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490B1 -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2490B1 KR102012490B1 KR1020180048111A KR20180048111A KR102012490B1 KR 102012490 B1 KR102012490 B1 KR 102012490B1 KR 1020180048111 A KR1020180048111 A KR 1020180048111A KR 20180048111 A KR20180048111 A KR 20180048111A KR 102012490 B1 KR102012490 B1 KR 102012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magnetic
- magnetic body
- support
- magnetic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grooves, e.g. dov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블록 지지체가 블록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블록 지지체가 결합된 블록 본체를 다양한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고, 블록 지지체가 분리된 복수 개의 블록 본체를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력에 의해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이 가능하여 어린이의 흥미유발과 지능발달에 도움을 주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블록완구는 여러 가지 모양의 단위블록을 어린이들이 직접 결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놀이기구이다.
보다 상세하게 조립식 블록완구는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이 가능하여 어린이의 흥미유발과 지능발달에 도움을 주고, 창의력과 사고력을 높여주는 놀이기구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 블록완구는 블럭들을 서로 끼워 맞추어 구조물을 만드는 형태가 있는가 하면, 최근에는 단위 조립 부재 상에 영구자석을 장착 또는 매입하여 단위 조립 부재를 가까이 위치시키기만 해도 자력을 통한 단위 조립 부재들 간의 손쉬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력 결합방식의 자석완구가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자석완구는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재단된 블럭에 자석을 매립하여구성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822호에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는 블록(10)의 몸체 내부에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자석(20)이 여유공간을 두고 삽입되고, 공간부(11)의 입구는 마개(12)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서로 다른 블록(10)들을 마주하면 공간부(11)의 자석(20)들이 각각 회전되면서 N,S극의 결합을 이루어 자력의 힘에 의하여 블록(10)들이 서로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블록들을 서로 마주하면 공간부의 자석들이 각각 회전되면서 N,S극의 결합을 이루어 자연스럽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석완구에 대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다양한 자석 장착구조가 제안되는바, 최근에는 종래에 적용되던 자석 장착구조를 블럭의 재질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면서도 확고한 자석 장착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완구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블록 지지체가 블록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블록 지지체가 결합된 블록 본체를 다양한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고, 블록 지지체가 분리된 복수 개의 블록 본체를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성체를 끼운 상태로 자성체와 함께 작동부재를 승강시키면 지지부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를 고정시킬 수 있고, 막대툴을 블록 지지체의 관통공에 끼워 작동부재를 하강시키면 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를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자성체를 블록 지지체에 빠르고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성을 지닌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공간부가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블록 본체의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본체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지지체는, 상기 자성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지지체는, 상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막대툴이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지지체는, 상기 블록 본체의 체결홈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록 지지체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상기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장착부재;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막대툴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작동부재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상기 막대툴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체를 고정 해제시키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블록 지지체가 블록 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블록 지지체가 결합된 블록 본체를 다양한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고, 블록 지지체가 분리된 복수 개의 블록 본체를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성체를 끼운 상태로 자성체와 함께 작동부재를 승강시키면 지지부재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를 고정시킬 수 있고, 막대툴을 블록 지지체의 관통공에 끼워 작동부재를 하강시키면 지지부재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를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자성체를 블록 지지체에 빠르고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의 블록 지지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100)은, 다면체로 형성되는 몸체부(112)의 하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체결돌기(114)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112)의 상측면에 체결돌기(114)와 대응되게 체결돌기(114)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결합되는 체결홈(116)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블록 본체(110); 자성을 지닌 자성체(130); 및 자성체(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공간부(124)가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 지지체(120);를 포함하며, 블록 본체(110)는 자성체(130)의 자력에 의해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100)은 블록 본체(110), 블록 지지체(120), 자성체(130) 및 막대툴(140)을 포함한다.
블록 본체(11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소재로 이루어진 원기둥, 다각기둥, 일측이 곡면으로 형성된 기둥 등 다면체로 형성되며, 다면체로 형성되는 몸체부(112)의 하측면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체결돌기(114)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112)의 상측면에는 체결돌기(114)와 대응되게 체결홈(116)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블록 본체(110)는 어느 하나의 블록 본체(110)에 형성된 체결돌기(114)가 다른 하나의 블록 본체(110)에 형성된 체결홈(116)에 끼워지며 결합하게 된다.
체결돌기(114)는 몸체부(112)의 하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116)은 체결돌기(114)의 외주면이 밀착되며 결합되도록 체결돌기(114)와 대응되는 형성으로 몸체부(112)의 상측면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116)은 복수 개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체결홈(116)은 체결돌기(114)가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자성체(130)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쇳조각을 끌어당길 수 있는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어지며, 블록 본체(110)에 끼워지는 블록 지지체(120)에 결합되어 블록 본체(110)를 자력으로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시키게 된다.
블록 지지체(120)는 ABS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성체(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공간부(124)가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고,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블록 지지체(120)를 블록 본체(110)에 결합하여 블록 지지체(120)에 결합된 자성체(130)의 자력으로 블록 본체(110)를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할 수 있게 되고, 블록 지지체(120)가 결합된 블록 본체(110)를 다양한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블록 지지체(120)는, 자성체(130)를 지지하도록 수용공간부(12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29)를 포함한다.
즉, 블록 지지체(120)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129)가 수용공간부(12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자성체(130)를 지지하며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블록 지지체(120)는, 상측에 막대툴(140)이 삽입되는 관통공(126)이 형성되며,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지지돌기(128)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자성체(13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관통공(126)에 막대툴(140)을 삽입하여 자성체(130)를 하측으로 밀어내면 블록 지지체(120)로부터 자성체(13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막대툴(140)은 상측에 손잡이부(144)가 형성되고, 하측에 관통공(126)에 끼워지는 체결부(142)가 형성되며, 체결부(142)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블록 지지체(120)가 블록 본체(110)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블록 지지체(120)가 결합된 블록 본체(110)를 다양한 학습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고, 블록 지지체(120)가 분리된 복수 개의 블록 본체(110)를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지지체(120)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부(124)가 형성되는 장착부재(122); 자성체(13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막대툴(14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수용공간부(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160); 자성체(130)와 함께 작동부재(16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시키고, 막대툴(140)에 의해 작동부재(16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 해제시키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장착부재(122)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수용공간부(124)가 형성되며, 상측에 막대툴(140)이 삽입되는 관통공(126)이 형성되고,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지지돌기(128)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재(122)는 수용공간부(124)의 내주면에 지지부재(150)를 경방향 내측 또는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홈(17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된다.
작동부재(160)는 자성체(13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막대툴(14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수용공간부(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승하강에 의해 지지부재(150)를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거나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지지부재(150)는 자성체(130)와 함께 작동부재(16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시키고, 막대툴(140)에 의해 작동부재(16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 해제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작동부재(160)는 경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돌기(164)가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딩홈(154)에 슬라이딩돌기(16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50)는 작동부재(160) 방향 상부 측면에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홈(154)이 형성되고, 작동부재(160) 방향 하부 측면에 슬라이딩홈(154)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자성체(130)가 끼워지는 고정홈(152)이 형성되며, 지지홈(172)에 끼워져 경방향 내측 또는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용공간부(124)에 자성체(130)를 끼운 상태로 자성체(130)와 함께 작동부재(160)를 승강시키면 슬라이딩돌기(164)와 슬라이딩홈(154)에 의해 지지부재(150)가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막대툴(140)을 블록 지지체(120)의 관통공(126)에 끼워 작동부재(160)를 하강시키면 슬라이딩돌기(164)와 슬라이딩홈(154)에 의해 지지부재(150)가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작동부재(160)가 상승하게 되면, 슬라이딩돌기(164)의 상측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홈(154)의 상측 경사진 면이 슬라이딩되어 지지부재(150)를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작동부재(160)가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돌기(164)의 하측 경사진 면을 따라 슬라이딩홈(154)의 하측 경사진 면이 슬라이딩되어 지지부재(150)를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장착부재(122)의 수용공간부(124)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76)이 형성되고, 작동부재(160)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76)과 대응되는 가이드돌기(166)가 형성되어 가이드홈(176)에 가이드돌기(166)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160)는 수직하게 승하강할 수 있게 되고, 복수 개의 지지부재(150)는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부재(160)는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가이드홈(176)의 내주면에는 나선형홈(178)이 형성되고, 가이드돌기(166)의 외주면에는 나선형홈(178)과 대응되는 나선형돌기(168)가 형성된다.
즉, 나선형홈(178)과, 나선형돌기(168)에 의해 작동부재(16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거나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며, 이로 인해 지지부재(150)가 자성체(1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거나 고정해제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부재(160)의 가이드돌기(166)에는 막대툴(140)의 체결부(142)가 끼워지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툴(140)을 이용하여 작동부재(160)를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막대툴(140)의 체결부(142)와 작동부재(160)의 체결홈은 서로 대응되도록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성체(130)를 끼운 상태로 자성체(130)와 함께 작동부재(160)를 승강시키면 지지부재(15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시킬 수 있고, 막대툴(140)을 블록 지지체(120)의 관통공(126)에 끼워 작동부재(160)를 하강시키면 지지부재(15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체(130)를 고정 해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자성체(130)를 블록 지지체(120)에 빠르고 쉽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블록 본체 112 : 몸체부
114 : 체결돌기 116 : 체결홈
120 : 블록 지지체 122 : 장착부재
124 : 수용공간부 126 : 관통공
128 : 지지돌기 130 : 자성체
140 : 막대툴 150 : 지지부재
152 : 고정홈 154 : 슬라이딩홈
160 : 작동부재 164 : 슬라이딩돌기
166 : 가이드돌기 168 : 나선형돌기
172 : 지지홈 176 : 가이드홈
178 : 나선형홈
114 : 체결돌기 116 : 체결홈
120 : 블록 지지체 122 : 장착부재
124 : 수용공간부 126 : 관통공
128 : 지지돌기 130 : 자성체
140 : 막대툴 150 : 지지부재
152 : 고정홈 154 : 슬라이딩홈
160 : 작동부재 164 : 슬라이딩돌기
166 : 가이드돌기 168 : 나선형돌기
172 : 지지홈 176 : 가이드홈
178 : 나선형홈
Claims (5)
- 자성을 지닌 자성체(130); 및
상기 자성체(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공간부(124)가 하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며,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블록 지지체(120);
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본체(110)는 상기 자성체(130)의 자력에 의해 고정대상물 또는 유동대상물에 탈부착되고,
상기 블록 지지체(120)는,
내부에 하측으로 개구되는 상기 수용공간부(124)가 형성되는 장착부재(122);
상기 자성체(130)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막대툴(14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수용공간부(124)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부재(160); 및
상기 자성체(130)와 함께 상기 작동부재(16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체(130)를 고정시키고, 상기 막대툴(140)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16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부재(160)에 의해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성체(130)를 고정 해제시키는 지지부재(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22)는,
상측에 관통공(12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26)에 막대툴(140)이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130)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122)는,
상기 블록 본체(110)의 체결홈(116)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1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8111A KR102012490B1 (ko) | 2018-04-25 | 2018-04-25 |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8111A KR102012490B1 (ko) | 2018-04-25 | 2018-04-25 |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2490B1 true KR102012490B1 (ko) | 2019-08-20 |
Family
ID=6780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8111A KR102012490B1 (ko) | 2018-04-25 | 2018-04-25 |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24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398U (ko) * | 2021-03-30 | 2022-10-07 |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 완구블록 분리 도구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7822Y1 (ko) | 2004-12-03 | 2005-03-08 | 김면수 |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
KR200454067Y1 (ko) * | 2010-08-27 | 2011-06-15 | 추대운 | 자성 입체 완구 블록 및 그 조립체 |
JP3206287U (ja) * | 2016-06-28 | 2016-09-08 | 株式会社アーテック | 磁石ケース、及び磁石セット |
KR101673471B1 (ko) * | 2016-04-08 | 2016-11-07 | 김영미 |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
KR20170083045A (ko) * | 2015-08-27 | 2017-07-17 | 탐, 콕 포 펄 |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완구 블록 |
-
2018
- 2018-04-25 KR KR1020180048111A patent/KR1020124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7822Y1 (ko) | 2004-12-03 | 2005-03-08 | 김면수 | 자력을 이용한 조립식 블록완구 |
KR200454067Y1 (ko) * | 2010-08-27 | 2011-06-15 | 추대운 | 자성 입체 완구 블록 및 그 조립체 |
KR20170083045A (ko) * | 2015-08-27 | 2017-07-17 | 탐, 콕 포 펄 | 자기적으로 연결되는 완구 블록 |
KR101673471B1 (ko) * | 2016-04-08 | 2016-11-07 | 김영미 |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
JP3206287U (ja) * | 2016-06-28 | 2016-09-08 | 株式会社アーテック | 磁石ケース、及び磁石セット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P03206287 UR |
등록특허공보 제10-1673471호(2016.11.7. 공고) 1부.*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2398U (ko) * | 2021-03-30 | 2022-10-07 |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 완구블록 분리 도구 |
KR200497044Y1 (ko) | 2021-03-30 | 2023-07-10 | 주식회사 디엔에이피플 | 완구블록 분리 도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4429B1 (ko) | 자석완구의 자석 장착구조 | |
CN102883787B (zh) | 多功能耐用建筑玩具 | |
US7413493B2 (en) | Magnetic building block | |
US20130000084A1 (en) | Self-actuating magnetic locking system | |
KR102012490B1 (ko) | 자력을 이용한 블록모듈 | |
KR101240866B1 (ko) | 유아용 블록완구 | |
JP6400864B2 (ja) | 磁気式床ドレン | |
US20080200092A1 (en) | Magnetic item and toy comprising the same | |
KR101245060B1 (ko) | 유아용 블록완구 | |
KR101673471B1 (ko) |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 |
KR20170028805A (ko) |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 |
KR200389109Y1 (ko) | 자성체를 이용하는 유희용구세트 | |
KR20120009001U (ko) |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 |
KR102018601B1 (ko) | 조립형 교구 블록 | |
KR100915516B1 (ko) | 유아용 자석블록 | |
KR20050083586A (ko) | 맨홀의 높이 조절구조 | |
KR200468828Y1 (ko) |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 |
KR101168139B1 (ko) |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 |
JP6893793B2 (ja) | 表示装置 | |
KR20120053421A (ko) | 자석장착구 및 이를 이용한 자석완구 | |
KR20130045988A (ko) | 유아용 블록완구 | |
KR101255484B1 (ko) | 유아용 블록완구 | |
WO2017031832A1 (zh) | 一种磁性连接的积木 | |
KR101028966B1 (ko) | 유아용 자석블록 | |
KR101168142B1 (ko) |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