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805B1 - 견인요소를구비한조립완구세트 - Google Patents

견인요소를구비한조립완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805B1
KR100511805B1 KR10-1998-0701848A KR19980701848A KR100511805B1 KR 100511805 B1 KR100511805 B1 KR 100511805B1 KR 19980701848 A KR19980701848 A KR 19980701848A KR 100511805 B1 KR100511805 B1 KR 10051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element
coupling
elongate flexible
coupling means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598A (ko
Inventor
빅키 시세 데그너
Original Assignee
레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레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19990044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3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wires, springs, suction cups, telescopic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4Flexible member is joint component

Landscapes

  • Toy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Adornmen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보호되어야 하는 요소는 각각의 단부에서 결합 스터드(6)에 결합될 수도 있는 결합 장치(3)를 갖는 견인 스트링(2), 체인 또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된 요소이다. 상기 요소는 요소를 견인하는 경우에 모멘트가 상기 마찰력에도 불구하고 결합 장치(3)를 비틀어서 결합 스터드(6)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결합 장치(3)에 영향을 주어 스트링(2), 체인 등이 결합 장치(3)에 높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견인 요소를 구비한 조립 완구 세트{A TOY BUILDING SET WITH PULL ELEMENT}
본 발명은 스트링,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의 기다란 가요성 요소를 구비한 견인 요소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도입부에 설명된 형태의 조립 완구 세트에 관한 것으로, 기다란 가요성 요소의 일단부는 그 하면에 조립 완구 세트의 일부분인 다른 조립 요소상에 하나 이상의 짝결합 스터드와 마찰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갖는 결합 수단에 고정된다.
조립 완구 세트에서, 견인 요소는 조립 완구 세트 부품과 조립 될 수 있는 구성체 부분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예컨대 결합 수단으로서 크레인 후크 등이 이용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리프트 요소로서 기차 세트의 개별 차량의 연결을 가능케 하는데 사용되는 견인 요소는 구성체 사이에 견인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공지된 견인 요소는 결합 수단에 고정된 영역에서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결합 수단과 짝결합 스터드 사이의 결합 방향에 평행 연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설계로 견인 요소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는 견인력은 결합 수단과 짝결합 스터드 사이의 마찰력으로 제한되는데, 이런 제한은 조립 완구 세트의 개별 블록이 용이하게 상호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하도록 상기 마찰력이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불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결합 수단과 짝결합 스터드 사이의 결합 방향에 수직 연장됨으로써 전달될 수도 있는 견인력이 상기 마찰력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다른 형태의 견인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후자 형태의 공지된 견인 요소는 전달될 수 있는 견인력이 기다란 가요성 요소의 인장 강도, 또는 기다란 가요성 요소와 거기에 고정된 결합 수단 사이의 연결 영역의 강도를 초과할 수도 있다는 결점이 있다. 실제로, 상기 결점은 견인 요소를 파괴시키나 또는 결국 견인 요소를 장착 구성체를 파손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서 설명된 형태의 견인 요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견인 요소가 이의 인장 강도를 초과하는 견인력에 의해 파괴되는 위험을 수반하는 요소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 수단과 짝결합 스터드 사이의 마찰력을 초과하는 견인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다른 요소에 장착된 도1에 따른 견인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결합 수단이 그 하면에 하나의 회전 대칭 결합 스커트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상기 결합 수단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의 인장 강도 보다 낮으며 상기 결합 수단과 상기 짝결합 스터드 사이의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내의 견인력이 상기 결합 수단 상에 상기 결합 수단 및 상기 짝결합 스터드를 견인하기에 마찰 결합 이상으로 충분히 큰 비틀림 모멘트를 초래하며,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상기 결합 수단에 체결된 영역에서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제공된, 본 발명의 도입부에 기술된 견인 요소에 의해 얻어진다.
청구항 2는 견인 요소가 상기 요소의 정상 작동 중에 소성 변형되지 않음을 추가로 보장하는 편리한 실시예를 정의하고 있다.
청구항 3에 정의된 특징에 따라,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와 결합 수단 사이의 연결 영역의 인장 강도를 초과하는 견인 강도를 갖는 경우에 정상적인 사용 중에 파괴되지 않는 요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견인 요소에는 청구항 4의 특징에 따라 각각의 단부에서 결합 수단이 제공된다. 청구항 5의 특징에 따라 모든 단부에서 동일한 설계를 갖는 결합 수단은 적어도 견인 요소의 일단부가 상기 요소를 파괴시키기 전에 마찰 결합을 해제시키므로 견인 요소가 장착된 짝결합 스터드 중 하나가 변형되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도 있는 마찰력 증가를 허용한다는 높은 확실성을 제공한다.
청구항 6은 결합 수단도 짝결합 스터드를 가지므로 견인 요소의 2개 이상의 단부가 상호 연결될 수도 있는 특징을 갖는 양호한 실시예이다. 상기 특징으로 견인 요소는 보통의 놀이 중에 파괴되지 않고도 여러 상이한 적용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청구항 7의 특징에 따라 결합 수단의 상부와 하면 사이에 주조 공정에서 기다란 가요성 요소를 고정하여, 코어가 없는 주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목적으로 사출 성형 기계를 사용하면 코어 발출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한다.
청구항 8의 특징에 따라, 기다란 가요성 요소는 상기 연결이 유리하도록 일편의 직조된 또는 꼰 스트링으로 구성되므로 결합 수단의 기다란 가요성 요소의 양호한 고정을 이룰 수도 있다.
청구항 9에 따라 결합 수단에 결합 스터드 및 결합 스커트만을 제공하여, 조립 완구 세트의 다른 요소의 결합 스터드에 결합 수단을 결합하는데 매우 작은 힘만을 요구하고 동시에 상호 결합이 측방향 견인에 의해 결합 수단을 견인하여 결합 스터드로부터 분리되는 데 비교적 큰 견인력을 요구하는 것이 이루어진다.
결합 스커트 뿐만 아니라 결합 스터드를 회전 대칭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결합 스터드는 기다란 가요성 요소가 필요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고 조립 완구 세트의 다른 요소와 서로에 대해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 장착되므로 견인 요소의 직접적인 견인의 성립이 가능하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 요소(1)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견인 요소(1)의 중심부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일편의 가요성 스트링(2)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에는 스트링(2)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에서 스트링(2)에는 사출 성형된 소성 재료로 제공된 결합 수단(3)이 제공되며, 그 중 하나는 내부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견인 요소(1)는 사출 성형에 의해 결합 수단(3)이 스트링(2)에 고정되고, 그로 인해 스트링(2)의 조잡한 표면이 결합 수단 사이에 양호하고 강한 연결을 성립하도록 편리하게 제조된다.
각각의 결합 수단(3)은 회전 대칭 유닛 형태로 제공되고 상부면의 결합 스터드(4)와 상기 결합 스터드(4)에 대해 짝결합하는 하면의 결합 스커트(5)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합 수단(3)은 서로 연결할 수도 있거나 또는 조립 완구 세트의 다른 요소(7)의 결합 스터드(4)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2는 결합 수단(3) 중 하나가 여러 방법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또는 일편의 완구의 영구 불변부이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여러 요소로 구성된 요소(7)의 결합 스터드(6)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상기 견인 요소가 하나의 구성체로부터 다른 구성체로 견인력을 전달할 수도 있는 조립 완구 세트의 견인 스트링으로서 견인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링(2)은 결합 수단(3)이 요소(7)의 결합 스터드(6)에 장착되는 경우에 전체 장착 지점이 요소(7)의 결합 스터드(6)의 최상부면(8) 위에 배치되도록 결합 수단(3)의 높은 곳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결합 수단(3)이 스트링(2) 또는 결합 수단(3)의 부착이 파괴되지 않고 결합 수단(3)을 견인하여 결합 스터드(6)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모멘트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인이 스트링(2) 방향으로 인가되는 경우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 수단(3)의 스트링(2)에 대한 장착 지점은 상기 장착 지점의 높이가 결합 스터드(6)의 최상부면(8) 위에 있으므로, 스트링(2)의 견인에 의해 결합 수단(3)에 인가된 모멘트는 결합 스터드(6)와 결합 스커트(5) 사이의 마찰력이 그 위치를 유지하려고 하더라도 견인 요소(1)를 파괴시키지 않고 결합 수단(3)을 견인하여 결합 스터드(6)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결합 수단(3)에 스트링(2)의 장착 지점을 선택하여, 결합 수단(3)을 견인하여 결합 스터드(6)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견인력은 조절될 수도 있고 예컨대 스트링(2)의 강도에 따르므로, 스트링(2)과 결합 수단의 장착부 모두가 파괴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도시되어 있는 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여러 방법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견인 요소는 하나 또는 셋 또는 그 이상의 상이한 갯수의 결합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견인 요소의 모든 단부에 결합부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 결합 스커트 뿐만 아니라 결합 스터드도 도시되어 있는 회전 대칭 방법과는 다른 여러 방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링(2)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체인, 라인, 와이어 등으로 교체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스트링, 라인, 와이어 또는 체인 등의 긴 가요성 요소(2)를 구비한 견인 요소(1)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의 일단부는 그 하면에 상기 조립 완구 세트의 일부분인 조립 요소상에 하나 이상의 짝결합 스터드(4, 6)와 마찰 결합하는 결합 스커트(5)를 갖는 결합 수단(3)에 체결된 조립 완구 세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3)은 그 하면에 하나의 회전 대칭 결합 스커트(5)를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는 상기 결합 수단(3)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의 인장 강도 보다 낮으며 상기 결합 수단(3)과 상기 짝결합 스터드(4, 6) 사이의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내의 견인력이 상기 결합 수단(3) 상에 상기 결합 수단(3) 및 상기 짝결합 스터드(4, 6)를 마찰 결합에서 해제시키기에 충분히 큰 비틀림 모멘트를 초래하며,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는 상기 결합 수단(3)에 체결된 영역에서 상기 결합 수단(3)과 짝결합 스터드(4, 6) 사이에 결합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는 상기 결합 수단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의 소성 신장을 초래할 수 있는 견인력 보다 약한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 내의 견인력이 상기 결합 수단(3)과 상기 짝결합 스터드(4, 6) 사이의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상기 결합 수단(3) 상에 상기 결합 스터드(3) 및 상기 짝결합 스터드(4, 6)를 마찰 결합에서 해제하기에 충분히 큰 비틀림 모멘트를 초래하는 지점에서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는 상기 결합 수단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와 상기 결합 수단(3) 사이의 연결 영역 내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는 견인력 보다 약한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 내의 견인력이 상기 결합 수단(3)과 상기 짝결한 스터드(4, 6) 사이의 결합 방향에 횡단하는 상기 결합 수단(3) 상에 상기 결합 수단(3) 및 상기 짝결합 스터드(6)를 마찰 결합에서 해제하기에 충분히 큰 비틀림 모멘트를 초래하는 지점에서 상기 결합 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요소의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가 각각에 결합 수단(3)이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단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3)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결합 수단(3)은 각각의 하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각각의 상부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상부면에는 하나 이상의 짝결합 스터드(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2)가 하면과 상부면 사이에서 결합 수단(3)에 체결되며, 상기 결합 수단(3)이 상기 기다란 가요성 요소에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한 가요성 요소(2)가 끈 또는 직조된 스트링으로 구성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그 상부면에 단지 하나의 결합 스터드(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스터드(4)가 회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 세트.
KR10-1998-0701848A 1995-09-14 1996-09-13 견인요소를구비한조립완구세트 KR100511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99501023A DK173439B1 (da) 1995-09-14 1995-09-14 Legetøjsbyggesæt med trækelement
DK1023/95 1995-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98A KR19990044598A (ko) 1999-06-25
KR100511805B1 true KR100511805B1 (ko) 2005-11-01

Family

ID=810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848A KR100511805B1 (ko) 1995-09-14 1996-09-13 견인요소를구비한조립완구세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00984A (ko)
EP (1) EP0958016B1 (ko)
JP (1) JP3681758B2 (ko)
KR (1) KR100511805B1 (ko)
CN (1) CN1101235C (ko)
AT (1) ATE215394T1 (ko)
AU (1) AU709670B2 (ko)
CA (1) CA2232032C (ko)
DE (1) DE69620481T2 (ko)
DK (2) DK173439B1 (ko)
ES (1) ES2174098T3 (ko)
PT (1) PT958016E (ko)
WO (1) WO1997010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7183A (zh) * 2012-04-10 2013-10-23 格康有限公司 卡合结构
US9345982B2 (en) * 2014-09-01 2016-05-24 Joseph Farco Building block universal joint system
US10576391B1 (en) * 2019-02-07 2020-03-03 Kun Yuan Tong Building piece comprising two rigid interlockable wings and a flexible belt therebetween
KR200497044Y1 (ko) * 2021-03-30 2023-07-10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완구블록 분리 도구
US20230201736A1 (en) * 2021-12-25 2023-06-29 Joseph Farco Removable posable bendable to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6380E (fr) * 1968-08-20 1972-06-16 Fischer Artur Élément pour la construction de modeles-jou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8016A1 (en) 1999-11-24
CA2232032C (en) 2007-03-06
DE69620481T2 (de) 2002-07-25
PT958016E (pt) 2002-08-30
JPH11514256A (ja) 1999-12-07
CN1196686A (zh) 1998-10-21
JP3681758B2 (ja) 2005-08-10
US6000984A (en) 1999-12-14
ES2174098T3 (es) 2002-11-01
ATE215394T1 (de) 2002-04-15
DK0958016T3 (da) 2002-07-01
EP0958016B1 (en) 2002-04-03
WO1997010035A1 (en) 1997-03-20
AU6923796A (en) 1997-04-01
CN1101235C (zh) 2003-02-12
DK102395A (da) 1997-03-15
DK173439B1 (da) 2000-11-06
AU709670B2 (en) 1999-09-02
DE69620481D1 (de) 2002-05-08
KR19990044598A (ko) 1999-06-25
CA2232032A1 (en) 199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588B1 (ko) 에너지체인
JPH086452Y2 (ja) 猫の首輪
US7322548B2 (en) Suspension for elongated objects, in particular cables
US5456029A (en) Tooth to adapter coupler
DE60016207D1 (de) Vorrichtung zur wahlweisen verhinderung der arretierung von formgedächtniskupplungen
EP0874085A3 (en) Guardrail with improved ground anchor assembly
KR100511805B1 (ko) 견인요소를구비한조립완구세트
EP0747548A3 (en) Device for connecting profiles
US4975075A (en) Locking mechanism for a connector
RU2102876C1 (ru) Подвесная втулка для сетевых вертлюгов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4031485B2 (ja) 留め具
JPH0790Y2 (ja) 磁石による連結具
US478822A (en) Clamp
JPH063063U (ja) ロープ結合具
GB2374908B (en) Brake tensioner
JP3056414U (ja) シャックル
CA1049830A (en) Conical guide for a coupling pin on an agricultural implement
GB2161239A (en) Pinned chain coupling
JPH10295033A (ja) コンクリート部材連結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
SU1079600A1 (ru)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екций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KR19990037609U (ko) 걸림장치
SE514702C2 (sv) Anordning för fiskekrok för att förhindra att draget går förlorat vid försök att frigöra en krok som fastnat i botten
KR19980036783A (ko) 밴드 케이블
KR19980046463U (ko)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ITMI971101A1 (it) Maglia di catena portachiav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