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445B1 -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445B1
KR100511445B1 KR10-2003-0084611A KR20030084611A KR100511445B1 KR 100511445 B1 KR100511445 B1 KR 100511445B1 KR 20030084611 A KR20030084611 A KR 20030084611A KR 100511445 B1 KR100511445 B1 KR 10051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window
window
light rail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943A (ko
Inventor
백남욱
박성혁
한석윤
이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8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4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8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81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discrete fixing elements, e.g. glazing clips, glaziers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에 설치되는 유리창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의 외형선과 동일한 라인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유리창에 일체감을 부여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를 이루는 내측 및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에 체결부재로서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무재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유리창과, 상기 유리창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쳐서 충진되는 탄성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A installation structure of windows for light rail vehicle}
본 발명은 궤도(軌道)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에 설치되는 유리창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의 외형선과 동일한 라인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유리창에 일체감을 부여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량전철은 복수의 차량으로 편성되어 최대 수송능력 및 정시성 등의 기존 대중교통 기능을 만족하는 최첨단 교통시스템으로서, 최근 도시의 도로교통 혼잡과 이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해 철도교통수단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 도시철도의 대체 교통수단으로서 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경량전철은 차량특성에 따라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60㎞/h 이상 무인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비 및 운영비의 절감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는 차세대 도시철도 시스템이라 할 수 있으며, 그 형식에 따라 고무차륜 또는 철제차륜 방식의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시스템, 선형유도모터 방식의 AGT 시스템, 자기부상열차, 모노레일 시스템 등의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무차륜 방식의 2량 1편성 경량전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도면에서와 같이 경량전철편성(10)을 구성하는 각 차량(11)의 한쪽 끝단에 전두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전두부(12)의 후방으로 차량(11)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중간연결기(13)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차량(11)의 양측에는 전동식 출입문(14)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출입문(14) 사이에 사각 또는 타원형태의 유리창(15)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 차량(11)의 하단부에는 고무차륜(16)이 장착되어 일정 궤도(도시생략)를 따라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입문(14)들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유리창(15)은 경량전철의 주행에 따른 외부소음을 차단하고, 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쾌적한 여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량전철의 유리창의 취부구조와 관련된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78675호(2002.06.04 등록)에는 일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창문의 취부구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창(15)과 고정부재(17) 및 실링부재(18)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창문조합체를 차체의 패널, 즉 내측 및 외측 프레임(19,20)에 체결부재(21)로서 조립하고, 이들 사이에 내장패널(22) 및 외장패널(23)을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근래 들어 각 차량에 배열되는 유리창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 수 있는 형태로 하여 전체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189784호(2000.5.9 등록)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차량의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 유리창이 연속적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차량 외관의 미려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유리창(15)의 바깥면과 외장패널(23)의 바깥면 사이에 필연적으로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유리창(15)을 고정시키기 위한 알루미늄 프레임이나 고정용 고무 등이 차체 외부로 돌출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도를 해치게 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프레임이나 측창 고정고무의 돌출부분을 제거하여 유리창의 바깥면이 차체 외부면과 동일한 라인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유리창에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외관의 미려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량전철을 구성하는 차량에 유리창을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차체를 이루는 내측 및 외측 패널과, 상기 내측 패널에 체결부재로서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무재의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유리창과, 상기 유리창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쳐서 충진되는 탄성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접착제는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대기중의 습기에 의해 경화하는 유리접착용 접착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 도면에서와 같이 유리창(24)의 사방 가장자리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스페이서(25)가 배치되어 있고, 이 스페이서(25)를 포함한 전 둘레에는 탄성접착제(26)가 도포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량에 창문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은 유리창(24)과, 스페이서(25) 및 탄성접착제(26)로서 간단하게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A-A선 B-B선 단면구조도로서, 차체를 이루는 내측 패널(27)과 이에 대응하여 외측 패널(2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 패널(27)에는 고정 프레임(29)이 체결부재(3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29)은 차체 제작시에 기본 골조를 이루는 내측 패널(27)에 체결부재(30)로서 장착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미리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9)의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스페이서(25)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스페이서(25)에 유리창(24)이 밀착하여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창(24)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쳐서 탄성접착제(26)가 충진되어 있고, 이 탄성접착제(26)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유리창(24)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접착제(26)는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대기중의 습기에 의해 경화하는 유리접착용 접착제로서, 대기중의 습도분포에 따라 30∼40분 가량 경과한 후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다음에, 차량에 유리창을 부착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완성된 차체의 기본 골조중 유리창(24) 장착부위에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 부위에 접착이 용이하도록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한다.
이 프라이머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막층을 형성할 때, 내식성과 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초로 도포하는 도료로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도 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리창(24)의 장착부위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29)에 일정 간격으로 고무재의 스페이서(25)를 배치하고, 이 스페이서(25)에 유리창(24)을 밀착시키면서 전체 균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유리창(24)의 균형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25)와 고정 프레임(29)의 사이로 탄성접착제(26)를 골고루 충진한 후에(도 3의 해칭부분), 대기중의 습도분포에 따라 30∼40분 가량 경과시키는 것에 의해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리창(24)을 스페이서(25)와 탄성접착제(26)의 사이에 견고하게 취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창문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유리창과 스페이서 및 탄성스페이서로서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의 외형선과 동일한 라인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리창의 취부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차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프레임이나 측창 고정고무의 돌출부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차체와 유리창에 일체감을 줄 수 있어 외관의 미려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상시 차내에서 유리창을 바깥으로 손쉽게 밀어낼 수 있어 유사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량전철 차량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유리창 취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량전철편성 11: 차량
12: 전두부 13: 중간연결기
14: 출입문 15: 유리창
16: 고무차륜 17: 고정부재
18: 실링부재 19: 내측 프레임
20: 외측 프레임 21: 체결부재
22: 내장 패널 23: 외장 패널
24: 유리창 25: 스페이서
26: 탄성접착제 27: 내측 패널
28: 외측 패널 29: 고정 프레임
30: 체결나사

Claims (2)

  1. 경량전철을 구성하는 차량에 유리창을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차체를 이루는 내측 패널(27) 및 외측 패널(28)과,
    상기 내측 패널(27)에 체결부재(30)로서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29)과,
    상기 고정 프레임(29)의 바깥쪽 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 설치되는 스페이서(25)와,
    상기 스페이서(25)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유리창(24)과,
    상기 유리창(24)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쳐서 충진되는 탄성접착제(26)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착제(26)는 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하며, 대기중의 습기에 의해 경화하는 유리접착용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KR10-2003-0084611A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KR10051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11A KR100511445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11A KR100511445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43A KR20050050943A (ko) 2005-06-01
KR100511445B1 true KR100511445B1 (ko) 2005-08-30

Family

ID=3866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11A KR100511445B1 (ko) 2003-11-26 2003-11-26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26U (ko) 2014-10-23 2016-05-03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3723B1 (fr) * 2006-07-11 2008-10-24 Saint Gobain Vitrage a montage rapide
CN103895660A (zh) * 2014-03-14 2014-07-02 南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客室车窗及其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26U (ko) 2014-10-23 2016-05-03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의 측면 유리창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43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14418Y (zh) 高速铁路客车车窗安装结构
KR100511445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구조
KR100511447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방법
JPS5959518A (ja) 車輛窓、特に列車の側面窓
CN202081349U (zh) 新概念铁路及其机车
CN103452014B (zh) 有轨电车吸振消声结构
CN201291870Y (zh) 一种列车固定车窗
CN209617141U (zh) 一种动车外风挡
KR100538490B1 (ko) 경량전철 차량용 지붕 배수구조
CN108749835A (zh) 一种隔音风挡
CN201914257U (zh) 高速轨道客车用全封闭折棚式外风挡
KR100528056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라이트 취부구조
KR100572201B1 (ko) 경량전철 차량의 구조
CN110371145B (zh) 一种车端连接器及车辆
CN203420186U (zh) 有轨电车吸振消声结构
CN201980057U (zh) 汽车挡水膜
KR100511446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
CN206888871U (zh) 一种快速动力集中动车组动力车的碳纤维走廊门
CN204845473U (zh) 一种防震汽车天窗
CN102556091A (zh) 全封闭折棚式外风挡
KR100511448B1 (ko) 경량전철 차량의 윈도우 와이퍼 취부구조
CN214365805U (zh) 内藏式骨架结构厢体卷帘门固定型材
CN212472962U (zh) 一种不易氧化的轨道交通机车专用锻件
CN111845813B (zh) 一种100%低地板有轨电车司机室及其地板结构
CN113136797A (zh) 一种桥梁下弦伸缩过墩检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