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446B1 -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 Google Patents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446B1
KR100511446B1 KR10-2003-0084612A KR20030084612A KR100511446B1 KR 100511446 B1 KR100511446 B1 KR 100511446B1 KR 20030084612 A KR20030084612 A KR 20030084612A KR 100511446 B1 KR100511446 B1 KR 10051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ail
window
windshield
mask
rai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944A (ko
Inventor
백남욱
김연수
조홍식
정락교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446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2Head or tail indicators, e.g.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개량하여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를 구성하는 마스크의 제작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량전철의 전두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전면유리창과, 상기 전면유리창의 가장자리 양측에 위치하여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보조창과, 상기 보조창의 양측에 배치되어 삼각형태를 이루는 측면유리창을 가지는 일체형의 마스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마스크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A forhead structure for light rail vehicle}
본 발명은 궤도(軌道)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개량하여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전철은 복수의 차량으로 편성되어 최대 수송능력 및 정시성 등의 기존 대중교통 기능을 만족하는 최첨단 교통시스템으로서, 최근 도시의 도로교통 혼잡과 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해 철도교통수단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도시철도의 대체 교통수단으로서 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량전철은 차량특성에 따라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60㎞/h 이상 무인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 및 운영비의 절감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도시철도 시스템이라 할 수 있으며, 그 형식에 따라 고무차륜 또는 철제차륜 방식의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시스템, 선형유도모터 방식의 AGT 시스템,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 시스템 등의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무차륜 방식의 2량 1편성 경량전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도면에서와 같이 경량전철편성(10)을 구성하는 각 차량(11)의 한쪽 끝단에 전두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전두부(12)의 후방으로 차량(11)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중간연결기(13)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차량(11)의 양측에는 전동식 출입문(14)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출입문(14) 사이에 측면유리창(15)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차량 (11)의 하단부에는 고무차륜(16)이 장착되어 궤도(도시생략)를 따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 경량전철(10)에 있어서의 전두부(12) 구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운전실의 제어대를 기준으로 상단부에 전면유리창(17)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는 스커트(18)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면유리창(17)의 일측 하단부에 인접하여 윈도우 와이퍼(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두부(12) 양측의 라이트커버(20) 내에 헤드라이트(21a) 및 테일라이트(2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각 구성부들에 의해 전면유리창 (17)의 상, 하측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없음은 물론, 외관의 미려도를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윈도우 와이퍼(19)가 전면유리창(17)의 일측 하단부에 근접하여 차체에 설치되어 있고, 라이트커버(20)를 개재하여 헤드라이트(21a) 및 테일라이트 (21b)가 차체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누수(漏水)로 인한 누전 등의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전철의 전두부 구조를 개량하여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넓게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전두부가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관의 미려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윈도우 와이퍼가 배치된 전면유리창과 내측에 헤드라이트 및 테일라이트가 장착된 보조창이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창의 양 측면에 측면유리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유리창의 중앙 하단부에 윈도우 와이퍼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유리창은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보조창은 전면유리창의 가장자리 양측에 위치하며,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창의 내측에 장착된 헤드라이트 및 테일라이트가 상, 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전면유리창과 보조창 및 측면유리창은 하나의 일체형 마스크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크의 전방 하단부에 스커트가 조립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경량전철의 전두부(22)에는 상변(23a)의 폭이 하변(23b)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전면유리창(2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면유리창(23)의 가장자리 양측에는 상변(24a)의 폭이 하변(24b)보다 좁게 형성된 보조창(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유리창(23)의 중앙 하단부에는 좌, 우로 회동하는 윈도우 와이퍼(2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윈도우 와이퍼(25)는 전면유리창(23)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창(24)의 내측에는 헤드라이트(26a) 및 테일라이트(26b)가 상, 하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헤드라이트(26a) 및 테일라이트(26b)는 실내에서 취부할 수 있는 동시에 점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창(24)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두부(22)의 측면에는 대략 삼각형태의 측면유리창(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전두부(22)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면유리창(23), 보조창 (24), 측면유리창(27)은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된 마스크(28)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마스크(28)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28)의 전방 하단부에 스커트(29)가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전두부(22)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두부(22)를 이루는 마스크(28) 및 스커트(29)는 몰드를 이용한 통상의 방식에 의해 제조된 후, 상기 전두부(22)의 차체 골조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취부되는 것이며, 이들 체결부위에는 고무재의 패킹(도시생략)을 개재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에 의하면,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넓게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전방에서 보았을 때 시원한 느낌을 주어 외관의 미려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전두부가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량전철 차량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전두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량전철편성 11: 차량
12: 전두부 13: 중간연결기
14: 출입문 15: 측면유리창
16: 고무차륜 17: 전면유리창
18: 스커트 19: 윈도우 와이퍼
20: 라이트커버 21a: 헤드라이트
21b: 테일라이트 22: 전두부
23: 전면유리창 24: 보조창
23a,24a: 상변 23b,24b: 하변
25: 윈도우 와이퍼 26a: 헤드라이트
26b: 테일라이트 27: 측면유리창
28: 마스크(mask) 29: 스커트(skirt)

Claims (8)

  1.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윈도우 와이퍼(25)가 배치된 전면유리창(23)과 내측에 헤드라이트 (26a) 및 테일라이트(26b)가 장착된 보조창(24)이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창(24)의 양 측면에 측면유리창(2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창(23)의 중앙 하단부에 윈도우 와이퍼(25)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창(23)은 상변(23a)의 폭이 하변 (23b)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24)은 전면유리창(23)의 가장자리 양측에 위치하며, 상변(24a)의 폭이 하변(24b)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24)의 내측에 장착된 헤드라이트(26a) 및 테일라이트(26b)가 상, 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창(23)과 보조창(24) 및 측면유리창(27)은 하나의 일체형 마스크(28)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8)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28)의 전방 하단부에 스커트(29)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KR10-2003-0084612A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KR10051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12A KR100511446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12A KR100511446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44A KR20050050944A (ko) 2005-06-01
KR100511446B1 true KR100511446B1 (ko) 2005-08-30

Family

ID=3866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12A KR100511446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40Y1 (ko) 2009-11-19 2012-02-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캡모듈 조립용 브래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362U (ko) * 1982-03-12 1982-11-08
JPH07149232A (ja) * 1994-08-19 1995-06-13 Hitachi Ltd 鉄道車両の雨樋構造
JP2002302036A (ja) * 2001-04-03 2002-10-15 Kawasaki Heavy Ind Ltd 先頭車両の前頭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6362U (ko) * 1982-03-12 1982-11-08
JPH07149232A (ja) * 1994-08-19 1995-06-13 Hitachi Ltd 鉄道車両の雨樋構造
JP2002302036A (ja) * 2001-04-03 2002-10-15 Kawasaki Heavy Ind Ltd 先頭車両の前頭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540Y1 (ko) 2009-11-19 2012-02-27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캡모듈 조립용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44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033B2 (ja) 車両
KR101497479B1 (ko) 멀티라인 모노레일 차량의 절첩 구조
KR20110017381A (ko) 단독으로 주행하고 다른 차량과 연접하여 도로 트레인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승객 수송용의 동력화된 도로 차량
CN103847808A (zh) 具有模块化车身的汽车
CN202608779U (zh) 高速动车组用外风挡
KR100511446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KR100511450B1 (ko) 경량전철 대차의 안내 프레임 구조
CN112455206A (zh) 一种电机前置前轮驱动的电动巡逻车
KR100511448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 취부구조
KR100528056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라이트 취부구조
CN208469476U (zh) 一种公铁两用车行走装置
CN100404283C (zh) 雪地轮胎
KR100538490B1 (ko) 경량전철 차량용 지붕 배수구조
CN101074030B (zh) 具有前罩的特别是城市轨道车的大容量汽车
KR100572201B1 (ko) 경량전철 차량의 구조
CN209617141U (zh) 一种动车外风挡
CN204701401U (zh) 一种汽车转向架
KR100511445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KR20210057885A (ko) 미니트램용 차량 안내휠 장치
CN218929620U (zh) 一种组合式无轨运输胶轮人车
KR100611192B1 (ko) 경량전철 차량의 구동시험용 전륜고정대의 구조
KR100511447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방법
CN102139698A (zh) 一种新型轨道交通系统
CN201998983U (zh) 一种新型轨道交通系统
KR101608432B1 (ko) 모노레일 차량의 안내륜 절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