는 여러 가지 통신회선의 통신단말을 포함하며, 국내통신 또는 국제통신의 고정회선, 이동 통신회선, 위성회선의 전화기, 통신단말 등을 포함한다. ID번호의 사용이 유효화된 후에 정보 단말장치(40)를 구성하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액세스 포인트에 전화하여, ID번호와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국제전화를 걸 수 있다. 그 요금은 결제 인증장치의 ID번호에 상당하는 납입금액 영역으로부터 감액된다. 또, 정보 단말장치(40)로서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서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게임기 및 기타 통신단말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실제로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매체(10)를 입수한 사용자가 이 팜플렛 등에 소개되어 있는 노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노무 제공회사가 지정한 편의점 등의 점포를 방문한다. 매체(10)를 가진 사용자는 이 시점에서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납입금액을 점포에 지불한다. 점포에서는 이 지불을 받은 단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를 POS 단말장치(20)로 판독한다. 판독된 정보는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제 인증장치(30)에 전송된다. 이 때 매체(10)에 납입금액도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납입금액도 판독하여 송신한다. 또한 결제 시에 납입금액을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결제용 단말장치에 점원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납입금액을 입력한다. 이 납입금액은 ID번호에 대응되어 송신된다.
대금 지불이 이루어져 결제 받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결제 인증장치(30)에 도달하면, 결제 인증장치(30)는 ID번호의 사용을 유효화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ID번호를 유효화하는 처리는 여러 가지 고려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결제 인증장치(30) 내에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을 할당해 두고, 이 ID번호를 당초 잠김 상태로 두어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의 정보가 전달된 시점에서 이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것과 같은 유효화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ID번호를 유효화하는 처리는 ID번호를 확인하고, 대금 지불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처리를 수반하기 때문에 인증이라고 불린다.
노무 제공장치(35)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노무제공의 요구있는 경우에, 결제 인증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ID번호 및 납입(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제공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노무 제공장치가 결제 인증장치에 노무를 제공할 때마다 문의하는 형태이다. 이밖에, 유효화된 ID번호에 관한 정보를 미리 결제 인증장치가 노무 제공장치에 전송해 둠으로써 노무제공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노무 제공장치가 노무제공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결제 인증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하는 갱신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점포에서 미리 매체에 기재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요금을 지불하고,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 적어도 ID번호의 판독을 나타내는 정보가 결제 인증장치(30)에 제공되어, 결제 인증장치(30)에서 ID번호의 사용을 유효화하는 처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매체(10)는 선불카드로서의 상품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게 된다. 보다 엄격히 말하면, 당초 매체에 기재되어 있던 ID번호가 상품 가치(유료 노무 제공의무)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ID번호의 유효화 처리(인증)가 이루어진 후에는, 사용자는 이 ID번호를 이용하여 노무 제공장치(35)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할 수가 있다. 사용자는 매체(10)로부터 메모에 상당하는 부분(10a)을 잘라내고, 노무 제공장치(35)로부터 노무정보를 받기 위해서 설치된 정보 단말장치(40)를 이용하여, 메모에 상당하는 부분(10a)에 기재되어 있는 ID번호를 이용하여 정보 단말장치(40)를 조작하면, 노무 제공장치(35)는 정보 단말장치(40)에 대하여 필요한 노무(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제공받은 노무 ID량에 상당하는 요금은 미리 사용자가 점포에 지불한 납입금액으로부터 감액되어, 그 잔액이 결제 인증장치(30) 내의 ID번호에 대응하는 요금관리영역에 남게 된다.
이러한 요금의 잔액관리는 모두 결제 인증장치(30) 내에서 ID번호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이 ID번호에 대하여 수행되는 잔액관리의 결과, 노무를 제공하면 잔금이 없어진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노무 제공장치는 노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노무가 제공 가능하더라도 잔액이 기준값보다 낮아진 경우에는, 노무 제공장치가 정보 단말장치에 경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결제 인증장치(30)와 노무 제공장치(35)를 별개의 사업자가 보유하는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서 컨텐츠를 판매하는 사업자(노무 제공회사)가 노무 제공장치(35)를 보유하고, 결제인증을 수행하는 사업자는 결제 인증장치(30)를 보유한다. 사용자가 결제용 단말장치(20)에서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면 (화살표1),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 결제 인증장치(30)로 지불정보가 송신된다 (화살표2). 이에 따라 ID번호 유효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정보 단말장치(40)에서 사용자가 노무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구입하려고 ID번호 결제를 선택하면,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노무 제공장치(35)로 선택요구(화살표3)가 출력되고, 동시에 결제 인증장치(30)에 대하여, 사용자가 ID번호를 입력한다(화살표5). 노무 제공장치(35)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내용 및 기타 정보를 결제 인증장치(30)에 송신하고, 결제 인증장치(30)는 ID번호, 잔액정보, 요구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구입을 허가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노무 제공장치(35)에 통지한다(화살표6). 여기서 허가의 통지가 있는 때, 노무 제공장치(35)는 정보 단말장치(40)에 컨텐츠를 제공한다(화살표7).
또 잔액이 0(zero)이 되거나, 또한 감소한 경우에는 다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점포에서 지불함으로써 사용자는 잔액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이른바 전자지갑 기능이며, 사용자는 입금한 금전을 여러 가지 용도로 전자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노무제공자가 금융기관인 경우에는, 결제용 단말장치(20) 및 정보 단말장치(40)를 통하여 금융기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무 제공회사(35)를 금융기관이라고 하면, 사용자는 정보 단말장치(40)에서 송금 등의 이른바 홈뱅킹 처리가 가능하고, 결제용 단말장치(20)에서 금융기관창구에서의 입출금처리가 가능하다. 이 경우, 노무 제공회사(35)로서의 금융기관과는 별개로 결제 인증장치(30)를 가지는 인증 서비스회사를 설치하면 금융기관자체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용 단말로 입금한 경우에는 결제용 단말장치(20)를 통하여 ID번호 및 입금금액이 결제 인증장치(30)에 송신된다. 한편 정보 단말장치(40)로 사용자가 전자지갑 내에 보유하는 금전을 제3자에게 송금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면, 그 처리의 내용 및 ID번호가 결제 인증장치(30) 및 노무 제공회사(35)에 송신되어, 그 ID번호가 진정한 것이고, 또한 잔액이 충분한 경우에는, 노무 제공자에 의해 송금 및 수수료 공제 처리가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일단 입금한 금전을 회수하고자 할 때는, 정보 단말장치(40)또는 결제 단말장치(20)에서 인출처리를 하여 편의점 등에서 현금을 수령하고, 또는 자택에서 우편환을 수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융기관의 창구업무를 전자화 함으로써 금융기관의 무점포화도 실현 가능하다.
도 4에 있어서, 노무 제공회사(35)가 복수의 점포(a, b, ..., h)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몰(Internet Mall)인 경우, 이 인터넷 몰에 대하여 결제 인증장치(30)를 가지는 인증 서비스회사를 하나 설치함으로써 각 점포의 부담을 경감하고, 판매활동을 효율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단말장치(40)에서 인터넷 몰에서의 쇼핑을 즐기고, 1 점포 또는 복수 점포에서 상품을 구입한다. 그 결제는 결제용 단말장치(20)에서 수행하며, 결제 인증장치(30)는 결제인증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대상이 되는 점포에 통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새로운 ID번호를 부여한 매체를 결제함으로써 금액의 이월이나 가산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납입금액이 만일 3,000엔인 경우, ID번호의 사용이 유효화된 후에 사용하여 잔액이 0이 되거나, 매우 적은 금액이 된 경우에 사용자는 새로운 매체를 지참하여 점포를 방문한다. 그렇게 하면 점포에서는 결제용 단말장치(20)를 사용하여 바코드 판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새로운 ID번호에 대하여 납입금액이 할당되고, 새로운 ID번호에 대한 사용이 유효화된다. 이 시점으로 사용자는 이전에 사용한 ID번호와 새롭게 사용이 가능해진 ID번호를 가지게 된다. 그래서, 이전의 ID번호만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노무 제공회사에 연락하여 새로운 ID번호에 대해 납입되어 있는 금액을 오래된 ID번호에 대하여 가산하도록 의뢰한다. 또한 사용자 고유정보를 결제 인증장치가 보유함으로써 이 가산처리를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결제 인증장치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해 복수의 ID번호가 부여된 경우에, 이월이나 가산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해 둔다. 이 때 오래된 ID번호도 새로운 ID번호도 모두 유효화 해두어, 어느 것이나 ID번호가 지정되면 양자에게 대응하고 있는 잔금의 가산액 범위에서 노무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새로운 ID번호가 부여된 시점에서, 오래된 ID번호를 말소하는 등의 무효화처리를 수행하고, 오래된 ID번호에 대응한 잔금을 새로운 ID번호에 이전하도록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노무 제공회사에서는 이러한 처리를 결제 인증장치 내의 소프트웨어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산처리가 수행된 후, 오래된 ID번호에 대하여 납입되어 있던 잔액과 새로운 ID번호에 대한 납입금액이 가산되어, 사용자는 오래된 ID번호를 사용하여 합산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노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원칙으로서 각 매체에는 고유의 ID번호가 부여되고, 복수의 매체가 동일한 ID번호는 가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한 ID번호의 체계를 어느 시점에서 일제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표시잘못(misrepresentation) 예방 등, 보안(security)면에서 유효하다.
또, 매체를 복수 매 묶은 책자 또는 직사각형으로 하여, 복수 매의 매체의 ID번호에 일련번호를 부가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ID번호이지만 상이한 일련번호를 갖는 매체를 점포에서 결제용 단말장치(20)를 사용하여 지불하는 것에 의해, 결제 인증장치 내에서는 동일한 ID번호로 결제된 금액을 가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매체는 잔액이 없어진 경우, 또는 적어진 경우에 다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 가능한 선불카드(rechargeable prepaid card)라고도 부를 수 있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는 하나의 매체로 복수의 노무 제공회사에 대하여 노무 제공 의뢰가 가능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2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예1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결제용 단말장치(20)를 구비하는 점포와 결제 인증장치(30)와 노무 제공장치(35)를 갖는 노무 제공회사 사이에 결제 관리장치(50)를 가지는 노무 관리회사를 두는 점에서 상이하다.
결제 관리장치(50)는 결제용 단말장치와 복수의 노무 제공회사 사이의 중개를 하는 것이다. 즉 결제 관리장치(50)는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 ID번호가 송신된 경우에, ID번호와 함께 송신되어 온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지정된 노무의 제공을 하는 노무 제공회사(a, b, c, ..., h)를 특정하여, 그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에 ID번호와 납입금액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제 관리장치(50)는 모든 노무 제공회사에 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독립하여 설치되는 외에,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를 노무 관리회사 내에 일괄해서 결제 관리장치(50)와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결제용 단말장치(20)가 매체(10)로부터 판독하는 정보는, 도 1에 나타내는 시스템과 달리, 노무의 종류를 특정하는 데이터인 노무 지정정보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즉, 복수의 노무 제공회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떤 노무 제공회사에서 노무를 제공받고자 하는지를 선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매체마다 노무 제공회사를 일의적으로 정하고 그 노무 제공회사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매체에 기록해 두는 외에, 사용자가 점포에서 노무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매체에는 노무 지정정보를 기록해 두지 않고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노무 제공회사를 특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노무 지정정보는 ID번호와 함께 결제 관리장치(50)에 전송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처음에, 사용자가 잡지 내의 광고 및 게시판에 공고·배포 등의 판매촉진 활동, 또는 편의점 내에 배치되어 있는 매체(10)를 입수하거나, 또는, 온라인 전표 등의 매체를 전화회선, 무선 등을 통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편의점의 결제용 단말장치(POS 금전등록기)(20, 22, 24, 26)로 미리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금액의 대금을 지불한다. 결제용 단말장치(POS 금전등록기)(20)를 통과한 시점에서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ID번호는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제 관리장치(50)에 송신된다.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의 정보는 모두 결제 관리장치(50)에 전송된다.
결제 관리장치(50)에서는 ID번호 개통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다. 결제 관리장치(50)는 노무의 종류를 특정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노무 제공회사를 배당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예를 들면, 국제전화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노무 제공회사가 복수 개 있고, 각각의 노무 제공회사마다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와 노무 제공장치(35a, 35b, ..., 35h)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매체(10)에 노무 제공회사를 특정하는 정보를 바코드로 기록해 둔다. 그리고 결제용 단말장치(20)는 이 정보를 ID번호와 함께 판독하여 결제 관리장치(50)에 일괄해서 송출한다. 결제 관리장치(50)는 노무 제공회사마다 정보를 통합하여 개개의 노무 제공회사가 가지는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에 선별하여 보낸다. 결제 인증장치(30)에서는 전송된 ID번호의 개통이 인증된다.
노무를 제공받는 경우에, 사용자는 노무 제공장치(35a, 35b, ..., 35h)에 정보 단말장치(40)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노무 제공장치(35a, 35b, ..., 35h)의 액세스 포인트에 액세스한다. 통화가 시작되면 응답 안내가 노무 제공장치 또는 결제 인증장치로부터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것에 따라서 ID번호를 입력한다.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는, 그 ID번호가 미리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에 등록된 ID번호와 일치하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노무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결제 인증장치는 잔금이 남아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여, 잔금이 남아 있는 경우 통화를 허가한다. 잔금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노무를 제공하지 않는다. 노무의 제공이 허가된 시점에서, 사용자는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통화한다. 통화가 종료하면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는 사용한 통화분을 노무량에서 뺀다. 또, 통화중에도 결제 인증장치(30a, 30b, ..., 30h)는 사용자의 노무량 잔액과 노무 제공을 관리하여 잔액이 미리 정해진 잔액이 되면 「잔금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라는 취지의 안내에 의한 경고를 정보 단말장치에 제공한다. 잔액이 O이 된 시점에서 노무 제공장치는 그 노무의 제공을 종료한다.
다음에 금액결제의 흐름과 송신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2의 결제시스템을 거래로 본 경우의 상관도를 나타낸 것이다.
편의점 등과 같은 매체의 결제를 수행하는 점포(납입장소)는 이 시스템의 사용을 보급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구매 고객)에 대하여 점포 앞의 광고지나 점포 내의 광고지 등등을 이용하여 광고선전을 수행한다(S1). 또, 본 시스템의 노무관리를 수행하는 노무 관리회사도 점포 앞의 광고지나 잡지,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미디어, 가두, 이벤트 개최지 등에서의 판매촉진활동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광고선전을 수행한다(S2). 또한, 노무(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무 제공회사 자체도 점포 앞의 광고지나 신문, 잡지,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미디어, 가두, 이벤트 개최지 등에서의 판매촉진활동 등을 이용하여 광고선전을 수행한다(S3). 사용자는 이렇게 하여 작성된 매체를 입수한다(S4). 그리고 사용자는 입수한 매체를 점포에 가지고 가 점포에서 대금을 지불하여 납입금액을 결제한다(납입: S5). 점포는 노무 관리회사 및 노무 제공회사에 매출을 보고한다(매출보고: S6, S7). 노무 제공회사는 이러한 보고에 따라 사용자에게 노무를 제공하기 위해 ID번호를 해방하는, 즉 ID번호의 사용을 유효화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유효화 처리: S8).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노무 제공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노무 제공의 조건을 충족하면 노무를 제공한다(S9). 노무 제공회사 및 노무 관리회사는 사용자의 ID번호의 용량에 의해 노무 ID량과 지불 요금을 증감 관리한다(관리: S10). 점포는 납입한 대금을 노무 관리회사에 지불하고, 노무 관리회사는 이것을 노무 제공회사에 지불한다(지불: S11, S 12).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불한 노무 이용요금의 잔액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매체를 결제함으로써 자기의 ID번호에 재구입액을 가산시키는 경우도 있다(재구입: S13).
이러한 거래 상관도로 나타내는 것 같은 과정을 거쳐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이 운용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거래에서의 정보 전달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점포, 노무 관리회사 및 노무 제공회사가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하는 광고선전의 단계에서는 매체에는 노무 관리회사명, 노무 제공회사명, 노무 상품명, 납입금액, 유효기한 및 ID번호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에 필요에 따라 정보 항목을 증감할 수도 있다.
납입금액을 점포에서 결정 가능한 경우에는 납입금액이 불필요하다. 노무 제공회사를 점포에서 결정 가능한 경우에는 노무 제공회사명이나 노무 상품명이 불필요하다.
점포가 노무 관리회사 및 노무 제공회사에 대하여 매출보고 시에는 상기 정보 외에 이 매체를 결제하여 대금을 납입한 점포명 및 납입연월일 시간을 부가하여 전달한다. 사용자와 노무 관리회사 및 노무 제공회사 사이의 노무 관리는, 모두 ID번호와 노무잔액에 따라서 수행된다. 점포에서 노무 관리회사 및 노무 제공회사에 대하여 지불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ID번호, 납입한 점포명, 납입연월일, 시간 및 지불 금액의 정보가 전달된다.
이들 정보내용은 바코드 등의 스캔에 의해서 통상 이루어지며, 입력 후에는 회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디지털정보로서 구성된다. 또, 노무 관리회사명, 노무 제공회사명, 노무상품명, 납입금액, 유효기한 및 ID번호는 바코드화하여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소정 포맷에 기초하여 바코드화 되어 있다. 또한, 노무 관리회사명, 노무 제공회사명 및 노무 상품명 등이 동일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서브 ID의 발행을 결제 인증장치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결제용 단말장치(20)는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노무를 지정하지 않고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한다. 한편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30)는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특정 ID번호와 함께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특정 ID번호가 스스로 저장하는 서브 ID번호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하여,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또 결제 관리장치(50)에 문의한다. 이 특정 ID번호가 자신의 서브 ID번호로서는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결제관리장치에서 유효화된 ID번호인 경우에는, 결제 인증장치(30)는 새로운 서브 ID번호를 생성하여 잔액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잔액이 있으면 노무를 제공하게 한다. 즉, 서브 ID번호는 결제 인증장치가 처음으로 액세스된 경우에 발행되는 것이 된다. 이후 동일한 노무 제공회사에 대한 노무 제공 요구는 발행된 서브 ID번호를 사용자가 제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인증의 순서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무를 미리 특정 매체, 예를 들면 음악배달전용 선불카드(10a)나, 휴대전화전용(특정 전화회사) 선불카드(10b)를 발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ID번호 자체가 특정 노무와 관련 지워지고 사용자는 전혀 노무 지정을 위한 조작을 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예3은 상기 실시예2에 있어 점포에서 복수의 노무 제공회사를 지정 가능하도록 한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하다. 단지, 결제용 단말장치(20)는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노무 제공회사(a, b, c, ..., h)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결제용 단말장치에서 지정된 각 노무 제공회사에 납입 금액으로부터 배당하는 개별의 금액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노무 제공회사의 지정이나 그 개별 금액의 지정은, 사용자가 구두로 지정하는 노무를 점원에게 전하고, 점원이 결제용 단말장치의 키보드로 입력함으로써 이루어지든가 미리 준비 되어 있는 노무 제공회사 일람 바코드나 금액일람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사용자가 패널조작이나 버튼조작으로 직접 이들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결제용 단말장치(20)는 지정된 노무 제공회사마다 서브 ID번호를 발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서브 ID번호는 원래의 ID번호와 관련되는 것과 같은 일련번호 붙인 것이어도, 전혀 다른 번호이어도 된다. 지정된 노무 제공회사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노무 지정정보로서, 그 할당된 납입금액, 서브 ID번호와 함께 대응하는 노무 관리회사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결제 관리장치(50)는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정보가 송신되어 오면, 상기 서브 ID번호와 함께 송신된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한다. 그리고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된 노무 제공회사를 특정하여 상기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에 노무 지정정보에 대응하고 있는 개별 잔액정보와 서브 ID번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운용상 지장이 없으면, 서브 ID번호를 생성하지 않고 어느 노무 제공회사에서도 동일한 ID번호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서브 ID번호 등의 정보가 송신된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와 노무 제공장치에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3에 의하면, 복수의 노무를 제공하는 노무 제공회사가 공동으로 이 결제시스템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노무 제공회사에서는, ID번호가 송신되어 온 경우에, 각각 할당된 금액의 범위에서 노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는 한번의 매체 결제로 복수의 노무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가 있어 상기 결제시스템을 이용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노무의 사용빈도에 따라 사용자는 자유롭게 할당하는 금액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불한 금액의 범위에서 자기가 희망하는 노무를 적당히 받을 수 있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실시예4는 매체 결제 후에 자유롭게 노무 선택이 가능한 결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예4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6에 나타낸 상기 실시예2의 구성과 동일하지만, 노무 관리회사에서 결제 관리장치(50)에 노무 선택장치(70)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결제단말장치(20),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30) 및 노무 제공장치(35)에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결제용 단말장치(20)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노무를 지정하지 않고 결제하도록 되어 있다. 결제금액은 미리 매체에 기록해 두어도, 사용자가 점포에서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매체(10)를 결제한 후에, 노무 관리회사에 연락하여 노무 선택장치(70)를 사용하여 노무 지정과 금액지정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노무 선택장치(7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접속된 경우, ID번호의 제시와 함께 노무 지정(하나 이상)을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상기 노무에 할당된 개별 잔액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지정한 노무에 얼마의 금액을 할당하는 가를 선택할 수 있다.
결제 관리장치(50)는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 ID번호가 송신되고, 또한, 노무 선택장치(70)로부터 노무 지정정보 및 개별로 지정된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노무마다 서브 ID번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노무 제공회사의 결제 인증장치(30)에 노무 지정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잔액정보와 상기 서브 ID번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각 노무 제공회사(a, b, c, ..., h)에서는 서브 ID번호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준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동일한 ID번호를 사용하더라도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각 노무 제공회사에서 동일한 ID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결제시스템은 콘서트, 호텔, 항공권 등의 이용에 있어 티켓구입 및 예약 예금(reservation deposit) 결제시스템 등에 적용 가능하다. 도 9에 이러한 결제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 처리에서, 결제 관리장치(50)에는 결제 인증장치(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매체(10)로, 편의점의 결제용 단말장치(20)에서 미리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금액(납입금액)의 대금을 지불한다. 결제용 단말장치(POS 금전등록기)(20)를 통과한 시점에서 매체(10)에 기재되어 있는 ID번호는 공중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결제 관리장치(50)에 송신된다. 결제 관리장치(50)에서는 결제 인증장치로서의 처리가 수행되어 ID번호의 개통이 인증된다.
다음에, 사용자는 결제 관리장치(50)에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노무 제공회사를 지명하고,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입력하고, 결제번호를 수리한다. 이용당일, 사용자는 노무 제공회사 창구에 결제번호가 기재, 등록된 매체(11)를 지참하여 서비스를 받는다. 결제번호가 기재, 등록된 매체(11)는, 우송, 온라인 전표로 취득할 수도 있다. 또, FD, 휴대단말의 ID, IC 카드 등 디지털매체로서 취득하여, 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노무 제공회사 창구에서 디지털매체를 판독하여, 결제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도 9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사용자는 결제용 단말장치(20)로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매체(10)의 ID번호를 유효화 한다. 그 후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호텔(노무 제공장치(35a, 35b, ..., 35h) 중 예를 들면 35a)을 예약하면, 결제 인증장치(30a) 에서 예약의 가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노무 제공장치(35a)에 통지한다. 이 때 노무 제공장치(35a)는 정보 단말장치(40)에 결제번호(11)를 통지한다. 복수의 호텔을 예약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호텔마다 결제번호를 취득한다.
숙박하는 당일, 사용자는 호텔의 프론트에 매체를 지참하여, 그 호텔에 대해 받은 결제번호를 알린다. 회계 시에, 이미 결제한 금액으로부터 사용자가 제공받은 노무에 상당하는 노무량이 감산되어 정산된다. 정산액이 예상보다 적고, 매체에 대한 납입금액이 남은 경우에는, 상기 매체를 다음 번의 호텔예약에 이월하든지 그 자리에서 금액반환 하든지 처리가 가능하다. 정산액이 매체에 대한 납입금액을 넘은 경우에는 그 차액을 사용자가 불입한다.
이상 설명한 처리순서와 동일한 결제방법은 항공권의 구입, 예능·이벤트·콘서트 등의 티켓구입 시의 요금지불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도 10은, 상기 실시예2에 의한 결제시스템의 실시예를 시스템 흐름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의 정보를 일괄해서 관리하는 결제용 단말 관리장치(60)를 새롭게 구비하고, 이 관리장치(60)는 점포가 편의점인 경우에 편의점의 본부로 설정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도 6의 시스템과 동일하다.
먼저, 노무 제공장치(30)를 구비하는 노무 제공회사는 이 노무를 제공해주기 위한 팜플렛에 결합된 매체(10)를 발행한다(단계 101). 또한, 이 매체(10)는 노무 제공회사뿐만 아니라 결제 관리장치(50)를 구비하는 노무 관리회사에서도 발행 및 배포된다(단계 102). 이 매체(10)를 입수한 사용자는 결제용 단말장치(20)가 설치된 점포에서 요금을 지불한다(단계 103). POS(22, 24, 26)에서 판독된 실제 납입정보는 공중 네트워크(70)를 통하여 결제 인증장치(30)를 구비하는 노무 제공회사 및 노무 관리회사에 전달된다(단계 104a, 104b). 이 실제 납입정보에 따라 결제 인증장치(30)는 카드의 사용을 유효화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105). 또한, 추가금액이 뒤에 지불된 경우에 잔액의 증가처리도 결제용 단말장치(20)로부터의 실제 납입정보에 따라 결제 인증장치(30) 내에서 행해진다. 결제 관리장치(50)를 구비하는 노무 관리회사를 통해서도 이러한 잔액 증가처리나 ID번호의 갱신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점포와 점포본부에서의 통신처리(S106a, S106b), 점포본부와 노무관리회사간의 통신처리(S107a), 노무 관리회사와 노무 제공회사간의 통신처리(S107b)는 공중 네트워크(70)를 통한 양방향 통신으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매체(10)로서 사용되는 전표 예를 나타낸다. 이 전표(10)는 예를 들면, 인터넷상의 홈 페이지를 액세스하여 신청하여 우송된 것이다.
이 전표(10)에는 ID번호가 표시되고, 편의점 등에서 소정 금액을 지불했을 때에, POS 단말에서 ID번호와 기타 필요한 정보 및 입금된 결과를 결제 인증장치(30)에 송신하면, 이후 ID번호가 유효화된다.
전표(10)에는 이용안내 등이 기재된 설명부(110), ID번호 및 ID번호 사용에 관한 주의가 기재된 ID번호부 및 전표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전표부(130)는 일반적인 납입 취급표와 마찬가지로, 본부 제출용 전표부(140), 점포용 전표부(150) 및 수령증부(160)로 이루어지고, 본부 제출용 전표부(140)에는 점포번호, 유효기한기타 필요한 정보가 바코드(140A, 140B, 140C, 140D)로 표시되어 있다. 결제용 단말장치(20)에서는 이들 바코드를 판독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한다. 또 본부 제출용 전표부(140)에는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란(142), 납부할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란(144), 받는 사람을 나타내는 수취인란(146), 및 수령 일부인(日附印)을 날인하는 날인란(148)이 있다. 점포용 전표부(150)에는, 납부할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란(152),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란(154), 받는 사람을 나타내는 수취인란(156), 및 수령 일부인을 날인하는 날인란(158)이 있다. 수령증부(160)에는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란(162), 받는 사람을 나타내는 수취인란(164), 납부할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란(166) 및 수령 일부인을 날인하는 날인란(168)이 있다.
도 13은 도 10의 전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전표(10)는 1매의 전표에 2개 전표부(132, 134)가 있고, ID번호부(120)에는 각 전표부(132, 134)에 대응한 2개의 ID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표 1매에 복수의 전표부(132, 134)를 설치함으로써 수취인쪽은 여러 번의 송금을 위한 처리를 한번의 우송처리로 끝마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송금금액을 적당히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도 13의 전표는 인쇄물로서 우송 등의 방법으로 사용자에 배포되는 것이며, 또는 정보 단말장치(40)로부터 프린트아웃되는 온라인 전표이다. 또한 전표의 형태를 취하지 않고서 정보 단말장치(40)에서 표시되는 ID번호 그 자체를 매체로 취할 수도 있다.
도 14는 온라인 전표(10), ID번호 그 자체를 매체로 한 결제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노무 제공회사(35)가 통신판매회사인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정보단말(40)에 액세스하여, 정보단말(40)을 통하여 통신판매회사(35)에서 상품을 선택한다. 다음에 지불방법을 온라인 전표 또는 ID번호를 선택하면 정보단말(40)을 이용하여 온라인 전표 또는 ID번호를 입수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ID번호 또는 온라인 전표의 ID번호 기타 정보는 결제 인증장치(30)에도 송신된다. 그 후 사용자는 ID번호 또는 온라인전표를 이용하여, 결제용 단말장치(20)로 대금결제를 수행한다. 이 정보는 결제 인증장치(30)에 송신되어 인증 후에 결제결과를 통신 판매회사(35)에 통지한다. 통신 판매회사(35)는 이것에 따라 사용자에게 상품을 공급한다. 상품공급의 형태는, 통신 판매회사(35)로부터 물류회사를 통하여 직접 수행하고, 또는 결제용 단말장치(20)를 구비하는 편의점 등에서의 사용자에의 인도를 이용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결제용 단말장치, 노무 관리장치, 노무 선택장치, 결제 인증장치 및 노무 제공장치와 같이 구분하였지만, 이와 같이 분리시킬 필요는 전혀 없고 기능상 이들 장치에 상당하는 작용을 하면 충분하다. 즉, 이들 장치 중 1이상이 동일한 장치로 실현되더라도, 이들 장치가 또 상세하게 기능상 분리한 장치로 나누고 있더라도, 이들 장치 이외의, 동등한 기능을 하는 장치편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품대금을 결제한 시점에서 ID번호가 유효하게 되어, 노무를 받는 권리가 발생하는 선불방식(prepaid method)에 의한 결제시스템이며, 국제전화 등의 통신서비스,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판매,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 컨텐츠판매, 인터넷 정보 제공자로부터의 정보제공서비스, 음성정보서비스, 회비납입, 이벤트 티켓구입 및 항공권 등의 판매 등의 여러 가지 노무를 제공을 받는 서비스시스템에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하여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 및
    상기 결재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상기 잔액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상기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를 판정하고;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인증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와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고;
    상기 매체는 상기 ID번호 및 기타 정보가 기록되고,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이 지정된 전표이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는 상기 전표에 기록된 ID번호 및 기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동시에, 입력된 ID번호 및 기타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금액을 지불한 것을 송신할 수 있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2.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 및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 상기 잔액정보 및 상기 노무 지정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ID번호, 상기 잔액정보 및 상기 노무 지정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된 노무에 대응하는 결제 인증장치로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관리장치; 및
    상기 결제 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ID번호에 상기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를 판정하고, 노무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 상기 결제 관리장치 및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는 상기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하나 이상의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와 납입금액 중에서 지정된 각 노무에 할당하는 금액에 상당하는 개별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 상기 노무 지정정보 및 상기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결제 관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결제 관리장치는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ID번호, 상기 노무 지정정보 및 상기 개별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노무 지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하나 이상의 노무에 대응되는 결제 인증장치 각각에 노무 지정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잔액정보와 상기 ID번호를 송신하며;
    상기 결제 인증장치 각각은 상기 결제 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ID번호에 상기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4.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ID번호 및 상기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ID번호를 유효화 하여 상기 잔액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어느 결제 인증장치로부터 특정 ID번호가 유효화 되어 있는지에 대한 조회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가 유효화 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대응하는 잔액정보와 함께 그 결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관리장치; 및
    서브 ID번호와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ID번호와 함께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특정 ID번호가 상기 서브 ID번호 또는 상기 결제 관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ID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특정 ID번호가 서브 ID번호와 일치하지 않지만 상기 결제관리장치에서 유효화된 ID 번호인 경우에 새로운 서브 ID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정보 단말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 상기 결제 관리장치 및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5. 미리 사용자가 지불한 금액에 따라 노무를 제공하기 위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매체의 결제 시에, 상기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ID번호를 판독하고,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납입금액에 상당하는 잔액정보를 입력시키고, 상기 ID번호와 상기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결제 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용 단말장치;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ID번호의 제시와 함께 하나 이상의 노무 지정을 받고, 상기 노무를 지정하는 노무 지정정보를 상기 노무에 할당된 개별 잔액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노무 선택장치;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ID번호가 송신되고 상기 노무 선택장치로부터 상기 노무 지정정보 및 상기 개별 잔액정보가 송신된 경우에,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하나 이상의 노무에 대응하는 결제 인증장치 각각에, 상기 노무 지정정보에 대응하는 개별 잔액정보와 상기 ID번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결제 관리장치; 및
    상기 결제 관리장치로부터 송신된 ID번호에 상기 개별 잔액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작하는 정보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상기 ID번호 및 상기 개별 잔액정보를 참조하여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노무 제공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정보 단말장치에 대한 노무 제공을 허가하고, 상기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상기 개별 잔액정보로부터 감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인증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 상기 노무 선택장치, 상기 결제 관리장치 및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되어 있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상기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ID번호가 유효화 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이 현재의 잔액보다 많을 때, 상기 노무 제공을 금지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새로운 ID번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새로운 ID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참조하고,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새로운 ID번호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상기 ID번호를 유효화 하고,
    상기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이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과 새로운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의 합계액보다 많을 때에, 상기 노무 제공을 금지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상기 ID번호에 대응시켜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새로운 ID번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새로운 ID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특정정보를 참조하고, 동일 사용자에 대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ID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미 등록된 ID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되는 잔액을 새로운 ID번호에 대응되는 잔액에 가산하고, 상기 새로운 ID번호를 유효화 하고, 이미 등록된 ID번호에 대응하는 잔액정보를 말소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다른 ID번호를 부여한 매체가 분리 가능한 복수 매 묶음 형태로 공급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상기 노무 제공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 제공하고자 하는 노무량에 상당하는 금액을 현재의 잔액으로부터 감액한 값이 기준금액보다 적을 때에, 상기 정보 단말장치로 경고정보를 송신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표는 시트 1매에 다른 ID번호를 부여한 복수의 전표가 떼어 낼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인증장치에서 사용하는 ID번호는, 각 노무에 대응하여 생성된 서브 ID번호인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D번호는 상기 매체마다 상이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입금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결제 인증장치는 ID번호와 함께 상기 입금정보를 받았을 때에, 잔액정보에 상기 입금정보를 가산한 금액을 새로운 잔액정보로 하는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ID번호가 기록되어 있는 매체.
KR10-2001-7006996A 1998-12-04 1999-12-06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KR100511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5503 1998-12-04
PCT/JP1998/005503 WO2000034905A1 (fr) 1998-12-04 1998-12-04 Systeme de reglement de service par numero d'identification
JPPCT/JP98/05503 1998-12-04
WO9805503 1998-12-04
PCT/JP1999/006826 WO2000034906A1 (fr) 1998-12-04 1999-12-06 Systeme de paiement par numero d'identification de services reç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546A KR20010089546A (ko) 2001-10-06
KR100511849B1 true KR100511849B1 (ko) 2005-09-02

Family

ID=1420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996A KR100511849B1 (ko) 1998-12-04 1999-12-06 노무 이용 id번호 결제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00153250A1 (ko)
EP (1) EP1197906B1 (ko)
JP (2) JP3322673B2 (ko)
KR (1) KR100511849B1 (ko)
CN (2) CN1329732A (ko)
AT (1) ATE304721T1 (ko)
AU (1) AU1415600A (ko)
DE (1) DE69927297T2 (ko)
ES (1) ES2249066T3 (ko)
HK (1) HK1042568A1 (ko)
TW (1) TW460817B (ko)
WO (2) WO2000034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6630B2 (en) 1999-08-19 2014-04-22 E2Interac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authorizing and distributing stored-value card data
DE10016037B4 (de) 2000-03-31 2005-01-05 Interlock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tiketts oder einer Chipkarte
JP2002032668A (ja) * 2000-07-17 2002-01-31 Sony Corp 課金情報処理方法及び課金情報処理装置
JP4573078B2 (ja) * 2000-10-26 2010-11-04 ネッツエスアイ東洋株式会社 画像配信による通信販売システム
JP2002230492A (ja) * 2001-02-01 2002-08-16 Chip On Media:Kk 複合情報記録カードの使用方法及びその通信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938930B2 (ja) * 2001-02-07 2012-05-23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カード決済装置、カード決済方法、カード決済プログラム、およびカード決済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245384A (ja) * 2001-02-21 2002-08-30 Dainippon Printing Co Ltd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注文商品の代金精算方法
JP2002366793A (ja) * 2001-06-08 2002-12-20 Ntt Docomo Inc 取引仲介方法、取引方法、取引仲介システムおよび取引システム
KR100552621B1 (ko) * 2002-12-12 2006-02-20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네트워크망을 통한 자동 디브이디 타이틀 대여시스템
US7472822B2 (en) * 2005-03-23 2009-01-06 E2Interactive, Inc. Delivery of value identifiers using short message service (SMS)
US20110057030A1 (en) * 2009-09-04 2011-03-10 Omesh Persaud Card Including Account Number With Value Amount
EP2477164B1 (en) * 2009-09-11 2019-11-27 Glory Ltd. Currency handling device, and currency handling method
JP5209101B2 (ja) * 2011-09-27 2013-06-1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メッセージ送受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08758B1 (ja) * 2013-03-11 2014-02-0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販売促進システム、販売促進方法および販売促進プログラム
JP6650783B2 (ja) * 2016-02-26 2020-02-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及び決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257A (ja) * 1991-10-03 1993-04-23 Taiko Denki Seisakusho:Kk カード式料金管理システム
JPH10302126A (ja) * 1997-04-23 1998-11-13 Media Guritsupu Kk カード情報を端末で読取らせた販売時点で 前払いカードが発効する電子決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9686A (en) * 1976-11-03 1979-12-18 Bonicalzi Maria P System for checking the authenticity of identification papers
JPH0311492A (ja) * 1989-06-09 1991-01-18 Hitachi Ltd プリペイド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プリペイドカード
US4969183A (en) * 1989-08-28 1990-11-06 Morris Reese Telephone lotto number system and service
JPH0563855A (ja) * 1991-08-30 1993-03-12 Iwatsu Electric Co Ltd 通話管理装置
US5249044A (en) * 1992-05-05 1993-09-28 Kohorn H Von Product information storage, display, and coupon dispensing system
US5353335A (en) * 1992-08-03 1994-10-04 At&T Bell Laboratories Multilingual prepaid telephone system
US5640447A (en) * 1993-08-30 1997-06-17 Fonseca; David Debit calling label
JP3487624B2 (ja) * 1993-12-02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公営競技プリペイドカードシステム
EP0734556B1 (en) * 1993-12-16 2002-09-04 Open Market, Inc. Network 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uch system
JPH07319810A (ja) * 1994-04-01 1995-12-08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を利用可能なゲーム機用通信装置並びにゲーム機
US5577109A (en) * 1994-06-06 1996-11-19 Call Processing, Inc. Pre-paid card system and method
US5511114A (en) * 1994-06-06 1996-04-23 Call Processing, Inc. Telephone pre-paid calling card system and method
JPH08214281A (ja) * 1995-02-06 1996-08-20 Sony Corp 課金方法および課金システム
US5761648A (en) * 1995-07-25 1998-06-02 Interactive Coupon Network Interactive marketing network and process using electronic certificates
US5878141A (en) * 1995-08-25 1999-03-02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ized purchasing system and method for mediating purchase transactions over an interactive network
US5712914A (en) * 1995-09-29 1998-01-27 Intel Corporation Digital certificates containing multimedia data extensions
US5673309A (en) * 1995-11-17 1997-09-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ATM phone card system
US5825863A (en) * 1995-12-11 1998-10-20 Walker Asset Management Limited Partnership Prepaid limited usage calling card
US5845259A (en) * 1996-06-27 1998-12-01 Electronic Consumer Concepts, L.L.C. Electronic coupon dispensing system
JPH10222566A (ja) * 1997-02-05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自動注文機
US6999936B2 (en) * 1997-05-06 2006-02-14 Sehr Richard P Electronic ticketing system and methods utilizing multi-service visitor cards
US6000608A (en) * 1997-07-10 1999-12-14 Dorf; Robert E. Multifunction card system
US6422459B1 (en) * 1997-10-15 2002-07-23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off-line loading of stored value cards using a batch-load terminal
US6422462B1 (en) * 1998-03-30 2002-07-23 Morris E. Coh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credit cards and credit card transactions
US6473500B1 (en) * 1998-10-28 2002-10-29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prepaid card
US6327578B1 (en) * 1998-12-29 2001-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ur-party credit/debit payment protocol
US6467684B2 (en) * 1999-03-02 2002-10-22 Netvisions, Inc. Pre-paid card system for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257A (ja) * 1991-10-03 1993-04-23 Taiko Denki Seisakusho:Kk カード式料金管理システム
JPH10302126A (ja) * 1997-04-23 1998-11-13 Media Guritsupu Kk カード情報を端末で読取らせた販売時点で 前払いカードが発効する電子決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4906A1 (fr) 2000-06-15
DE69927297T2 (de) 2006-07-13
EP1197906B1 (en) 2005-09-14
ATE304721T1 (de) 2005-09-15
HK1042568A1 (zh) 2002-08-16
TW460817B (en) 2001-10-21
KR20010089546A (ko) 2001-10-06
EP1197906A4 (en) 2002-11-20
JP3322673B2 (ja) 2002-09-09
JP2004334901A (ja) 2004-11-25
AU1415600A (en) 2000-06-26
WO2000034905A1 (fr) 2000-06-15
US20100153250A1 (en) 2010-06-17
CN1329732A (zh) 2002-01-02
CN101241579A (zh) 2008-08-13
DE69927297D1 (de) 2005-10-20
EP1197906A1 (en) 2002-04-17
ES2249066T3 (es)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69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mporary credit authorizations
US20100153250A1 (en) Service utilization id number settlement system
US7316350B2 (en) Multi-purse card system and methods
US7086590B2 (en) Pay-by-card method and pay-by-card system for home delivery service
EP1934920B1 (en) Money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2001001867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nic-card settlement through an internet network
US7334724B2 (en) System for operating a prepaid reloadable debit card having ancillary services
JP2002024730A (ja) 携帯電話による電子決済方法とシステム
WO2000054490A1 (fr) Systeme de gestion de facturation telephonique
JP2004334901A6 (ja) 役務受益id番号決済システム
JP2001134684A (ja) 決済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ビス提供装置、通信制御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083237A (ja) プリペイドシステムによる電子商取引の決済管理方法
JP2002083237A5 (ko)
KR1006366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상품권 서비스 시스템 및 상품권서비스 서버
JP2001167208A (ja) 役務受益id番号決済システム
KR200200342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요금 청구 및 수납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59089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その現金自動取引装置と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2004145772A (ja) 決済支援システム
JP4230197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発行システム
JP2002117351A (ja) 決済システム
KR20020036082A (ko) 현금지급기 및 증명서 발급기를 이용한 티켓발행시스템
KR200265252Y1 (ko) 결제 선택용 신용카드 조회기
JP2008084241A (ja) 自動取引装置利用手数料蓄積システム
JP2008234512A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KR20030025972A (ko) 결제 선택용 신용카드 조회기 및 그 조회기의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