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44Y1 - 완구블록 분리 도구 - Google Patents

완구블록 분리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44Y1
KR200497044Y1 KR2020210000989U KR20210000989U KR200497044Y1 KR 200497044 Y1 KR200497044 Y1 KR 200497044Y1 KR 2020210000989 U KR2020210000989 U KR 2020210000989U KR 20210000989 U KR20210000989 U KR 20210000989U KR 200497044 Y1 KR200497044 Y1 KR 200497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parator
protrusion
groov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98U (ko
Inventor
윤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Priority to KR2020210000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4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결합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완구블록 조립체로부터 블록을 분리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 블록분리기는 4개와 옆면과 윗면 및 밑면을 가지며, 윗면의 중앙에는 1개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의 관통홈 주위에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윗면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밑면에는 복수의 밑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의 하나 이상에는 옆면돌기와 옆면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누름봉과 블록분리기를 포함하는 블록분리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누름봉은 몸체와 머리부를 포함하여, 머리부의 저면에는 1개의 사각기둥 형태의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머리부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완구블록 분리 도구{Tool for separating blocks from toy block assemblies}
본 고안은 블록완구 분리 도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블록이 측면 결합하여 형성된 조립체로부터 블록을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블록완구 분리 도구에 관한 것이다.
완구용 블록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블록들을 상호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조립체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다.
어린이 등이 블록을 조립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어내거나 또는 정해진 형상을 따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 창의력, 사고력, 분석력, 집중력 등을 함양할 수 있다. 그 결과, 블록 완구는 유아나 어린이들의 놀이용구로서는 물론 우수한 교육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유아기에는 블록 놀이가 손의 소근육 발달에 매우 유용한 놀이로서 활용되고 있는데, 손의 소근육을 통한 신경 자극은 두뇌 발달에 유용하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블록의 대표적인 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 블록은 상면에 연결돌기(1)가 형성되고 저면에 연결돌기(1)가 끼워질 수 있는 연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포갰을 때, 아래쪽 블록의 연결돌기(1)가 위쪽 블록의 연결홈(미도시)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블록들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블록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조립하는 방식 위주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블록이 개발되었다. 일례로 블록의 측면부에 서로 조립이 가능한 수링크와 암링크를 형성하여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조립도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다양한 형태를 더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블록의 크기를 축소한 것도 출현하였다. 다만 블록 크기가 작으면 작은 만큼 조립이 어렵다.
도 2는 측면 결합할 수 있는 공지된 블록(10)의 예이다. 도 2a는 블록(10)의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형상이고 도 2b는 블록(10)의 아래 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형상인데, 이 블록(10)은 4개의 측면(11)을 가지며, 각 측면에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블록(10)의 위쪽에서 내려다보면 결합돌기(12)는 톱니와 유사한 형상이다. 블록 상호간의 측면 결합 시에는 하나의 볼록(10)의 결합돌기(12)를 다른 블록(10)의 결합홈(13)에 슬라이딩 시켜서 끼우며, 블록(10)의 상면(14)의 중앙에는 1개의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15)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10)의 하면(16)에는 체결돌기(15)가 삽입되어 암수 결합될 수 있는 1개의 체결홈(17)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공지된 블록(10)들이 측면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작은 블록의 경우, 조립체 내에서 특정 블록(표적 블록)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이를 분리하기가 더 어렵다. 표적블록을 분리하려다가 자칫 표적블록 주변의 다른 블록들의 정돈된 상태를 흩뜨릴 수도 있고, 힘들여 만든 조립체 전체의 형상을 망가뜨릴 수도 있다. 게다가 표적블록이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질 때 멀리 튕겨 나가 이를 회수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도 있다.
특허 제0148347호는 장난감 조립 세트에서 결합된 장난감 조립 요소들을 분리하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인데, 상하로 적층 결합된 블록을 분리하기 위한 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제0148347호
본 고안은 복수의 완구블록이 측면 연결되어 형성된 조립체에서 개별 블록들을 쉽고 안정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완구블록 분리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측면결합된 복수의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완구블록 조립체로부터 블록을 분리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분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블록은 4개의 측면을 가지며, 측면 각각에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블록 상호간의 측면결합 시에는 하나의 블록의 결합돌기를 다른 블록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시켜서 끼우며, 블록의 상면의 중앙에는 1개의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하면에는 체결돌기가 삽입되어 암수 결합될 수 있는 1개의 체결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블록분리기는 4개와 옆면과 윗면 및 밑면을 가지며, 윗면의 중앙에는 1개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의 관통홈 주위에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윗면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윗면돌기는 블록의 하면의 체결홈과 암수 결합을 할 수 있고, 밑면에는 복수의 밑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홈은 블록의 상면의 체결돌기와 암수 결합할 수 있으며, 옆면의 하나 이상에는 옆면돌기와 옆면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돌기와 옆면홈은 블록의 측면의 결합홈 및 결합돌기와 암수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블록분리기에서는 윗면돌기가 8개 이상이고 밑면홈이 8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옆면돌기와 옆면홈이 형성된 옆면은 복수일 수도 있다.
상기 블록의 상면의 각 변의 길이는 14mm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분리기의 옆면 높이는 블록의 측면의 높이보다 크다.
또한 본 고안은 누름봉과 블록분리기를 포함하는 블록분리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이 블록분리기 어셈블리에서 누름봉은 몸체와 머리부를 포함하여,
머리부의 저면에는 1개의 사각기둥 형태의 끼움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돌부는 블록분리기의 관통홈과 끼움결합 할 수 있고,
머리부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홈은 블록분리기의 상기 윗면돌기와 끼움결합 할 수 있다.
누름봉의 몸체는 금속이고 머리부와 끼움돌부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누름봉의 머리부는 블록분리기의 옆면돌기 및 옆면홈과 동일한 형상의 돌기 및 홈이 형성된 측부를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복수의 완구블록이 측면 결합되어 형성된 조립체에서 개별 블록을 용이하고 안정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블록을 조립하는 어린이 등이 필요에 따라 조립체로부터 개별 블록을 분리하고자 할 때 분리를 용이하게 하므로, 어린이 등이 블록 조립에 흥미를 유지하게 하게 함으로써 블록 조립을 통한 놀이 효과, 두뇌개발 효과,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공지된 블록의 예이다.
도 2는 측면 결합할 수 있는 공지된 블록의 예이다.
도 3은 공지된 블록들이 측면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분리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봉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분리기 어셈블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다수의 블록을 측면 결합시켜 형성한 블록 조립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블록분리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블록을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블록분리기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블록을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블록'은 완구용 블록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서 '측면 결합'이란 측면에 결합부를 구비한 블록들이 이 결합부를 통해 서로 평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본 고안에서 '완구블록 분리 도구'는 블록분리기 또는 블록분리기와 누름봉의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본 고안의 완구블록 분리 도구는 복수의 블록이 측면 결합되어 형성된 조립체에서 분리 대상인 블록(표적 블록)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분리기(2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블록분리기(20)의 위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형상이고 도 4b는 블록분리기(20)의 아래 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형상이다. 이 블록분리기(20)는 4개의 옆면(21)과 윗면(24) 및 밑면(27)을 가지며, 윗면(24)의 중앙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1개의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홈(25) 주위에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윗면돌기(26)가 구비되어 있으며, 윗면돌기(26)는 블록(10)의 하면(16)의 체결홈(17)과 암수 결합을 할 수 있다. 블록분리기(20)의 밑면(27)에는 복수의 밑면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밑면홈(28)은 블록(10)의 상면(14)의 체결돌기(15)와 암수 결합할 수 있다. 블록분리기(20)의 옆면(21)의 하나 이상에는 옆면돌기(22)와 옆면홈(2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옆면돌기(22)와 옆면홈(23)은 블록(10)의 측면(11)의 결합홈(13) 및 결합돌기(12)와 암수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25)은 블록 조립체(50)로부터 분리된 표적블록(51)보다 큰 크기를 가짐으로써, 표적블록(51)이 관통홈(25)을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누름봉(3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누름봉(30) 전체를 도시한 것이고 5b는 도 5a의 누름봉(30)의 머리부(32)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누름봉(30)은 몸체(31)와 머리부(32)를 포함하여, 머리부(32)의 저면(34)에는 1개의 사각기둥 형태의 끼움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끼움돌부(33)는 블록분리기(20)의 관통홈(25)과 끼움결합 할 수 있다. 머리부(32)의 저면(34)에는 복수의 끼움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홈(35)은 블록분리기(20)의 윗면돌기(26)와 끼움결합 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도 5b에서는 누름봉(30)의 머리부(32)가 블록분리기(20)의 옆면돌기(22) 및 옆면홈(23)과 동일한 형상의 돌기(37) 및 홈(38)이 형성된 측부(36)를 1개 갖고 있는데, 측부(36)가 이러한 돌기(37)와 홈(38)을 갖는 경우, 블록분리기(20)를 누름봉(30)의 머리부(32)의 저면(34)에 끼워서 누름봉(30)과 결합시킬 때, 상기 머리부(32)의 측부(36)의 돌기(37)와 홈(38)이 블록분리기(20)의 옆면돌기(22) 및 옆면홈(23)과 상하로 정렬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분리기 어셈블리(4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어셈블리(40)는 블록분리기(20)와 누름봉(30)으로 구성된다. 도 6a는 블록분리기(20)와 누름봉(30)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b는 블록분리기(20)가 누름봉(30)의 머리부 저면(34)으로부터 분리되어 누름봉(30)의 몸체(31)에 걸려 있는 상태는 보여주며, 도 6c는 누름봉(30)의 머리부 저면(34)에 블록분리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수의 블록(10)을 측면 결합시켜 형성한 블록 조립체의 예로서 지도 형태의 조립체(60)이다.
블록을 조립하는 사람이 지도 형태 조립체(60)에서 15번 블록을 표적블록으로 정하고, 지도 조립체(60)에서 제거 또는 교체하기를 원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블록분리기(20)를 지도 조립체(60)와 상하 결합시키되, 표적블록이 블록분리기(20)의 관통홈(25) 위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지도 조립체(60)에 블록분리기(20)가 부착된 쪽의 반대쪽에서 표적블록을 누르면, 표적블록의 주변 블록들은 블록분리기(20)에 의해 지지되면서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지만 표적블록은 블록분리기(20)의 관통홈(25)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눌리는 힘을 받았을 때 블록분리기(20)에 의해 지지되지 못 하고 지도 조립체(60)에서 이탈하여 블록분리기(20)의 관통홈(25) 내로 밀려나오게 된다.
또한 블록분리기(20)의 옆면돌기(22)가 있는 옆면(21)을 이용하여 블록 조립체로부터 표적블록을 분리할 수도 있는데, 표적블록이 조립체의 가장자리에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블록분리기(20)의 옆면돌기(22)를 이용하려고 블록분리기(20)를 블록 조립체에 부착할 때는, 표적블록이 블록 조립체로부터 분리될 때 표적블록의 측면의 결합돌기가 블록분리기 옆면홈(23)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부착하며, 이 상태에서 블록 조립체에 블록분리기(20)가 부착된 쪽의 반대쪽에서 표적블록에 압력을 가하여 밀면 표적블록이 블록 조립체로부터 이탈하면서 블록분리기(20)의 옆면(2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밀려나오게 된다.
한편, 블록 조립체로부터 표적블록을 분리하고자 표적블록을 누를 때, 본 고안에 따른 누름봉(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블록분리기 어셈블리(40)를 사용하여 블록을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블록 조립체(50)의 가장자리가 아닌 위치에 있는 표적블록(51, 붉은 블록) 제거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a는 블록분리기(20)가 표적블록(51)을 에워싸도록 블록분리기(20)를 블록 조립체(50)에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b는 누름봉의 몸체(31)를 통해 표적블록(51)에 가압하여 표적블록(51)을 밀어내는 내는 것을 보여주며, 도 8c는 표적블록(51)이 블록 조립체(5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고안의 블록분리기 어셈블리(40)를 사용하여 표적블록(51, 붉은 블록)을 분리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블록 조립체(50)의 가장자리에 있는 여러 개의 표적블록(51)을 한꺼번에 제거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a는 블록분리기(20)를 블록 조립체(50)에 부착하되, 블록분리기(20)의 옆면돌기(22)가 있는 옆면(21)이 표적블록(51)과 나머지 블록들의 경계선과 일치하도록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9b는 누름봉(30)의 머리부(32)를 표적블록(51)에 대고 가압하여 표적블록(51)을 밀어내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9c는 블록 조립체(50)로부터 분리된 표적블록(51)이 블록분리기(20)의 옆면(21)에 걸려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누름봉(30)의 머리부(32)는 복수의 표적블록(51)을 한꺼번에 누를 때 유리하다.
1: 연결돌기 10: 블록
11: 측면 12: 결합돌기
13: 결합홈 14: 상면
15: 체결돌기 16: 하면
17: 체결홈 20: 블록분리기
21: 옆면 22: 옆면돌기
23: 옆면홈 24: 윗면
25: 관통홈 26: 윗면돌기
27: 밑면 28: 밑면홈
30: 누름봉 31: 몸체
32: 머리부 33: 끼움돌부
34: 저면 35: 끼움홈
36: 측부 37: 돌기
38: 홈 40: 블록분리기 어셈블리
50: 블록 조립체 51: 표적블록

Claims (8)

  1. 측면결합된 복수의 블록(10)을 포함하고 있는 완구블록 조립체로부터 상기 블록을 분리하는 데 사용하는 블록분리기(20)로서,
    상기 블록(10)은 4개의 측면(11)을 가지며, 상기 측면(11) 각각에는 결합돌기(12) 및 결합홈(1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10) 상호간의 측면결합 시에는 하나의 블록(10)의 결합돌기(12)를 다른 블록(10)의 결합홈(13)에 슬라이딩 시켜서 끼우며, 상기 블록(10)의 상면(14)의 중앙에는 1개의 원기둥 형상의 체결돌기(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10)의 하면(16)에는 상기 체결돌기(15)가 삽입되어 암수 결합될 수 있는 1개의 체결홈(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분리기(20)는 4개와 옆면(21)과 윗면(24) 및 밑면(27)을 가지며, 상기 윗면(24)의 중앙에는 1개의 관통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윗면(24)의 관통홈(25) 주위에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윗면돌기(2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윗면돌기(26)는 상기 블록(10)의 하면(16)의 체결홈(17)과 암수 결합을 할 수 있고,
    상기 밑면(27)에는 복수의 밑면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밑면홈(28)은 상기 블록(10)의 상면(14)의 체결돌기(15)와 암수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옆면(21)의 하나 이상에는 옆면돌기(22)와 옆면홈(23)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옆면돌기(22)와 옆면홈(23)은 상기 블록(10)의 측면(11)의 결합홈(13) 및 결합돌기(12)와 암수 결합할 수 있는
    블록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면돌기(26)가 8개 이상이고 상기 밑면홈(28)이 8개 이상인 블록분리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기 상면(14)의 각 변의 길이가 14mm 이하인 블록분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의 상기 측면(11)의 높이보다 큰 상기 옆면(21)의 높이를 갖는 블록분리기.
  6. 누름봉(30)과 제1항에 따른 블록분리기(20)를 포함하는 블록분리기 어셈블리(40)로서,
    상기 누름봉(30)은 몸체(31)와 머리부(32)를 포함하여,
    상기 머리부(32)의 저면(34)에는 1개의 사각기둥 형태의 끼움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돌부(33)는 상기 블록분리기(20)의 상기 관통홈(25)과 끼움결합 할 수 있고,
    상기 머리부(32)의 저면(34)에는 복수의 끼움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33)은 상기 블록분리기(20)의 상기 윗면돌기(26)와 끼움결합 할 수 있는
    블록분리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30)의 상기 몸체(31)는 금속이고 상기 머리부(32)와 끼움돌부(33)는 합성수지인
    블록분리기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봉(30)의 상기 머리부(32)가 상기 블록분리기(20)의 상기 옆면돌기(22) 및 상기 옆면홈(23)과 동일한 형상의 돌기(37) 및 홈(38)이 형성된 측부(36)를 갖는
    블록분리기 어셈블리.
KR2020210000989U 2021-03-30 2021-03-30 완구블록 분리 도구 KR200497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89U KR200497044Y1 (ko) 2021-03-30 2021-03-30 완구블록 분리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89U KR200497044Y1 (ko) 2021-03-30 2021-03-30 완구블록 분리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98U KR20220002398U (ko) 2022-10-07
KR200497044Y1 true KR200497044Y1 (ko) 2023-07-10

Family

ID=8359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89U KR200497044Y1 (ko) 2021-03-30 2021-03-30 완구블록 분리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268A (ja) 2015-05-26 2016-12-28 林美足 蟻継ぎブロック
KR101695597B1 (ko) * 2016-07-01 2017-01-11 이상오 완구용 블록
US20190083893A1 (en) * 2017-09-20 2019-03-21 Mattel-Mega Holdings (Us), Llc Tool For Use With Toy Construction Elements
KR102012490B1 (ko) 2018-04-25 2019-08-20 (주)케이.피.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66860B1 (da) 1989-03-20 1993-07-26 Lego As Vaerktoej til brug ved adskillelse af elementer i et byggesaet
DK173439B1 (da) * 1995-09-14 2000-11-06 Lego As Legetøjsbyggesæt med trækel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1268A (ja) 2015-05-26 2016-12-28 林美足 蟻継ぎブロック
KR101695597B1 (ko) * 2016-07-01 2017-01-11 이상오 완구용 블록
US20190083893A1 (en) * 2017-09-20 2019-03-21 Mattel-Mega Holdings (Us), Llc Tool For Use With Toy Construction Elements
KR102012490B1 (ko) 2018-04-25 2019-08-20 (주)케이.피.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98U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621A (en) Toy building block puzzle
CA2200331C (en) A stackable block system
DE60103694T2 (de) Lösbare Verbindung für Spielbauteile
EP0621063A1 (en) Block assembly
US20030082986A1 (en) Snap-fit construction system
AU689322B2 (en) A stackable block system
DE4004023C2 (ko)
MXPA97002295A (en) A system of blocks that can be api
US10343080B2 (en) Assembling toy block
DE60202889T2 (de) Ein spielzeugbaukasten
DE3543969A1 (de) Spielzeug fuer kleinkinder
KR200497044Y1 (ko) 완구블록 분리 도구
US20170007940A1 (en) Building block with separation arrangement
KR101599347B1 (ko) 조립식 블록
DE102005036011A1 (de) Bodenbelag
CN106029193B (zh) 用于产生链条和立体结构的可连接元件
KR20220084566A (ko) 3단분리형의 6면조립형 블록교구
CN213100836U (zh) 一种积木方块
KR101497767B1 (ko) 완구기차의 주행레일
CN220609015U (zh) 一种适用于孤独症儿童认知与精细动作训练板
JPS5820325B2 (ja) 水上構造物用浮体ブロツク
KR101952036B1 (ko) 완구용 블럭
KR200498013Y1 (ko) 조립용 완구 유닛
CN211561840U (zh) 一种多用途玩具插接部件
KR20170016046A (ko) 다방향 조립 가능한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